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7359B1 -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359B1
KR960007359B1 KR1019880003140A KR880003140A KR960007359B1 KR 960007359 B1 KR960007359 B1 KR 960007359B1 KR 1019880003140 A KR1019880003140 A KR 1019880003140A KR 880003140 A KR880003140 A KR 880003140A KR 960007359 B1 KR960007359 B1 KR 96000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urnace
lock chamber
furnace
axis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557A (ko
Inventor
로나르디 에밀
Original Assignee
풀뷔르드 소시에떼아노님
앙리 라두와,르네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뷔르드 소시에떼아노님, 앙리 라두와,르네마르 filed Critical 풀뷔르드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88001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Tunnel Furnace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최초 위치로부터 약간 경사진 수직로의 장입 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는 방법을 개략 도시한 도면.
제 3a도는 저장 로크실의 경사를 변경 가능케하는 수단의 개략적인 상세도.
제3b도는 제 3a도의 3a-3a선을 따라 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로 14 : 보상기(compensator)
18 : 저장 로크실(storage lock chamber)
20 : 예비 호퍼(standby hopper) 22 : 지지 보재
28 : 균형부재(balance) 30 : 상자
32 : 응력 셀(stress cell) 36 : 로드
40 : 케이싱 44 : 스크루
46 : 피니언 O : 최초 기준 중심축선
O' : 로의 이동된 중심축선 a : 편의량(offset)
본 발명은 수직로와는 독립된 골조에 의해 받쳐지고 보상기에 의해 상기 수직로에 연결된 저장 로크실을 갖는 상기 수직로의 임의의 이동과 경사짐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럽 특허 EP-BI-0,062,770호에 따른 중앙 장입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에는 예비 호퍼와 저장 로크실이 수직로 상방에서 중심 축선상에 정렬되어 있다. 용광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으로 인한 국소적인 압축이나 열팽창 효과 때문에 그 최초 위치로부터 약간 경사질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저장 로크실로부터 낙하하는 장입재의 낙하 경로의 중심 축선이 로의 축선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로크실이 독립된 골조에 의해 지지되므로 로크실이 로의 이동에 추종하지 않기 때문이다. 로와 로크실간의 이러한 상대적 이동은 로 헤드와 로크실 하방에 위치한 밸브 하우징 사이에 있는 보상기에 의해 가능해진다.
로 헤드의 최초 또는 기준 위치에 대한 이러한 로 헤드의 편의가 매우 미세하다고 할지라도, 연속되는 적층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누적되며 또한 분배 슈우트가 관련된 것에서는 1측방에서 편의가 음이 되고 타측방에서는 편의가 양이되므로 편의의 효과는 2배가 되기 때문에, 장입재의 편심 분배를 야기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의 임의의 이동과 경사에도 불구하고 로의 중심 축선에 낙하 경로가 항상 일치되게끔 하는 낙하경로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보정 방법은 저장 로크실에 대한 로 헤드의 측방향 이동을 검출하고, 장입재의 낙하 경로의 축선이 로의 중심 축선과 일치할 때까지 저장 로크실을 경사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 로크실은 로의 중심 축선이 최초의 기준 중심 축선으로부터 편의되는 쪽에서 상승되고 그 반대쪽에서 하강됨으로써 바람직하게 경사되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여러개의 균형부재에 의해 로크실이 지지되는 장치에서 상기 보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보정 장치는 최초 기준 축선에 로 헤드의 편의 방향 및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로에 독립되고 보상기의 하부 둘레에 배치된 검출기의 링과, 각각의 균형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은 균형부재를 지지하며 케이싱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나사 로드 및 베어링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고 모터의 작용하에 무한 스크루에 의해 회전되는 축선 방향 나사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는 그의 회전을 방지하지만 그의 수직 이동을 허용하는 수단과 결합된다. 상기 나사로드를 수직 이동시키는 모터는 로의 편의를 검출하는 검출기의 제어하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 로크실은 균형부재에 의해 받쳐질 수 있거나 균형부재에 현수될 수 있다.
다른 특성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에 예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는 수직로(10)의 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바, 그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장입재 배분장치가 회전식 또는 진동식 배분 슈우트로 구성되어 장착된다. 이 슈우트는 도면부호(12)로 표시된 공지의 구동기구에 의해 동작된다. 수직로(10)의 상방에는 주름진 보상기(14), 밸브 하우징(16), 저장 로크실(18) 및 예비호퍼(20)가 수직로의 중심축선(O)에 정렬되어 배치된다. 보상기(14) 상방의 모든것을 여러개의 수직 필러(pillar)에 의해 받쳐진 수평의 지지 보강재(22)로 주로 구성되는 골조에 의해 지지되고, 수직 필러들은 수직로(10)에 독립된 구조체, 예를 들면 수직로 둘레로 통상 배치되는 정방형 타워(square tower)에 의해 지지된다.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동하여 마침내 그 중심 축선(O)이 O'로 표시한 위치까지 변위하는 바, 로(10)의 새로운 위치가 도면의 좌측상에 일점쇄섬으로 표시되어 있다. 로 축선의 변위 정도를 나타내는 편의량(a)은 설명을 위해서 장입 장치의 제반 치수에 비해 과장하여 표시하였다. 이 편의량(a)은 최초 기준 축선(O)과 축선(O')간의 변위를 특별히 허용하는 보상기(14)의 영역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편의에도 불구하고 로(10)의 실제축선(O')으로의 중심부장입을 확실케하기 위해, 로크실(18)은 최초 축선(O)을 기준으로 편의량(a)의 반대쪽으로 경사진다. 이를 위해, 로크실(18)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좌측에서 약간 상승하고 우측에서 약간 하강하여, 로크실의 유출구의 중심이 로(10)의 실제축선(O')의 연장선상에 올때까지 최초 위치에 대해 각도 ∂만큼 경사진다.
제 3a도는 여러개의, 바람직하게는 4개의 균형부재에 의해 보강재(22)상에 현수된 저장 로크실을 경사지게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제 3a도는 균형부재(28)중 어느 하나에 현수된 저장 로크실(18)의 상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 균형부재는 예컨대 압전기 변환기와 같은 응력셀(32)을 수용하는 상자(cage)(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크실(18)의 외벽에 용접된 요우크(yoke)(34)는 상자(30)의 저부를 통과하여 응력셀(32)의 헤드에 놓인다. 압축 효과에 의해 중량측정이 가능한 셀(32) 대신에 인장 용력을 측정하는 셀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균형부재(29)는 보강재(22)를 통과하는 로드(rod)(36)의 하단에 현수된다. 이 로드(36)의 하부(38)와 이하부(38)를 위한 보강재(22)내의 통로관은 로드(36)가 그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이 로드(36)가 수직으로 이동하게끔 하기 위해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보강재(22)상에는 외부 나사부(42)를 갖는 로드(36)의 상부가 통과하는 케이싱(40)이 존재한다. 케이싱(40)내에는 로드(36)를 수직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감속 유닛트(reductionunti)가 존재한다. 도시된 예에서, 이 감속 유닛트는 베어링(48)에 의해 케이싱(40)내에 놓여진 피니언(46)의 링에 작용하는 스크루(44)를 포함하는 무한 스크루 기어로 구성된다. 이 피니언(46)은 로드(36)의 나사부(42)와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된 축방향 통로를 갖는다. 따라서, 피니언(46)의 회전의 결과로써, 무한 스크루(44)의 회전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로드(3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스크루(44)는 전기 모터(4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면 부호(50)는 로크실(18)의 상부를 보강재(22)에 연결시키는 유연한 스트립이다. 이 스트립(50)은 로크실(18)의 수평 및 비틀림 안정성을 보장하는 한편, 균형부재(28)에 의해 중량이 지탱되게끔 수직 운동의 자유를 유지한다.
로크실(18)의 축선을 경사시켜서 중심 낙하를 재설정하기 위해 로드(3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필요한 정도를 확실히 하도록, 일련의 검출기들(51)이 보상기(14)의 하부둘레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이 검출기들(51)은 보상기(14)의 고정된 하부 칼라와 일체로된 원형 지지체상에 장착된다. 이같은 특별한 경우에, 이들 검출기들(51)은 공지된 거리 검출기일 수 있으며, 로의 이동에 영향받지 않도록 로와는 독립적으로 장착된다. 이들 검출기들(51)은 보상기(14)가 검출기 쪽으로 이동하는가 또는 그 반대쪽으로 이동하는가를 측정 가능하며, 따라서 편의량(a)의 정도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다. 물론, 최대 측정 신호를 제공하는 검출기는 편의량(a)의 방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측정치들이 알려지면 로크실(18)의 축선이 수직 축선에 대해 각도
Figure kpo00001
만큼 경사질 때까지 무한 스크루(44)에 작용하는 모터 각각을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로크실의 경사조작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설계된 경사치에 도달하는 순간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편의량(a)의 정도와 방위를 측정하기 위한 검출기들을 보상기(14)의 고정된 상부 칼라와 일체로 된 원형 지지체상에 장착할 수 있다. 이것은 로크실(18)의 경사가 검출기들의 지지체의 수평 방향 편의를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검출기들 자체의 수평 방향 편의를 야기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크실(18)의 경사조작은 보상기(14)가 다시금 완전한 원통형이 될 때까지, 환원하면, 검출기들에 의해 제공된 측정신호들이 소멸될 때까지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편의량(a)을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이 편의를 보상하는데 필요한 로크실의 경사각도 a를 산출가능하며, 경사 작업이 행해질 수 있게 하는 모터를 콤퓨터(54)의 제어하에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로크실이 균형부재에 의해 보강재(22)에 현수되어 있지만, 지지된 로크실, 다시 말하면 균형부재에 의해 보강재(22)에 지지된 로크실을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균형부재들은 로드(36)의 상단에 의해 받쳐진다.

Claims (9)

  1. 수직로(10)의 임의의 이동 및 경사짐에 의해 수직로의 중심축선이 최초의 기준 축선(O)으로부터 편의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수직로(10)와는 독립된 골조에 의해 받쳐지고 보상기(14)에 의해 수직로(10)의 헤드에 연결된 저장 로크실(18)을 갖는 상기 수직로(10)의 장입 장치에서 장입재의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저장 로크실(18)에 대한 수직로(10)의 헤드 측방향 이동을 검출하여, 상기 수직로(10)의 이동된 중심축선(O')을 측정하는 단계와; 장입재의 낙하경로의 축선이 수직로(10)의 상기 이동된 중심축선(O')과 일치할 때까지 저장 로크실(18)을 경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경로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 로크실(18)은 로의 중심 축선이 최초 기준 축선(O)으로부터 편의되는 쪽에서 상승되고, 그 반대쪽에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경로 보정 방법.
  3. 수직로(10)의 임의의 이동 및 경사짐에 의해 수직로의 중심 축선이 최초의 기준축선(O)으로부터 편의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수직로(10)와는 독립된 골조상의 여러개의 균형부재(28)에 의해 지지되고 보상기(14)에 의해 수직로(10)의 헤드에 연결된 저장 로크실(18)을 갖는 수직로(10)의 장입 장치에서 장입재의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최초 기준 축선(O)에 대한 로(10)의 헤드의 편의 방향 및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수직로(10)에 독립되고 보상기(14)의 하부 둘레에 배치된 검출수단과; 장입재의 낙하 경로의 축선이 수직로(10)의 상기 이동된 축선(O')과 일치할 때까지 저장 로크실(18)을 경사시키기 위해 균형부재들(28) 각각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방법 수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균형부재(28)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기 수단은, 균형부재(28)를 지지하며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어 케이싱(40)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 로드(36) 및, 베어링(48)에 의해 상기 케이싱(40) 내부에 장착되고 모터의 동작하에서 무한 스크루(44)에 의해 회전되는 축선 방향 나사 피니언(4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방법 수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보상기(14) 둘레의 검출기들은 보상기(14)의 고정된 상부 칼라와 일체로 된 원형 지지체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방법 수행장치.
  6. 제 3 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드(36)를 수직 이동시키는 모터들은 수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방법 수행장치.
  7. 제 3 항 내지 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드(36)를 수직 이동시키는 모터들은 검출기로부터 공급된 신호의 작용으로 콤퓨터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방법 수행장치.
  8. 제 3 항 내지 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로크실(18)이 균형부재(28)에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방법 수행장치.
  9. 제 3 항 내지 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로크실(18)이 균형부재(28)에 의해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방법 수행장치.
KR1019880003140A 1987-03-24 1988-03-23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60007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86822 1987-03-24
LU86822A LU86822A1 (fr) 1987-03-24 1987-03-24 Procede et dispositif de correction de la trajectoire de chute dans une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557A KR880011557A (ko) 1988-10-29
KR960007359B1 true KR960007359B1 (ko) 1996-05-31

Family

ID=1973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140A Expired - Fee Related KR960007359B1 (ko) 1987-03-24 1988-03-23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78797A (ko)
JP (1) JPS63259006A (ko)
KR (1) KR960007359B1 (ko)
CN (1) CN1011705B (ko)
AU (1) AU592254B2 (ko)
CS (1) CS274622B2 (ko)
DE (1) DE3809534C2 (ko)
FR (1) FR2613051B1 (ko)
GB (1) GB2203822B (ko)
IT (1) IT1216031B (ko)
LU (1) LU86822A1 (ko)
NL (1) NL8800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053A (ko) * 2016-02-18 2018-10-08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삭도 시스템에서 움직이는 삭도 차량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8450A (en) * 1993-05-07 1995-10-17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essure-vacuum rated flexible connector for use in material handling systems
US8376004B1 (en) 2010-08-20 2013-02-19 Roberto J. Nieto Spill-stopping device for chemical dru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414A (en) * 1914-12-02 1916-02-15 Riter Conley Mfg Co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US2684897A (en) * 1948-09-08 1954-07-2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Smelting of ore, particularly iron ore
GB789110A (en) * 1955-03-15 1958-01-15 Leslie Newman Improved dry-feed hopper
LU82173A1 (fr) * 1980-02-15 1980-05-07 Wurth Sa O Dispositif de chargement pour fours a cuve
LU83280A1 (fr) * 1981-04-03 1983-03-24 Wurth Paul Sa Procede pour actionner une goulotte oscillante dans une enceinte sous pression,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t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equipe d'un tel dispositif
LU83279A1 (fr) * 1981-04-03 1983-03-24 Wurth Paul Sa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LU84303A1 (fr) * 1982-07-28 1984-03-22 Wurth Paul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u mouvement d'une goulotte oscillante et application a une installation de chargement d'un four a cuve
DE3661275D1 (en) * 1985-05-07 1988-12-29 Wurth Paul S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installation of a shaft furnace and charging installation using this method
LU85892A1 (fr) * 1985-05-10 1986-12-05 Wurth Paul Sa Procede de controle du chargement d'un four a cu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053A (ko) * 2016-02-18 2018-10-08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삭도 시스템에서 움직이는 삭도 차량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557A (ko) 1988-10-29
CN1011705B (zh) 1991-02-20
IT1216031B (it) 1990-02-22
NL8800722A (nl) 1988-10-17
GB8806660D0 (en) 1988-04-20
AU1252488A (en) 1988-09-22
US4878797A (en) 1989-11-07
FR2613051B1 (fr) 1989-12-29
CS194188A2 (en) 1990-11-14
CS274622B2 (en) 1991-09-15
LU86822A1 (fr) 1988-11-17
DE3809534A1 (de) 1988-10-06
GB2203822B (en) 1990-09-26
IT8819701A0 (it) 1988-03-09
CN88101374A (zh) 1988-10-05
JPS63259006A (ja) 1988-10-26
GB2203822A (en) 1988-10-26
AU592254B2 (en) 1990-01-04
FR2613051A1 (fr) 1988-09-30
DE3809534C2 (de) 199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303B1 (ko) 계량장치
US476725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shaft furnace
JPH0798521B2 (ja) 回転式重量充填装置
US4071166A (en) Blast furnace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KR960007359B1 (ko) 수직로의 장입 장치에서 낙하 경로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2657Y2 (ko)
CN109269617A (zh) 一种能够自动校准水平且有斜溜槽的物联网定量斗
US5767381A (en) Centrifuge model test apparatus
RU2170961C2 (ru) Линия контроля и разбраковки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US4467881A (en) Span adjusting device in automatic weighing machine
EP0961749A1 (en) Stair lift
CN208902249U (zh) 一种能够自动校准水平且有斜溜槽的物联网定量斗
US2652141A (en) Continuous weighing mechanism for solids
CN218297453U (zh) 一种调平测力装置
RU2034240C1 (ru) Весо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048333A (en) Material level checking apparatus for use in a rotating member
JPH01291198A (ja) 原子炉内下部構造物検査装置
US4859131A (en) Supporting framework for a loading installation of a shaft furnace
CN220063148U (zh) 一种耐高温弹性体材料用失重秤
SU476449A1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дозатор ферросплавов
US4540058A (en) Apparatus for weighing heavy loads
KR102236165B1 (ko) 수위 감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CN210913069U (zh) 坚果包装生产线
JPS61245026A (ja) 粉粒体供給装置
SU137405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уровн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в бункер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6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