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3108B1 -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108B1
KR960013108B1 KR1019880701618A KR880701618A KR960013108B1 KR 960013108 B1 KR960013108 B1 KR 960013108B1 KR 1019880701618 A KR1019880701618 A KR 1019880701618A KR 880701618 A KR880701618 A KR 880701618A KR 960013108 B1 KR960013108 B1 KR 96001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ump
fuel injection
fuel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752A (ko
Inventor
라우퍼 헬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클라우스 포스, 빌프리트 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클라우스 포스, 빌프리트 뵈르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70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8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 F02M41/1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 F02M41/12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 F02M41/123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varying fuel delivery or injection timing
    • F02M41/125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02M45/12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providing a continuous cyclic delivery with variabl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한 환형 슬라이드를 갖으며 단순한 형태로 도시된 연료분사 펌프.
제2도는 시간에 대한 펌프 플런저의 행정 진행을 보여주는 도표.
제3도는 시간에 대한 밸브 폐쇄 부재의 행정 진행을 보여주는 도표.
제4도는 시간에 대한 펌프 작동 챔버에서의 합성 압력의 진행을 보여주는 도표.
제5도는 펌프 플런저 행정에 대한 전체 분사기간을 위한 환형 슬라이드 대신에 부가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연료분사 펌프.
기술 상태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분사 펌프 수단에 의해 연료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되었듯이, 대다수의 디젤 기관은 완속시, 또는 부분적으로 낮은 하중 범위내에서 시끄러운 연소 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소음은 속도 범위내에서 분사기간을 연장시켜 감소시킬 수 있다. 전기밸브에 의해 조정가능하고 펌프 작동 스페이스 안으로 개방된 측관인 연료분사 펌프의 경우에 있어, 이러한 목적을 위한 설비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특히, 저속도에서, 펌프 작동 스페이스로 보내진 연료의 일부는 연료분사 노즐을 통해 측관을 경유, 흡입 챔버 또는 연료 탱크 안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사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사된 연료량은 펌프 작동 스페이스로부터 보내진 연료량과 측관을 통해 흐른 연료량 사이의 상이함에서 얻어진 결과이다.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공보 제3,507,853호에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종류의 연료분자 펌프에 있어서, 전기 밸브는 탈에너지 상태에서 측관을 완전히 개방하여 유지시키고 증가된 전기적 자극에 의해 측관을 폐쇄하게 된다. 제1작동 상태에서, 분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밸브는 완전히 폐쇄되고, 제2작동 상태에서는 완속시에 전체 분사기간을 부분적으로만 폐쇄시켜 연료분사 비율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것을 위하여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하에서의 기간은, 작동 범위내에서 동일한 연료의 양을 분사하기 위하여 높은 분사 비율에서의 분사와 비교하여 대응하게 연장되어야 한다. 이 연료분사 펌프에서, 분배의 개시와 종결은 밸브의 폐쇄 및 개방 움직임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것은 펌프 플런저의 분배 움직임과 밸브의 전기적 제어 사이의 정확한 협동을 요구한다. 이러한 움직임의 협동에서의 비교적 가벼운 불규칙성도 분사 밸브에서의 연료량의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고 내연기관의 연료 측정에서의 불규칙을 나타내게 된다.
발명의 잇점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그 방법은 펌프 플런저의 분배 움직임과 분배 개시를 결정하기 위한 밸브의 전기적 제어 사이에서의 정확한 협동을 요구하지 않는 잇점을 가지고 있어, 실수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전기 밸브의 차후 제어의 근간을 형성하는 개시 신호는, 각 경우에 있어서 밸브를 압력 작동 개방시키도록 한다.
또한, 특별한 잇점은, 분사 공급된 것이 분배 단부를 향해 제어되고 분사 밸브에 도달되는 연료량이 높은 분사 비율로 분사되나, 분사의 초기에는 연소 비율을 계산하여 감소된 분사 비율로 분사되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소 효율의 증대와 연소 소음의 감소 등의 잇점은 상기 완속 및 완속 분량에서도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의 설명
제1도에 도시된 연료분사 펌프에 있어서, 왕복운동을 하고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는 펌프 플런저(3)가 있는 부시(2)는 하우징(1)내에 배치되었다. 이 펌프 플런저(3)는 분사 펌프에 의해 연료가 제공된 내연기관의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축을 경유해 캠 구동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구동한다. 부시(2) 내부의 펌프 플런저(3)는 펌프 실린더(4)내에 장착되었다. 펌프 플런저(3)는 펌프 실린더(4)의 펌프 작동 스페이스(5)를 이루고, 상기 펌프 작동 스페이스(5)는 펌프 플런저(3)의 외부 표면의 충진홈(6)을 경유해 펌프 플런저의 행정 과정중에 펌프 플런저(3)의 측면에 대해 펌프 실린더(4)안으로 개방된 연료 공급관(8)에 연결되었다. 이 연료 공급관(8)은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된 압력 값에서 연료가 채워졌고, 흡입 챔버로부터 분기되었다.
릴리이프 채널(10)은 방사상의 구멍(11)으로부터 시작되어, 펌프 플런저(3)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분배기 홈(12)안으로 개방되었다. 펌프 플런저의 작동 움직임 과정에 있어서, 펌프 플런저(3)의 각 압력 행정중에 이 분배기 홈(12)은 내연기관과 접속된 연료분사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실린더의 펌프 플런저(3) 주변에서의 분배에 따라 축방향 면으로 펌프 실린더(4)로부터 분기된 여러개의 연료 분배관(14)중 하나와 연통하게 된다. 각 연료 분배관(14)은 본질적으로 공지된 압력 작동 분사 노즐에 연결된다.
흡입 챔버(9)안으로 돌출한 펌프 플런저의 일부에 있어서, 릴리이프 챔버(10)는 횡단구멍(15)안으로 나타나고, 펌프 플런저(3)의 외부 표면에서의 출구는 펌프 플런저(3)상에서 방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환형 슬라이드(16)에 의해 제어된다. 이 화형 슬라이드(16)는 분사 노즐에 대한 연료 분배가 릴리이프 채널(10)의 개방에 의해 종결되는 펌프 플런저(3)의 행정 포인트를 변경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제어기인 편심기(8) 수단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축방향 위치에서 조정된다. 이 환형 슬라이드(16)를 조정하기 위해서 기계적 또는 수력식 또는 전기적인 조정 메카니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밸브 시트(23)로부터 상승된 밸브 폐쇄 부재(25)로, 펌프 작동 스페이스(5)로부터 가압된 연료의 일부는 밸브 폐쇄 부재(25)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집 스페이스(27)안으로 이동 채널(20)을 통해 통과하여 흡입 챔버(9) 또는 연료 탱크와 함께 릴리이프 채널(29)을 통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26)는 연료용 측관을 제어한다.
밸브 폐쇄 부재(25)는 밸브 하우징(30)내부에 배치된 연자성 코어(31)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연자성 코어(31)는 솔레노이드(34)를 거의 완전하게 둘러싸는 연자성 풀 케이징(35)의 내부를 형성하고, 밸브 하우징(30)내부에 삽입되었다. 밸브 시트(23)에서 떨어져 접촉하는 이것의 단부에서, 밸브 폐쇄 부재(25)는 전기자(37)에 강성으로 연결되었고, 제1공기 간극은 전기자(37)와 코어(31)의 단부면 사이에 위치하였고, 제2공기 간극은 전기자(37)와 폴 케이징(35)의 외부 단부면 사이에 위치하였다. 만약, 밸브 시트(23)로부터 상승된 밸브 폐쇄 부재(25)로, 솔레노이드(34)가 전류를 제공받고, 전기자(37)가 공기 간극 폭의 감소와 함께 폴 케이징(35)의 방향으로 당겨진다면, 이러한 결과로서 밸브 폐쇄 부재(25)는 밸브 시트(23)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26)를 폐쇄시킨다.
밸브 폐쇄 부재(25)에서 떨어져 접촉하는 전기자(37)의 평면상에 결합된 압축 스프링(38)은 남비 형태의 조정 슬리이브(40)의 저부상의 다른 단부에서 지지된다. 이 조정 슬리이브(40)는 밸브 하우징(30)의 감축된 직경인 쇼율더(41)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스프링(38)으로부터의 대향 측면상에서, 조정 슬리이브(40)는, 이것의 나사로 밸브 하우징(30)내부에 축방향으로 설치가능한 조정 나사(43)상에서 지지된다. 조정 나사(43)를 회전시킴에 의해, 조정 슬리이브(40)의 축방향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전기자(37)상에서 작용하는 스프링의 예비 응력을 직접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나사(43)는, 밸브 폐쇄 부재(25)가 밸브 시트(23)로부터 상승하는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압력을 개방시키는 것을 조정하도록 작동하여, 밸브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은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압력을 증가시킴에 의해 밸브 폐쇄 부재(25)가 밸브 시트(23)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즉각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이한 3가지 형태의 센서가 사용된다.
센서는 변환, 속도 또는 가속도 픽업 또는 스위치(50a)로써 설계되었고, 밸브 폐쇄 부재(25)가 밸브 시트(23)로부터 상승될때 동일한 모멘트에서 신호를 발하게 되는 방식으로 밸브(26)내에 장치되었다. 이 신호는 전자 제어 유닛(52)에 설정된다.
전자 제어 유닛(52)에 설정된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간접 방법은,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압력이 도착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곧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측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 픽업(50b)의 조립으로 구성되었다.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변환 센서(50c)에 의해 펌프 플런저(3)의 축방향 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었다. 이것은 밸브(26)의 개방을 즉시 감지하는 간접 방법과 동일하다.
이것은 밸브(26)의 개방 초기를 확인하는 방법의 선택을 나타내고, 이러한 방법으로 개시와 관련 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최종 분석에 있어서, 이러한 결정은 밸브 폐쇄 부재(25)가 밸브 시트(23)로부터 상승할때 전자 제어 유닛(52)에 전기적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얻기 위해서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따라 연료의 일부는 이동 채널(20), 드로틀(22) 및 릴리이프 채널(29)를 경유하여 펌프 작동 스페이스(5)로부터 흐르게 된다.
전자 제어 유닛(52)은 변환 센서(58)와 내연기관의 스피드(62)를 경유하여 결정된, 전기적 신호를 억셀레이터 페달(58)의 위치상에 부가하여 부여한다.
펌프 플런저(3)는 제2도에 도시되었듯이, 캠구동에 의해 펌프 작동 스페이스(5)의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연료 분배관(14)에 연결된 압력 작동 분사 밸브의 반대 압력으로 펌프 작동 스페이스(5)의 체적 감소에 의해,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합성 압력(PEL)이 제4도에 도시되었듯이 상승한다. 여기서,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합성 압력(PEL)은 이동 채널(20)의 밸브 시트(23)의 상향으로 보급되는 압력과 동일하다. 만약, 증가하는 압축으로, 이 합성 압력이 스프링(38)의 반대 압력을 초과하면, 밸브 폐쇄 부재(25)는 밸브 시트(23)에서 상승하고, 따라서 연료는 수집 스페이스(27)를 경유하여 드로틀(29)를 통해 릴리이프 채널(29)안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흡입 챔버(9) 또는 연료 탱크 안으로 드로틀 형식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밸브(26)의 개방후에, 펌프 플런저(3)에 의해 분배된 오직 일부의 연료만이 분사 밸브에 도달하고, 반면에, 다른 일부는 개방된 밸브(26)를 통해 적어도 주기적으로 흐르게 된다. 제3도 및 4도에 있어서, 센서(50a,50b,50c)중 하나에 의해 얻어진 참고 순간은 전자 제어 유닛(52)에 부여되고 이때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된 밸브 폐쇄 부재(25)는 t0를 나타낸다. 이때까지 밸브(26)는 여전히 완전하게 탈에너지 상태라 합성압력(PEL)의 힘에 의해서만 비회전 밸브를 개방하게 된다. 순간(t1)에서 밸브(26)는 완전히 개방되고, 연료는 릴리이프 채널(10)과 연료 분배관(14)을 경유하여 각 연료분사 밸브에 도달하여 드로틀(22)과 릴리이프 채널(29)을 통해 흐르게 된다.
변환 센서(59)에 의해 결정된 액셀레이터 위치와 내연기관의 스피드(62)에 따라서, 시간 상이점(△t)(제4도 참조)이 전자 제어 유닛(52)내에서 결정되고, 이것의 종결후에 자기 코일(34)은 전자 제어 유닛(52)에 의해 전류가 제공된다. 따라서 편심기(37)는 폴 케이징(35)방향으로 당겨지고, 밸브 폐쇄 부재(25)는 밸브시트(24)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순간, ts=t0+△t로부터 릴리이프 채널(29)를 경유해 연료는 더 이상 빠져나갈 수 없고, 모든 분배된 연료는 분사 밸브에 도달하게 된다. 펌프 작동 스페이스내의 합성 압력은 분사 노즐의 후퇴 압력만을 필요로 하고 이동 채널(20), 드로틀(22) 및 릴리이프 채널(29)을 경유한 압력 감소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고, 이러한 결과로서 합성 압력(PEL)과 연료분사비는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증가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ts)이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만약 펌프 플런저(3)의 축방향 운동이, 횡단 구멍(15)이 환형 슬라이드(16)에 의해 개방된 영역안으로 안내되면, 합성 압력(PEL)은 급격히 떨어지고, 분사 밸브에 대한 연료의 분배는 종결되게 된다.
제3도에 있어서, △t는 합성 압력에 의해 규칙을 요구하는 밸브 폐쇄 부재(25)의 시간 차이 t1-t인 밸브(28)의 개방 시간을 나타내고, △t3는 편심기(37)의 풀-업 지연 시간을 나타내고 또한, 밸브 시트(23)상의 밸브 폐쇄 부재(25)의 실제 존재와 전자 제어 유닛(52)의 전기적 폐쇄 신호 사이의 시간주기인, 밸브(26)의 폐쇄 시간을 나타낸다.
제3도 및 제4도의 절단선은 내연기관의 높은 하중 상태를 위한 합성 압력(PEL)과 밸브 폐쇄 부재(25)(hV)의 축방향 운동을 나타낸다. 이 경우, 밸브(26)의 폐쇄를 일으키는 전자 제어 유닛(52)의 종료에 따른 시간 차이 △t'가 감소하게 된다. 측관의 빠른 폐쇄에 따라, 더욱 높은 합성 압력이 상기 예보다 빠르게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에서 발생하여 분사 밸브에 의해 배출된 연료의 양은 증가하게 된다. 전자 제어 유닛(52)에 형성된 더 작은 시간 차이 △t3=ts=T0에 있어서, 드로틀(22)를 통해 흐른 연료의 양은 작고, 분사 밸브에 의해 분사된 연료의 양은 크다.
내연기관의 완전 하중 작동시에, 솔레노이드(34)는 계속하여 작동되고, 밸브(26)는 폐쇄되어 있는다.
다른 제한의 경우는 내연기관의 낮은 완속 작동에 의해 형성된다. 제3도 및 4도에 있어서, 이 하중 경우는 굵은선으로 나타내져 있다. 만약 내연기관이 완속이면, 이것은 스피드 센서(62)와 부가적인 변환 센서(59)를 통해 전자 제어 유닛(52)에 전달되고, 솔레노이드(34)는 완전한 탈에너지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펌프 플런저(3)의 분배 개시시 증가되는 합성 압력(PEL)에 기인하여 밸브가 개방되어 이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 작동 스페이스(5)가 환형 슬라이드(16) 수단으로 릴리이프 채널(10)의 개방에 의해 경감되었을 때, 압력 상태에 의해 폐쇄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어 냉각 엔진의 경우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34)의 작동에 의한 밸브(26)의 조기 폐쇄가 많은 분사량을 얻기 위해서 완속시에도 필요하다.
따라서, 펌프 플런저(3)의 분배 운동시에, 드로틀을 통해 흐른 연료의 양 즉, 내연기관의 완속 작동을 위하여 충분한 소량의 연료량만이 분사 밸브에 도달한다. 측관의 개방에 의해서, 시간당 분사 밸브에 도달하는 연료의 양은 측관이 폐쇄된다면 이보다 작다. 이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분배 기간은 연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환형 슬라이드(16)가 횡단구멍(15)을 아주 늦게 열거나 또는 전혀 개방시키지 않을때 얻어진다. 따라서, 완속 작동시에도 환형 슬라이드(16)는 완전 하중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하중이 시작되면, 밸브(26)는 분배가 종결전에 상당히 빠르게 폐쇄된다. 따라서 시간 간격(△t)이 감소되게 된다.
측관의 주기적인 개방에 의한 분사 기간과 분배 기간의 연장은 특히 부드러운 연소를 일으키게 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작동된 디젤 기관은 연소 소음은, 분사 기간이 짧은 경우보다 더욱 작게 된다. 이러한 잇점은 완속 작동시에 특히 현저하고, 또한 연소 소음도 분배 및 분사 기간의 연장에 의해 제어된 분사 단계에 의해서 부분적 하중 작동시에 감소될 수도 있다. 커다란 연료 분배 비율은 시간 간격(△T)의 종류후에만 도달되어, 분사의 종결을 향하게 되는 잇점을 갖는다. 이것은 조용한 엔진 작동에 효과적이다.
제5도에 도시된 연료분사 펌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작동을 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고부호를 갖는다. 제1실시예와 달리, 릴리이프 채널(10)은 하우징(1)에 위치하였고, 한편으로는 펌프 작동 스페이스(5)안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흡입 챔버(9)안으로 개방되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26) 수단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밸브(26)와는 달리 이 솔레노이드 밸브(72)는 드로틀의 상부에 제공되지 않았으며 제1실시예의 환형 슬라이드(16)를 대체시킬 수 있으며, 분배 초기와 분배 종결을 결정할 수 있다. 분배 초기는 폐쇄에 의해, 분배 종결은 솔레노이드 밸브(72)의 개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72)의 개방후에 펌프 플런저에 의해 분배된 연료는 더 이상 분사 밸브에 도달하지 않으나, 릴리이프 채널(10)를 통해 흡입 챔버(9) 또는 연료 탱크로 흐른다.
솔레노이드 밸브(72)는, 이 솔레노이드 밸브(72)가 폐쇄되는(예를들어 전자기 작동에 의해) 참고 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센서(50a,50b,50c)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고, 분사 밸브에 대한 연료의 분배는 개시 시간(t0)으로 전자 제어 유닛(52)에 축적되고, 이 시간으로부터 밸브(26)의 폐쇄에 대한 시간 차이(△t)를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26)와 솔레노이드 밸브(72)는 전자 제어 유닛(52)내에 설정된 일반 제어 개념의 합성이다. 분배의 초기와 종결은 솔레노이드 밸브(72)에 의해 결정되고, 분배 비율은 밸브(26)에 의해서 결정된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에 대한 압력하에서 펌프 플런저의 분사에 효과적인 분배 기간의 제어에 의해 결정된, 펌프 작동 스페이스내에 위치한 연료의 일부를 분배하는, 펌프 실린더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펌프 플런저를 갖고, 연료의 다른 일부는 분사 밸브를 경유해 릴리이프 채널을 통해 흐르고, 연료의 흐름량은 내연기관의 하중 계수의 기능으로서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는 전기적 제어 밸브에 의해 영향을 받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수단에 의해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 펌프 플런저(3)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서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연료의 합성 압력이 증가되고, 압력에 의해 작동된 배브(26)가 개방되어 스프링(38)의 폐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나. 밸브(26)의 개방 순간(t0)이 센서(50a,50b,50c)에 의해 감지되어 개시 신호로서 전자 제어 유닛(52)에 부여되는 단계와, 다. 순간(ts)에서 밸브(26)가 폐쇄되고, 시간 차이(△t=ts=t0)가 전자 제어 유닛내에서 설정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스피드(62)와, 액셀레이터 페달(58) 또는 드로틀 밸브의 위치는 하중 계수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시간 차이(△t=ts-t0)는 내연기관의 증가하는 하중과 함께 감소하고, 내연기관의 감소하는 하중과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밸브(26)는 내연기관의 전체 하중시에 폐쇄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밸브(26)의 개방 순간(t0)을 나타내는 개시 신호는 밸브 폐쇄 부재(25)의 위치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이동, 속도 또는 가속도 피크업 또는 스위치(50a)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밸브(26)의 개방 순간(t0)를 나타내는 개시 신호는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합성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피크업(50b)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밸브(26)의 개방 순간(t0)을 나타내는 개시 신호는 펌프 플런저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동 센서(50c)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
  8. 상기 항중의 어느 한항을 수행하기 위해, 펌프 실린더내에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펌프 플런저와, 이 펌프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펌프 작동 스페이스와, 전기적 제어 밸브를 통해 펌프 작동 스페이스에 연결된 릴리이프 채널을 갖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에 있어서, 밸브(26)는, 한편으로는 펌프 작동 스페이스(5)내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38)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며 전기적 제어 밸브(26)의 작동에 따라 고정된 밸브 시트(23)에 대해서 스프링(38)의 힘방향으로 움직이는 밸브 폐쇄 부재(25)를 가지며, 연료 분사 펌프는 분배시에 펌프 플런저(3)의 분사가 제어되는 연료량 제어 부재(16,7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연료용 드로틀(22)은 펌프 작동 스페이스(5)와 밸브 시트(23)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10. 제8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40,43)에 의해 스프링(38)의 예비 응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11. 제8항 내지 10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자기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는 전기적 제어 밸브(26)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12. 제8항에 있어서, 연료량 제어 부재는 릴리이프 채널을 제어하는 밸브 장치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은 펌프 플런저(3)상에서 이동되는 환형 슬라이드(16)로서 설계되었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펌프 플런저(3)상으로 나온 릴리이프 채널(10)은 펌프 플런저 행정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14. 제13항에 있어서, 환형 슬라이드(16)는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15. 제12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은 솔레노이드 밸브(72)로서 설계되었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릴리이프(10)은 펌프 플런저 행정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KR1019880701618A 1987-04-07 1988-03-26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73711744 DE3711744A1 (de) 1987-04-07 1987-04-0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kraftstoffeinspritzmenge
DE3711744 1987-04-07
PCT/DE1988/000197 WO1988008080A1 (en) 1987-04-07 1988-03-26 Process and device for quantity control of fuel inj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752A KR890700752A (ko) 1989-04-27
KR960013108B1 true KR960013108B1 (ko) 1996-09-30

Family

ID=632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618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3108B1 (ko) 1987-04-07 1988-03-26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74564A (ko)
EP (1) EP0309501B1 (ko)
JP (1) JP2818175B2 (ko)
KR (1) KR960013108B1 (ko)
DE (2) DE3711744A1 (ko)
WO (1) WO1988008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569A (ja) * 1989-08-15 1991-03-29 Fuji Heavy Ind Ltd ガソリン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DE3934953A1 (de) * 1989-10-20 1991-04-25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insbesondere fuer kraftstoffeinspritzpumpen
DE3937709A1 (de) * 1989-11-13 1991-05-16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DE4016309A1 (de) * 1990-05-21 1991-11-28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EP0563760B2 (en) * 1992-03-26 1999-05-12 Zexel Corporation Fuel-injection device
DE4415826C2 (de) * 1994-05-05 2000-07-13 Deutz Ag Luftverdichtende Brennkraftmaschine
JP3999855B2 (ja) * 1997-09-25 2007-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7100579B2 (en) 2000-07-10 2006-09-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Fuel injection device
EP2282043B1 (en) 2009-07-02 2013-04-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luid inject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fluid injector
KR101144504B1 (ko) * 2010-10-20 2012-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변 압력실을 가지는 연료분사펌프
DE102016200016B4 (de) * 2016-01-05 2017-12-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altventil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Kraftstoff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sowie Ansteuer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Schaltventils in einer Kraftstoffhochdruckpump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3346C2 (de) * 1975-01-28 1986-04-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verteilereinspritzpumpe für Brennkraftmaschinen
FR2481752A1 (fr) * 1980-04-30 1981-11-06 Renault Vehicules Ind Amelioration des dispositifs mecaniques d'injection de combustible, notamment pour des moteurs diesel
US4434675A (en) * 1981-09-11 1984-03-06 Excelermatic Inc. Transmission ratio control arrangement for a precess cam controlled infinitely variable traction roller transmission
DE3211680A1 (de) * 1982-03-30 1983-10-06 Espenschied Helmut Dipl Ing Kraftstoffeinspritzsystem fuer brennkraftmaschinen
JPS5918243A (ja) * 1982-07-23 1984-01-30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JPS5932633A (ja) * 1982-08-16 1984-02-22 Nissan Motor Co Ltd デイ−ゼル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S59203876A (ja) * 1983-05-07 1984-11-19 Toyota Motor Corp デイ−ゼル機関の着火時期検出装置
US4562810A (en) * 1983-06-23 1986-01-07 Nippondenso Co., Ltd. Fuel injection pump
US4497298A (en) * 1984-03-08 1985-02-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esel fuel injection pump with solenoid controlled low-bounce valve
JPS60162238U (ja) * 1984-04-05 1985-10-28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燃料噴射装置
DE3524590A1 (de) * 1984-07-13 1986-02-13 Volkswagen AG, 3180 Wolfsburg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DE3633107A1 (de) * 1986-04-10 1987-10-15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7302D1 (de) 1993-02-18
EP0309501A1 (de) 1989-04-05
JP2818175B2 (ja) 1998-10-30
US4974564A (en) 1990-12-04
KR890700752A (ko) 1989-04-27
EP0309501B1 (de) 1993-01-07
JPH01502768A (ja) 1989-09-21
DE3711744A1 (de) 1988-10-27
WO1988008080A1 (en) 198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6861B2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EP1065372B1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delivery pressure of a pump, for example, for feed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243871B2 (en) Fuel injection system
KR960013108B1 (ko) 연료분사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EP1298307B1 (en) Control device of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 of an engine
US6024064A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587540A (en) Rpm regul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perating on injected fuel
US6409094B2 (en) Structure of fuel injector adjustable in fuel jet characteristic
JPS5885327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KR900008967B1 (ko) 연료분사장치
US5115783A (en) Method for varying the flow rate of fuel in a distributor-type electronic control fuel-injection pump
US4300515A (en) Apparatus for actuating an adjustment device acting upon a control apparatus for exhaust recircula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921740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igh-pressure fuel pump
EP0736686A1 (en) Fuel injection pump control
EP0767869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JPH0359263B2 (ko)
WO2002084093A2 (en) End of motion detection for spool control valve
US4562810A (en) Fuel injection pump
US4470763A (e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KR880010233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펌프
CA1114698A (en) Fuel injection pumping apparatus
JPS60128939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GB2202281A (en) A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0655544B2 (en) Engine
GB2046352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0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