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4751B1 - 휨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휨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51B1
KR960004751B1 KR1019930000006A KR930000006A KR960004751B1 KR 960004751 B1 KR960004751 B1 KR 960004751B1 KR 1019930000006 A KR1019930000006 A KR 1019930000006A KR 930000006 A KR930000006 A KR 930000006A KR 960004751 B1 KR960004751 B1 KR 96000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roove
bending
blad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287A (ko
Inventor
쇼오이찌 무라이
Original Assignee
무라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쇼오이찌 무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쇼오이찌 무라이 filed Critical 무라이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63Die with two oscillating h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휨가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제2실시예의 부착판을 형틀에 굳게 부착한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동상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동상의 제1실시예에서 스페이서가 다른 것을 부착한 상태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틀 2 : 홈
4 : 스페이서 4a : 빗면
4b : 단부 9 : 블레이드
15 : 부착판 25 : 펀치
본 발명은 판재(피가공물)를 구부리는 휨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판재(피가공물)를 구부리려면, V홈 형성의 형틀(die) 위에 이 판재를 재치하고, 그 위로부터 펀치로 가압하는 것이지만, 변형의 과정이 순수휨, 소성휨, 슬라이딩, 교정성형 완료라고 하는 차례로 실행하게 되고, 그 경우에 판재가 형틀의 양 어깨의 2점에서 받쳐지게 되는 순수휨 과정부근에서 판재에 상처가 나서,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소재와 형틀 사이에 우레탄, 고무 등의 간섭재를 개재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간섭재는 프레스의 1행정마다 이동시키지 않으면, 아니되며, 더우기 그 이동은 손작업이기 때문에 매우 노력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재의 휨가공시에 이 소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는 일 및 V폭별로 형틀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휨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휨가공장치는 피가공물을 구부리기 위한 형틀과 펀치를 갖는 휨가공 장치에 있어서, 희망하는 홈을 지닌 형틀과, 이 홈위에 설치된 한쌍의 블레이드(blade), 이 한쌍의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부착핀과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되돌아오게 하는 귀환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형틀에 형성한 홈을 한쌍의 스페이서로 그 일부가 형성된다.
또한 스페이서는 빗면의 중도에 단부를 설치하여 그 전후에 빗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휨가공시에 블레이드가 이 피가공물에 전체면으로 접촉하면서 일정한 휨각도에 도달하기까지 전면접촉이 유지된다. 이때문에 피가공물에 형틀의 각부가 닿지 않아서 상처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스페이서로 희망하는 홈이 용이하게 만들어지고 또한 스페이서를 바꿈으로서 V폭의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제4도에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형틀(1)은 일반적으로 프레스에 부착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면에는 홈(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은 형틀(1) 자신의 부분(3)과 한쌍의 스페이서(4), (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홈(2)은 제1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은 V형을 이루고, 홈(2)의 중심은 돌출한 3각형상의 철부(5)와 그 양측에 설치된 3각형상의 철부(凸部)(5)와 그 양측에 설치된 3각형상의 요부(凹部)(6),(6)를 지녔으며, 철부(5)의 정상부(5a)에서 요부(6)의 저부(6a)까지의 길이(A)는 다음에 설명하는 블레이드(9)(9)의 폭(B)과 같다.
스페이서(4),(4)는 한면이 빗면(4a)으로 되어 있고, 이 빗면(4a)의 중간정도에 단부(4b)를 지닌 2개의 평행하는 빗면(4a'),(4a")을 구비하였으며 이 빗면(4a)에 홈(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4),(4)는 희망하는 형상을 구비하였고, 이 형상에 알맞는 곳에 형틀(1)이 형성되어 부착나사(8)로 형틀(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4),(4)의 단부(4b)의 위치를 제4도에 나타낸 2점 쇄선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단부를 없애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제조하면 그것들을 바꾸므로서, 이른바 V폭 C의 변경을 임의로 할 수 있게 된다.
한쌍의 블레이드(9),(9)는 형틀(1)의 상면에 또한 홈(2)에 잇따라서 설치되었고, 이 블레이드(9),(9)의 양단에는 지지축(10),(10)이 형성되었으며, 지지축(10),(10)은 다음에 설명하는 부착판(15)에 지지되도록 긴홈(11),(11)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한쌍의 블레이드(9),(9)의 귀환수단으로는, 이 블레이드(9),(9)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12)의 양단이 지지축(10),(10)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구멍(13),(13)에 감입(嵌入)되어 있다. 이러한 귀환 수단에 따라서 V형으로 구부려도 펀치(25)의 가압력이 없어지면, 수평으로 되돌아 오게 된다.
부착판(15)은 형틀(1)의 단면에 설치되 있고, 부착나사(16)가 구멍(17)을 개재하여 나사구멍(18)으로 틀어넣으므로서 굳게 부착되고, 위치 결정용 핀(19),(19)이 구멍(20),(21)에 삽입되어서 위치가 특정된다.
부착판(15)은 중앙에 V형 노치(22)와 그 양측에 한쌍의 긴구멍(23),(23)이 형성되었고, 이 긴구멍(23),(23)에 지지축(10),(10)이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착판(15)은 회전과 이동방향이 규재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1도에 기초하여 가공예를 설명하면 피가공물(판재)(D)를 블레이드(9),(9)위에 재치하고, 그런 다음에 펀치(25)를 내려서 피가공물(D)을 가압한다.
그러면, 피가공물(D)이 블레이드(9),(9)에 전면적으로 밀착하면서 이 블레이드(9),(9)가 지지축(10),(10)을 받침점으로 하여 중앙부(접합측)가 구멍으로 떨어져 들어가서 서서히 각도를 지으면서, 홈(2)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피가공물(D)도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문에 피가공물(D)에 상처를 내는 일은 없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피가공물(D)의 판두께가 일정하면, 소정의 V폭을 갖게 한 상술한 스페이서(4),(4)가 없는 홈(2)만으로도 좋고 이러한 예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블레이드(9),(9)를 수평으로 유지시킴에 이 블레이드(9),(9)의 양단에 설치한 선형의 스프링(12)으로 실행하여 왔으나, 이에 대신하여 형틀(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홈(26)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홈(26)내에 코일스프링(27)을 탄력 장착하여 압출 뚜껑(28)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펀치(25)의 압출력을 부여하게 되면, 블레이드(9),(9)는 코일스프링(27)에 저항하여 V형으로 구부러지고, 또 압출력이 없어지게 되면 이 코일스프링(27)에 의하여 블레이드(9),(9)는 수평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더우기 그밖의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가공물의 구부리는 가공에 있어서, 모든 가공행정시에 한쌍의 블레이드를 피가공물의 전체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형틀의 뾰족한 부딪힘이 방지되어 상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를 바꾸므로서 이른바 V폭을 적당히 변화 가능하게 되어 V폭별 형틀의 제조를 하지 않아도 되고 코스트인하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피가공물을 구부리기 위한 형틀과 펀치를 갖는 휨가공장치에 있어서, 희망하는 홈을 지닌 형틀과, 이홈위에 설치된 한쌍의 블레이드와, 이 한쌍의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부착핀과,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되돌아오게 하는 귀환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형틀에 형성한 홈을 한쌍의 스페이서로 그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V폭 가변용으로 빗면의 중간정도에 단부를 설치하여, 그 전후에 평행한 빗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가공장치.
KR1019930000006A 1992-04-23 1993-01-04 휨가공장치 KR960004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30056 1992-04-23
JP13005692 1992-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287A KR930021287A (ko) 1993-11-22
KR960004751B1 true KR960004751B1 (ko) 1996-04-13

Family

ID=1502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006A KR960004751B1 (ko) 1992-04-23 1993-01-04 휨가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95385A (ko)
KR (1) KR960004751B1 (ko)
TW (1) TW203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4943B2 (en) * 2003-07-15 2008-11-25 Tooling Innovations, Inc. Articulated bending brake for sheet metal forming
GB0623139D0 (en) 2006-11-21 2006-12-27 Rolls Royce Plc A bending tool
DK200700799A (da) * 2007-06-01 2008-12-02 Hansen Torben Kirk Skåneværktöj til et bukkeværktöj
KR100948930B1 (ko) * 2008-02-22 2010-03-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금형
CN101569907A (zh) * 2008-04-28 2009-11-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折弯模具
US20130111967A1 (en) * 2011-10-10 2013-05-09 Invacare Corp. Punch and die set
SE537072C2 (sv) * 2013-06-05 2014-12-30 Mizelda Ab Vikanordning och användning av vikanordning för vikning av ett ämne
AT515231B1 (de) * 2014-01-09 2015-09-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Unterwerkzeug einer Biegepresse mit einer Biegewinkelmessvorrichtung
AT517315B1 (de) * 2015-05-28 2017-04-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s Formabschnittes eines Biegewerkzeug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527A (ja) * 1985-12-28 1987-07-14 Nippon Kokan Kk <Nkk> 複合型制振鋼板の曲げ金型
JPH0798222B2 (ja) * 1986-07-30 1995-10-25 鎌倉産業株式会社 役物パネル成形用金型
US5060501A (en) * 1991-01-25 1991-10-29 Century Manufacturing Co. Inc. Flat metal stock bending d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3566B (en) 1993-04-11
KR930021287A (ko) 1993-11-22
US5295385A (en)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751B1 (ko) 휨가공장치
JP3610606B2 (ja) プレス用カム型
US2882952A (en) Die for use in bending flat metal stock and the like
JP4153588B2 (ja) ワークバイスの丸棒用ワーク受台
US5197367A (en) Steel rule die retaining board and die lock
JP2004261866A (ja) 工具スペーサのための櫛状システム
US5566445A (en) IC mounting tool
KR101036007B1 (ko) 다기능 절곡기 및 다기능 절곡다이 조립체
JPH02147120A (ja) 鞍反り矯正板曲げ方法
KR0128173B1 (ko) 아이씨(ic) 리이드의 구부러짐 교정장치
JPH10137852A (ja) 折り曲げ、平押し金型
JPH044047B2 (ko)
KR20220089794A (ko) 기계가공용 굴곡 성형장치
JP2546772B2 (ja) 曲げ加工装置
KR20150073011A (ko) 스프링백 평가장치
EP4523847A1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component
KR100259178B1 (ko) 반도체 가공장치의 메카니컬식 프레스장치에 상부금형을 고정하는 구조
KR102405945B1 (ko) 프레스 금형
KR930008593Y1 (ko) 대칭 제품용 밴딩금형구조
KR910005935A (ko) 판재교정장치를 가진 프레스 브레이크 시스템
JPH09276934A (ja) 金属板のプレス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金型
SU15727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ибки штучных заготовок
KR850001525B1 (ko) 금속 시이트를 굽히기 위한 장치
CN211637833U (zh) 一种便于定位的折弯机
JP5059179B2 (ja) 運動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3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