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2946A - 관로구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관로구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946A
KR20120102946A KR1020110020869A KR20110020869A KR20120102946A KR 20120102946 A KR20120102946 A KR 20120102946A KR 1020110020869 A KR1020110020869 A KR 1020110020869A KR 20110020869 A KR20110020869 A KR 20110020869A KR 20120102946 A KR20120102946 A KR 20120102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pipe
coupling
cover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창오
이강현
권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2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946A/ko
Publication of KR2012010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9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가 중공되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일단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요철부가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형성된 제1 결합홈과,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요철부가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형성된 제2 결합홈을 포함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는 직관과 상기 연결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로구 방수 직관을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관로구 방수 장치{WATERPROOF DEVICE FOR CABLE PATHWAY}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변 경관 및 안전을 위해서 전력 및 통신을 공급하는 각종 케이블 등을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때는 콘크리트나 금속 또는 합성 수지제의 관형 구조물을 지중에 복수개 연결시키면서 매설한다. 즉, 일정 구간마다 맨홀을 형성하고, 각각의 맨홀에 관로구를 설치한 다음 관로구 내부로 케이블을 통과 시킨다. 이때 복수개의 관로구는 단부끼리 모르타르나 조인트로 연결된다. 따라서, 관로구 간의 연결 부분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나, 주위 지반의 침하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관로구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우, 관로구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관로구 안으로 유입되어 정전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직관 사이에 틈이 방지되어 외부의 수분이 관로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을 감소되는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관로구 방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가 중공되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일단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요철부가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형성된 제1 결합홈과,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요철부가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형성된 제2 결합홈을 포함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는 직관과 상기 연결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로구 방수 직관을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는 직관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외부의 수분이 관로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이물질 내지 대체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를 참조하면, 관로구 방수 장치는 관로구 방수직관(100), 연결수단(300) 및 덮개(400)를 포함한다.
관로구 방수 장치 연결구조는 관로구 덮개(400), 덮개 지수재(600), 관로구 방수직관(100), 제1 지수재(510), 연결장치(300), 제2 지수재(520) 및 직관(200)을 포함한다.
관로구 덮개(400)는 직관의 개구부의 덮개로 내면에 체결돌기(410)가 형성된다.
덮개 지수재(600)는 덮개(400)와 관로구 방수직관(1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관로구 방수직관(100) 내부를 따라 맨홀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로구 방수직관(100)과 직관(200)은 양단부의 외주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관로구 방수직관(100)과 직관(200)은 지하에 매설된 각종 케이블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블을 둘러싸는 관 형태의 장치이다.
제1 지수재(510) 및 제2 지수재(520)는 관로구 방수직관(100) 및 직관(200) 연결장치(300)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그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관로구 방수직관(100)와 직관(200) 내부를 따라 설치된 전선 등의 구성물이 부패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로구 덮개(400)는 일 단면이 폐쇄상태로 형성되고, 타 단면이 개방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로구 덮개(400)의 개방 상태인 타 단면에는 덮개 결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 결합홈(410)은 관로구 덮개(40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덮개 결합홈(410)은 다수개의 요부 및 다수개의 철부가 나선형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덮개 결합홈(410)은 관로구 방수직관(100)의 제1 결합돌기(110)와 대칭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서 예를 들어, 덮개 결합홈(410)은 관로구 방수직관(100)의 제1 결합돌기(110)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덮개 지수재 삽입홈(420)은 관로구 덮개(400)의 가장 안쪽인 덮개 결합홈(410)의 일 단에 형성된다. 즉, 덮개 지수재 삽입홈(420)은 폐쇄 상태의 관로구 덮개(400)의 일 단면과 덮개 결합홈(4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 지수재 삽입홈(420)에는 덮개 지수재(600)가 삽입된다.
덮개 지수재(600)는 덮개 지수재 삽입홈(420)에 삽입되며, 관로구 덮개(400)와 관로구 방수직관(100)의 일 단면 간의 밀착력을 높여줄 수 있다. 여기서, 덮개 지수재(600)의 부재는 지수재로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로구 덮개(400)가 관로구 방수직관(10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결합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관로구 덮개(400)는 부가적인 체결을 위한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관로구 덮개(400)는 타 단면의 외측면에 체결홀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로구 덮개(400)는 관로구 방수직관(100)과 회전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로구 방수직관(100)은 제1 결합돌기(110) 및 제2 결합돌기(12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돌기(110)는 관로구 방수직관 몸체의 일 단면에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110)는 일 단면의 외측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돌기(110)는 다수개의 요부 및 다수개의 철부가 나선형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20)는 관로구 방수직관 몸체의 타 단면에 형성된다. 즉, 제2 결합돌기(120)는 제1 결합돌기(110)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20)는 타 단면의 외측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돌기(120)는 다수개의 요부 및 다수개의 철부가 나선형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돌기(110) 및 제2 결합돌기(120)는 관로구 방수직관(100)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결합돌기(110) 및 제2 결합돌기(120)는 고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직관(200)은 제3 결합돌기(210)를 포함한다. 제3 결합돌기(210)는 관로구 방수직관(100)과 연결되는 일 단면에 형성된다. 제3 결합돌기(210)는 직관(200)의 일 단면의 외측면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결합돌기(210)는 다수개의 요부 및 다수개의 철부가 나선형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직관(200)의 일 단면에 제3 결합돌기(210)가 형성된다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직관(200)는 일 단면뿐만 아니라, 양 단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관(200)에 형성된 제3 결합돌기(210)는 직관(200)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직관(200)에 형성된 제3 결합돌기(210)는 고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수단(300)은 관로구 방수직관(100)과 직관(200)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연결수단(300)은 몸체 내측면에 제1 결합홈(310) 및 제2 결합홈(320)을 포함한다.
제1 결합홈(310)은 연결수단(300)을 중심으로 일 단면에 형성된다. 제1 결합홈(310)은 연결수단(30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 결합홈(310)은 다수개의 요부 및 다수개의 철부가 나선형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홈(310)은 관로구 방수직관(100)의 제2 결합돌기(120)와 대칭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서 예를 들어, 제1 결합홈(310)은 관로구 방수직관(100)의 제2 결합돌기(120)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20)은 연결수단(300)을 중심으로 타 단면에 형성된다. 즉, 제2 결합홈(320)은 제1 결합홈(310)이 형성된 반대 방향의 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20)은 연결수단(30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2 결합홈(320)은 다수개의 요부 및 다수개의 철부가 나선형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홈(320)은 직관(200)의 제3 결합돌기(210)와 대칭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서 예를 들어, 제2 결합홈(320)은 직관(200)의 제3 결합돌기(210)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300)의 제1 결합홈(310)에 관로구 방수직관(100)의 제2 결합돌기(120)가 결합되고, 연결수단(300)의 제2 결합홈(320)에 직관(200)의 제3 결합돌기(210)가 결합됨으로써, 관로구 방수직관(100)와 직관(200)가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수단(300)의 제1 결합홈(310) 및 제2 결합홈(320)은 연결수단(300)의 몸체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결합홈(310) 및 제2 결합홈(320)은 고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수재 삽입홈(330)은 연결수단 일 단면을 기준으로 제1 결합홈(310) 앞 단에 형성된다. 즉, 제1 지수재 삽입홈(330)은 연결수단(300)의 중앙과 제1 결합홈(3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수재 삽입홈(340)은 연결수단 타 단면을 기준으로 제1 결합홈(310) 앞 단에 형성된다. 즉, 제2 지수재 삽입홈(340)은 연결수단(300)의 중앙과 제2 결합홈(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수재(510) 및 제2 지수재(520)는 각각 제1 지수재 삽입홈(330) 및 제2 지수재 삽입홈(34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제1 지수재 삽입홈(330) 및 제2 지수재 삽입홈(340)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지수재(510) 및 제2 지수재(520)에 의해서 관로구 방수직관(도2의 100)와 직관(도2의 200)가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수재(510) 및 제2 지수재(520)는 수팽창형 지수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수재(510) 및 제2 지수재(520)의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관로구 방수직관(100), 직관(200) 및 연결수단(300) 간의 밀착력을 높이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관로구 방수직관 110: 제1 결합돌기
120: 제2 결합돌기 200: 직관
210: 제3 결합돌기 300: 연결수단
310: 제1 결합홈 320: 제2 결합홈
330: 제1 지수재 삽입홈 510: 제1 지수재
340: 제2 지수재 삽입홈 520: 제2 지수재
400: 관로구 덮개 410: 덮개 결합홈
420: 덮개 지수재 삽입홈 600: 덮개 지수재

Claims (10)

  1. 관로구 방수 장치에 있어서,
    몸체가 중공되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일단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요철부가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형성된 제1 결합홈과,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요철부가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형성된 제2 결합홈을 포함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는 직관과 상기 연결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로구 방수 직관을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 방수 직관은 단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홈의 나선형 요철부와 대응되는 나선형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은 단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홈의 나선형 요철부와 대응되는 나선형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 방수직관 또는 상기 직관의 나선형 결합돌기는 고무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단부에 지수재가 삽입되는 지수재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의 중앙과 상기 제1 결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지수재 삽입홈 및 상기 연결수단의 중앙과 상기 제2 결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지수재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재는 수팽창형 지수재인 관로구 방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에 회전하여 결합되지 않는 상기 관로구 방수 직관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관로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 덮개는 상기 일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덮개결합홈을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 덮개는 폐쇄 상태의 일 단면과 상기 덮개 결합홈 사이에 덮개 지수재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0110020869A 2011-03-09 2011-03-09 관로구 방수 장치 Ceased KR20120102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69A KR20120102946A (ko) 2011-03-09 2011-03-09 관로구 방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69A KR20120102946A (ko) 2011-03-09 2011-03-09 관로구 방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946A true KR20120102946A (ko) 2012-09-19

Family

ID=4711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869A Ceased KR20120102946A (ko) 2011-03-09 2011-03-09 관로구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29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18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 관로구용 확장형 방수관체
KR102053216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용 관로구 방수관체
KR102225870B1 (ko) * 2020-06-1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18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 관로구용 확장형 방수관체
KR102053216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용 관로구 방수관체
KR102225870B1 (ko) * 2020-06-1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용 통신 케이블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3357B2 (ja) 多重パイプ保護管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1348219B1 (ko) 내진핀이 매설된 조립식 암거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JP3177641U (ja) 配線分岐用管継手装置
KR100514718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JP5425545B2 (ja) ケーブルの埋設方法
EP2594000B1 (en)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20150071358A (ko) 파형관 연결용 이음관
KR20110040014A (ko) 케이블 안내용 입상관
KR102053216B1 (ko) 맨홀용 관로구 방수관체
KR101443516B1 (ko)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KR20110008464A (ko)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980601B1 (ko)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GB2515628A (en) Armoured cable
KR102053218B1 (ko) 맨홀 관로구용 확장형 방수관체
KR200344308Y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구조
JP5010889B2 (ja) 分岐管継手部構造
KR100933082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