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9869B1 - 유체압축기 - Google Patents

유체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869B1
KR960009869B1 KR1019930000447A KR930000447A KR960009869B1 KR 960009869 B1 KR960009869 B1 KR 960009869B1 KR 1019930000447 A KR1019930000447 A KR 1019930000447A KR 930000447 A KR930000447 A KR 930000447A KR 960009869 B1 KR960009869 B1 KR 96000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il
oil supply
hole
fluid compr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162A (ko
Inventor
다카요시 후지와라
도시카츠 이다
다카시 혼죠
마사유키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23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30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29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4168A/ja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3001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18/1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 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유체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흡입구멍의 개구부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는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중 D-D선을 따라 부분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회전력전달기구의 분해도,
제5A도 및 5B도는 트로코이드식의 급유펌프의 단면도 및 작동 설명도,
제6도는 나사브레이드식의 급유펌프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A도 및 8B도는 종래의 주베어링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베어링2 : 부베어링
3 : 피스톤4 : 압력도입구멍
5 : 내강6 : 부축
7 : 단면13 : 흡입구멍
15 : 흡입관16 : 실린더
29 : 홈34 : 급유구멍
본 발명은 유체압축기, 특히 냉동사이클의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유체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냉동사이클의 냉매가스를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압축하는 타입의 유체압축기가 이하의 미국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USP. 4,871,304, 4,872,820. 4,875,842. 및 5,082,222 등.
더우기 제7도에 도시된 타입의 유체압축기가 있다. 압축기는 주베어링(1)측에서 냉매가스를 흡입하고 이 냉매가스를 부베어링(2)측으로 향해서 압축한다. 이 타입의 유체압축기에 있어서는 냉매가스의 차압을 원인으로 해서 피스톤(3)에 스러스트힘이 작용한다. 이 스러스트힘을 밸런스시키기 위해 피스톤(3)에 압력도입구멍(4)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압력의 냉매가스가 부베어링(2)의 내강(5)내로 인도되어 피스톤(3)의 부축(6)의 단면(7)에 압력이 주어진다. 피스톤(3)의 각부의 지름은 스러스트힘이 상쇄해서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피스톤(3)의 본체(8)의 지름은 주축(9)의 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주축(9)은 주베어링(1)의 내강(10)에 삽입되어져 있다. 본체(8)의 단면(11)의 일부는 주베어링(1)의 선단면(12)의 일부에 접근하면서 면하고 있다.
주베어링(1)의 흡입구멍(13)이 설치되어 있고 이 흡입구멍(13)은 밀폐케이스(14)에 접속된 흡입관(15)과 실린더(16)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냉매가스는 이 흡입구멍(13)을 통해서 실린더(16)내에 형성된 작동실에 인도된다.
여기에서 제7도중에 부호(17)로 나타내는 것이 토출관이다. 이 토출관(17)은 밀폐케이스(14)에 접속되고 밀폐케이스(14)의 내부공간과 연통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타입의 유체압축기에 있어서는 스러스트힘을 밸런스시키기 위해 냉매가스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단면적이 충분하게 커지도록 피스톤(3)의 주축(9)과 부축(6)과 지름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축(9)의 지름이 커지도록 주베어링(1)의 두께가 얇어진다.
또, 충분한 양의 냉매가스를 실린더(16)에 흡입하기 위해서는 흡입구멍(13)의 통로면적을 크게설정하면 좋지만 단순히 흡입구멍(13)의 지름을 크게 설정한 것으로는 본체(8)의 단면(11)에 의해서 흡입구멍(13)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숨겨져버리기 때문에 흡입량은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구멍(13)의 통로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8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흡입구멍(13…)을 설치하거나 혹은 제8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8)의 단면(11)을 피하도록 흡입구멍(13)의 형상을 변형타원상으로 설정하거나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주베어링의 가공코스트가 높았었다.
또 압력도입구멍(4)이 흡입구멍(13)과는 따로 필요하거나 이 압력도입구멍(4)이 가공코스트증대의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주베어링에 흡입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부품의 가공이 용이한 유체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체압축기는 기름이 모여진 기름저장기를 가지는 밀폐케이스와, 이 밀폐케이스내에 배치된 실린더와, 축방향 각단부에 주축과 부축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외주부에 부축측으로부터 주축측으로 피치를 서서히 작게 변화시키는 나선상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나선상의 브레이드가 출입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고 상기 실린더안에 편심배치된 회전체와, 실린더와 회전체를 편심시키면서 지지한 주베어링 및 부베어링과, 회전체내에 설치되어 압축전의 저압인 작동유체를 주축측에서 부축측으로 유통시켜서 실린더의 내부공간으로 인도하는 흡입구멍을 구비하여 실린더와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작동유체를 부축측에서 주축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축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주베어링의 흡입구멍이 불필요해지고 유체압축기 부품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21)는 유체압축기, 부호(22)는 이 압축기(21)의 압기구부를 지시하고 있다. 압축기구부(22)는 밀폐케이스(23)내에 모터(46)와 함께 넣어져 있다. 압축기구부(22)는 축방향 양단을 개방한 실린더(24)와, 이 실린더(24)내에 편심배치된 회전체로서 피스톤(25)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중 피스톤(25)은 본체(26)와, 이 본체(26)보다도 가는 지름으로 가공된 주축(27) 및 부축(28)을 가지고 있다. 본체(26)의 외주부에는 나사상의 홈(29)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9)에는 나사상의 브레이드(29a)가 끼워넣어져 있다.
브레이드(29A)는 홈(29)에 대해서 본체(28)의 지름방향에 자유롭게 출입한다. 더우기 브레이드(29a)의 외주면을 실린더(24)의 내주면에 접하고, 실린더(24)와 피스톤(25)과의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작동실(49…)로 구획한다.
홈(29)의 피치는 본체(26)의 일단측에는 타단측(도면중 좌측에서 우측)으로 서서히 작게 변화하고 있고 이렇기 때문에 실린더(24)내에 형성되는 작동실(49…)의 용적도 서서히 작게 변화하고 있다.
밀폐케이스(23)내에 주베어링(3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주베어링(30)는 단부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24)의 일단부에 삽입되어져 있다.
주베어링(30)에는 축방향을 관통하는 내강(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강(31)에 피스톤(25)의 주축(27)이 찔러넣어지고 있다. 주축(27)의 외주면은 주베어링(30)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다.
실린더(24)의 타단에 부베어링(32)가 삽입되어져 있고 이 부베어링(32)의 내강(33)에 피스톤(25)의 부축(28)이 삽입되어져 있다. 부베어링(32)의 내강(33)은 바닥을 가지고 있고 내강(33)의 일단은 닫혀있다. 부축(28)의 외주면은 부베어링(32)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다.
피스톤(25)내에는 함께 원형인 흡입구멍(34)과 급유구멍(35)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중 흡입구멍(34)은 주축(27)으로 부터, 본체(26)의 부축(28)측의 단부로 걸쳐서 있고 피스톤(25)의 축심(25a)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뻗어있다. 더우기 흡입구멍(34)의 부축(28)측의 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휘어서 피스톤(25)의 지름 방향에 뻗어있다.
흡입구멍(34)의 한쪽단부는 주축(27)의 단면(36)에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는 입구이다. 또 흡입구멍(34)의 다른쪽 단부는 부축(28)측의 기단측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피스톤(25)의 부축(28)측에 있어서 흡입구멍(34)의 개구부(37)의 위치는 제2도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해지고 있다. 즉 흡입구멍(34)의 개구부(37)의 위치는 실린더(24)내에 저압인 장소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흡입구멍(34)이 가장 짧고, 흡입구멍(34)의 가공이 용이해지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흡입구멍(34)은 홈(29)의 기점 A에서 홈(29)의 위상이 360°가 되는 점 B를 묶는선(38)에 가깝고 또한 주축(27)측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유구멍(35)은 부축(28)에서 주축(27)에 걸쳐서 있고 피스톤(25)의 축심(25a)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다. 더우기 급유구멍(35)의 주축(27)측의 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휘어서 피스톤(25)의 지름방향에 뻗어있다.
그리고 급유구멍(34)은 부축(28)의 단면(39)과, 본체(26) 및 주축(27)의 경계부에 개구하고 있다.
흡입구멍(34)과 급유구멍(35)은, 피스톤(25)의 축심(25a)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구멍(34,35)의 피스톤(25)의 지름방향에 뻗는 부분은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4)내에는 올덤(oldham)기구글 이용한 상기 회전력전달기구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력전달기구부(40)는 피스톤(25)의 본체(26)와 주축(27)과의 경계부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25)을 실린더(24)에 대해서 완만하게 연결하고 있다.
결국,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력전달기구부(40)는 고정링(50), 가동링(51) 및 회전체올덤부(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체올덤부(52)는 피스톤(25)에 일체로 가공되어 있다. 고정링(50)의 바깥지름길이는 실린더(24)의 안지름길이와 대략 같게 설정되고 가동링(51)의 바깥지름길이는 고정링(50)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가동링(51)은 회전체올덤부(52)에 끼워맞춰지고 있다. 고정링(50)은 실린더(24)에 고정되고 가동링(51)이 고정링(50)에 끼워맞춰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링(51)은 회전체올덤부(52)와 고정링(51)에 걸어맞춰지면서 직교하는 두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한다.
또 부베어링(32)에는 흡유관(41)이 접속되어 있다. 이 흡유관(41)은 부베어링(32)에 지름방향을 향해 찔러넣어져 있고 흡유관(41)의 하단은 밀폐케이스(23)의 기름저장기(42a)에 모여진 기름(42)안에 달하고 있다.
더우기 흡유관(41)의 상단은 부베어링(32)의 내장(33)에 면해서 개구하고 있다.
부베어링(32)의 내부에는 내장(33)을 이용해서 급유공간(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급유공간(43)은 부베어링(32)의 내주면과 부축(28)의 단면(39)에 의해서 둘러 쌓여져 있다. 그리고 흡유관(41)을 통해서 급유공간(43)과 밀폐케이스(23)의 내부공간이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24)에는 토출구멍(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토출구멍(44)은 실린더(24)의 토출측(제1도중 우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력전달기구부(40)와 모터(46)에 면해서 개구하고 있다.
흡입관(52)과 토출관(53)이 밀폐케이스(23)에 접속되어 있다. 흡입관(52)은 피스톤(25)의 축심(25a)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더우기 흡입관(52)은 주베어링(30)의 내장(31)에 돌출하고 있다.
한편, 토출관(53)은 흡입관(52)에 대해서 역측에 즉 부베어링(32)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우기 토출관(53)은 부베어링(32)의 외주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모터(46)는 스테이터(47)와 로터(4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47)는 케이스(23)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48)는 스테이터(47)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실린더(2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46)는 토출구멍(44)과 토출관(53)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의 유체압축기(21)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압축기구부(22)가 모터(46)에 의해 구동되어 실린더(24)가 회전하면 실린더(24)의 회전력이 회전력 전달기구부(40)를 통해서 피스톤(25)으로 전달되어 실린더(24)와 피스톤(25)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피스톤(25)의 회전각도는 회전력전달기구부(40)에 의해서 실린더(24)의 회전각도에 맞춰진다. 더우기 피스톤(25)과 실린더(24)와의 상대적인 위치변화가 회전력전달기구부(40)에 의해서 허가된다.
실린더(24)와 피스톤(25)과의 상대회전에 동반해서 예를 들면 냉동사이클중의 냉동가스가 흡입관(52)을 통해서 주베어링(30)의 내강(31)내로 흡입된다.
이 냉매가스는 흡입구멍(34)을 통해서 부축(28)측으로 인도되고 개구부(37)에서 실린더(24)의 내부공간 즉 흡입실(49a)로 유출한다. 이 흡입실(49a)은 복수의 작동실(49…)가운데 가장 저압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37)에서 유출한 냉매가스는 실린더(24)와 피스톤(25)과의 상대회전에 동반해 제1도중에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측, 즉 주축(27)측으로 서서히 이송되면서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가스는 토출실(49b)에서 토출구멍(44)을 통해서 밀폐케이스(23)안으로 토출된다.
토출실(49b)은 복수의 작동실(49…)가운데 가장 고압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23)안에 토출된 냉매가스는 일단 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 충만한 후 토출관(53)을 통해서 외부기기로 인도된다.
한편, 밀폐케이스(23)에 담겨진 기름(42)은 케이스(23)내의 냉매가스의 압력을 받아 흡유관(41)을 상승한다. 기름(42)은 부베어링(32)내의 급유공간(43)에 일단 빨아올려지고 급유구멍(35)에 유입한다. 기름(42)은 급유구멍(35)을 통해서 주축(27)측에 달해 피스톤(25)내로부터 유출해서 회전력전달기구부(40)와 그외의 각 슬라이드이동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기름(42)에 의해서 각 슬라이드이동부의 윤활성이 보증된다.
여기에서 압축기(21)에 있어서 상호 슬라이드이동하는 부품은 주로 이하의 부품이다.
즉, 브레이드(29a)와 피스톤(25), 브레이드(29a)와 실린더(24), 실린더(24)와 각 베어링(30, 32), 피스톤(25)의 주축(27)과 주베어링(30) 및 부베어링(28)과 부베어링(32), 더우기 회전력전달기구부(40)에 있어서도 각 부품이 슬라이드 이동한다.
토출실(49b)에 도입된 기름은 실린더(24)의 토출구멍(44)에 고압인 냉매가스와 함께 토출된다. 냉매가스가 고압화해 있으므로 기름은 적화해서 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 비산한다.
비산한기름은 케이스(24)의 내주벽과 주베어링(30)의 외주면에 충돌한다.
이외에, 기름은 모터(46)의 스테이터(47)와 로터(48)자체와 이것들의 권선등에도 충돌한다. 결국 실린더(24)의 토출구멍(44)에 비산한 기름은 주위의 부품에 충돌한 후 다시 기름저장기(42a)로 돌려진다.
제1도중의 부호(54)는 급유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급유경로(54)는 기름(42)이 유통하는 경로이다. 그리고 급유경로(54)는 흡유관(41), 급유공간(43), 급유구멍(35), 토출실(49b) 및 토출구멍(4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베어링(30)의 내주부 및 외주부, 부베어링(32)의 내주부 및 외주부 가운데 주베어링(30)의 외주부(55)는 차압의 작용을 받지않으므로 외주부(55)에 연속한 기름홈(56)을 설치해서 기름(42)을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름홈(56)을 도입된 기름은 실린더(24)의 회전에 동반해 기름홈(56)을 따라서 유동하고 실린더(24)의 내주면과 주베어링(30)의 외주부(55)와의 사이를 윤활한다.
즉, 상기와 같은 유체압축기(21)에 있어서는 흡입구멍(34)이 피스톤(25)내에 설치되어 있고 냉매가스가 피스톤(25)안을 통해서 실린더(24)내로 인도된다. 이 때문에 주베어링(30)에 흡입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주베어링(30)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흡입구멍의 수와 형상은 피스톤(25)과 주베어링(30)와의 지름길이의 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우기, 냉매가스용량의 설정은 피스톤(25) 흡입구멍(34)의 지름길이의 설정만에 의해서 행할 수가 있고 흡입구멍(34)의 수는 하나로 끝난다. 따라서 흡입구멍(34)의 가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로부터 피스톤(25)과 주베어링(30)의 가공코스트를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종래 타입의 유체압축기(예를 들면 USP 5,028,222 등)와는 달리 냉매가스가 주베어링(30)의 내강(31)에 일단 도입되므로 저압인 냉매가스의 압력이 주축(27)의 단면(36)에 작용한다. 따라서 압력도입구멍을 전용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구멍의 수가 감소된다. 이 결과 가공코스트가 저감한다.
더우기 흡입구멍(34)과 급유구멍(35)이 피스톤(25)의 축심(25a)에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양구멍(34)와 (35)는 축심(25A)을 경계로 서로 역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스톤(25)의 중량밸런스가 용이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피스톤(25)이 진동하기 어렵다.
회전력전달기구부(40)가 피스톤(25)의 본체와 주축(27)과의 경계부에 배치되어 있고 기름(42)이 주축(27)측으로 인도된다. 따라서 기름(42)을 회전력전달기구부(40)로 직접공급할 수 있고 회전력전달기구부(40)의 윤활을 충분히 행할 수가 있다.
토출구멍(44)이 실린더(24)의 한쪽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토출관(53)이 부베어링(32)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구멍(44)과 토출관(53)과의 사이에 모터(46)가 개재해 있고 이것들은 크게 떨어져 있다.
따라서 토출구멍(44)에서 비산한 기름방울이 토출관(53)에 닿기 어렵다.
이결과 토출관(53)에서 케이스(23)의 외부로 유출하는 기름의 양을 억제할 수 있고 각 슬라이드이동부의 윤활을 보증할 수 있다.
더우기 토출구멍(44)에서 비산한 기름에 의해서 모터(46)가 냉각된다. 이 결과 압축기의 운전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급유를 위해 냉매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와 냉매가스의 압력이 부족해 있는 경우에는 제5도A∼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제급유펌프를 부축(28)에 설치하면 급유를 행할 수가 있다.
제5도A 및 제5도B에는 트리코이드식의 급유펌프(61)가 나타나 있다. 이 펌프(61)에는 일반적인 트로코이드펌프의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아우터기어(62)와 인너기어(63)가 구비되어 있고 인너기어(63)가 피스톤(25)과 일체로 회전한다. 양 기어(62, 63)의 상대운전에 의해서 기름이 흡유관(41)에 빨라올려진다. 그리고 기름을 흡입포트(64)에서 토출포트(65)를 통해서 피스톤(25)의 급유구멍(35)에 도입된다.
제6도에는 나사식의 급유펌프(71)가 나타나 있다. 이 펌프(71)는 나사상의 브레이드(7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브레이드(72)는 부축(28)에 설치된 나사상의 홈(73)에 끼워넣어져 있다. 홈(73)의 피치는 같게 설정되어 있다. 피스톤(25)의 회전에 동반해서 기름이 흡유관(41)에 빨아올려지고 이 기름은 브레이드(72)에 의해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이송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기름이 담겨진 기름저장기를 가지는 밀폐케이스와, 이 밀폐케이스내에 배치된 실린더와, 축방향 각단부에 주축과 부축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외주부에 상기 부축측에서 상기 주축측으로 피치를 서서히 작게 변화시키는 나사상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나사상의 브레이드가 출입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고, 상기 실린더안에 편심배치된 회전체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회전체를 편심시키면서 지지한 주베어링 및 부베어링과, 상기 회전체내에 설치되어 압축전의 저압인 작동유체를 상기 주축측에서 상기 부축측으로 유동시켜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으로 인도하는 흡입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회전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부축측에서 상기 주축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급유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이 급유구멍은 상기 부축측에서 상기 주축측으로 상기 기름을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베어링이 상기 주축이 삽입되어지는 내강을 가지고 있고, 이 내강이 상기 흡입구멍과 연통하고 있고, 상기 내강에 저압인 냉매가스가 일단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멍과 상기 급유구멍이 상기 회전체의 축심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페케이스에 토출관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가 그 일단측에 토출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토출관이 상기 실린더의 타단측에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관과 상기 토출구멍이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6. 제2항에 있어서, 회전력전달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급유구멍의 출구가 상기 회전력전달기구부에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기구부가 올덤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을 상기 급유구멍에 강제적으로 보내는 급유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펌프가 트로코이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펌프가 나사브레이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축기.
KR1019930000447A 1992-02-10 1993-01-14 유체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960009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23975 1992-02-10
JP4023975A JPH05223078A (ja) 1992-02-10 1992-02-10 流体圧縮機
JP92-229890 1992-08-28
JP4229890A JPH0674168A (ja) 1992-08-28 1992-08-28 流体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162A KR930018162A (ko) 1993-09-21
KR960009869B1 true KR960009869B1 (ko) 1996-07-24

Family

ID=2636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447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9869B1 (ko) 1992-02-10 1993-01-14 유체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86174A (ko)
KR (1) KR960009869B1 (ko)
DE (1) DE430170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1382B (en) * 1997-10-23 2000-11-11 Toshiba Corp Helical compress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191124B1 (ko) * 2019-02-28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베인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396U (ja) * 1983-03-04 1984-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ベ−ン型ポンプ装置
JPS59154882U (ja) * 1983-03-31 1984-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ンプ装置
EP0301273B1 (en) * 1987-07-31 1993-02-03 Kabushiki Kaisha Toshiba Fluid compressor
US4875842A (en) * 1987-09-10 1989-10-24 Kabushiki Kaisha Toshiba Axial flow fluid compressor
JP2602869B2 (ja) * 1988-01-05 1997-04-23 株式会社東芝 流体圧縮機
JP2619022B2 (ja) * 1988-10-31 1997-06-11 株式会社東芝 流体機械
JP2825248B2 (ja) * 1988-12-28 1998-11-18 株式会社東芝 流体圧縮機
US5090874A (en) * 1989-06-30 1992-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Fluid compressor
JPH041492A (ja) * 1990-04-13 1992-01-06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JPH041489A (ja) * 1990-04-13 1992-01-06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US5139394A (en) * 1990-04-13 1992-08-18 Kabushiki Kaisha Toshiba Axial flow compressor with insertable bearing mount
DE4121510C2 (de) * 1990-06-29 1996-02-15 Toshiba Kawasaki Kk Rotationskolbenverdichter mit einem geschlossenen Gehäuse
JPH0463990A (ja) * 1990-06-30 1992-02-28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01703C2 (de) 1997-02-06
US5286174A (en) 1994-02-15
KR930018162A (ko) 1993-09-21
DE4301703A1 (ko) 199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1273B1 (en) Fluid compressor
US4343599A (en) Scroll-type positiv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having lubricating oil circulating system
US4624630A (en) Differential pressure lubrication system for rolling piston compressor
JP362450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GB2155549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improved lubricating structure
US20070071627A1 (en) Oil pumping device of hermetic compressor
KR890013351A (ko) 스크롤형 압축기
US4946361A (en) Horizontal scroll compressor with oil pump
WO2007077856A1 (ja) 圧縮機
US4872820A (en) Axial flow fluid compressor with angled blade
EP0683321A1 (en) Swinging rotary compressor
KR970008001B1 (ko) 유체 압축기
KR960009869B1 (ko) 유체압축기
KR970005858B1 (ko) 유체압축기
KR930010816B1 (ko) 쓰러스트손실을 보상시킨 나선형 날개깃 방식의 압축기
KR940008171B1 (ko) 유체압축기
KR930004662B1 (ko) 유체 압축기
KR890004931B1 (ko)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
JP200708529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274900B2 (ja) 圧縮機における給油ポンプ装置
US5217361A (en) Fluid compressor having lubrication for two spiral blade compression sections
KR200143649Y1 (ko) 회전식 압축기용 베인 구멍 덮개
JP3574904B2 (ja) 密閉式容積形圧縮機
KR100299589B1 (ko) 유체기계
KR910009222B1 (ko) 유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7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7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