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0636Y1 -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 Google Patents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636Y1
KR950000636Y1 KR92015469U KR920015469U KR950000636Y1 KR 950000636 Y1 KR950000636 Y1 KR 950000636Y1 KR 92015469 U KR92015469 U KR 92015469U KR 920015469 U KR920015469 U KR 920015469U KR 950000636 Y1 KR950000636 Y1 KR 950000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mpact
packag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578U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한동근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근,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근
Priority to KR92015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636Y1/ko
Publication of KR940005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제1도는 본 고안의 전개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구성하기 위한 절첩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지 2 : 전면판
2' : 후면판 4 : 밑판
3,3',6,6',8,8',9,9' : 절곡선 5 : 덮개홈
7 : 덮개 7' : 덮개편
8a,8a',9a,9a' : 측판 10,10',11,11' : ""자형 선대
12 : 공간부 A : 내피
본 고안은 충격으로 부터 포장물의 파손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용 상자내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쿳숀력과 인장력 및 보강력이 양호한 판지(板紙)를 주재로 본 고안 제1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덮개홈을 형성한 전면판에 밑판과 후면판 및 덮개와 덮개편을 길이 방향으로 절곡선에 의해 연속적으로 성형시켜 절곡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전후면판의 양쪽에는 ""자형의 선대를 대칭으로 하는 측판에 각각의 절곡선을 두고 재단공정을 단일화 함으로서 상자내피를 한꺼번에 다량으로 성형할 수 있는 본 고안은 밑판의 절곡선을 중심으로 상기 전후면판을 서로 맞절곡시켜 직각 상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의 양쪽으로 절곡선을 갖고 형성된 측판도 전후면판의 절곡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한 상태로 절첩시켜 주면 이때 서로 겹쳐지는 양쪽측판의 ""자형 선대는 밑판의 양쪽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내부로 삽입하여 이에 포장물을 수용한후 덮개와 상자뚜껑을 차레로 닫아서 포장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하는 것인데 이때 내피의 밑판은 양측하방으로 돌출원 ""자형 선대에 의해 밑판이 포장상자의 내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충격시 포장물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력을 흡수차단하여 포장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한 충격방지용 상자내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운반시 파손되기 쉬운 포장물(예를들면 초자제품의 화장품용기 및 각종그릇)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판지를 포장상자와 같은 형태로 절곡절첩 시켜서 되는 내피의 밑판을 포장상자의 내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가 유지되게 형성함으로서 포장물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력을 상기 공간부에서 흡수차단시켜 줄수 있게 하는데 있고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충격방지개를 필요로 함이 없이 기존의 공지한 내피를 이용하고 그 밑판의 양측하방으로 돌출된 ""자형 선대에 의해 포장물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하는데 있다.
종래의 포장작업에서도 포장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피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내피는 포장상자와 포장물 사이로 밀착되어 있어서 상자를 운반 이동시킬때 포장물이 포장상자내에서 유동되는 것과 가벼운 충격으로부터 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되기는 하나 충격 강도가 심할 경우 포장물을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강한 충격으로부터 포장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포장상자내의 포장물주위로 스치로폴이나 합성섬유등의 방지재를 충진시키는 포장작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작업 역시 많은 인력과 작업의 복합성으로 인해 포장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포장상자의 내부로 절곡절첩시켜 삽입할 수 있도록 쿳숀력과 인장력 및 보강력을 구비한 판지에 절곡선을 형성시켜 재단하되 이 절곡선에 의해 판지를 포장상자와 같은 형태로 절곡절첩하면 밑판의 양측 하방으로 돌출되는 ""자형의 선대에 의해 포장상자의 내바닥면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물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력을 방지하여 주는 충격방지용 상자내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도는 판지(1)를 주재로하여 재단된 내피(A)의 전개 평면도로서 전면판(2)과 후면판(2')에 절곡선(3)(3')이 형성된 밑판(4)을 갖고 이에 덮개홈(5)과 절곡선(6)(6')에 의한 덮개(7)와 덮개편(7')이 전후면판(2)(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며 또한 전후면판(2)(2')의 양쪽에는 절곡선(8)(8')(9)(9')으로 연결한 측판(8a)(8a')(9a)(9a')의 ""자형 선대(10)(10')(11)(11')가 서로 대칭을 이룬 상태로 형성된 구조이다. 미 설명부호 12는 공간부, 13은 덮개의 개방인출공, 14는 포장상자, 14'는 내바닥면, 15는 포장물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2도와 제3도 및 제4도는 판지(1)의 절곡선(3)(3')(8)(8')(9)(9')을 절곡절첩하여 구성하는 내피(A)의 실시상태도로서 먼저 밑판(4)의 절곡선(3)(3')에 의해 전면판(2)과 후면판(2')과 후면판(2')을 제2도와 같이 ""자형으로 맞절첩시킴과 동시에 그 양쪽으로 형성한 측판(8a)(8a')(9a)(9a')도 절곡선(8)(8')(9)(9')에 따라 전후면판(2)(2')이 절곡되는 방향으로 절곡 작업을 같이 실시하면 측판(8a)(8a')과 측판(9a)(9a')은 본 고안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내외로 겹쳐진 상태로 절첩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면판(2')에 절곡선(6)(6')으로 연결형성된 내피(A)의 덮개(7)는 덮개편(7')에 의해 전면판(2)에 요설된 덮개홈(5)으로부터 개폐작용의 실시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밑판(4)의 양측하방으로는 상기 측판(8a)(8a')(9a)(9a')의 ""자형 선대(10)(10')(11)(11')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어서 포장작업시 포장물(15)을 본 고안 제3도와 제4도에서 구성하고 있는 내피(A)의 내부로 넣어 포장상자(14)로 삽입포장(본 고안 제5도 참고)할 경우 포장상자(14)의 전후와 좌우 및 상방에 이루기까지 내피(A)의 전후면판(2)(2')과 서로 겹쳐진 측판(8a)(8a')(9a)(9a') 및 덮개(7)에 의한 보강력과 쿳숀력 및 인장력으로 말미암아 포장상자(14)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포장물(15)을 효과적으로 보호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내피(A)의 밑판(4)과 포장상자(14)의 내바닥면(14')은 측판(8a)(8a')(9a)(9a')의 ""자형 선대(10)(10')(11)(11')로 인해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12)를 유지하기 때문에 포장상자(14)의 바닥면(14')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내피(A)의 밑판(14)에서 상기의 공간부(12)로 인해 이를 흡수하여 완충시켜줌에 따라 충격빈도가 매우 높은 바닥면(14')의 충격방지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포장물을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포장하여 보호할 수 있는 실용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Claims (1)

  1. 판지(1)로 포장상자(14)용 내피(A)를 구성함에 있어서, 덮개홈(5)을 갖는 전면판(2)과 덮개(7)와 덮개편(7')이 절곡선(6)(6')으로 연결된 후면판(2')이 절곡선(3)(3')에 의한 밑판(4)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속 성형되고 또 전후면판(2)(2')의 양쪽측판(8a)(8a')(9a)(9a')은 절곡선(8)(8')(9)(9')으로 형성시켜서 각각의 절곡선(3)(3')(6)(6')(8)(8')(9a)(9a')에 의해 이들을 절곡 절첩하여 서로 겹쳐지는 상기 측판(8a)(8a')(9a)(9a')의 ""자형 선대(10)(11)(10')(11')가 밑판(4)의 양측하방으로 돌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KR92015469U 1992-08-18 1992-08-18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KR950000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69U KR950000636Y1 (ko) 1992-08-18 1992-08-18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69U KR950000636Y1 (ko) 1992-08-18 1992-08-18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578U KR940005578U (ko) 1994-03-18
KR950000636Y1 true KR950000636Y1 (ko) 1995-02-06

Family

ID=1933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469U KR950000636Y1 (ko) 1992-08-18 1992-08-18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6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578U (ko) 199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47732A (en) Shipping case and storage chest
ES2108490T3 (es) Envase con cierre por salto elastico para detergentes granulares con un revestimiento reducido para evitar abombamientos.
US5944177A (en) Packaging container
US4715493A (en) Composite package for a group of containers
FR2426624A1 (fr) Boite d'empaquetage pour objets de forme allongee
ITMI982135A1 (it) Procedimento per imballi a rendere
JP3321618B2 (ja) 輸送対象物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US5325967A (en) Packaging device using membrane, platform and aperture as a means of restraint
KR950000636Y1 (ko) 충격방지용 상자내피
US2973893A (en) Liner type box wrap package
US5984103A (en) Protective packaging for pagers and the like
FR2627158B1 (fr) Fermeture d'extremite pour recipient d'emballage
KR20110010315U (ko) 에어백 포장
ES2090457T3 (es) Bolsa de envasado que puede volver a ser cerrada.
DE69205816D1 (de) Verpackung, insbesondere für Drucker.
KR101718431B1 (ko) 포장용 케이스
CN217023654U (zh) 新型斜放包装盒
CN212862214U (zh) 悬浮包装盒
US2109765A (en) Packaging of fruits and vegetables
KR200344059Y1 (ko) 와인 병 포장 상자
JPS6014704Y2 (ja) 包装装置
KR970003258Y1 (ko) 포장용 상자
US6458396B1 (en) Hard taco shell protective packaging
KR910004205Y1 (ko) 전자제품 보호용 패드를 이용한 리모콘 수용구조
SU859243A2 (ru) Тара дл кинескоп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8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5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5051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