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8308B1 - 스티렌계 수지용 코어-쉘 내충격성 개량제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수지용 코어-쉘 내충격성 개량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308B1
KR960008308B1 KR1019870011706A KR870011706A KR960008308B1 KR 960008308 B1 KR960008308 B1 KR 960008308B1 KR 1019870011706 A KR1019870011706 A KR 1019870011706A KR 870011706 A KR870011706 A KR 870011706A KR 960008308 B1 KR960008308 B1 KR 96000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polymer
core
additive
sh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181A (ko
Inventor
피터 베르지니스 알빈
루이스 윌스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윌리암 이. 람버트 3세
롬 엔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이. 람버트 3세, 롬 엔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윌리암 이. 람버트 3세
Publication of KR88000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3Polyphenylene oxide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02Core-she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렌계 수지용 코어-쉘 내충격성 개량제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용 개량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및 올레핀계 수지용 부타디엔-스티렌 내충격성 개량제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은 전형적으로 고무상 폴리부타디엔 내충격성 개량제와의 연속 괴상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중합시 개량제는 중합체 내에 직경 약 2~5㎛의 영역(domain)을 형성한다. 비록 비-개질 폴리스티렌보다 더 강할지라도 그러한 HIPS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과 같은 필적하는 수지보다 충격 강도, 표면광택 및 기계적 특성의 균형에 있어서 보다 열등하며 식용유에 대한 내환 경응력균열성이 보다 빈약하다. 폴리부타디엔의 고배합량에 의하여, 그리고 폴리스티렌 매트릭스 중합체의 적절한 동시 중합에 필요한 조건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점도는 이 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특성 균형을 제한하기 때문에 고내충격성, 고광택 및 고강도가 단일의 괴상 중합에서 얻기 어렵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폴리스티렌의 내충격성 개량용으로 유용하다고 여겨진 내충격성 개량제는 2㎛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C.B. 브크날 [C.B. Bucknall, Toughened Plastics, Applied Science, London, 1977]은 입자크기가 실질적으로 1㎛이하인 유화 중합체는 HIPS 제조용으로 부적합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보다 최근에 J.실버버그등 [J. Silberberg et al.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22, pages 599-609(1978)] 은 효과적인 폴리스티렌 개량제용의 한계 입자크기는 1㎛이상, 바람직하게는 2~5라고 보고하고 있다. A.M. 도날드등 [A.M.Donald et al.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27. pages 3729-3741(1982)] 은 폴리스티렌의 가장 효율적인 강화(toughening)를 위하여 직경이 1㎛이하인 개량제 입자는 비효과적인 희석제로 취급하여 모두 제거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옹호하고 있다. 비록 홉스(Hobbs, 유럽특허 공보 제158,258호)가 작은 (1000nm이하) 고무 입자를 폴리스티렌 쇄에 그래프트시키고 생성되는 개질된 스티렌 중합체를 보다 큰 (3~10㎛)입자의 고무상 내충격성 개량제를 함유하는 스티렌 중합체와 혼화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을지라도, 다멘 (Damen, 유럽 특허 공보 제143,500호)은 2정(bimodal)크기 분포의 개량제를 사용하면 월등한 충격강도를 위하여 광택이 희생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상기의 다멘은 고무 단량체를 스티렌계 단량체와 블록 공중합시키고, 이 공중합체를 스티렌 단량체중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괴상 중합시키는 일련의 방법으로써 폴리(스티렌)에 250㎚이하의 고무상 내충격성 개량제의 영역을 도입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중합계내의 전상(phase inversion)으로써 폴리(스티렌) 전체에 작은 영역의 고무를 석출시켜서 적절한 균형의 광택 및 충격강도를 갖는 수지를 생성한다.
HIPS에서 물리적 성직을 개량시키는데 부가적인 내충격성 개량제가 사용되어 왔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스티렌과 부타디엔을 음이온 중합시켜서 끝과 끝이 공유적으로 연결된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스티렌)의 이산 세그먼트(discrete segment)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또한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도 공지되어져 있다. 이들 공중합체는 제조시 공유 교차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만들어진 스티렌 배합물의 특성은 전단속도 및 배합온도와 같은 가공 조건에 매우 의존적이다. 그러한 스티렌-블록 공중합체 배합물은 내발화성 수지용으로 좋지만 대부분의 다른 용도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며, 화학적 공격에 대한 저항성은 종래 HIPS와 별차이 없다.
블록 공중합체, 그의 구조, 물성 및 기타 특성은, 예를 들면 문헌 [Aggarw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Block Polymers and Multiphase Polymer Systems : an Overview of Present Status and Future Potential, Polymer, Vol. 17. pp. 938-956(November, 1976)] 을 참조하는 것이 그러한 중합체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와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블록 공중합체의 폴리(스티렌)용 내충격성 개량제로서의 기타 용도는 밀러(Miller, 미국특허 제4,308,358호)에 의하여 괴상 중합된 블록 공중합체가 폴리(스티렌)과 용융 배합되는 것으로, 그리고 러셀(Russell, 미국 특허 제4,371,663호)에 의하여 블록 공중합체가 HIPS와 교차 결합 및 배합되는 것으로 공개되어 있다. 러셀은 그 공중합체의 팽윤 지수(swell index)를 측정하고, 팽윤 지수가 증가(즉, 중합체 교차결합이 감소)함에 따라 개질된 폴리(스티렌)의 내충격성이 감소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팽윤지수는 에히테등(Echte et al., 미국 특허 제4,330,641호)에 의하여 입자가 큰 고무상 내충격성 개량제에도 적용된다. 상기 특허는 입자가 3.5㎛이상일때만 내응력 균열성이 달성된다고 기술한다.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내충격성 개량제는 예를 들면 골드만(Goldman, 미국특허 제4,443,585호)이 기술한 바와같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개량용으로 주지되어져 있다. 최근에 그러한 개량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기타 엔지니어링 수지의 개량용으로 주지되어져 있다. 최근에 그러한 개량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기타 엔지니어링 수지와 같은 다른 종합체의 개량용으로 유용한 것으로 발견 되었다. 유화 중합된 MBS 개량제는 투명한 HIPS와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배합물의 개량용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글 개량제의 형태는 얇고 부드러운 고무상 쉘에 둘러 싸여진 크고 비교적 경질의 폴리스티렌 코어였다.
본 발명자들은 입자크기가 약 250나노미터(㎚)이하이면서, 쉘중 하나이상이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하나이상의 중합체의 쉘에 의해 둘러 싸여진 교차 결합된 공역 디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고무상 코어를 가지며, 톨루엔 팽윤지수가 약 13 내지 약 45인 내충격성 개량용 첨가 중합체를 발견하였다. 이 첨가 중합체는, 방향족 부가 및 축합 중합체, 폴리올레핀, 그리고 종래 내충격성 개량제와 배합된 이러한 주합체를 포함한 이들의 배합물과 배합하였을때, 내충격성과 광택, 인성 및 내환경 응력 균열성과 같은 기타 물리적 성질과의 균형을 개량하는데 유용하다.
여기서 용어 첨가 중합체(additive polymer)라 함은 기타 중합성 조성물에 첨가제로서 유용한 중합성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첨가 중합체는 방향족 부가 및 축합 중합체용,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수지용 또는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용,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용, 그리고 기타 수지의 배합물용의 첨가제를 말한다. 이는 상기 수지들 내에 단독으로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들에 유용한 종래 내충격성 개량용 중합체와 같은 기타 첨가 중합체의 존재하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들 기타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1~약 30 중량 %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첨가 중합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디메틸부타디엔,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공역 디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고무상 코어를 갖는다. 여기서 용어 공중합체라 함은 상호간에 공중합 가능한 2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들의 공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공역 디올레핀, 부타디엔 또는 비닐 방향족과 같은 공중합체의 유형의 명명은 특별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명명된 유형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혼합물중 단량체들의 최대 분획을 형성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 공역 디올레핀은 소량의 스티렌, 알킬스티렌,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알킬기는 1~8 탄소원자를 함유함) 및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니트릴 등의 공중합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다. 이 비닐 단량체의 바람직한 퍼센트는 0 내지 약 50중량 %인데, 상기 %는 고무상 코어 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디올레핀과 임의의 기타 비닐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코어중합체는 전형적으로 교체 결합되는데, 이는 교차 결합 단량체와의 공중합에 의하거나 또는 적절한 중합 조건의 선택에 의한 교체 결합에 의한다. 그러한 조건의 선택은 당업계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공지된 방법으로써 온도, 개시제, 연쇄 조절제의 존재 또는 부재 및 유형등의 선택을 포함한다. 교차 결합 단량체도 유사하게 공지되어져 있으며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당업계 숙력인에게 명백한 기타 다수가 있다. 교차 결합은 중합체에 대한 가공 및 2차 가공 단계중에 개량제의 구조적 보전성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므로, 내충격서 개량제로서의 조성물의 유효성에 중요하다. 교차 결합은 직접 측정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조성물의 교차 결합 밀도를 정의하기 위하여 교차 결합도에 관계되는 2차 파라미터, 즉 톨루엔 팽윤지수를 사용한다. 이 파라미터는 주어진 시료의 톨루엔-팽윤된 중합체 중량 대 건조한 중합체 중량의 비율이다. 코어 중합체의 교차 결합 밀도를 조절하여 마무리된 코어-쉘 입자의 톨루엔 팽윤지수가 약 13 내지 약 4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라한 약간 교차 결합된 내충격성 개량제의 유효성은 증가된 교차 결합(보다 낮은 팽윤지수)이 내충격을 개량한다는 상기 러셀의 주장에 비추어 특히 놀라운 것이다.
고무상 코어 중합체를 둘러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 쉘이 존재하는데, 이중 하나 이상은 스티렌 또는 알킬스티렌(예:알파-메틸 스티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쉘이다. 코어 중합체 대 쉘 중합체의 비율은 전체 코어 및 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비로써 약 30:70 내지 약 95:5이다. 바람직한 코어 대 쉘 비는 약 60 : 40 내지 80 : 20이다. 쉘은 폴리비닐 불포화 교차 결합 단량체와의 공중합에 의하여 교차 결합될 수도 있다.
임의의 쉘은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1~8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되어 임의의 추가 쉘을 만드는 단량체 혼합물내에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함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99 중량 %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임의의 추가 쉘은 코어 및 쉘 총 중량이 0~약 25 중량 %일 수 있으며 유사하게 교차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 중합체는 특히 작다 ; 입경은 약 250㎚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0~25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200㎚이다. 요구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상기 크기의 입자를 제조하는데 유화 중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유화 중합에 의하여 첨가 중합체를 제조한다면, 생성되는 라텍스 입자는 근원적으로 좁은 입경 불포를 갖도록 중합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입자는 HIPS 및 기타 스티렌계 중합체의 물성 개량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과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같은 방향족 축합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른 상용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HIPS와의 배합물의 물성 개량에도 유용하다. 이는 또한 비개질된 폴리스티렌 및 기타 방향족 부가 및 축합 중합체, 그리고 스티렌 및 기타 방향족 단량체와 아크릴 및 메타크릴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말레산 무수물 같은 산 무수물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같은 니트릴 등의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의 물성을 개량시킨다. 이는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의 물성도 개량시킨다.
당 업계 숙련인이라면 용어 영역 (domin)이 매트릭스 중합체에 혼합되어 있으나 매트릭스 중합체와는 구별될 수 있는 중합체 물질을 의미함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한정되듯이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모든 비율은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부이며 모든 시약은 양호한 시판급 품질을 갖는다.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중합체 배합물은 매트릭스 중합체와 개량제를 대향 회전형 아메리칸 라이스트리츠(American Leistritz) 300㎜ 쌍스크루우 압출기내에서 처리속도 100g/분, 다이 용융온도를 개질된 폴리스티렌에 200~220℃, 폴리프로필렌 함유 배합물에 225~230℃, 그리고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 함유 배합물에 250~260℃로 하여 혼합하고 용융 압출한다. 용융된 압출물을 스트랜드로서 수거하여 물중탕내에서 냉각시키고 절단하여 팰릿화한다.
시험 팰릿을 18g 용량의 뉴베리 인더스트리(Newbury Industries)제 왕복형 사출성형기에 넣고 온도를 개질된 폴리스티렌에 230~250℃, 개질된 폴리프로필렌에 220~225℃, 그리고 PPO함유 중합체에 295~300℃로 하여 시험 중합체를 ASTM 규격으로 절단된 크롬 도금 금형 캐비티(cavity)에 사출시키고 개질된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에 43~49℃, 또는 PPO함유 배합물에 91~93℃로 가열함으로써 시험 견본을 제조한다. 시험 견본은 ASTM D618, 절차 A에 따라 조절된다.
하기 실시예에서의 중합체 특성 평가를 위하여 다음 시험을 행한다 :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ASTM 표준절차 D2256에 따라 3.2×12.7×63.5㎜(1/8×1/2×2.5인치) 시험 견본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낙창 충격강도는 이펙트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Effects Technology, Inc.)가 제조한 DynstupTM가 장치된 낙하탑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직경 31.8㎜(1 1/4인치)인 지지링 상에 50.8×76.2×3.2㎜(2×3×1/8인치)의 시험 견본을 고정하고 팁 직경이 12.7㎜(1/2인치)인 장치된 창으로써 305㎝/초의 속도로 친다. 창에 의한 인열 통과(tear-through) 지점까지에 견본에 의하여 흡수된 에너지를 적산하고 적어도 3회 충격의 평균을 보고한다.
인장강도는 100% 연신/분의 스트레인 속도를 사용하는 ASTM 표준규격 D638에 따라 2.54㎜ 두께의 미소 인장 견본에 대하여 측정한다.
표면 광택은 가아드너 광택제(Gardner Glossmeter)로써 입사각 60℃ 로 50.8×76.2×3.2㎜(2×3×1/8인치) 사출형성판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톨루엔 팽윤치수는 유리병에 전형적으로 0.15~0.25g의 소량의 견조한 개량제 시료를 측정하여 넣고 시판급 톨루엔 약 45㎖로 덮어서 측정한다. 시료를 실욘에서 3일간 덮은채 방치하여 완전 평형이 되도록 한 다음 팽윤된 시료를 톨루엔으로부터 신속히 여과하고 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습윤된 시료를 80℃의 진공 오븐내에서 조심스럽게 건조시키고 다시 무게를 측정한다. 팽윤된 시료의 중량을 건조 시료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팽윤지수를 계산한다.
내환경응력균열성(ESCR)은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시험에서와 같이 제조된 사출성형된 시험 견본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막대는 막대의 외부표면이 1% 응력 변형이 되게 하는 것과 같은 반경을 갖는 고정기에 고정한다. 고정된 막대를 그 다음으로 예를 들어 면실유 및 올레산의 50/50 혼합물과 같은 지시된 균열제에 24시간동안 함침시킨다. 막대 및 1% 응력 변형으로 공기중에서 유지된 대조용 막대들의 굴곡 강도를 ASTM 표준절차 D790에 따라 측정하며, ESCR은 시험 막대의 평균 굴곡 강도를 대조 막대의 것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유제 입자 크기는 쿨터 엘렉트로닉스(Coulter Electronics)사 제품의 나노사이저(Nanosizer)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 기구는 유제의 브라운 운동으로 산란되는 빛을 추적함으로써 유화 중합체 입자들의 평균 크기를 평가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량제 제조방법을 기술하며; 3-단계 절차에서 고무상 코어 중합체는 라텍스로서 형성되고 (단계 A), 라텍스의 입자 크기는 제어된 불안정화 또는 응집화로 증가되고 (단계 B), 외부 쉘은 응집된 코어 중합체상에 그래프트된다 (단계 C).
[단계 A]
스테인레스강 반등기에 하기 물질을 충진한다.
부타디엔 75부
스티렌 25부
올레산 칼륨 5부
n-도데실 메르캅탄 0.5부
과황산칼륨 0.3부
탈이온수 180부
반응기를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유지한다. 중합체로의 최종 전환율은 95%이상이다.
[단계 B]
유리제 플라스크에 하기 물질을 충진한다.
단계 A의 고무 라텍스 100부
물 140부
플라스크 함유물들을 교반하고 아세트산(대략 2부)으로 pH 4.5로 조절한 다음, 수산화나트륨(대략 5부)으로 pH 10으로 조절한다.
[단계 C]
유리제 플라스크에 단계 B의 습윤되고 응집된 80부의 고무 라텍스를 충진한다. 플라스크 함유물들을 교반하며 50℃로 가열하여 유지하고, 그리고 하기 물질을 플라스크에 충진한다 ;
스티렌 20부
소듐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0.06부
(에틸렌디니트릴로) 테트라아세트산, 디소듐염 0.006부
황산제1철 0.0012부
물 510부
0.063부의 ter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를 생성 혼합물에 2시간에 걸쳐서 첨가한다. 중합체로의 최종 전화율은 99%이상이며, 그리고 최종 유제입자 크기는 나노사이저로써 측정시 190㎚이다. 생성된 개량제 중합체는 이 오놀(Ionol)로 시판되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로 안정화되며, 열 응고화로 단리된다. 건조된 개량제는 19의 톨루엔 팽윤지수를 갖는다. 개량제는 하기의 전체적인 조성을 갖는다 ;
[Bd/Sty]
60/40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가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 하나의 방법만을 나타낸다. 당 분야 숙련인에게 공지된 기타 방법들이, 예를 들면 골드만(Goldman, 미합중국 특허 제4,443,585호)의 방법이 시용될 수 있으며, 만일 반응조건이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된다면, 본 발명의 범위내의 톨루엔 팽윤지수를 갖는 중합체를 산출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량제를 사용하여 수득 가능한 충격강도의 개량을 기술한다.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비개질된 HIPS(종래의 괴상 중합으로 제조되고 다우 케미칼(Dow Chemical)사의 스티론 489(Styron 489)로서 시판되는 일반목적, 중충격성의 사출 등급의 HIPS, 그리고 비교용의 종래의 선행기술의 개량제, 선행기술의 블록 공중합체 개량제 및 본 발명의 개량제 20% 배합량으로 개질된 동일한 HIPS에 대하여 측정한다. 종래의 MBS 개량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물리적-성질 개량용으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교차 결합 코어-쉘 중합체이다. 개량제 A는 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그래프트된 폴리(부타디엔)의 고무상 코어를 가지며, 개량제 B는 스티렌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그래프트된 부타디엔-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고무상 코어를 가지며, 그리고 개량제 C는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 메타블렌 C-223(Metablen C-223)으로서 시판되는 상업적인 개량제이며 더 큰 입자크기로 응집되고 연속하여 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그래프트된 폴리(부타디엔)의 고무상 코어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개량제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으며 ; 사용된 특별한 개량제는 하기의 전체적인 조성을 가지며 ;
[Bd/Sty]
62.5/37.5
그리고 표 1에서 개량제 D로서 나타낸다 아이조드 충격값은 23℃에서 3.2mm 노치 견본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충전된 매트릭스 중합체 강화용의 본 발명의 개량제의 효과를 기술한다. 개량제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60부의 부타디엔, 36부의 스티렌 및 4부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전체적인 조성을 가지며 ; 14의 팽윤지수 및 0.18㎛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이 개량제는 20% 첨가량으로 실시예 4에서 설명될 HIPS 및 지시된 수준의 지시된 충진제와 배합되었으며,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23℃에서 3.2㎜ 및 6.4㎜ 노치에 대하여 생성 배합물에 대하여 측정한다. 사용되는 충진제는 탄산칼슘(ICI Americas, Inc사에 의해 Winnofil S로 시판), 활석(Crprus Industrial Minerals Co.사에 의해 Mistron으로 시판) 및 규희석(Nyco Products Co. 사에 의해 Wollastakup G로서 시판)이다. 이들 측정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4]
본 발명은 투명하고 비개질된 스티렌계 중합체의 인성을 개량함에 대한 본 발명의 개량제의 효과를 기술한다. 사용된 개량제는 실시예 2에서 사용된 것이다. 2개의 투명하고 비개질된 매트릭스 폴리스티렌 중합체 ; 일반-목적의 사출-성형 등급의 투명하고 비개질된 폴리스티렌 단일중합체(Dow Chemical Company에 의해 Styron 666으로 시판됨), 및 스티렌 및 소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투명하고 비개질된 공중합체(Richardson Polymer Corp.에 의해 NAS로 시판됨)를 상기 개량제와 배합한다. 충격강도의 개량을 개량제의 다양한 배합량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3
이들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제는 투명하고 비개질된 스티렌 중합체의 인성 개량에는 보다 덜 효과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광택을 유지하면서 인성을 현저하게 개량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량제가 소량의 다른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HIPS 매트릭스 중합체의 충격강도를 개량함에 효과적임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개량제는 60.6부의 부타디엔, 36.4부의 스티렌 및 3.0부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조성을 가지며, 15.5의 팽윤지수 및 0.17㎛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매트릭스 중합체는 대략 10~16% 공중합된 말레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HIPS형태 중합체(Arco Chemical Co에 의하여 Dylark 350으로 시판됨)이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량제가 폴리페닐렌 에테르와 같은 상용성의 열가소성 수지와 배합된 폴리스티렌의 충격강도를 개량함에 효과적임을 기술한다. 표 5에서는 종래의 MBS 개량제와의 그리고 본 발명의 개량제와의 배합물의 개량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량제는 62.5부 부타디엔 및 37.5부 스티렌의 조성을 가지며 ; 13.4의 팽윤지수 및 0.18㎛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매트릭수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폴리(2, 6-디메틸-p-페닐렌 옥사이드) 및 광물질 충진제의 배합물이며 ; 배합물은 제네랄 엘렉트릭사(General Electric Co.)에 의해 노릴(Noryl) H-2000으로 시판된다. 종래의 개량제는 실시예 4에서 기술된 것들이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HIPS 중합체의 내환경 응력 균열성(ESCR)을 개량함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개량제의 효과를 기술한다. 버터 또는 올레산-면실유 혼합물과 같은 식용유의 HIPS에의 작용은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을 저하시키고, 특히 HIPS의 표면이 인장 변형하에 유지되고 있을때 저하시킨다. 표 6은 실시예 2로부터 개량제 D의 다양한 농도에서 각각의 3개 HIPS 물질에 대한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버터에 노출되었을 때의 ESCR값은 나타낸다. 매트릭스 중합체는 종래의 괴상 중합으로 제조되며 다우 케미칼 캄파니에 의해 스티론 489로 시판되는 일반-목적, 주 충격강도, 사출성형 등급의 HIPS, 그리고 아메리칸 훽스트 코포레이션(American Hoecht corp.)에 의해 호스티렌 840(Hostyren) 시판되는 초고충격성 HIPS이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량제가 HIPS 및 투명하고 비개질된 폴리스티렌의 배합물로 수득된 특성의 균형을 개량함에 사용될 수도 있음을 기술한다. 표 7에 기재된 바로, 충격강도는 ESCR, 인장강도 및 광택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동안 개량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투명하고 비개질된 폴리스티렌은 일반-목적 등급이며, 그리고 HIPS 물질은 모빌 케미칼사 (Mobile Chemiccal Co.)에 의해 4324로 시판되는 중충격성, 사출-성형등급 중합체, 7500으로 시판되는 압출-등급 수지이다. 본 발명의 개량제는 62.5부 부타디엔 및 37.5부 스티렌의 조성을 가지며 ; 16.3의 팽윤지수 및 0.17㎛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Figure kpo00007
* - 면실유/올레산에 함침하는 동안 잘려진 견본
[실시예 9]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량제가 폴리스티렌, 관련된 공중합체 및 그들의 배합물을 개량함에 있어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량제가 놀랍게도 폴리프로피렌을 개량함에 또한 효과적임을 기술한다. 표 8에 기재된 바로, 실시예 8의 개량제인 본 발명의 개량제는 파단시험에 대한 인장 연신율로 측정된 바의 폴리프로필렌의 연성 및 노치 아이조드 충격시험 및 Dynatup 낙창 충격시험 둘다에 의해 측정된 충격강도를 개량함에 효과적이다.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바의 MBS 개량제 A와 같은 선행기술 MBS 개량제들은 본 발명의 개량제보다 매우 덜 효과적이다. 실시예에서 개량제는 히몬트(Himont)사의 프로-팍스 6323(Pro-Fax 6323)으로 시판되는 일반-목적의 중간-유동 등급의 폴리프로필렌 다닐중합체와 용융-배합되었다. 본 발명의 개량제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및 스티렌계 수지의 배합물을 개량함에 있어서 유용한 것으로 또한 기대된다.
Figure kpo00008

Claims (31)

  1. 디올레핀과 공중합되는 전체 코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0%의 제1급 비닐 단량체와의 교차 결합, 공역 디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고무사 코어를 가지는 입자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 쉘로 둘러 싸여지며 쉘 중 하나 이상은 비닐 방향족 중향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또한 입자는 250㎚이하의 평균입자 직경 및 13~45의 톨루엔 팽윤지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개량용 첨가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공역 디올레핀이 부타디엔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1급 비닐 단량체가 제1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이며 알킬기가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알킬메타크릴레이트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5. 제3항에 있어서, 알킬아크릴레이트가 부틸아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제1급 비닐 단량체가 스티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직경이 50~250㎚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직경이 150~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톨루엔 팽윤지수가 15~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0. 제1항에 있어서,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스티렌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1. 제1항에 있어서,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알킬스티렌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알킬기가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알킬 스티렌이 알파-메틸스피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3. 제1항에 있어서, 비닐 방향족 공중합체가 제2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중 하나 이상과의 공중합체이고, 알킬기가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급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급 알킬 아크릴레이트가 에틸 아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6. 제3항에 있어서, 제1급 알킬 아크릴레이트가 에틸 아크릴레이트이고 비닐 방향족 공중합체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쉘이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알킬기가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8. 제17항에 있어서, 다른 쉘이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19. 제17항에 있어서, 다른 쉘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20. 제17항에 있어서, 다른 쉘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에틸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21. 제1항에 있어서, 코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대 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비율이 30 : 70~95 : 5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22. 제1항에 있어서, 코어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대 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비율이 60 : 40~80 : 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2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쉘이 교차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 중합체.
  24. 방향족 부가 또는 축합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연속상 및 250㎚이하의 직경의 교차 결합, 공역 디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고무상 코어를 갖는 영역의 불연속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의 쉘로 둘러 싸여져 있고 이들 쉘중 하나 이상은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불연속상은 역속상내로 13~45의 팽윤지수를 갖는 코어-쉘 중합체 입자로서 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중합체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방향족 부가 또는 축합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비닐 방향족 부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비닐 방향족 부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교차 결합 및 그래프트 연결된 고무상 폴리(부타디엔) 개량제의 영역의 제2차 불연속상이 1~30부피 %로 존재하며, 제2차 불연속상의 영역은 평균직경이 0.05~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폴리(스티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24항에 있어서, 방향족 부가 또는 축합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교차 결합 및 그래프트 연결된 고무상 폴리(부타디엔) 개량제의 영역의 제2차 불연속상이 1~30부피 %로 존재하며, 제2차 불연속사의 영역은 평균직경이 0.05~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폴리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연속상, 그리고 직경이 250㎚이하이며 교차 결합, 공역 디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고무상 코어를 갖는 영역의 불연속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 쉘로 포위되어 있으며 쉘 중의 하나 이상은 비닐 방향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고, 불연속상은 연속상 내로 13~45의 팽윤지수를 갖는 코어-쉘 중합체 입자로서 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중합체 조성물.
KR1019870011706A 1986-10-21 1987-10-21 스티렌계 수지용 코어-쉘 내충격성 개량제 Expired - Fee Related KR960008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170986A 1986-10-21 1986-10-21
US921709 1986-10-21
US921,709 1986-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181A KR880005181A (ko) 1988-06-28
KR960008308B1 true KR960008308B1 (ko) 1996-06-24

Family

ID=2544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706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8308B1 (ko) 1986-10-21 1987-10-21 스티렌계 수지용 코어-쉘 내충격성 개량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686528A (ko)
EP (1) EP0265142B1 (ko)
JP (1) JP2794032B2 (ko)
KR (1) KR960008308B1 (ko)
AT (1) ATE115155T1 (ko)
AU (1) AU606619B2 (ko)
BR (1) BR8705520A (ko)
CA (1) CA1325689C (ko)
DE (1) DE3750838T2 (ko)
ES (1) ES2065322T3 (ko)
IL (1) IL84205A (ko)
MX (1) MX168323B (ko)
ZA (1) ZA877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858A (en) * 1989-03-31 1993-02-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re-shell polymer, production and use thereof
DE69031606T2 (de) * 1989-03-31 1998-03-2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Kern-Schale-Polymer,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EP0390144A3 (en) * 1989-03-31 1991-09-04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re-shell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thereof
US5206299A (en) * 1989-03-31 1993-04-2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re-shell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thereof
JP2645409B2 (ja) * 1990-01-26 1997-08-2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高光沢耐衝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US5132360A (en) * 1990-05-29 1992-07-21 Shell Oil Company Polyketone polymer blends
US5186993A (en) * 1991-10-11 1993-02-16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blends
DE69604250T2 (de) * 1995-07-24 2000-05-31 Rohm And Haas Co., Philadelphia Styrolpolymerzusammensetzung
JP2001521966A (ja) 1997-10-31 2001-11-13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ゴム変性モノビニリデン芳香族ポリマーブレンド物
KR100380016B1 (ko) * 1998-03-20 2003-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구경고무라텍스제조방법
KR100574324B1 (ko) * 1999-02-04 2006-04-2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자연색상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US6316107B1 (en) * 1999-04-07 2001-11-13 Pmd Group Inc. Multiple phase polymeric vinyl chloride systems and related core-shell particles
KR100497407B1 (ko) * 1999-08-28 2005-06-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하고 자연색상이 향상된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0762500B1 (ko) * 2000-08-22 2007-10-04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강화된 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53875B1 (ko) * 2000-12-27 2004-10-2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하고 자연색상이 향상된 높은고무함량을 갖는 신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6861472B2 (en) 2000-12-28 2005-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6627701B2 (en) * 2000-12-28 2003-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and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US6495630B2 (en) 2000-12-28 2002-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6815491B2 (en) 2000-12-28 2004-11-09 General Electric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6855767B2 (en) 2000-12-28 2005-02-15 General Electric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6545080B2 (en) 2000-12-28 2003-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Glass-filled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6660794B2 (en) 2000-12-28 2003-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Glass-filled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WO2002062890A1 (en) * 2001-02-06 2002-08-15 Cyro Industries Polymethylmethacrylate compositions of enhanced optics and 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US6956084B2 (en) 2001-10-04 2005-10-18 Bridgestone Corporation Nano-particle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US7576155B2 (en) 2002-12-18 2009-08-18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for clay exfoliation, compositions therefore, and modified rubber containing same
US6875818B2 (en) 2003-01-16 2005-04-05 Bridgestone Corporation Polymer nano-strings
AU2012206982B2 (en) * 2003-01-16 2013-12-05 Viva Healthcare Packaging Limited Methods, compositions and blends for forming articles having improved 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
EP1590168A4 (en) * 2003-01-16 2008-08-06 Ian Orde Michael Jacobs METHODS, COMPOSITIONS AND MIXTURES FOR MOLDING ARTICLES WITH IMPROVED TENSION RISK RESISTANCE
JP4154358B2 (ja) 2003-08-21 2008-09-24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ポリマーの製造方法
US7022765B2 (en) * 2004-01-09 2006-04-04 General Electri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and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US7205370B2 (en) 2004-01-12 2007-04-17 Bridgestone Corporation Polymeric nano-particles of flower-like structure and applications
US7112369B2 (en) 2004-03-02 2006-09-26 Bridgestone Corporation Nano-sized polymer-metal composites
US7718737B2 (en) 2004-03-02 2010-05-18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alized polymer nanoparticles
US8063142B2 (en) 2004-03-02 2011-11-22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nano-particles of selected size distribution
US20050282956A1 (en) 2004-06-21 2005-12-22 Xiaorong Wang Reversible polymer/metal nano-composi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7998554B2 (en) 2004-07-06 2011-08-16 Bridgestone Corporation Hydrophobic surfaces with nanoparticles
US7838112B2 (en) 2004-11-30 2010-11-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odified gel particles and rubber composition
US7572855B2 (en) 2005-01-28 2009-08-11 Bridgestone Corporation Nano-composite and compositions manufactured thereof
US7579398B2 (en) 2005-02-02 2009-08-25 Bridgestone Corporation Nano-composite and compositions therefrom
US7659342B2 (en) 2005-02-03 2010-02-09 Bridgestone Corporation Polymer nano-particle with polar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7638574B2 (en) 2005-06-30 2009-12-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containing core-shell particles
FR2893031B1 (fr) * 2005-11-04 2008-02-08 Coatex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resine thermoplastique avec une resistance a l'impact amelioree mettant en oeuvre un polymere peigne avec au moins une fonction greffee oxyde de polyalkylene et resines obtenues.
US7538159B2 (en) 2005-12-16 2009-05-26 Bridgestone Corporation Nanoparticles with controlled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US9061900B2 (en) 2005-12-16 2015-06-23 Bridgestone Corporation Combined use of liquid polymer and polymeric nanoparticles for rubber applications
US7884160B2 (en) 2005-12-19 2011-02-08 Bridgestone Corporation Non-spherical nanoparticles made from living triblock polymer chains
US8288473B2 (en) 2005-12-19 2012-10-16 Bridgestone Corporation Disk-like nanoparticles
US8877250B2 (en) 2005-12-20 2014-11-04 Bridgestone Corporation Hollow nano-particles and method thereof
US7601772B2 (en) 2005-12-20 2009-10-13 Bridgestone Corporation Nano-composite and method thereof
US8697775B2 (en) 2005-12-20 2014-04-15 Bridgestone Corporation Vulcanizable nanoparticles having a core with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S7560510B2 (en) 2005-12-20 2009-07-14 Bridgestone Corporation Nano-sized inorganic metal particles, prepara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in improving rubber properties
CN100491461C (zh) * 2006-01-23 2009-05-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增韧聚苯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7935184B2 (en) 2006-06-19 2011-05-03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imidazolium surfactants
EP2046575A4 (en) 2006-07-28 2010-01-13 Bridgestone Corp POLYMERS CORE SHELL NANOPARTICLES WITH AN INTERPHASE AREA
US7597959B2 (en) 2006-12-19 2009-10-06 Bridgestone Corporation Core-shell fluorescent nanoparticles
US7649049B2 (en) 2006-12-20 2010-01-19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nanoparticle
US7829624B2 (en) 2007-06-29 2010-11-09 Bridgestone Corporation One-pot synthesis of nanoparticles and liquid polymer for rubber applications
KR101056234B1 (ko) * 2007-10-17 2011-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여 개질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WO2010078320A2 (en) 2008-12-31 2010-07-08 Bridgestone Corporation Core-first nanoparticle formation process, nanoparticle, and composition
US9062144B2 (en) 2009-04-03 2015-06-23 Bridgestone Corporation Hairy polymeric nanoparticles with first and second shell block polymer arms
US9115222B2 (en) 2009-12-29 2015-08-25 Bridgestone Corporation Well defined, highly crosslinked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9428604B1 (en) 2011-12-30 2016-08-30 Bridgestone Corporation Nanoparticle fillers and methods of mixing into elastomers
JP6039384B2 (ja) * 2012-11-27 2016-12-07 帝人株式会社 金型腐食性に優れる超臨界発泡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2945994B1 (en) 2013-01-18 2018-07-11 Basf Se Acrylic disper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KR102279651B1 (ko) 2018-11-15 2021-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4075431B (zh) * 2020-08-17 2023-10-13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油基钻井液堵漏用弱交联高聚物及其制备方法
CN116102684A (zh) * 2023-02-03 2023-05-12 沈阳化工大学 一种具有核壳结构亚微纳米粒子增韧剂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6123C (ko) * 1957-12-13
GB899999A (en) * 1957-12-26 1962-06-27 Monsanto Chemicals Polymer-containing compositions
US3300545A (en) * 1958-01-02 1967-01-24 Monsanto Co Blends of polystyrene and a graft copolymer of a styrene-methyl methacrylate type mixture on a rubbery polymer of a conjugated 1, 3-diene
US3177268A (en) * 1961-05-01 1965-04-06 Borg Warner Blends of poly(methyl methacrylate) and graft copolymer resin
US3509237A (en) * 1966-03-21 1970-04-28 Monsanto Co Abs graft polyblends containing two graft polymer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US3887652A (en) * 1970-11-09 1975-06-03 Dart Ind Inc Process for producing transparent graft polymer compositions
US3886235A (en) * 1971-10-07 1975-05-27 Kureha Chemical Ind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US4046839A (en) * 1973-06-14 1977-09-06 Foster Grant Co., Inc. Compositions having high impact at low rubber levels
US3985693A (en) * 1974-06-27 1976-10-12 Monsanto Company Polyvinyl chloride polyblend molding composition
US4042647A (en) * 1975-03-21 1977-08-16 Uniroyal, Inc. Latex suspension process and graft polyblend composition using small particle size spine
US4064093A (en) * 1976-09-22 1977-12-20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grafted rubber latices free of coagulum
JPS5575441A (en) * 1978-12-04 1980-06-06 Asahi Chem Ind Co Ltd Styren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US4239859A (en) * 1979-08-29 1980-12-16 Shell Oil Company High impact polystyrene blend compositions
DE2939657A1 (de) * 1979-09-29 1981-04-16 Basf Ag, 6700 Ludwigshafen Bindemittel fuer papierstreichmassen
GR69867B (ko) * 1979-11-20 1982-07-20 Basf Ag
US4371663A (en) * 1979-11-30 1983-02-01 The Dow Chemical Company Physically-ameliorated styrene polymer/thermoplastic elastomer polyblends
US4410661A (en) * 1981-08-21 1983-10-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ened polyamide blends
US4443585A (en) * 1981-12-21 1984-04-17 Rohm And Haas Company Diene/acrylate based impact modifier for PVC
JPS6038418A (ja) * 1983-08-12 1985-02-28 Mitsubishi Rayon Co Ltd 耐衝撃性改質剤
NL8304029A (nl) * 1983-11-23 1985-06-17 Dow Chemical Nederland Met rubber versterkte polymeren van monovinylideen-aromatische verbindingen met een zeer goede verhouding tussen glans en sterkteeigenschappen en een werkwijze voor hun bereiding.
EP0158258A3 (en) * 1984-04-06 1988-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resistant resinous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DE3425458A1 (de) * 1984-07-11 1986-01-23 Basf Ag, 6700 Ludwigshafen Thermoplastische formmasse
DE3441547A1 (de) * 1984-11-14 1986-05-15 Basf Ag, 6700 Ludwigshafen Schlagzaehe polyoxymethylenformmassen sowie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NL8501949A (nl) * 1985-07-08 1987-02-02 Dow Chemical Nederland Styreenpolymeerhars met verbeterde vloeieigenschappen.
CA1315906C (en) * 1985-11-04 1993-04-06 Lewis Ellis Ferguson, Iii Clear impact modifier for pvc
US4684696A (en) * 1986-03-14 1987-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polyphenylene compositions
US4740560A (en) * 1986-04-17 1988-04-26 The Dow Chemical Company ABS resin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65322T3 (es) 1995-02-16
EP0265142A2 (en) 1988-04-27
BR8705520A (pt) 1988-05-24
DE3750838D1 (de) 1995-01-19
JP2794032B2 (ja) 1998-09-03
US5686528A (en) 1997-11-11
JPS63117025A (ja) 1988-05-21
ZA877870B (en) 1988-04-21
MX168323B (es) 1993-05-18
KR880005181A (ko) 1988-06-28
AU7993387A (en) 1988-04-28
EP0265142B1 (en) 1994-12-07
ATE115155T1 (de) 1994-12-15
AU606619B2 (en) 1991-02-14
IL84205A0 (en) 1988-03-31
IL84205A (en) 1991-05-12
EP0265142A3 (en) 1990-03-07
CA1325689C (en) 1993-12-28
DE3750838T2 (de) 199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308B1 (ko) 스티렌계 수지용 코어-쉘 내충격성 개량제
US4605699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acrylate graft copolymer
EP0006291B1 (en) Blends of a polycarbonate resin and interpolymer modifier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S628410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9059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36284B1 (ko) Abs계 수지의 연속적 제조방법 및 abs계 수지
DE3202477C2 (de) Polycarbonat-Formmasse
DE69001136T3 (de) Polymer auf der Basis von Styro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0114598A1 (d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EP0142174B1 (en) Heat-resistant high impact styrene resin,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id styrene resin
EP021822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U555334B2 (en) Ternary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4603169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 graft copolymer of resin-forming monomers on a rubber
EP0000146A1 (en) Blends of phenolphthalein polycarbonates with rubber-modified monovinylidene aromatic copolymers
WO2001025334A1 (en) Improved flow carbonate polymer blends
WO2006121309A1 (en) Synthetic styrene resin composition for enviroment-friendly window frame
KR100604691B1 (ko) 입자중에 물을 함유하는 고무 라텍스의 제조 방법
CN114149642B (zh) 一种高刚韧性玻璃体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70162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367828B1 (ko) 충격강도가 향상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복합재료
US4143098A (en) Cdb rubber modified thermoplastics
JP3060127B2 (ja) 帯電防止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KR100237665B1 (ko) Abs계 수지/폴리카보네이트수지조성물
KR10060236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E69220989T2 (de) Gummiverstärkte Styrolharz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6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6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