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9327B1 -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 Google Patents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327B1
KR960009327B1 KR1019870014233A KR870014233A KR960009327B1 KR 960009327 B1 KR960009327 B1 KR 960009327B1 KR 1019870014233 A KR1019870014233 A KR 1019870014233A KR 870014233 A KR870014233 A KR 870014233A KR 960009327 B1 KR960009327 B1 KR 96000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anel
fitting
tiles
mort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746A (ko
Inventor
노부요시 시마
Original Assignee
노부요시 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요시 시마 filed Critical 노부요시 시마
Publication of KR89000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의 1실시예를 표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제2도는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한 부의 요부확대단면도.
제3도는 타일 패널에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한 부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일 11 : 끼워맞춤 볼록부
2 : 타일패널 21 : 끼워맞춤 오목부
본 발명은 타일의 팽팽하게 설치한 위치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고, 시공이 쉽게 될수 있는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작은 주각모양의 얇은 판인 타일은 욕실등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한하지 않고 건축물의 외장재로서도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타일의 붙임공사는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서 이루어져 있다.
① 밑바탕판을 깐다. ② 방수지를 붙인다. ③ 래드(lath)(메탈래드 와이어래드)를 깐다. ④ 제1회째의 모르타르를 바른다(거칠한 칠). ⑤ 제2회째의 모르타르를 바른다(마무리 칠). 이것으로 모르타르 밑바탕이 완성된다.
다음에 ⑥ 모르타르 밑바탕에 모르타르 접착제를 바른다. ⑦ 타일을 붙인다. ⑧ 메지를 채운다. ⑨ 타일을 닦아낸다.
이상으로 붙이는 공사는 끝난다.
그렇지만 종래의 타일을 붙이는 공사에는 다음과 문제점이 있었다.
(a) 상기한 것과 같이 많은 공정을 거쳐서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해가기 위해서 품과 시간이 갈린다. 게다가 타일을 밑바탕 모르타르에 붙었을 때 타일이 늘어 떨어지지 않도록 모르타르 접착제가 어느정도 굳어질때까지 타일의 아래축의 못등으로 떠받치는 어긋남을 방지하는 공사가 필요하다.
(b) 타일을 붙이는 공사에는 밑바탕으로 되는 모르타르를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모르타르를 만드는 현장은 모래나 시멘트가 흩어짐으로 반드시 더러워진다.
또 이곳에서 만들어진 모르타르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할 경우에 작업자는 모르타르나 모래등이 부착되어 있는 구두나 작업화 그대로 복도등을 걷기 때문에 복도에 모르타르를 굳힐때 물을 뿌려 보호하는 일을 베풀어주어도 상처를 입고 뒤에서의 난처한 실정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런까닭에 주택 제조업자로서는 타일을 사용하면서 경원(敬遠)시 하는 경향이 많다.
(c) 모르타르를 만드는데는 당연히 물이 필요하다.
이런 까닭에 추운시기나 한냉지등 동결하는 것같은 장소에서는 모르타르중의 수분이 얼게되어 타일을 붙이는 공사는 할 수 없다.
이때문에 공사가 온도나 날씨, 장소에 좌우되어 예정대로 원활하게 진척되지 않고, 공사기간도 연장되는 경향이 많다.
(d) 타일을 붙이는 공사에서는, 타일의 메지할당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 메지 할당작업은 먹줄을 내는 등 품이 걸리는 공사이다.
(e) 어느쪽의 이유로 밑바탕의 모르타르에 균열이 생기는 경우 타일은 모르타르에 굳게 붙어 있으므로 깨지거나 벗겨져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f) 종래의 타일을 붙이는 공사에는 숙련이 필요하며 타일을 붙이는 직분의 사람뿐만 아니라 미장공등의 전문직이 아니면 시공은 무리이다.
그러나 일손이 부족한 오늘날 타일붙이는 직분의 사람의 안정적인 확보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일본 실용신안등록원 소화 60-96317호에 있어서, 패널에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위치의 표준이 되는 돌조(突條)를 마련한 타일 패널을 제안하고 있다.
이 타일패널은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충분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타일 패널을 사용한 시공에 있어서도 다음의 평가에서 문제가 있다.
(a) 타일 패널에 설치되는 돌조의 폭은 보통 2㎜-5㎜이고 강도가 약하며 파손하기 쉽다. 이런까닭에 패널의 보관이나 운반시의 관리상 문제가 있다.
(b) 타일은 흙으로 구워서 만든 미술품이므로 치수의 정밀도에 결함이 있고, 치수에 분산이 생긴다.
이런까닭에 끼워맞춤 상태의 조정이 어렵고 타일이 끼워 맞춤부에 들어가지 않는 일이 있다.
따라서 타일을 타일 패널에 지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끼워넣기 위해서 끼워맞춤부보다도 타일을 약간 작게하게 되지만, 그렇게하면 돌조의 측면과 타일측면과의 사이에 반드시 빈틈이 생긴다.
이 빈틈은 보기흉할뿐만 아니라 물이나 먼지가 속으로 들어가 누수나 더러워지는 원인으로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둘레 가장자리부로 전체둘레에 걸쳐서 내측으로 잘리어 들어간 단부를 설치함으로서 표면측에 벽면보다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밑부분의 측에는 끼워맞춤 볼록부가 형성되어 소요되는 매수의 타일과, 타일의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춰지는 소요되는 수의 끼워맞춤 오목부가 마련된 타일패널을 비치하게 되어 있으며, 타일을 타일패널에 팽팽하게 설치했을 때에 각 타일의 장출부는 타일과 타일패널의 끼워맞춤부를 가리는 동시에 각 타일의 장출부 둘레 가장자리의 사이에 생기는 소정의 폭의 빈틈부와, 빈틈부에서 노출되어 있는 타일 패널 상면과에 의해 메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이다.
타일의 밑부분측에 설치되는 끼워맞춤 볼록부는 보통의 경우는 타일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약간 내측으로 잘리어 들어간 단부를 설치함으로서 형성되지만, 끼워맞춤 볼록부의 둘레의 벽은 거의 수직이라도 좋으며 타일이 받아들이기 쉽게 아래쪽으로 향해서 내측으로 약간 경사시켜도 좋다.
또 끼워맞춤 볼록부의 형상은 보통의 경우는 타일을 끼워넣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타일의 기울어진 상태가 설정되도록, 평면에서 봐서 다각형(주로 4각형)이지만 타일이나 타일패널의 치수 오차에 대쳐해서 타일이 팽팽하게 설치될때에 타일의 기울어진 상태의 미세한 조정이 될수 있게 원형으로 해도 좋다.
역시 이것에 대해서는 다각형의 경우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끼워맞춤을 느슨하게 하는 것에서 마찬가지인 모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의 크기도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데 상기의 예보다 더한층 단부의 잘리어 들어간 자국을 크게해서 타일의 크기보다 어느정도 작게해도 좋으며, 또 끼워맞춤 볼록부의 계수는 1개에 한하지 않고 복수개로 해도 좋다.
단부를 마련함으로서 타일의 표면측에는 장출부가 형성된다. 이 장출부의 밑면은 일반적으로 타일패널의 상면과 밀착하기 쉽도록 평탄하고 매끄럽게 완성되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목 및 볼록면으로 할 수도 있고, 고무시이트등의 탄성체를 달라붙게 마련할 수 있다.
타일 패널의 끼워맞춤 오목부의 형상은 타일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끼워맞출수 있는 형상인 것은 말할것도 없다.
끼워맞춤 오목부의 일반적인 형상은 타일의 끼워맞춤 볼록부와 같은 모양으로 평면에서봐서 4각형이다.
이런경우 끼워맞춤 오목부를 종횡으로 정연하게 설치한 타일 패널은 보는 방법을 바꾸면 소정의 폭의 돌조를 격자모양으로 설치한 형상이다.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의 두께 및 깊이는 타일의 장출부의 밑면과 상기한 돌조의 상면이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과 타일 밑면과 끼워맞춤 오목부의 밑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두께를 어울리게 생각해보면 끼워맞춤 볼록부의 두께를 끼워맞춤 오목부의 깊이보다 약간 얇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역시 타일패널에서의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은 보통의 경우는 접착제나 접착테이프에 의해 펴붙이지만, 타일패널과 타일과의 끼워맞춤을 느낌으로서 끼워붙일 수도 있다.
그리고 타일을 타일패널에 팽팽하게 설치했을 때에 각 타일의 장출부는 타일과 타일패널의 끼워맞춤 부분을 가리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또 인접하는 각 타일의 장출부의 둘레가장자리의 사이에는 소정의 폭의 빈틈이 생겨 빈틈으로부터 노출되는 타일패널의 상면(돌조의 상면)도 역시 메지부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메지부의 폭은 보통의 경우 폭이 2㎜-5㎜이므로 빈틈의 폭도 같은 모양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타일패널의 소재에는 목판, 합성수지판, 시멘트판, 석면판, 규산칼슘판, 고무판, 유리섬유판,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등의 금속판, 합성 수지시이트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 이것들을 조합해서 옥내나 옥외 혹은 방수성이나 방화성등 사용장소에 적합한 성질의 것을 만들 수도 있다.
예컨데 타일패널에 합성수지판을 사용하면 방수성 및 내식성등에 뛰어나며, 석면판을 사용하면 방수성 혹은 내화성이 뛰어나고, 금속판중에서 자성체를 사용하면 타일을 자착할 수도 있다.
또 발포플라스틱판을 사용하면 단열성, 차음성에 뛰어나며, 고무판의 경우는 탄력성에 뛰어나는 등의 특징을 가지게 할수 있다.
타일패널의 치수는 2자×8자(66×264㎝), 3자×6자(100×200㎝)의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것보다 작은 것, 예컨데 제3도에서 표시한 타일패널같은 것도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방수성을 필요로하는 곳에는 타일패널의 이음매를 「아이쟈 구리」구조라고 할수도 있다.
타일패널의 두께는 임의이고 이미 밑바탕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타일패널은 얇은 시이트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신축가옥등에서 밑바탕을 새롭게 붙이는 경우에는 약간 두툼한 널판지 모양으로 형성할수도 있고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형성된다.
역시 본 발명에서 진술하는 타일은 넓은 뜻으로 해석되어 자기타일, 반자기타일, 도기타일등의 마무리용의 타일 이외에 기와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한층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하는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의 1실시예를 표시한 요부분해사시도, 제2도는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부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3도는 타일패널에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타일(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방형이고, 타일(1)의 밑부분에는 끼워맞춤 볼록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1)는 타일(1)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가장자리부(12)의 소정의 위치에서 약간 내측으로 잘리어 들어간 단부(13)를 설치함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타일(1)의 표면측에는 장출부(14)가 전체둘레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1)는 타일(1)을 뒤에 진술하는 타일패널(2)의 끼워맞춤 오목부(21)에 끼워넣는 것에서 자동적으로 타일(1)의 기울어진 상태가 설정되도록 평면에서 보아서 4각형이다.
그리고 타일(1)의 장출부(14)의 장출부의 밑면(15)(제2도에 도시)은 뒤에서 진술되는 타일패널(2)의 돌조부(22)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타일패널(2)은 석면을 원형으로 성형해서 판모양으로 한것이고, 표면에는 소요수의 평면에서 보아서 4각형의 끼워맞춤 오목부(21)를 종횡으로 정연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돌조부(22)가 격자모양으로 형성된다.
돌조부(22)의 높이, 결국 끼워맞춤 오목부(21)의 깊이는 타일(1)의 끼워맞춤 볼록부(11)의 두께보다도 약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돌조부(22)의 폭은 타일(1)을 타일패널(2)에 팽팽하게 설치할때에 각 타일(1)의 가장자리부(12)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틈(100)이 일반적으로 매지폭(2㎜-5㎜)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역시 돌조부(22)의 상면은 임의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해서 본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시공부에 산가지등을 마련해두고, 타일패널(2)의 임의의 곳에 못을 박아 넣어서 소요수의 타일패널(2)을 산가지에 고정하고 타일을 붙이는 밑바탕이 되는 시공면을 만든다.
그리고 타일패널(2)의 각 끼워맞춤 오목부(21) 또는 끼워맞춤 볼록부(11)의 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끼워맞춤 볼록부(11)를 끼워넣어서 타일(1)을 팽팽하게 설치해간다.
이때 타일(1)의 장출부밑면(15)은 돌조부(22)의 상면에 밀착하여 타일(1)의 끼워맞춤 볼록부(11)와 타일패널(2)의 끼워맞춤오목부(21)의 끼워맞춤부분은 가리어져서 외부에서는 볼수가 없다.
그리고 각 타일(1)의 가장자리부(12) 사이의 빈틈(100)과 빈틈(100)에서 노출되어 착색된 돌조부(22)의 상면도 역시 메지부가 형성된다.
또 돌조부(22)의 상면을 여러가지로 착색함으로서 화려한 메지가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제4도는 타일이 팽팽하게 설치되는 부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로서는 타일(1')의 끼워맞춤 볼록부(11')의 밑부분의 측을 내측에 약간 경사시켜서 되어있고, 타일패널(2)의 돌조부(22')의 축부분도 그것과 적합하도록 경사시켜서 형성되어 이는 것에서 타일(1')이 끼워맞춤 오목부(21')의 한가운데에 자연히 거두어들이는 이점이 있다.
역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곳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도시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내에 있어서 여러개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다음의 효과를 생기게 한다.
(a) 타일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공사에 있어서 특히 숙련이 필요로 하게되는 메지할당때의 먹줄을 내는 것이나 메지를 채우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타일이 처지는 등의 걱정도 없고 초심자라도 간단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 시공자의 기술이 틀리는 것에 의한 마무리의 차가 없고 누구나가 시공해도 균일하게 마무리 된다.
(b) 밑바탕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물이 필요없다.
이런까닭에 추운시기나 한냉한 지방등 동결할 것같은 곳에도 타일을 붙이는 공사를 할 수 있고, 날씨에 좌우되지 않으므로 공사일정을 짜기가 쉽고 공사도 원활하게 진행된다.
또 모르타르 밑바탕이 금이가는 것에 의한 타일의 깨짐과 벗겨져 떨어지는 것이 없다.
더한층은 모르타르를 만들고 이것을 운반할때에 생기는 낭하등의 상처가 발생하지 않고 뒤에서의 난처한 실정의 원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타일의 사용이 경원시하지 않으며 타일의 사용범위의 확대가 예측된다.
(c) 타일패널을 팽팽하게 설치한 시점에서 메지배당이 알수 있으므로 배관등의 공사는 하기 쉽다.
또 시공에 필요한 타일의 매수가 일견으로 알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d) 타일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내측으로 잘리어 들어간 분량만큼 타일패널에 마련되는 돌조부의 폭을 보다더 넓게 할 수 있으므로 강도가 강해지고 파손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보관이나 운반시의 관리도 쉽다.
(e) 타일을 패널에 지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끼워넣기 위해서 돌조로 포위된 끼워맞춤부보다 약간 작게해도 그것에 의해서 생기는 돌조의 측면과 타일측면과의 사이의 빈틈은 타일의 장출부에 의해서 가려져서 외부에서 볼수는 없다.
따라서 타일 및 타일패널의 끼워맞춤부의 치수의 정밀도는 종래의 것같은 엄밀한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하기가 쉽게 된다.
또 끼워맞춤부에 사실 생기고 있는 빈틈은 타일의 장출부에서 밀폐되어 있으므로 물이나 먼지가 속으로 들어가기 어렵고 누수나 더러워지는 원인으로 되는 것도 없어진다.

Claims (1)

  1. 둘레가장자리부로 전체둘레에 걸쳐서 내측으로 잘리어 들어간 단부(13)를 마련함으로서 표면측에는 장출부(14)가, 밑부분측에는 끼워맞춤 볼록부(11)가 형성된 소요되는 매수의 타일(1)과 타일(1)의 끼워맞춤볼록부(11)와 끼워맞추어지는 소요수의 끼워맞춤 오목부(21)가 마련된 타일패널(2)을 비치해서 이루어지고, 타일(1)을 타일 패널(2)에 팽팽하게 설치했을 때에 각 타일의 장출부(14)는 타일(1)과 타일패널(2)의 끼워 맞춤부분을 가리게 하는 동시에 각 타일의 장출부(14) 둘레가장자리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소정의 폭의 빈틈부와 빈틈부에서 노출되고 있는 타일패널(2) 상면에 의해 메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KR1019870014233A 1987-06-08 1987-12-14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Expired - Fee Related KR960009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43871 1987-06-08
JP62143871A JPS63308147A (ja) 1987-06-08 1987-06-08 タイル張り構造体
JP?62-143871 1987-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746A KR890000746A (ko) 1989-03-16
KR960009327B1 true KR960009327B1 (ko) 1996-07-18

Family

ID=1534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233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9327B1 (ko) 1987-06-08 1987-12-14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308147A (ko)
KR (1) KR960009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51B1 (ko) * 2006-05-26 2007-01-17 황주연 콘크리트 벽체용 치장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351A (ko) * 2009-05-12 2010-11-22 파인텍스 주식회사 반도체용 닦음천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축처리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829B2 (ja) * 1985-05-17 1994-08-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タイル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51B1 (ko) * 2006-05-26 2007-01-17 황주연 콘크리트 벽체용 치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308147A (ja) 1988-12-15
KR890000746A (ko) 198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7699C (en) Brick support structure
US5826388A (en) Composite insulating drainage wall system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PL171028B1 (pl) Prefabrykowana ksztaltka termoizolacyjna PL
KR960009327B1 (ko) 타일을 붙이는 구조체
US2154036A (en) Constructional finish detail element
JPH0194152A (ja) 建築用パネル
JPH028022Y2 (ko)
US1644247A (en) Metal-back building material
JPH0220332Y2 (ko)
CN220377582U (zh) 一种装配式装修墙体及用于该装修墙体的一体化地龙骨
JPH0631017Y2 (ja) タイル張り用パネル及びタイル係止片及びそれを使用したタイル施工面構造体
JP2728470B2 (ja) 建築用パネル
KR0136779Y1 (ko) 불소수지 코팅 타일
JPH0126829Y2 (ko)
JPH08144445A (ja) 内外装改修構造
JP2891551B2 (ja) 建築用パネル
JP2792561B2 (ja) 建築用パネル
JPH0730817Y2 (ja) 乾式壁面構築構造
JPH0229149Y2 (ko)
JP2996480B2 (ja) 建築用パネル
JP2930355B2 (ja) 建築用パネル
JPH0545702Y2 (ko)
JPS642009Y2 (ko)
JPS6413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7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71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