KR970017600A - 상이한 속도를 가진 메모리 어레이 뱅크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이한 속도를 가진 메모리 어레이 뱅크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17600A KR970017600A KR1019950031525A KR19950031525A KR970017600A KR 970017600 A KR970017600 A KR 970017600A KR 1019950031525 A KR1019950031525 A KR 1019950031525A KR 19950031525 A KR19950031525 A KR 19950031525A KR 970017600 A KR970017600 A KR 9700176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ray
- memory
- blocks
- memory array
- memor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2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10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0)
- 두개 이상의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과,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과 서브워드라인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중 열을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컬럼디코더와, 상기 어드레스중 행을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로우디코더와,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에 해당하는 갯수로 2의 블럭갯수제곱한만큼의 메모리 긴 어레이 블럭중 하나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을 지정한 블럭디코더와, 두개의 상기 서브워드라인드라이버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하나가 위치함으로써 고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두개가 위치함으로써 중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적어도 네개 이상이 위치함으로써 저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 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이 서로 동작전압이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서로 사이즈가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행을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해독된 신호를 공급하는 독립된 로우디코더와 데이타라인을 구비한 두개 이상의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과,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과 서브워드라인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중 열을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컬럼디코더와,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에 해당하는 갯수로 2의 블럭갯수제곱한 만큼의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중 하나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을 지정하는 블럭디코더와, 두개의 상기 서브워드라인드라이버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이 각각의 상기 로우디코더에서 출력된 신호선 또는 상기 데이타라인의 레이아웃상의 길이가 각각마다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하나가 위치함으로써 고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두개가 위치함으로써 중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적어도 네개 이상이 위치함으로써 저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이 서로 동작전압이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서로 사이즈가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열을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해독된 신호를 공급하는 독립된 컬럼디코더와 데이타라인을 구비한 두개 이상의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과,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과 서브워드라인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중 행을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에 어드레스를 공급하는 로우디코더와,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에 해당하는 갯수로 2의 블럭갯수제곱한만큼의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중 하나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을 지정하는 블럭디코더와, 두개의 상기 서브워드라인드라이버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이 각각의 상기 로우디코더에서 출력된 신호선 또는 상기 데이타라인의 레이아웃상의 길이가 각각마다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하나가 위치함으로써 고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두개가 위치함으로써 중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두개의 상기 서브라인드라이버사이에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이 적어도 네개 이상이 위치함으로써 저속으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블럭들이 서로 동작전압이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쎌 어레이 뱅크들이 서로 사이즈가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1525A KR0167685B1 (ko) | 1995-09-23 | 1995-09-23 | 상이한 속도를 가진 메모리 어레이 뱅크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1525A KR0167685B1 (ko) | 1995-09-23 | 1995-09-23 | 상이한 속도를 가진 메모리 어레이 뱅크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7600A true KR970017600A (ko) | 1997-04-30 |
KR0167685B1 KR0167685B1 (ko) | 1999-02-01 |
Family
ID=1942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1525A KR0167685B1 (ko) | 1995-09-23 | 1995-09-23 | 상이한 속도를 가진 메모리 어레이 뱅크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6768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2469B1 (ko) * | 1998-05-29 | 2002-07-18 | 박종섭 | 뱅크 동작제어에 의한 전력절감형 메모리 소자 |
KR100361862B1 (ko) * | 1998-12-30 | 2003-02-2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센싱전류 감소방법 |
KR100480558B1 (ko) * | 1997-07-24 | 2005-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내부전압발생회로및이를구비한반도체메모리장치 |
-
1995
- 1995-09-23 KR KR1019950031525A patent/KR01676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0558B1 (ko) * | 1997-07-24 | 2005-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내부전압발생회로및이를구비한반도체메모리장치 |
KR100332469B1 (ko) * | 1998-05-29 | 2002-07-18 | 박종섭 | 뱅크 동작제어에 의한 전력절감형 메모리 소자 |
KR100361862B1 (ko) * | 1998-12-30 | 2003-02-2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센싱전류 감소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67685B1 (ko) | 1999-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06853A (ko) | 소정의 뱅크 형태로 세트하여 인에이블하는 복수개의 뱅크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 |
KR950027625A (ko) | 화상 데이타의 고속 리라이트가 가능한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화상 데이타 처리시스템 | |
KR910013266A (ko) | 반도체 메모리 어레이의 구성방법 | |
KR890017706A (ko) | 다이나믹형 반도체 기억장치 | |
KR970067348A (ko) | 향상된 동기식 판독 및 기록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 |
KR950020713A (ko) | 다이나믹 반도체기억장치 | |
KR930001231A (ko) | 반도체 기억 장치의 컬럼 선택 회로 | |
KR950030151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970029066A (ko) | 명령어 인출 방법 및 장치 | |
KR970051152A (ko) | 고속 버스트 리드/라이트 동작에 적합한 데이타 버스 라인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930020678A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880010421A (ko) | 오픈 비트선 구조를 가지는 다이나믹형 랜덤 억세스 메모리 | |
US5005157A (en) |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RAS signals or RAS timing and coded RAS address signals | |
KR920010632A (ko) |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
GB2259383A (en) | Block selec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
KR970029768A (ko) | 블럭 기록 기능이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970017600A (ko) | 상이한 속도를 가진 메모리 어레이 뱅크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910019059A (ko) | 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장치 | |
US5530934A (en) | Dynamic memory address line decoding | |
KR970023432A (ko) | 신속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 |
KR20010021062A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메모리셀 어레이 블락 제어방법 | |
US6147919A (en) | Semiconductor memory employing direct-type sense amplifiers capable of realizing high-speed access | |
KR20050067578A (ko) | 일정한 데이터 억세스 타이밍을 유지할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 |
KR970051149A (ko) | 이중 워드라인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
KR19990034768A (ko) | 프리디코더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