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11934B1 -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 Google Patents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934B1
KR950011934B1 KR1019910014778A KR910014778A KR950011934B1 KR 950011934 B1 KR950011934 B1 KR 950011934B1 KR 1019910014778 A KR1019910014778 A KR 1019910014778A KR 910014778 A KR910014778 A KR 910014778A KR 950011934 B1 KR950011934 B1 KR 95001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procket
drive
roller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187A (ko
Inventor
가즈노리 다다
Original Assignee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구찌 히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구찌 히로아끼 filed Critical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9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6Pin f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용지 구동형 자동제도기의 개략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의 개략 외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외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용지 구동형 자동제도기의 X구동시스템의 외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재치판 2a, 2b, 2c, 2d : 노치부
10 : 펜 14 : 가압로울러
16 : 구동로울러 20, 22 : 스프로킷 구동축
36, 38, 40 : 스프로킷
스프로킷과 용지마찰 이송요의 구동로울러를 같은 축상에 구비하고, 스프로킷 용지와 구멍이 없는 커트지(紙) 또는 로울지의 양편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플롯터(plotter)에 대하여는 일본국 특개소 58-197073호 공보에 개재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스프로킷 용지 이송용의 스프로킷과 커트지 또는 로울지 이송용의 구동로울러를 구비한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에 관한 것이다.
스프로킷과 용지마찰 이송로울러가 동일축상에 있으면, 스프로킷 간격과 동일폭의 커트지는 스프로킷의 끝이 방해가 되어서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용지의 폭이 한정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함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로울러와 가압로울러로 재치판 위의 용지등의 시이트 형상부재를 끼워두어 구동로울러외 회전에 의하여 시이트 형상부재를 재치판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한편 펜 또는 커터를 시이트형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이트형 부재에 도면 작성 또는 커팅을 하도록 한 용지 구동령 자동제도기에 있어서, 재치판의 하축에 구동로울러와 평행으로 배설된, 회전구동시스템에 연관하는 스프로킷 구동축과, 이 스프로킷 구동축에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또한 이 스프로킷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부착한 적어도 한쌍의 스프로킷을 설치한 것이다.
구동로울러와 가압로울러로 용지를 이송할때는 스프로킷용 스프로킷 구동축에 잇따라서 용지재치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둔다.
스프로킷으로 스프로킷 용지를 이송할 때는 스프로킷을 스프로킷 구동축에 잇따라서 이동조정하여, 스프로킷 용지의 폭에 따라서 스프로킷을 용지 재치영역에 배치한다.
본 발명은 구동로울러와는 다른 축시스템에 한쌍의 스프로킷을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트용지 또는 스프로킷용지의 폭치수의 범위가 넓어짐과 동시에 스프로킷용지를 스프로킷과 구동로울러의 양편에서 구동시켰을 경우에는 가압로울러가 작도 헤드이동부분의 용지 가압을 겸하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작도 또는 커트 할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는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4)의 용지재치판(plsten)이며, 기체(도해 없음)에 굳게 설치되어 있다. 기체에는 제1도중에서 지면 수직방향으로 Y레일(도면에 없음)이 가설 되었고, 이 Y레일에 커어서어(cursor)를 개재하여 작도헤드(6)가 이동 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작도헤드(6)의 펜 보유 아암(8)에는 펜(10) 또는 커터(도해 없음)가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Y레일에 평행으로 배설된 지지축에는 한쌍의 핀치로울러아암(12)(다른편은 도해 없음)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었고, 한쌍의 핀치로울러 아암에 대하여 지지축에 잇따라서 이동조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치로울러 아암(12)은 그 로울러 부착측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발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 핀치 로울러아암(12)의 로울러 부착축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된 가압로울러(14)가 나중에 설명하는 구동로울러(16)에 탄력으로 접하고 있다. 용지재치판(2)의 하면에는 회전구동장치에 연관하는 작도로울러(18)와 구동로울러(16)를 Y레일과 평행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설되었고, 이들 로울러(16), (18)의 상부는 용지 재치판(2)의 가로폭 방향으로 형성된 홈안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기체에는 용지재치판(2)의 전후 하방에 위치하여 단면이 4각형의 스프로킷 구동축(20),(22)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었고, 이들 구동축(20),(22)과 평행으로 스프로킷용 가이드축(24),(26)이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20),(22)은 작도로울러(18) 및 구동로울러(16)의 각 구동축과 평행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프로킷 구동축 (20),(22)과 가이드축 (24),(26)에는 슬라이드부재 (28),(30),(32),(34)가 이들의 축 (20),(22),(24),(26)에 잇따라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스프로킷 구동축 (20),(22)는 슬라이드부재 (28),(30),(32),(34)의 축구멍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 맞춰져 있다. 스프로킷 구동축 (20),(22)에는 각기 한쌍의 스프로킷 (36),(38),(40),(42)의 중심각 구멍이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끼워 맞추어져서 스프로킷 (36),(38),(40),(42)는 스프로킷 구동축 (20),(22)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로킷 (36),(38),(40)은 각기 대응하는 슬라이드부재 (28),(30),(32),(34)의 안쪽면에 드러스트(thrust) 베어링(44)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있다. 슬라이드부재 (28),(30),(32),(34)의 각각에는 슬라이드 부재를 가이드축 (24),(26)에 대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 하기 위한 공지의 고정기구(46)가 설치되었고, 이 고정기구(46)는 레버(48)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 (28),(30),(32),(
34)의 각각에는 스프로킷 (36),(38),(40),(42)의 상방에 위치하여 용지 가압구(50)가 힌지기구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용지가압구 (50)는 탄발력에 (40),(42)의 핀과 같은 간격으로 이 핀을 탈출키 위한 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용지 재치판 (2)의 전후의 한쪽에는 스프로킷 정위치배치용 노치(2a),(2b)가 형성되, 용지재치판 (2)의 다른편 쪽에는, 스프로킷 슬라이드 이동용 노치 (2c),(2d)가 작도로울러(18)의 길이방향 즉 Y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로킷 (36),(40)의 안쪽면과 노치 (2c),(2d)를 형성하는 재치판(2)의 노치면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로킷 구동축 (20),(22)에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상자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54)가 헐겁게 끼워 배치되어 있다. 노치 (2a),(2b),(2c),(2d)는 스프로킷 (36),(38),(40),(42)의 용지재치 영역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56)은 기체에 배설된 모우터이며, 이의 출력축에 기어(58)가 고정되었고, 이 기어(58)의 회전은 기어(60), 클러치(62), 기어(64), 중간기어(66) 및 기어(68)를 개재하여 작도로울러(18)와 구동로울러(16)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어(58)의 회전은 기어(70), 클러치(72), 풀리(74), 벨트(76) 및 풀리(80)를 개재하여 스프로킷 구동축(20)에 전달되고, 다시금 풀리(80), 벨트(82) 및 풀리(84)를 개재하여 스프로킷 구동축(22)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트용지 또는 로울용지에 작도하는 경우에는 클러치(72)를 자르고 클러치(62)를 건다. 또 레버(48)를 조작하여 고정기구 (46)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슬라이드부재 (28),(30),(32),(34)를 가이드축 (24),(26)에 잇따라 이동하여, 스프로킷 (36),(38) 및 (40),(42)를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86)의 재치영역밖에 이동하여 둔다. 재치판(2) 위에 재치된 용지(86)는 구동로울러(16)와 가압로울러(14)에 끼워진다. 모우터(56)의 정역회전구동은 기어 (58),(60), 클러치(62), 기어(64), 중간기어(66) 및 기어(68)를 개재하여 작도로울러(18)와 구동로울러(16)에 전달되고, 용지(86)는 재치판(2)위를 전후 방향 즉, X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한편, 작도헤드(6)는 Y모우터(도해 생략)에 의하여 Y레일에 잇따라서 용지(86)을 가로지르는 방향(Y방향)으로 구동되고, 펜(10)이 제어기에 의하여 작도로울러(18)위에서 승강 제어되어 팬(10)으로 용지(86)에 일정한 작도를 하게 된다. 가압로울러(14)의 위치는 사용하는 용지폭에 따라서 희망하는 위치에 이동할 수 있다. 양측에 구멍이 달린 스프로킷용지(88)(제3도 참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핀치로울러 아암(12)을 공지의 상승수단에 따라 이 아암(12)의 로울러 부착쪽을 구동로울러(16)에 대하여 상승시킨다. 또 클러치(62)를 끊어서 구동로울러(16) 및 작도로울러(18)를 자유회전으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클러치 (62),(72)의 양편을 걸어서 구동로울러(16) 및 작도로울러(18)를 스프로킷과 동기회전하도록 설정한다. 슬라이드부재 (30),(34)를 가이드축 (24),(26)에 잇따라 이동하여, 스프로킷 (38),(42)을 재치판 (2)의 노치(2a),(2b)안에 비치하고, 레버(48)를 조작하여 고정재치판(2) 위에 배치된 스프로킷 용지(88)의 한편쪽의 구멍은 정위치용의 스프로킷 (38),(42)끼워 넣고 있다. 스프로킷 용지(88)의 가로폭에 따라서 다른편의 스프로킷(36),(40)의 위치를 노치 (2c),(2d)에서 조정하여 스프로킷 (36),(40)의 핀이 스프로킷 용지(88)의 다른편쪽의 구멍으로 끼워들어가는 위치에서 슬라이드부재 (28),(32)를 가이드축 (24),(26)위에 고정한다. 스프로킷용지(88)의 양쪽의 구멍을 스프로킷 (26),(28),(40),(42)에 맞물린다음 용지가압구(50)를 탄력으로 스프로킷 (36),(38),(40),(42) 위의 용지(88)의 위로부터 스프로킷 (36),(38),(40),(42)에 가압용접한다. 모우터(56)가 구동되면, 스프로킷 구동축 (20),(22)이 회전하여 스프로킷 용지(88)는 X방향으로 이송된다. 클러치 (62),(72)가 양쪽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구동로울러(16)와 작도로울러(18)가 스프로킷 (36),(38),(40),(42)와 동기회전 한다. 스프로킷과 구동로울러의 양쪽에 의하여 스프로킷용지(88)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스프로킷 (36),(38),(40),(42)에 스프로킷 용지(88)를 맞물게 함과 동시에 핀치로울러아암(12)의 로울러 부착측을 하강하여 탄력에 의하여 가압로울러(14)를 스프로킷 용지(88)의 위로부터 구동로울러(16)에 가압용접시켜 구동로울러(16)와 가압로울러(14)로 스프로킷용지(88)를 끼워둔다. 클러치(62),(72)를 양쪽 모두에 걸어서 모우터(56)를 구동하면 스프로킷용지(88)는 스프로킷과 구동로울러의 양쪽에 의하여 X방향으로 이송된다. 더욱이, 팬(10)의 대신에 커터를 펜 보존아암(8)에 지지되게 하면 커트용지 또는 스프로킷 용지를 희망하는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다.

Claims (3)

  1. 구동 로울러와 가압로울러로 재치판위의 용지와 같은 시이트형 부재를 협지하여, 구동로울러의 회전에 따라서 시이트형 부재를 재치판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한편 펜 또는 커터를 시이트형 부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이트형 부재에 작도 또는 커팅을 하도록 한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에 있어서, 재치판의 하축에 구동로울러의 구동축과 평행으로 배설된 회전구동시스템에 연관하는 스프로킷 구동축과 이 스프로킷 구동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이 스프로킷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부착된 한쌍 이상의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재치판에 스프로킷의 용지 재치영역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노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재치판의 전후 위치의 아래쪽에 구동로울러와 평행으로 한쌍의 스프로킷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스템에 연관하여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KR1019910014778A 1990-08-28 1991-08-26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Expired - Fee Related KR950011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25584 1990-08-28
JP2225584A JPH04107192A (ja) 1990-08-28 1990-08-28 用紙駆動型自動製図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87A KR920004187A (ko) 1992-03-27
KR950011934B1 true KR950011934B1 (ko) 1995-10-12

Family

ID=1683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778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1934B1 (ko) 1990-08-28 1991-08-26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4107192A (ko)
KR (1) KR950011934B1 (ko)
BE (1) BE1004259A5 (ko)
DE (1) DE4128088C2 (ko)
FR (1) FR2666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652A (en) * 1995-09-08 1998-10-20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Sample garment making system
US7811016B2 (en) * 2005-05-25 2010-10-12 Agfa Graphics Nv Flatbed printing machine
CN109110535A (zh) * 2018-09-03 2019-01-01 平顶山市绿禾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蔬菜种植用农膜收卷机构
KR102376421B1 (ko) *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딜리 싱글 패스 잉크젯 프린터용 인쇄매체 안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069A (en) * 1979-04-18 1981-09-15 Trilog, Inc. Method for producing a multiple color hard copy image
IT1119615B (it) * 1979-12-19 1986-03-10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per bloccare un organo scorrevole rispetto ad una barra di una macchina per ufficio
JPS5829446U (ja) * 1981-08-20 1983-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S58197073A (ja) * 1982-05-11 1983-11-16 Alps Electric Co Ltd ロ−ル式プロツタの紙送り機構
DE3226510C2 (de) * 1982-07-15 1984-07-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Universelle Papiertransporteinrichtung für Einzelblätter und Endlospapier in Zeilendruckeinrichtungen
US4654675A (en) * 1984-06-27 1987-03-31 Mutoh Industry Ltd. Paper feeding device for automatic drafting machine
JPH01161035U (ko) * 1988-04-27 1989-11-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04259A5 (fr) 1992-10-20
KR920004187A (ko) 1992-03-27
FR2666277A1 (fr) 1992-03-06
JPH04107192A (ja) 1992-04-08
DE4128088A1 (de) 1992-03-05
DE4128088C2 (de) 199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36702A (en) Apparatus for cutting a stack of sheets
EP0864517B1 (en) Equipment for supplying sheets to a folding machine
KR950011934B1 (ko)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US5321892A (en) Automatic paper-cutting device in plotter
ITMI20000083A1 (it) Macchina automatica per la fenditura e la cordonatura di cartone in fogli e simili
US5100251A (en) Paper tractor mechanism
KR850007833A (ko) 짧은 가공품 패널의 재봉 및 퇴적장치
JP3003713B2 (ja) コード入り強化ゴムシートの切断装置
GB2141371A (en) Apparatus for cutting sheet material
JPH0712068Y2 (ja) 自動製図機における用紙切断装置
JPH06179538A (ja) 分離機構解除装置
GB2086859A (en) Sheet folding machine
JP3945028B2 (ja) カッティング装置
JPH059181Y2 (ko)
JPH04220374A (ja) 携帯用プリント装置
WO1989012532A1 (en) Cutter devices
JPH05147385A (ja) 用紙駆動型プロツタにおける紙押え機構
CN222312292U (zh) 一种高透光软体膜的裁切装置
JPH081584A (ja) 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
JPH1035187A (ja) 自動製図機における用紙切断装置
KR200229047Y1 (ko) 절단기
CN208265384U (zh) 一种打印机及其辅助上纸装置
JPH05177593A (ja) 積層物の裁断装置
JPH106277A (ja) 弾性体カット装置
JP2797637B2 (ja) キャリッジ移動装置並びに自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10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10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