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0119B1 -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119B1
KR950000119B1 KR1019910025538A KR910025538A KR950000119B1 KR 950000119 B1 KR950000119 B1 KR 950000119B1 KR 1019910025538 A KR1019910025538 A KR 1019910025538A KR 910025538 A KR910025538 A KR 910025538A KR 950000119 B1 KR950000119 B1 KR 95000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well
semiconductor laser
active layer
asymmetric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216A (ko
Inventor
유태경
안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안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안도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2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119B1/ko
Priority to US07/974,058 priority patent/US5345461A/en
Publication of KR93001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1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08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shaped wells, e.g. tri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1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containing details related to carrier capture times into wells o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 H01S5/34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431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with a well layer having only As as V-compound, e.g. AlGaAs, InGaAs
    • H01S5/34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quantum well or superlattice structures, e.g. single quantum well [SQW] lasers, multiple quantum well [MQW] lasers or graded 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 [GRINSCH] laser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with a well layer having only As as V-compound, e.g. AlGaAs, InGaAs the whole junction comprising only (AI)Ga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제 1 도 (a)는 종래 반도체 레이저의 사시도, (b)는 종래 반도체 레이저의 부분단면도 및 에너지 밴드 변화도.
제 2 도 (a)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사시도, (b)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활성층의 알루미늄 성분분포도, (c)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에너지 밴드 변화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계단형 양자우물 반도체 레이저의 에너지 밴드 변화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양자역학적 광학이득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n형 GaAs기판 11, 13 : 클래드층
12, 20 : 활성층 14 : p형 캡층
21 : AlyGa1-yAs 22 : AlZGa1-ZAs
23 : GaAs 24 : 광학이득 증가분
본 발명은 비대칭형 양자우물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대칭형 양자우물 활성층에 비대칭형 양자우물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전류대 광변환의 광학이득을 약 50%까지 개선하여 반도체 레이저의 저 전류동작 및 이로 인한 신뢰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반도체 레이저의 이중 이종접합(DH : Double Heterostructure) 구조에서 활성층의 두께(W1)를 약 250Å이하로 함으로써 광학적 이득특성, 열적특성을 개선시킨 구조를 갖는 종래 반도체 레이저의 도면으로서, 제 1 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GaAs기판(10) 위에 1.0μm두께의 n형 클래드층(AlxGa1-xAs)(11)과 얇은 두께(250Å 이하)의 도핑되지 않은 활성층(AlyGa1-yAs)과 1.0μm두께의 p형 클래드층(AlxGa1-xAs) (13), 그리고 p형 캡층(GaAs)(14)을 차례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대칭형 반도체 레이저는 활성층(12)이 약 1000Å이던 일반적인 이중 이종접합구조보다 약 2-3배의 정류광학 이득특성, 온도특성의 개선등으로 많은 소자가 개발되어 있는 상황이다. 제 1 도의 (b)는 종래 반도체 레이저의 부분단면도와 에너지 밴드 변화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도핑되지 않은 활성층(AlyGa1-yAs)(12)을 250Å이하의 두께로 형성함에 있어 그 물질구성, 특히 알루미늄 성분이 전체적으로 AlyGa1-yAs에 의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활성층(12)의 중심에 대해 에너지 밴드가 대칭형이 된다. n형 클래드층(AlxGa1-xAs)(11)과 p형 클래드층(AlxGa1-xAs)(13)사이에 도핑되지 않은 활성층(AlyGa1-yAs)(12)이 형성된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는 물질구성이 일반적으로 다음의 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x= y+0.3에 의해 이루어지며 n형 및 p형 클래드층(AlxGa1-xAs) (11)(13)은 물질구성이 같고 알루미늄(Al)성분이 많기 때문에 에너지 밴드에서 클래드층(AlxGa1-xAs)(11)(13)의 전도대(Ec)와 가전자대(Ev)간의 밴드 갭(Ex)은 크고 알루미늄 성분이 적은 활성층의 밴드 갭(Ey)은 좁아지게 되며, 그 결과 대칭형 양자우물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보통 양자우물 구조의 반도체 레이저에 있어서 60Å-150Å정도의 두께의 활성층(12)의 밴드 갭(Ey)과 클래드층(11)(13)의 밴드 갭(Ex)은 약 0.2-0.3eV정도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대칭형 양자우물 반도체 레이저는 p형 전극(A) 및 n형 전극(A')에 각각(+)와 (-)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주입하면 외부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양자우물속에 존재 가능한 상태인 S1, S'1(B-B')속에 각각 제한적으로 효율성있게 존재하게 되고 이런 한정된 상태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면 광을 방출하기 시작하여 레이저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의 장점은 양자우물속에 존재할 수 있는 전자와 정공의 상태(B-B')가 제한적으로 효율성있게 존재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정공의 결합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류광학 이득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대칭형 양자우물 구조의 종래 반도체 레이저는 그 구조가 갖는 본연의 대칭성 때문에 양자 역학적 선택 조건이 엄격하게 적용되어서 광학적 이득에 기여하는 천이가 전자와 정공의 특정한 상태간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양자역학적 선택 조건의 엄격한 적용이 종래 양자우물 반도체 레이저의 광학적 이득의 상한을 결정하기 때문에, 즉 광학적 이득이 낮기 때문에 저전류동작, 온도특성, 그리고 이로 인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광학적 이득특성을 증가시키도록 모든 상태간의 천이를 가능하게 하여 동작전류, 안정된 온도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신뢰도를 개선하는 비대칭형 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핑되지 않은 활성층에 알루미늄 성분을 경사지게 변화를 줌으로써 광학적 이득이 양자우물에서 약 50%이상 개선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사시도(a)와 에너지 밴드 변화도(b) 그리고 활성층내의 알루미늄 성분 분포도(c)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GaAs기판(10)위에 n형 클래드층(AlxGa1-xAs)(11)과 도핑되지 않은 활성층(20)과 p형 클래드층(AlxGa1-xAs)(13)과 p형 GaAs캡층(14)을 차례로 형성시켜서 구성되는데, 특히 도핑되지 않은 활성층(20)은 알루미늄의 성분분포를 서서히 변화시켜 활성층(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삼을 때 양자우물이 비대칭형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제 2 도의 (b)에서 활성층(20)은 활성층내의 알루미늄 성분을 y에서 z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를 주어 두께(W2)를 약 80Å∼100Å정도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대칭형 양자우물 구조의 반도체 레이저가 되는데 알루미늄 성분은 다음의 식에 의해 분포된다. 즉 z=y+0.2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를 구성하며, 활성층(20)의 한쪽면을 AlyGa1-yAs(21)으로 시작하여 다른 한쪽은 AlZGa1-ZAs(22)이 되도록 알루미늄 성분을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양자우물이 경사형이 되어 활성층(20)의 중심에 대해 비대칭이 된다. 이것을 경사형 양자우물(graded quantum well)이라 할 수 있다.
제 2 도의 (c)는 비대칭형 양자우물 구조의 에너지 밴드 변화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활성층(20)의 중심에 대해 비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밴드 갭(Ey)은 활성층의 알루미늄 성분이 가장 적어서 제일 좁고, 밴드 갭(Ez)은 활성층에서 알루미늄 성분이 가장 많아 밴드 갭(Ey)보다는 크고, 밴드 갭(Ex)은 더욱 크며 클래드층(AlxGa1-xAs)(11)(13)에서의 에너지 밴드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한편 물질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값에 의해 조절된다. 즉 y=0(0∼0.1), z=0.2(0.1∼0.3), x=0.6(0.3∼0.6)에 의해 물질이 구성되어 경사형 비대칭 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도체 레이저의 비대칭 활성층(20)에서는 더이상 양자역학적 선택조건이 전자와 정공의 광학적 천이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는데, 이는 양자우물의 성장방향에 대한 좌우대칭의 훼손에서 비롯되며 대칭성이 깨진 상황에서는 모든 상태간의 천이가 가능하다는 양자역학의 대원리에 의한 것이다. 광학적 이득이란 근사적으로 천이가능한 상태간의 쌍극자 매트릭스(dipole matrix)의 제곱의 합이기 때문에 모든 가능한 천이에 대해 합산을 한 경우가 제한을 받는 대칭형 양자우물 구조에 비해 광학적 이득이 커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계단형 비대칭 양자우물 반도체 레이저의 에너지 밴드 변화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층(20)의 물질구성을 중심에 대해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양자우물구조가 비대칭되어 광학적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반도체 레이저에서 두 클래드층(AlxGa1-xAs) (11)(13)사이에 활성층(20)을 형성할 때 활성층(20)의 내부에 중심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GaAs(23)로 다른 한쪽에는 AlyGa1-yAs(21)로 하여 양쪽의 알루미늄 성분을 다르게 하면 양자우물의 구조가 계단형이 되고 중심에 대해 비대칭이 된다. 그리고 그 계단구조에 맞게 전위를 인가하면 비대칭의 양자우물구조에 기인하여 모든 상태간의 천이가 가능해지므로 광학적 이득특성이 종래의 대칭형 반도체 레이저보다 더 좋아지게 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비대칭형 양자우물구조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의 광학이득을 계산한 그래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200Å두께의 양자우물에서 y=0, z=0.2, 경사전위 F = 100kV/cm인 비대칭 양자우물 반도체 레이저의 광학적 이득의 최대치가 대칭형 양자우물구조의 경우(F=0)보다 50%이상 증가(24)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비대칭 양자우물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는 양자우물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의 분포함수를 한 곳에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정공의 결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비대칭 양자우물구조에 의해 모든 상태간의 천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학적 이득을 증가시켜 종래보다 약 50%이상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저전류동작, 안정된 온도특성, 그리고 이에 따라 신뢰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판위에 제 1 클래드층, 성분을 변화시키므로써 경사를 주어 중심을 기준으로 밴드 갭이 비대칭형을 이루는 양자우물 활성층, 제 2 클래드층, 캡층이 차례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하부와 캡상부에 각각 전극을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우물 활성층의 밴드 갭이 계단형의 비대칭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우물 활성층은 AlyGa1-yAs(y=0∼0.1)에서 AlZGa1-ZAs(z=0.1∼0.3)으로 그 성분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레이저의 구조.
KR1019910025538A 1991-12-30 1991-12-30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Expired - Lifetime KR95000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538A KR950000119B1 (ko) 1991-12-30 1991-12-30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US07/974,058 US5345461A (en) 1991-12-30 1992-11-13 Semiconductor laser high optical gain quantum w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538A KR950000119B1 (ko) 1991-12-30 1991-12-30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216A KR930015216A (ko) 1993-07-24
KR950000119B1 true KR950000119B1 (ko) 1995-01-09

Family

ID=1932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538A Expired - Lifetime KR950000119B1 (ko) 1991-12-30 1991-12-30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45461A (ko)
KR (1) KR950000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434A (ja) * 1994-09-19 1996-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レー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57979B1 (ko) * 1996-01-08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DE19624514C1 (de) * 1996-06-19 1997-07-17 Siemens Ag Laserdiode-Modulator-Kombination
DE102009015569B9 (de) * 2009-03-30 2023-06-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053A (en) * 1989-03-30 1991-07-16 Canon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laser device having plurality of layers for emitting lights of different wavelength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R2655434B1 (fr) * 1989-12-05 1992-02-28 Thomson Csf Dispositif optique a puits quantiques et procede de realisation.
US5023879A (en) * 1990-04-26 1991-06-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ptically pumped step quantum well IR source
US5224114A (en) * 1990-11-11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laser devic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yers having different bands gaps and methods for driving the same
US5126803A (en) * 1991-03-11 1992-06-30 The Boeing Company Broadband quantum well 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216A (ko) 1993-07-24
US5345461A (en) 1994-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469A (en) High output power injection lasers
US5583878A (en)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US5048049A (en) Turnable distributed feedback-laser
JPH1174607A (ja) 半導体レーザ装置
US5107514A (en)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JP2558768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H0732285B2 (ja) 半導体レ−ザ装置
JPWO2021107032A5 (ko)
US5425042A (en) Refractive index control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KR950000119B1 (ko)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
US4769821A (en) High power semiconductor laser by means of lattice mismatch stress
US6333946B1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632340B2 (ja) 半導体発光素子
US6078602A (en)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d semiconductor laser device having high speed characteristics
KR970005168B1 (ko) 청색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JP2748570B2 (ja) 半導体レーザ素子
KR950008863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JPH05167175A (ja) 半導体レーザアレイ装置
JPH054833B2 (ko)
KR100259003B1 (ko) 누설 도파 구조를 갖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JP2001332816A (ja) 半導体レーザ素子
WO1990004275A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s
JPH0720234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KR970011145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JP3211330B2 (ja) 半導体レーザア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12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5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