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7422A -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422A
KR970007422A KR1019950019705A KR19950019705A KR970007422A KR 970007422 A KR970007422 A KR 970007422A KR 1019950019705 A KR1019950019705 A KR 1019950019705A KR 19950019705 A KR19950019705 A KR 19950019705A KR 970007422 A KR970007422 A KR 97000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erroelectric liquid
cells
cel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형석
박용준
박병주
Original Assignee
이우복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복,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이우복
Priority to KR101995001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422A/ko
Publication of KR97000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22A/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광자와 분광자 사이에 두장의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셀이 놓여진 이중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특징으로, 종래의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보다 계조표시가 뛰어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해 제1셀과 제2셀에 인가되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1셀과 제2셀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셀 내부의 강유전성 액정배열의 변화와 투과되는 투과광을 나타낸 각각의 사시도.

Claims (7)

  1. 투명전극과 배향막이 입혀진 두장의 유리기판을 적절한 간격으로 유지시킨 셀 사이에 강유전성 액정이 주입되어 표면 안정화된 상태로 배향되는 단계와, 상기 셀 일부에 상술한 구조를 갖는 또 다른 하나의 강유전성 액정 셀을 맞붙인 이중 구조의 강유전성 액정 셀을 편광자와 분광자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편광자의 방향을 두 강유전성 액정 셀의 두 광축 방향 중 하나와 일치시키고, 분광자의 방향은 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술한 두 강유전성 액정 셀에 전기장이 걸렸을 때 강유전성 액정 분자의 배열변화가 동일한 한 방향으로 일어나게 두 셀을 서로 맞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셀에 주입되는 액정은 강유전성 액정으로 하며, 액정은 처음 배향된 방향으로 고정이 되어 있어, 구동전압에 의해서만 강유전성 액정 분자의 배열변화가 가능하여 게조표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3.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있는 유리기판과, 상기 각각의 유리기판 상부에 형성된 투명전극과, 상기 각각의 투명전극 상부에 형성된 배향막과, 상기 배향막 사이에 주입된 강유전성 액정으로 이루어진 제1셀과, 상기 제1셀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2셀과, 상기 셀 사이를 접합시킨 접합면과, 상기 제1셀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광자와, 상기 제1셀과 접합된 제2셍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셀에 주입되는 액정의 굴절률 비등방성은 0.08~0.12정도이며, 이에 따른 두 셀의 두께 d1과 d2의 조건은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디스플레이 조건을 만족하며 동시에 d1+d2=d=1.8~2.3㎛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셀의 두께가 d1=d2=d/2인 경우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가 0%, 50%, 100%인 세가지 상태의 계조표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셀의 두께가 d1=2d2=2d/3인 경우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가 0%, 25%, 75%, 100%인 네가지 상태의 계조표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표시 방식은 면분할 방식 또는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19705A 1995-07-06 1995-07-06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970007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705A KR970007422A (ko) 1995-07-06 1995-07-06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705A KR970007422A (ko) 1995-07-06 1995-07-06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22A true KR970007422A (ko) 1997-02-21

Family

ID=6652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705A KR970007422A (ko) 1995-07-06 1995-07-06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4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04A (ko) * 1999-06-12 1999-09-06 김지헌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KR100486068B1 (ko) * 1997-03-11 2005-07-18 롤리크 아게 반사형강유전체액정디스플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68B1 (ko) * 1997-03-11 2005-07-18 롤리크 아게 반사형강유전체액정디스플레이
KR19990068704A (ko) * 1999-06-12 1999-09-06 김지헌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6379A (en) Two-laye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4183630A (en) Twisted nematic field effec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KR940005979A (ko) 액정 표시 장치
EP0936491A4 (en) CLOCK
KR940022156A (ko) 컬러액정표시장치
KR940015631A (ko) 액정표시패널
JPS6152632A (ja) 液晶セル
EP0367616A2 (en) Optical liquid crystal element
KR20030079513A (ko) 보상 필름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AU2009278568B2 (en)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49919B1 (ko) 광학 보상판을 갖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42793A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KR100273866B1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KR970007422A (ko)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970022417A (ko) 어카이랄(achiral)스멕틱 시(C) 액정 물질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H0140326B2 (ko)
KR980003721A (ko) 액정표시소자
KR20020015651A (ko) 능동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
JPS58143319A (ja) 液晶表示素子
EP1102112A3 (en) Twist-nematic liquid-crystal display
KR100358475B1 (ko) 반사형 반강유전성 액정 표시장치
KR200171934Y1 (ko) 강유전성액정디스플레이
KR900012118A (ko) 액정 표시장치
KR100448042B1 (ko) 반사형 액정 표시 소자
JP2579636Y2 (ja) 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19990504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