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2530B1 -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530B1
KR960002530B1 KR1019920009003A KR920009003A KR960002530B1 KR 960002530 B1 KR960002530 B1 KR 960002530B1 KR 1019920009003 A KR1019920009003 A KR 1019920009003A KR 920009003 A KR920009003 A KR 920009003A KR 960002530 B1 KR960002530 B1 KR 96000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weight
terephthalate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654A (ko
Inventor
가주또 하나부사
Original Assignee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가히 다꾸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가히 다꾸죠 filed Critical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5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기간동안 릴레이 또는 스위치 같은 전기 소자의 우수한 접촉 특성을 유지하는 성능을 갖고 성형 가공성에도 뛰어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BT로 약함)는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서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과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서 우수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자동차 전기 및 전자 기기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PBT 수지는 전기 및 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데가브롬디페닐에테르 또는 브롬화 타탄산염 올리고머만의 유기 할로겐 함유 난연제에 또는 이에 3산화 안티몬 같은 무기 난연조제가 가해진 것에 혼합하여 만들어진 난연성 조성물로서 사용돼 왔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난연성 PBT 수지 조성물은 그성이 베아링 접촉 전기소자의 재료로서 사용될 때 그 부품의 접촉 특성을 저하시키는 장기 또는 고온의 사용에서 많은 양의 가스를 발생한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생기는 이유로서는 그 조성물이 성형에서 가열될 때 또는 이 조성물에서 된 성형물이 고온에서 사용될 때 난연성 PBT 또는 그 분해 생성물이 접착 또는 부식을 일으키는 접촉에서 약간의 방전으로써 탄화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브롬화 비스이미드, 브롬화 에폭시 올리고머등의 난연제로서의 사용이 제안돼 왔다.
그러나, 이들 브롬화 난연제등은 역시 불충분했고, 그러한 난연제를 포함하는 PBT 조성물은 약간의 감량과 더불어 가스를 발생하고 있다. 더욱 브롬화 에폭시 올리고머의 사용은 한편 PBT 수지의 열분해를 알코올, 아민 또는 인화합물 및 이와 유사한 것등을 첨가하여 방지하는 방법도 제안돼 왔다.
그러나, 그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PBT 수지도 사용중의 가스 감량은 가져왔으나 접촉 특성의 개선은 거의 보지 못했다. 그래서 가스 발생과 접촉 특성을 다같이 만족시키는 난연성 PBT 수지 조성물의 생산은 매우 어려워서 적지 않은 PBT 수지의 적용 분야의 확대를 막아 왔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PBT 수지의 개선은 참으로 기대되고 왔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유기가스나 할로겐화 부식가스의 발생을 줄여서 장기 사용후에도 접촉부 구성 금속을 거의 부식하지 않는 베어링 접촉 전기소자의 재료에 적합한 난연성 PBT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곧, 본 발명은 다음 것들로서 이루어지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0.75-1.5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B) 평균 중합도 6-30을 갖고 일반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서 되는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 1-50중량부,
위에서 X는 브롬 또는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10인 알킬렌, 알킬리덴, 시클로알칸, 카르보닐기, -O-, -S- 또는 -SO2-를 나타내고,
(C) 0.1-30중량부의 성분으로서 5산화안티몬과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안티몬 화합물,
(D) 0.01-10중량부의 다수화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리고,
(E) 0-5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
이제본 발명의 조성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에서 사용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A)는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저급 알코올에스테르와의 중축합에서 만들어지는 한가지이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역시 중량으로서 70% 이상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코폴리머이다. 공중합될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또는 저급알코올 에스텔 외에 2염기산을 포함하는데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트리멜리틱산 그리고 호박산과 에스테르 형성유도체와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다염기산류 ; 히드록시 벤조산과 히드록시나프토익산과 에스테르 생성 유도체와 같은 방향족 히드록시 카르복실산류 ; 1,4 부탄디올 이외의 글리콜류 이를테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그리콜, 네오펜틸글리콜 그리고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같은 통상의 알킬렌 글리콜류, 1,8-옥탄디올 같은 저급 알킬렌 글리콜류 ; 비스페놀 A와 4,4'-디히드록시비페닐 같은 방향족 알코올류 ; 2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분자의 첨가체와 2개의 프로필렌 옥사이드분자 첨가체와 같은 비스페놀 A와 알킬렌옥사이드와의 첨가생성물 ; 그리고 글리세린과 펜타에티트리톨과 그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와 같은 폴리히드록실 화합물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들중에서 선택된 모노머들의 중축합에 의해서 만들어진 모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류는 성분(A) 로서 단독 또는 그들의 2개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사용은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의 범주에 떨어지는 PBT 분리 폴리머도 사용될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된 "PBT 분지 폴리머"라는 용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다기능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서 형성된 분자를 갖는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분지 폴리머의 제조에 쓰이는 다기능 화합물에는 트리메식산, 트리멜리틱산 및 피로멜리틱산 그리고 알코올에스테르류 ; 글리세린, 트리메틸롤에탄, 트리메틸롤 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쓰이는 PBT 수지는 30℃, O-클로로페놀에서 결정된 0.75-1.5dl/g, 바람직하게는 0.8-1.2dl/g,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8-1.0dl/g의 고유점도를 가져야하는데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유점도가 0.75dl/g보다 낮을 때는 PBT 수지에서 나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같은 가스발생이 충분히 낮추어지지 않고 한편 1.5dl/g을 넘으면 생기는 수지가 성형과정에서 유동성이 나빠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PBT 수지(A)에 첨가되는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B)는 일반식(1)로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예컨데 할로겐화 비스페놀 글리시딜에테르와 할로겐화 비스페놀이 적합한 촉매 존재하에 필요하면 용매중에서 반응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식(1)로서 표시된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을 구성하는 할로겐화 비페놀 화합물은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1,1-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황화물,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황화물등을 포함하고, 그중에서도 일반적으로 테트라브로비스페널 A라고 불리우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 가장 바림직하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또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과 같은 비할로겐화 비스페놀 화합물은 상술한 할로겐화된 한가지와 같이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그 끝에 글리시딜 그룹과 또는 히드록시 그룹을 가지나 발단의 그룹들은 카르복실산, 페놀, 아민, 알코올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보호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B)는 평균 중합도수가 6-30, 바람직하게는 10-2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20이다. 중합도가 6 이하이면 생기는 조성물이 대량의 가스 발생이 있는 성형 과정에서 체류 안정성이 나빠지고, 조성물이 압출기에서 만들어질 때 많은 석출물이 압출기 내부에 생겨서 잦은 청소를 요하게 한다. 반대로 중합도가 30을 넘으면 압출에 의한 조성물 제조가 너무 높은 용융점도 때문에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된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의 양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부이다.
그 양이 1중량부보다 적을적에는 불충분한 난연성 효과가 얻어지고, 한편 그것이 50중량부를 초과할 때 생기는 난연성 조성물은 기계적 및 열적 성질이 나빠져 좋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안티몬 화합물(C)은 성분으로서 5산화안티몬(Sb2O5)과 알칼리금속 산화물(M2O)을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5산화안티몬과 알칼리금속 산화물과의 몰비가 1 : 0 내지 1 : 0.8이고 5산화안티몬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알칼리금속 산화물을 이루는 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등을 포함하나 그중에서 비용면에서 나트륨이나 칼륨이 바람직하다. 특히 나트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안티몬 화합물은 예컨데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방법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a) 안티몬나트륨을 물에 분산시키면서, 유기염기 또는 염을 0.5-20중량%(안티몬나트륨기준)을 가하고, 안티몬나트륨을 1 또는 2 염기성 무기염기로서 1.5-5배의 당량을 반응을 일으켜 생긴 혼합물에 가하여 형성된 5산화안티몬 겔,
(b) 이 겔을 여과해서 회수하여 물로써 씻고, 다시 그것을 물에 분산시키고 50-100℃에서 얻어진 분산을 에이징하고, 그리고
(c) 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 또는 알칼리금속염을 생성한 분산에 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고체를 건조하여 분쇄한다.
위의 건조는 실온과 500℃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270℃ 이하에서 만들어진 생성물은 결정수로서 4-16%의 수분을 갖는다. 안티몬 화합물은 0.5-50㎛의 평균 입자직경의 가루로서 만들어진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안티몬 화합물은 물에 분산했을 때 pH 6-10의, 바람직하기로는 7-9의 슬러리를 형성한다. 슬러리의 pH가 6 이하 또는 10 초과일 때는 PBT 수지의 분해가 가속되어 증가된 가스량이 수지에서 발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될 안티몬 화합물(C)의 양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3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5-20중량부이다.
그 양이 0.1중량부보다 적을 때는 PBT 수지의 난연성은 충분히 개선되지 않고, 한편 그것이 30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수지의 기계적 성질이 나빠진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에 가해지는 특정량의 아래에 설명될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에 스테르(D), 할로겐화 페녹시화합물(B) 및 안티몬 화합물(C)을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4성분을 배합하므로서 조성물은 뛰어난 난연성과 잘 균형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고, 성형가공과 사용에서 발생하는 가스량을 극소화하고, 분산성, 이형성 및 유동성이 향상되고 성분(B)와 (C)가 포함된 PBT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는데도 접촉 특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첨가될 다가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D)는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소르비탄과 같은 다가알코올과 라우린산, 팔미틴산 및 스테아린산 또는 히드록시 지방산과 같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이다.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가알코올은 적어도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펜타에리트리톨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바람직하기로는 라우린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베헨산, 몬탄산, 히드록시 스테아린산 및 히드로기 베헨산과 같은 탄소원자 12개 이상을 갖는 것이다. 특히 16-35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탄소원자 12개 이하의 지방산으로서 만들어진 에스테르가 사용됐을 때 생기는 조성물은 이형성의 개선이 거의 없고 열저항성도 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될 지방산 에스테르의 보기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팔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팔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 베헤네이트, 에틸렌 글리코올 디베헤네이트, 에틸렌 글리콜몬타네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몬타네이트, 글리세린 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 디팔미네이트, 글리세린 트리팔미테이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베헤네이트, 글리세린 디베헤네이트, 글리세린 트리베헤네이트, 글리세린 모노히드록시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팔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팔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팔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팔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 스테아레이트, 펜타에이트리톨 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히드록시 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히드록시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몬타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모타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몬타네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몬타네이트가 있다.
이들 지방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서 또는 2,3개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지방산 에스테르는 per se법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그 분자에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원자단에 대한 수산기의 비를 조정하여 조성물 성형성(유동성과 이형성과 같은)과 가스 발생간의 호적한 균형을 향상 할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기로는 글리세린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모노 또는 디글리세린 또는 펜타에리트리톨과 스테아린 또는 베헤닌산과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가 좋으나 상술한 어느 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이루어진다.
첨가될 지방산 에스테르(O)의 양은 0.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더욱 좋기로는 0.5-3중량부이다. 그 양이 0.01중량부 보다 적을 때는 성형성이 거의 개선되지 않고 가스 발생도 거의 감소하지 않으나 한편 그 양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성질이 광범위하게 나쁘게 영향 받는다.
본 발명에 따라 성분(E)로서 무기 충전재를 사용하면, 기계적 강도, 열저항성, 치수안정성(변형이나 뒤틀림에 대한 저항) 및 전기적 성질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충전재는 목적에 따라 섬유상, 분말상 및 플레이크(비눌)상인 것중에서 선택된다.
섬유상 충전재에는 무기 섬유재로서 예를 들면, 유리, 탄소,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질화붕소, 질화실리콘, 붕소 및 칼륨 티탄에이트의 섬유 그리고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티탄, 구리 및 놋쇠 같은 금속의 섬유가 있다. 그 중에서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가 가장 대표적이다. 또한 섬유상 충전재로서 고온 용융 유기섬유재에는 폴리 아미드와 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분말상 충전재에는 카아본 블랙, 실리카, 석영분, 유리알, 유리분, 칼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고령토, 활석, 점토, 규조토 및 규회석 같은 규산염 ; 철 옥사이드, 티탄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및 알루미나 같은 금속 산화물 ; 칼슘 카아보네이트, 마그네슘 카아보네이트 같은 금속 탄산염 ; 칼슘 설페이트 및 바륨 설페이트 같은 금속 황산염, 탄화 실리콘, 질화실리콘, 질화붕소 등 여러가지 분말을 들 수 있다.
플레이크상 충전재에는 운모, 유리플레크 등 여러가지 금속박이 있다.
이들 무기충전재들은 단독으로 또는 2,3,가지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섬유상 충전재의 동시 사용은 특히 유리섬유와 분말상 또는 플레이크상 충전재와의 동시 사용은 기계적 강도뿐만 아니라 치수정확도에도 그리고 전기적 성질에도 뛰어난 성형품을 만드는데 각별한 효과가 있다.
필요하다면, 이들 충전재들은 사이즈제또는 표면처리제와 같이 쓴다. 이 예로서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안네이트 화합물, 실란 화합물 및 티탄네이트 화합물 같은 기능성 화합물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충전재에 미리 적용하든지 또는 조성물 제조에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첨가될 무기충전재양은 0-15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5-100중량부이다. 그 양이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생기는 조성물의 가공성은 성형에서 어려워지고 얻어진 성형품이 기계적 강도에서 문제가 생긴다. 더욱 동시에 사용될 다기능성 표면 처리제의 양은 무기 충전재 기준으로 0-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5-5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량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보조적으로 함유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에틸렌-아크리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아크리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산(또는 그 에스테르)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리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부타디엔,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할라이드, 부틸고무 및 주성분으로서 폴리아크리레이트로 구성되는 다상그래프트 중합체가 있고 그것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에 따르는 조성물에 원하는 특성을 주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일반적으로 첨가하는 알려진 물질이 더욱 함유되는데 그 물질 예로서는 상기한 것들외에 활제, 이형제, 윤활제, 염료나 같은 착색제, 가소제, 결정촉진제, 핵생성제, 산화방지제같은 안정제, 열저항제및 자외선 흡수제, 그리고 정전방지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장치로서 일반적인 수지 조성물 제조법에 의하여 쉽게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다음 방법들로서 만들어진다.
(ⅰ)성분들을 같이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녹이고 이개서 압출기에서 조립한 다음 그 알맹이를 성형하는 방법, (ⅱ)조합물 단계에서 서로 다른 알맹이 조성물들을 준비하고, 그 알맹이 조성물들을 미리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목적하는 조성을 갖는 성형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하는 방법 또는 (ⅲ)성형기에 한가지 또는 몇가지 성분을 직접 집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한 수지성분을 분쇄하는 과정, 얻어진 분말과 다른 성분을 혼합 그리고 얻어진 혼합물을 잔여에 첨가하는 공정 등의 채택은 균일한 배합을 위하여 유리한 것이다.
앞서의 설명을 이해했을 때 어느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어느 중합도를 갖는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과 어떤 안티몬 화합물 및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배합으로서 만들어진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부티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성형성을 갖고, 뛰어난 난연성을 나타내면서 실제사용에서 극소량의 가스를 발생하는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어 장기사용 후에도 앙금에 의한 오염이 접촉 표면에 거의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조성물은 전기나 전자부품 및 자동차 부품의 생산에 즐겨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이제다음의 보기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그것들에 재한 받지 않으며, 또 그것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실시예들이다.
각 조성물은 다음의 방법들에 의하여 각종 특성이 평가되었다.
(1) 가스 발생
표 1에 상술된 조성을 갖는 페릿(알맹이)은 ASTM 인장강도 시험편으로 사출성형되고 시험편은 분쇄됐다. 이 분쇄 편은 시료로 사용되고 5g의 시료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시료에서 가스발생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시간동안 150℃에서 20㎖의 헤드스페이스 속에 방치하게 된다. 가스의 양(무게)은 시료무게 기준으로 ppm으로 표시된다. 결정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장치 : HP5890ㅁ
컬럼 : HR-1701, 0.32㎜ψ×30㎝
컬럼온도 : 50℃(1분)→5℃/분→250℃/(1분)
검출기 : FID
(2) 유동도
유동도(바(막대)유동길이) 결정 방법
표 1에 표시한 조성을 갖는 페릿은 얇팍한 시험편(폭 5㎜×두께 0.5㎜)으로 유동길이(수지로 채워진 형의 길이) 측정을 위하여 다음의 조건하에 성형기상에서 성형되고 조성물의 유동도는 평가된다.
실린더 온도 : 260℃
사출압력 : 750㎏/㎠
형온도 : 60℃
(3) 금속 부식도(부착물로서)
표 1에서 표시한 조성을 갖는 20g의 페릿과 은판은 100㎖ 유리병에 넣어지고 마개를 한다. 유리병은 육안으로 은판 표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150℃에서 500시간 방치된다. 부식도는 다음 등급으로 평가된다.
부식(부착물) :
◎…부착물 없음,
○…약간의 부착물,
…전 표면에 얇은 부착물,
×…전 표면에 두꺼운 부착물.
(4) 난연도 시험(UL-94)
5개의 시험편(두께 : 1/32인치)은 "언더라이터스 래브라토리스, 주제94"(UL94)에 따라 난연도는 시험된다.
[실험예 1∼7 및 비교예 1∼10]
실험예에 관한 표 2와 비교예에 관한 표 3에 표시하는 조합물을 갖는 조성들은 표 1에 열거된 성분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그 특성들로 평가된다.
그 결과는 표 2 및 표 3에 표시한다.
각 조성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는 각기 일정량의 성분(B), (C) 및 (D)로서 배합되고 얻어진 배합은 V배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얻어진 혼합물은 옆쪽 공급구로 일정량의 유리섬유를 공급하면서 260℃의 통온도에서 30mm 지름을 갖는 쌍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압출되고 다이스를 통해 압출되는 스트랜드는 냉각되고 페릿으로 절단된다.
[표 1]
[표 2]
[표 3]

Claims (8)

  1. (A) 0.75∼1.5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B) 일반식(1)로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평균 중합도 6∼30을 갖는 할로겐화 페녹시 화합물 1∼50중량부,
    (여기서, X는 브롬 또는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Y는 1∼10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알킬리덴, 시클로알칸, 카르보닐기, -O-, -S-, 또는 -SO2- 를 나타낸다.)
    (C) 5산화안티몬과 알칼리금속 산화물을 구성요소로서 함유하는 안티몬 화합물 0.1∼30중량부,
    (D) 다가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0.01∼10중량부, 및
    (E) 무기충전제0∼15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몬의 화합물(C)는 몰비 1 : 0.1∼1 : 0.8 사이에서 5산화안티몬과 알칼리금속 산화물로 되는 것이고 5산화안티몬의 구조를 갖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D)를 구성하는 다가 알코올은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D)를 구성하는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D)는 수산기를 갖는 것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 또는 히드록시 지방산은 15∼35의 탄소원자를 갖는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또는 베헨산인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성형하여서 되는 전기 또는 전자부품용의 성형품.
KR1019920009003A 1991-05-29 1992-05-27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960002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5803A JP2915168B2 (ja) 1991-05-29 1991-05-29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91-125803 1991-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654A KR920021654A (ko) 1992-12-18
KR960002530B1 true KR960002530B1 (ko) 1996-02-22

Family

ID=1491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003A Expired - Lifetime KR960002530B1 (ko) 1991-05-29 1992-05-27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58434A (ko)
EP (1) EP0516351B1 (ko)
JP (1) JP2915168B2 (ko)
KR (1) KR960002530B1 (ko)
AT (1) ATE159274T1 (ko)
DE (1) DE69222685T2 (ko)
TW (1) TW2353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61B1 (ko) * 2005-11-25 2008-07-16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0581B1 (en) 1994-05-12 2001-02-20 Laurel Industries, Inc. Dehydrated antimonate/polymer pelletizing process
DE69532950T2 (de) * 1994-12-28 2005-06-16 Omron Corp.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Kontaktteile und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Kontaktteile daraus
CA2226388C (en) * 1995-02-28 2006-08-22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US5641824A (en) * 1995-02-28 1997-06-2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DE19606948A1 (de) * 1996-02-23 1997-08-28 Hoechst Ag Kunststoff-Formmassen mit geringerem Verschleiß
JP3313019B2 (ja) * 1996-03-14 2002-08-1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5972421A (en) * 1996-04-12 1999-10-26 Stimsonite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elletized pavement marking mixtures
US5928716A (en) * 1996-04-12 1999-07-27 Stimsonite Corporation Method for marking a roadway surface
JP3621425B2 (ja) * 1996-06-24 2005-02-16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収縮フィルム用可塑化ポリエステル
JPH11293217A (ja) * 1998-03-31 1999-10-2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前駆体
DE19855599A1 (de) * 1998-12-02 2000-06-08 Basf Ag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C¶2¶-¶6¶-alkylenterephthalaten
US6228500B1 (en) 1999-03-08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and precursor thereof
DE19920913A1 (de) * 1999-05-07 2000-11-09 Basf Ag Halogenhaltige flammgeschützte Polyester
US6221279B1 (en) 1999-06-24 2001-04-24 Isotag Technology, Inc. Pigment particles for invisible marking applications
US20040072929A1 (en) * 2002-06-27 2004-04-15 De Schryver Daniel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DE602005001298T2 (de) * 2004-07-07 2008-01-31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 Isolationsteile
US7375167B2 (en) 2005-05-09 2008-05-20 Basf Se Hydrolysis-resistance composition
JP2007077205A (ja) * 2005-09-12 2007-03-29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一体成形品
PT2177567E (pt) 2007-10-17 2012-03-28 Wintech Polymer Ltd Composição de resina de tereftalato de polibutileno e artigo finamente moldado
JP5236394B2 (ja) * 2007-11-12 2013-07-17 ウィンテックポリマー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薄肉成形品
DE102008059744A1 (de) * 2008-12-01 2010-06-02 Emery Oleochemicals Gmbh Gleitmittel für thermoplastische Polymere
TWI534197B (zh) * 2010-12-13 2016-05-21 Wintech Polymer Lt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s and pellets thereof
CN104379670B (zh) * 2012-05-31 2017-10-13 胜技高分子株式会社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以及耐水解性改善剂
CN105377983B (zh) * 2013-06-13 2017-12-12 胜技高分子株式会社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和注射成型品
CN116003973A (zh) * 2022-12-28 2023-04-25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联pbt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485A (en) * 1973-07-11 1975-09-30 Mitsubishi Rayon Co Flame-resistant glass-fiber reinforced polytetra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US3965212A (en) * 1973-12-04 1976-06-22 Mitsubishi Rayon Co., Ltd. Flame-resistant resin composition
IT1088911B (it) * 1976-12-27 1985-06-10 Gen Electric Composizione termoplastica ritardatrice di fiamma a base di poliestere e policarbonato
US4338243A (en) * 1980-05-07 1982-07-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JPS5821442A (ja) * 1981-07-31 1983-02-08 Mitsubishi Rayon Co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59191756A (ja) * 1983-04-15 1984-10-30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0139752A (ja) * 1983-12-27 1985-07-24 Mitsubishi Rayon Co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4707511A (en) * 1985-12-17 1987-11-17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ally moldable compositions
US4732921A (en) * 1986-12-05 1988-03-22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JP3009407B2 (ja) * 1989-08-10 2000-02-14 東レ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848865B2 (ja) * 1989-10-04 1999-01-20 帝人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電気部品用成形品
US5021495A (en) * 1990-11-23 1991-06-04 Eastman Kodak Company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lame resist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61B1 (ko) * 2005-11-25 2008-07-16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2685D1 (de) 1997-11-20
EP0516351B1 (en) 1997-10-15
EP0516351A3 (en) 1993-02-24
ATE159274T1 (de) 1997-11-15
EP0516351A2 (en) 1992-12-02
JP2915168B2 (ja) 1999-07-05
JPH04351657A (ja) 1992-12-07
US5258434A (en) 1993-11-02
DE69222685T2 (de) 1998-06-10
TW235303B (ko) 1994-12-01
KR920021654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530B1 (ko)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960012454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전기 부품용 성형품
KR930007700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US5045580A (en) Antistatic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US4876033A (en) Moulded bodies containing carbon
JP2863022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WO2019039462A1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920001236B1 (ko)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전기 부품용 성형품
US5194481A (en)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JP2915915B2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196050B1 (ko) 폴리부틸렌 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부터 형성된 전기부품 및 전자부품
JP2863021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3373398B2 (ja) 帯電防止性を備えた照明部品用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4120162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10195283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US5780574A (en)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EP0177208A2 (en) Resin composition improved in fluidity
JP3761598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製成形品
EP0157426A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JPH0517669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959495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25084268A1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成形品および放熱部材
JPH05171038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電子部品
JPH11106618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1170644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01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6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