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8704A -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704A
KR19990068704A KR1019990021928A KR19990021928A KR19990068704A KR 19990068704 A KR19990068704 A KR 19990068704A KR 1019990021928 A KR1019990021928 A KR 1019990021928A KR 19990021928 A KR19990021928 A KR 19990021928A KR 19990068704 A KR19990068704 A KR 19990068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portable telephone
call
signal
wire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헌
Original Assignee
김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헌 filed Critical 김지헌
Priority to KR101999002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704A/ko
Publication of KR1999006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7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5Pen-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 용품에 별도의 무선 통화 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휴대용 전화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송수신부,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무선통화장치와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신부와 음성처리부간의 통신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와; 휴대용 전화기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마이크, 스피커, 휴대용 전화기를 통한 통신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을 구비하는 무선통화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호출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모드가 아니면 휴대용전화기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통신모드이면 무선통신장치로 호출신호를 송신한 후 무선통신장치로부터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기지국과 무선통신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및 그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celluler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상 용품에 별도의 무선 통화 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휴대용 전화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는 원거리에 위치한 통화 당사자간의 메세지 교환이 쉽게 가능하여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서는 기기 자체에 부수된 스피커에 의한 청취 방법과 별도의 장치인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별도의 장치인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사용할 때는 기기의 폰잭에 와이어로 연결된 플러그를 꽂아서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때에는 이어폰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거추장스럽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행동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와이어가 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와이어의 단선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상 용품에 별도의 무선 통화 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휴대용 전화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모드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통신모드가 아니면 휴대용전화기를 이용하여 호출상태를 알린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통신모드이면 무선통신장치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무선통신장로부터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을 대기하다가 응답이 수신되면 기지국과 무선통신장치와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화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소정 표시부를 통해 알리고 통화시작버튼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시작버튼이 입력되면 이를 휴대용 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용 전화기를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장치는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송수신부,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무선통화장치와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송수신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와 음성처리부간의 통신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와 무선송수신부간의 통신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와; 휴대용 전화기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가청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피커 휴대용 전화기를 통한 통신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 휴대용 전화기에서 수신된 호출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램프, 휴대용 전화기에서 수신된 호출신호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모터부를 구비하는 무선통화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화 방법 및 그 장치가 적용되는 개략적인 시스템도.
도 2는 도 1에서의 휴대용 전화기의 전기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의 무선 통화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휴대용 전화기 12 : 무선 송수신기
18 : 키입력부 52 : 송신부
54 : 수신부 56 : 제1 스위치
58 : 무선송신부 60 : 무선수신부
62 : 제2 스위치
30 : 무선통화장치 86 : 표시램프
88 : 진동모터부 90 : 배터리
92 : 통화응답버튼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10)는 안테나(20)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외에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도록 된 송수신부(12)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송수신부(12)는 삽입 구멍(14)에 삽입되어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휴대용 전화기는 통화로가 설정되고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여 각종 모드 지정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 키입력부(18)를 통하여 무선 통화 장치(30)를 이용한 통신 기능이 선택되게 되면 기지국과의 음성 통신이 무선 통화 장치(30)와 이루어지도록 송수신부(12)를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표시부(16)이다.
그리고, 무선 통화 장치(30)는 본 실시예에서는 옷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소정 클립(40)이 부설된 볼펜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는 바, 무선 통화장치(30)는 내부에 일반적인 필기기구 기능을 위한 볼펜심(42)이 구비되어 있으면서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소정 호출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이어폰(32)을 통해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가능버튼(34)이 눌러지게 되면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마이크(38)와 휴대용 전화기(10)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전환하는 이어폰(32)을 통해 무선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10)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66)과, 음성신호를 송신처리하기 위한 송신부(52), 안테나(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수신부(54),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송신부(52)로 출력하거나 수신부(5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50),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음성처리부(50)와 송수신부(52, 54)와의 통신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56), 무선통화장치(30)로 음성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58), 무선통화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무선수신부(60),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송수신부(52, 54)와 무선송수신부(58, 60)와의 통신을 단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치(62), 동작에 필요한 각종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램(68), 마이컴(66)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기(10)는 무선통화장치(3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지정을 위한 소정의 모드 지정 버튼(18a)이 정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장치(30)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통화장치(30)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84), 음성신호를 안테나(40)를 통해 송신처리하기 위한 송신부(80), 안테나(4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수신부(82),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2), 가청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38), 휴대용 전화기(10)로부터 호출 요구시 이를 알리기 위한 표시램프(86), 호출 요구에 대한 응답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통화응답버튼(92), 휴대용 전화기(10)로부터 호출 요구시 이를 진동으로 알리기 위한 진동모터부(8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무선통화장치(30)는 배터리(90)에 의하여 구동되게 된다. 이 배터리(90)는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지만 무선통화장치(30)에 소정의 충전기능을 갖추도록 하여 충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우선, 휴대용 전화기(10)는 단계(S1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단계(S10)에서의 판단 결과,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단계(S12)로 이행하여 현재 설정된 모드를 검색하게 된다. 이어, 단계(S14)로 이행하여 무선통화장치(30)를 통한 무선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 이 단계(S14)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게 되면 단계(S16)로 이행하여 휴대용 전화기 본체를 이용한 일반적인 통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S14)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게 되면 단계(S18)로 이행하여 무선통화장치(30)로 호출신호를 송신하고 무선통화장치(30)로부터 통화가능에 대한 소정의 응답신호가 수신되기를 대기하게 된다.
한편, 무선통화장치(30)는 단계(S30)에서 휴대용 전화기(10)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지속적으로 검색하게 되는 바, 이 단계(S30)에서 호출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단계(S32)로 이행하여 통화램프(86) 또는 진동모터부(88)를 제어하여 호출신호의 수신을 알리게 된다. 이어, 단계(S34)에서는 통화응답버튼(92)에 의한 통화응답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 이 단계(S34)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응답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단계(S36)로 이행하여 휴대용 전화기(10)로 통화 응답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어서, 휴대용 전화기(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음성신호 및 마이크(38)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게 되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10)는 상기 단계(S18)의 이후에 무선통화장치(30)로부터 통화응답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단계(S20)로 이행하여 제1 스위치(56)를 스위칭제어하여 음성처리부(50)와의 통신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2 스위치(62)를 스위칭하여 송수신부(52, 54)와 무선송수신부(58, 60)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화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S22)로 이행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화기에 별도의 무선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볼펜 등의 일상용품에 무선통화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원거리에서도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된 휴대용 전화기(10)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송수신부(52, 54),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50), 무선통화장치(30)와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송수신부(58, 60),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52, 54)와 음성처리부(50)간의 통신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부(56),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52, 54)와 무선송수신부(58, 60)간의 통신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부(62)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10)와;
    휴대용 전화기(10)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80, 82), 가청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38), 수신부(82)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피커(32), 휴대용 전화기(10)를 통한 통신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92), 휴대용 전화기(10)에서 수신된 호출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램프(86), 휴대용 전화기(10)에서 수신된 호출신호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모터부(88)를 구비하는 무선통화장치(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통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10)는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무선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무선통화장치(30)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10)는
    무선통화장치(30)에 의하여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제1 스위치(56)를 스위칭제어하여 송수신부(52, 54)와 음성처리부(50)간의 통신을 차단하고, 제2 스위치(62)를 스위칭제어하여 송수신부(52, 54)와 무선송수신부(58, 60)간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장치.
  4.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모드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통신모드가 아니면 휴대용전화기를 이용하여 호출상태를 알린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통신모드이면 무선통신장치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무선통신장로부터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을 대기하다가 응답이 수신되면 기지국과 무선통신장치와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화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소정 표시부를 통해 알리고 통화시작버튼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시작버튼이 입력되면 이를 휴대용 전화기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용 전화기를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화 방법.
KR1019990021928A 1999-06-12 1999-06-12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Ceased KR19990068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928A KR19990068704A (ko) 1999-06-12 1999-06-12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928A KR19990068704A (ko) 1999-06-12 1999-06-12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04A true KR19990068704A (ko) 1999-09-06

Family

ID=5475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928A Ceased KR19990068704A (ko) 1999-06-12 1999-06-12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70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241A (ja) * 1994-01-28 1995-08-18 Sony Corp 携帯用電話機
KR970007422A (ko) * 1995-07-06 1997-02-21 이우복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H1174951A (ja) * 1997-06-27 1999-03-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無線式携帯電話機に接続する子機
KR19990038605A (ko) * 1997-11-06 1999-06-05 윤종용 분리 가능한 이동통신 전화기 장치 및 통화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241A (ja) * 1994-01-28 1995-08-18 Sony Corp 携帯用電話機
KR970007422A (ko) * 1995-07-06 1997-02-21 이우복 이중 표면 안정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H1174951A (ja) * 1997-06-27 1999-03-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無線式携帯電話機に接続する子機
KR19990038605A (ko) * 1997-11-06 1999-06-05 윤종용 분리 가능한 이동통신 전화기 장치 및 통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381C (zh) 移动电话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CN112866855A (zh) 一种助听方法、系统、耳机充电盒及存储介质
KR101638924B1 (ko) 전자장치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KR19990068704A (ko) 휴대용전화기의무선통화방법및그장치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05251Y1 (ko)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KR200194803Y1 (ko) 무선 헤드셋
KR200188050Y1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헤드셋장치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619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음량 조정이 가능한 이어폰-마이크장치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20040026559A (ko) 골전도용 이어마이크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63846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JP2003298679A (ja) 通信デバイスとともに外部オーディオ・システム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408527Y1 (ko) 휴대용 fm 트랜스미터
KR20060061679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20010110490A (ko) 손가락 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703386B1 (ko) 외부장치에서 휴대단말기의 기능수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