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9792Y1 - 하수도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도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92Y1
KR960009792Y1 KR2019930022088U KR930022088U KR960009792Y1 KR 960009792 Y1 KR960009792 Y1 KR 960009792Y1 KR 2019930022088 U KR2019930022088 U KR 2019930022088U KR 930022088 U KR930022088 U KR 930022088U KR 960009792 Y1 KR960009792 Y1 KR 960009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blade
ground plate
attachment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011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19930022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92Y1/ko
Priority to KR2019930022899U priority patent/KR960006392Y1/ko
Publication of KR950012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9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수도관 연결구
제1도는 종래고안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또 다른 종래고안의 연결구를 나타낸 것으로써,
(a)는 요부발췌 분리사시도.
(b)는 하수도관을 연결한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저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일측단면도.
제5도는 본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4도의 일측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종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도는 부착띠 형태의 발포수지층을 가지는 연결구의 종단면도.
(b)도는 요철파형 형태의 발포수지층을 가지는 연결구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지판부 11 : 합성수지시이트
12 : 발포수지층 13 : 걸침부
20,30 : 일측,타측고정앵글 21,31 : 돌출날개
22,32 : 부착날개 23,33 : 부착날개편
본고안은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를 연결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하수도관과 그 하수도관 외면을 감싸주는 접지판부 사이에 누수발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여서 보다 향상된 수밀성을 확보하여 주는 하수도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하수도관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는 누수로 인한 시공상의 하자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하수도관 접속부위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형태의 하수도관 연결구들이 개발되어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하수도관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 중의 하나는, 유연성의 합성수지 시이트로 만들어지는 외면에 체결안내홈을 형성하여 와이어로 권회시켜 결속되도록 한 것이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하수도관의 연결구는 합성수지 시이트로 만들어져 별도의 금형없이도 비교적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하수도관의 연결판은, 현장에서 하수도관 배관작업시에 와이어의 결속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지 못하여서 수밀성있는 연결을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3-69166(78.6.8)호 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길이방향으로 갈라진 틈이 형성되어 접속되는 관을 감싸주는 튜브(1)와, 상기 튜브(1)의 양끝부분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연하여 일정간격으로 구멍(5)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1쌍의 합장부(4)와, 상기 합장부(1)의 내측에는 부착되어 기밀성을 증대시켜 주는 접척제(2)와, 상기 합장부(1) 일측 끝부분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설부(3)로서 구성되는 관연결구가 선출원 공개된 바 있다.
이와같은 관연결구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지는 관의 외면이 튜브(1) 내측의 접착제(2)로서 접합되어 감싸지도록 하고, 합장부(4)에 뚫려 있는 구멍(5)을 통하여 접합부재로 1쌍의 합장부(4)들을 상호 체결하여 줌으로써, 관 접속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연결구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튜브(1)의 양측단에 합장부(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관계로 그 관연결구의 전체길이가 이미 한정되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원주길이를 가지는 관 직경에 맞추어 융통성있는 관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관연결구는 크기별로 별도의 제작금형으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상승되었으며 대형의 하수도관용으로 제작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 국내에서 제안된 것으로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번호 제000789호에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고무밴드(1) 양단에 밴드삽입홈(22)과 상부와 측부후렌지부(23)(24)가 형성된 체결구(2)를 착설하여서 된 하수도관 연결구가 선출원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하수도관 연결구는 접속되어지는 하수도관(7)의 외면이 탄력성의 고무밴드(1)로서 밀착되게 감싸지는 부분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접속되어지는 하수도관(7)은 소정의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만큼 그 외주면이 곡률을 이루게 되는 것이 분명하나, 이때의 고무밴드(1)는 체결구(2)의 수평한 밴드삽입홈(22)내에 끼워지게 되어, 하수도관(7) 외경의 곡률에 대응하여 알치되지 못하게 되므로서, 그 체결구(2)로서 대향되어 결착된 고무밴드(1)의 양측단이 하수도관(7)의 외면과 이격되면서 누수발생공간(C)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결과 하수도관 내부의 유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그 하수도관 내부를 따라 흐르던 하수가 하수도관(7)과 고무밴드(1)의 양측단 사이의 누수발생공간(C)을 통하여 새어나오게 되어 완전한 수밀성을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고안의 목적은 하수도관 접속부위를 감싸주는 접지판부 양측단에 각기 부착되는 만곡날개편으로서 그 접지판부가 하수도관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여서, 하수도관과 접지판부 사이에 누수발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어 하수도관 접속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켜 주는 하수도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하수도관 연결구도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질 수 있는 직사각형의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발포수지층(12)을 형성하여서 되는 접지판부(10)와, 상기 접지판부(10)외면의 일측단부에 폭방향으로 부착고정되는 부착날개(22)와 그 부착날개(22)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21)를 가지는 일측 고정앵글(20)과, 상기 접지판부(10) 외면의 타측단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부착고정되는 부착날개(32)와 그 부착날개(32)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31)를 가지는 타측 고정앵글(30)로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고안의 하수도관 연결구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고정앵글(20)(30)의 부착날개(22)(32)양측 끝부분에는, 하수도관(60) 외경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R)로서 만곡되는 1쌍의 만곡날개편(23)(33)들을 각기 일체로 형성하여서, 그 만곡날개편(23)(33)들이 부착 고정되어지는 상기 접지판부(10)양측단이 하수도관(60)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만곡면(A)을 이루도록 하여서 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판부(10) 외피층을 이루는 합성수지시이트(11)와 그 내면 전체에 걸쳐서 접합되어 내피층을 이루는 발포수지층(12)로서 형성하여서 하수도관(60)의 접속부위 외면이 밀실하게 감싸질 수 있도록 하여서 된다.
이러한, 접지판부(10)의 타측단부 외면에는 경사면을 이루는 걸침부(13)를 형성하여서, 상기 접지판부(10)의 일측단부가 타측단부의 걸침부(13)에 걸쳐져서 감싸질 수 있도록 하여, 하수도관(60)의 접속부위 외면을 더욱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20)(30)들은 상기 접지판부(10)의 양측단부의 일정위치에 각기 배치되어 그 각각의 부착날개(22)(3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40)로서 부착 고정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20)(30)들의 돌출날개(21)(3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50)로서 상기 접지판부(10)의 양측단부를 결착시켜서 하수도관(60)의 접속부위 외면을 연결하여 주게 된다.
이러한,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20)(30)의 부착날개(22)(32) 양측 끝부분에는 각기 하수도관(60) 외경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R)로서 만곡되는 1한쌍의 만곡날개편(23)(33)들을 각기 일체로서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그 만곡날개편(23)(33)들이 부착 고정되어지는 상기 접지판부(10) 양측단의 일정부위가 하수도관(60)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만곡면(A)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10)(20)들을 조임볼트(20)로서 연결 결착할 때에 하수도관(60) 접속부위 외면을 감싸는 접지판부(10)의 양측단이 들떠서 누수발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확보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판부(10)는 합성수지시이트(11) 내면전체에 걸쳐서 동일 폭과길이의 발포수지층(12)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제8도의 (a)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발포수지층(12)은 합성수지시이트(11) 내면의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부착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8도의 (b)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발포수지층(12)은 합성수지시이트(11) 내면 전체에 걸쳐서 부착되는 요철파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고안은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접지판부(10)의 일측단이 타측단에 걸쳐지도록 감싼 후에,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20)(30)각각의 돌출날개(21)(3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50)로서 체결하여 하수도관(60)의 접속부위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20)(30)에 각기 일체로 형성되어 하수도관(60)외경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R)을 가지는 만곡날개편(23)(33)들이, 그 만곡날개편(23)(33)들이 부착 고정되는 접지판부(10)의 양측단을 하수도관(60)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만곡면(A)으로서 밀착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앵글(20)(30)들의 돌출날개(21)(31)를 조임볼트(50)로서 체결하여서 중심 안쪽으로 조이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상기 접지판부(10) 양측단의 하수도관(60) 접속부위 외면으로 부터 들떠서 누수 발생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안의 첫째, 하수도관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서 수밀성을 향상시켜 주게 되며,
둘째, 하수도관 내의 유량 증가에 따른 누수의 염려 배제하여 보다 견실한 하수도관 연결시공을 실현시켜 주는 실사용상의 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3회정정)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질 수 있는 직사각형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발포수지층(12)을 형성하여서 되는 접지판부(10)와, 상기 접지판부(10) 외면의 일측단부에 폭 방향으로 부착고정되는 부착날개(22)와 그 부착날개(22)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21)를 가지는 일측 고정앵글(20)과, 상기 접지판부(10) 외면의 타측단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부착고정되는 부착날개(32)와 그 부착날개(32)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게(31)를 가지는 타측 고정앵글(30)로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고정앵글(20)(30)의 부착날개(22)(32)양측 끝부분에는, 하수도관(60) 외경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R)로서 만곡되는 1쌍의 만곡날개편(23)(33)들을 각기 일체로 형성하여서, 그 만곡날개편(23)(33)들이 부착 고정되어지는 상기 접지판부(10) 양측단이 하수도관(60)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만곡면(A)을 이루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2. (2회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층(12)은 합성수지시이트(11) 내면의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부착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KR2019930022088U 1993-10-26 1993-10-26 하수도관 연결구 Expired - Lifetime KR960009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088U KR960009792Y1 (ko) 1993-10-26 1993-10-26 하수도관 연결구
KR2019930022899U KR960006392Y1 (ko) 1993-10-26 1993-11-03 하수도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088U KR960009792Y1 (ko) 1993-10-26 1993-10-26 하수도관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899U Division KR960006392Y1 (ko) 1993-10-26 1993-11-03 하수도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11U KR950012011U (ko) 1995-05-16
KR960009792Y1 true KR960009792Y1 (ko) 1996-11-11

Family

ID=193664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088U Expired - Lifetime KR960009792Y1 (ko) 1993-10-26 1993-10-26 하수도관 연결구
KR2019930022899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6392Y1 (ko) 1993-10-26 1993-11-03 하수도관 연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899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6392Y1 (ko) 1993-10-26 1993-11-03 하수도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600097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87Y1 (ko) 2018-05-21 2018-10-08 최지민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11U (ko) 1995-05-16
KR960006392Y1 (ko) 1996-07-24
KR950012013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367A (en) Pipe coupling
JPH0514497B2 (ko)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960009792Y1 (ko) 하수도관 연결구
JPS594234Y2 (ja) 上下水道管等の継手部の止水具
JP3337991B2 (ja) 波付き管用継手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960010086Y1 (ko) 하수도관의 연결구
KR200490588Y1 (ko)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KR20110042744A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100933082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0117471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1773392B1 (ko) 하수관용 맨홀 연결구 및 그 맨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관 연결방법
KR0140708Y1 (ko) 파형관용 관연결구
JP3649435B2 (ja) 管接続部材および管継手構造
KR100490026B1 (ko)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하수관용연결기구
KR100342127B1 (ko) 관의연결장치
KR100542482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288621Y1 (ko) 파이프의 연결 장치
KR950005532Y1 (ko) 흄관 연결구
JP2555576Y2 (ja) ダクタイル鋳鉄管防食用ポリエチレンスリーブ固定用ゴムバンド引止具
KR200331510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960014742A (ko)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용 접속구 및 그 접속구를 착설한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0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315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606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970203

Appeal identifier: 1996201001548

Request date: 19960727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30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