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11551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551B1
KR940011551B1 KR1019930003181A KR930003181A KR940011551B1 KR 940011551 B1 KR940011551 B1 KR 940011551B1 KR 1019930003181 A KR1019930003181 A KR 1019930003181A KR 930003181 A KR930003181 A KR 930003181A KR 940011551 B1 KR940011551 B1 KR 94001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nozzle
nozzle arm
rinsing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184A (ko
Inventor
기미아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닛뽄 센죠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미아끼 나까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센죠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미아끼 나까가와 filed Critical 닛뽄 센죠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5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8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vertical sliding closing doors, e.g. hood-type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7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a plurality of fluid recirculation arrangements, e.g. with separated washing liquid and rinsing liquid recirculation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기세척기
① 회전노즐분사식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피세척 식기의 상·하에 설치된 하부분사노즐아암(11)과 상부분사노즐아암(30)으로 부터의 세척수 분사에 의하여 세척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그리고, 하부분사노즐아암(11)으로 부터의 분사가 상부로 부터의 분사에 비하여 세척결과에 큰 영향을 갖는 것에 대하여도 설명하였다.
여기서 식기랙(35)은 50cm×50cm의 각형이고, 하부분사노즐아암(11)의 전장도 약 50cm인 경우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하부분사노즐아암(11)은 식기랙(35)의 약 12cm 아래에서 회전하고 있으므로 하부분사노즐아암(11)의 양단에 설치된 노즐분사구(13)로부터의 분사수류는 식기랙(35)의 네모퉁이에 놓여진 식기에 대하여 충분히 미치지 못하고 세척은 충분히 행해지지 않게 된다. 결국 제6도에 있어서 사선부의 범위에 놓인 식기는 세척 불충분하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제7도와 같이 하부분사노즐아암(11)을 약 70cm로 길게하여, 이의 하부분사노즐아암(11)의 양단의 노즐분사구(13)를 설치하면 식기랙(35)의 네모퉁이의 식기에 대하여도 분사는 구석구석까지 미치는 것으로 되지만, 이렇게 하면 이번에는 식기랙(35)의 외측의 사선부에 대하여 불필요한 분사를 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이 사선부의 면적은 식기랙(35)의 면적의 약 50%이므로, 어쨌든 50%만한 면적에 대하여 쓸데없는 분사를 하는 것으로 되어 펌프의 출력은 50% 증가한 펌프를 필요로 하고, 그리고, 70cm의 하부분사노즐아암(1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는 세척기 본체는 적어도 80cm 각으로 되어 대형화되어 실용적이 못되게 된다. 따라서 제6도와 같이 하부분사노즐아암(11)의 길이는 약 50cm로서 50cm×50cm의 각형 식기랙(35)위에 놓여진 식기의 네모퉁이의 식기는 세척 불충분으로 되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 기계 본체를 60cm×60cm로 결정하고, 펌프도 소형 펌프로 해결하는 편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② 제5도에서 하부분사노즐아암(11)으로 부터의 분사수류의 압력을 높이면 분사수량과 분사충격은 증가하고, 그 결과 세척력은 높아지지만, 상부분사노즐아암(30)은 하부분사노즐아암(11)과 동기하여 회전하고 있을 까닭이 없으므로 가벼운 식기는 붙어 날려지거나 덜컹거리거나 하는 것이 된다.
이들 (1) 및 (2)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식기의 상·하에 다수의 고정노즐을 배치하고, 일제히 세척수(2)를 분사하는 고정노즐 분사방식이 실용화되어 있다. 본 방식의 경우, 네모퉁이에도 충분히 세척수(2)의 분사가 구석구석까지 미치고, 상·하로 부터의 분사를 항상 밸런스키는 것으로서 식기의 덜컹거림도 적지만, 다수의 노즐로 부터 전면분사하기 때문에 펌프는 대형화하고, 상·하의 다수개의 노즐배치로 구조가 복잡화하기 때문에 제품가격이 고가로 되어 보급의 애로로 되어 있다.
③ 회전노즐분사식에 있어서 제9도는 식기랙(60)에 대한 회전노즐아암(65)상에 배치된 외주부 분출노즐(61)과 내주부 분출노즐(63)의 각각이 회전하면서 분사하였을 경우의 분사되는 범위의 면적은 외주부 분출노즐(61)은 사선부(62)의 범위이고, 내주부 분출노즐(63)은 사선부(64)의 범위에 대하여 분사하는 범위의 면적으로 된다. 따라서
사선부(62)의 면적은 252π-202π=0.696㎡ ……………………… A
사선부(63)의 면적은 102π-52π=0.235㎡ ………………………… B
A : B=2.96 : 1
로 된다.
상기 계산의 결과 각각의 노즐(61,63)이 5cm 폭을 분사범위로 하였을 경우, 외주부 분출노즐(61)의 커버하는 면적과 내주부 분출노즐(63)의 커버하는 면적은 약 3배로 되고, 노즐 1개당의 분사수량을 가령 동량으로 하였을 경우는 세척력은 단위면적당의 분사수량으로 정해지는 것이므로, 외주부는 내주부에 비하여 세척력이 약하다고 하는 것이 원리적으로 증명가능하다. 더욱, 전항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외주부의 외주부 분출노즐(61)은 식기랙(60)의 네모퉁이의 각부(66)에 놓여진 식기에 대하여도 분사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각부(66)의 네모퉁이의 세척 불충분과 동시에 사선부(62)의 외주부에 놓여진 식기도 내주부에 비하여 어떠하든지 세척력이 약하다라는 원리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이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노즐아암(65)의 외주부에 집중하여 외주부 분사용의 분사노즐(67)을 부가함으로서 보충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개선책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상, 종래 널리 실용에 제공되어온 회전노즐분사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회전노즐분사식이 갖는 결점등에 대하여도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것으로 부터 설명하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의한 4로우터 노즐분사식은 회전노즐분사식이 갖는 결점을 보충함과 동시에 그 구조 및 세척력에 있어서 종래의 회전노즐분사식을 훨씬 초과하는 방식인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세척조내에 복수개의 세척분기관을 배설하고, 이들 세척분기관의 각각에 복수개의 노즐분사구를 갖는 회전노즐아암을 대략 동일 평면내에 위치시켜 회전 자유로이 부착하고, 상기 세척조내의 중앙부에 헹굼질 수도관을 배설하고 이 헹굼질 수도관에 복수개의 헹굼수 분사노즐을 갖는 1개의 헹굼질 노즐아암을 회전 자유로이 연결하였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세척조의 수평면형상을 정방향으로 형성하고, 세척분기관을 4개로 하여 상기 세척조를 4분할한 대략 중심부에 각각 배설하였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여 세척용의 회전노즐아암은 동일 평면내에 복수개로 되고, 이로서 세척조의 전면적에 대한 세척능력은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되고 그리고 그 구조에 대하여는 구형 타입의 것에 비하여 복잡화 되는 것처럼 생각되지만, 각각의 회전중심을 포함하는 세척노즐 구조는 극히 단순화된 구조로 실현되고, 그리고 중심부의 공간에 헹굼질 노즐축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복잡한 2중측 구조에 의하지 않는 단순구조로 할 수 있고, 회전노즐아암의 플라스틱 성형화와 동시에 총체 구조에서는 구형타입 보다 염가로 고성능의 식기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여 현재 실시되어 있는 각형의 세척조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배치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4로우터 노즐세척기의 주요단면을 도시하는 구조도이고, 제11도는 중요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세척조(101) 내에서 세척수(102)가 괴여 있다. 이 세척수(102)는 스트레이너(107)에 뚫어진 다수의 작은 구멍(106)을 통하여, 흡입구(105)를 경유하여 세척펌프(103)에 이르고, 이 세척펌프(103)로 가압되어 다시 세척조(101)내의 토출도관(109)을 통하여, 4방 분기관(151)으로부터 4개의 상승관(152,152')에 이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4개의 상승관(152,152')의 말단(153)은 블라인드 캡으로 되어 있지만 이 블라인드 캡의 바로 밑에는 상승관(152,152')의 측면에 3~4개의 구멍(154)이 뚫어져 있고, 세척수(102)는 이 구멍(154)으로부터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으로 유입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회전노즐아암(111)에는 그 외주부에 2개의 노즐분출구(113)가 형성되고 내주부 가까이에는 1개의 노즐분출구(113')가 형성되며, 세척수(102)는 각각의 노즐 분출구(113,113')로부터 분출하여 식기랙(135)상에 채워넣어진 식기(136,137)에 분사수류를 분리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펌프(103)로 가압된 세척수(102)는 4방분기관(151)의 상부로부터 다시 분기되어 상부 세척도관(110)에 의하여 상부분사 세척노즐로 유출하고, 상부로부터의 분사세척도 행해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경우, 하부세척분사가 상부세척 분사에 비하여, 세척결과에 중대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부 세척노즐 구조에 대하여는 상세한 것은 생략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다음에 제13도에 있어서, 외주부의 2개의 노즐분출구(113) 중의 1개는 자기회전하기 때문에 노즐분출구는 바로 위로부터 약 30°쯤 경사하여 분출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1초간에 2~3회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한 회전노즐암(111)은 식기랙(135)의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이 회전하더라도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동일평면상에서 식기랙(135)의 면적을 4등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은 각각 동일평면내에 배설되어 있고, 식기랙(135)을 평면적으로 4분할한 대략 중심에 각각의 회전노즐아암(111)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설명한 종래의 회전노즐분사의 경우는 제5도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식기랙(35)의 모퉁이에 놓여진 식기(36)에는 세척수(2)가 충분히 미치지 않고, 세척 불충분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식기랙(135)의 네모퉁이의 세척 불충분으로 되는 면적은 제12도중의 사선부(1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극히 작고, 회전노즐아암(111)의 외주부의 노출분출구(113)로부터 분사된 세척수(102)는 부채꼴로 열리면서 식기(136,137)에 분사되므로, 세척수(102)가 널리 퍼지지 않고 세척불량으로 되는 것과 같은 경우는 없다.
이 사실은 사선부(162)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 사선부(162)는 2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의 노즐 분출부(113) 4개에 의하여 커버되고 중앙부의 사선부(163)는 4개의 회전하는 외주의 노즐 분출구(113) 8개에 의하여 커버되기 때문에 식기랙(135)의 모든 내측면적을 충분한 세척수(102)의 분사로 널리 퍼지게 할수 있다.
이상의 점에 대하여 제14도 및 제15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식기랙(135)을 50cm×50cm의 크기로 하고 이 식기랙(135)의 약 12cm 아래에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을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운동시키고, 외주부의 노즐분출구(113)를 2개, 내주부의 노즐분출구(113')를 1개로 하고, 각각의 노즐분출구(113,113')로부터의 세척수(102)의 분출각도를 약 30°로 하면, 그 분사단면은 제1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되고 식기랙(135)의 상방에서 보아 랙 제면에 해당되는 분사수류의 범위는 제1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게 된다.
그 결과,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의 전장을 242mm, 노즐분출구(113)의 간격을 225mm, 노즐분출구(113')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약 40mm로 하면, 제14도 및 제1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식기랙(135)의 1/4을 대부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15도에서 도우넛 상으로 도시하는 부부분은 외주측의 노즐분출구(113)가 2개로 커버하는 것으로 되고 그 부분의 면적은 439㎟이므로 1개당으로는 220㎟의 분담으로 된다. 한편 내주측에 도시하는 부분의 면적은 176㎟이고, 이 부분은 내주측의 1개의 노즐분출구(113')에 의하여 커버하고 있다.
따라서 외주측의 노즐분출구(113)의 1개당의 분담면적과 내주축의 노즐분출구(113')의 1개의 분담면적과의 비는 1.25 : 1.0으로 되고 외주측의 노즐분출구(113)의 편이 25% 큰면적을 커버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그 차이는 종래의 회전노즐 분사방식에 비하여, 작은 차이고, 실용상 거의 지장없고, 외주부, 내주부까지 거의 균일한 분사세척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4로부터 분사식에 의하면 식기랙(135)의 전역에 걸쳐서 대개균일한 분사세척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고 종래와 같이 식기랙의 네모퉁이가 세척 불충분으로 되는 경우는 없어진다.
그런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하부회전노즐아암(11)은 전장이 약 50cm이고, 본 실시예의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은 전장이 약 24cm이고, 1/2의 길이로 되어 있다. 여기에 50cm의 노즐아암(11)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제의 주물 또는 프레스품으로서 만들지 않으면 않되지만, 본 실시예의 회전노즐아암(111)은 짧고 소형이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성형품으로 충분히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작성한 경우는 제13도에서 상승관(152)의 상부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노즐아암(111)의 축받이부(115)가 끼워맞춤하여 회전하는 것이지만, 이 축받이부(115)부분도 플라스틱제이므로, 축받이부(115)에 끼워맞춤하여 회전할 때에, 금속을 중심축으로서 플라스틱 축받이가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특별한 회전부시를 사용하는 일없이 내구성이 있는 회전을 지속시킬 수가 있다.
또 노즐분출구(113,113')로부터 세척수(102)가 분사함으로서 회전노즐아암(111)은 하향의 반력을 받아 드러스트 스톱퍼(171)와 회전노즐아암(111)의 하면의 습동부(170)와는 항상 밀어붙여지면서 회전하는 것으로 되고 이 경우, 금속과 금속과의 경우에는 마찰력을 경감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제의 부시를 삽입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회전노즐아암(111) 전체가 플라스틱 성형품이므로 특별한 부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며 회전노즐아암(111)은 소형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 충분히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고, 회전축받이와 드러스트 축받이를 일체성형한 것과 동등하게 되어, 간단한 구조로서 회전부의 회전을 내구성을 유지시키면서 가볍게 회전시킬 수가 있고 매우 낮은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종래기계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세척수도관(9)의 내측에 동심으로 헹굼질 도입관(14)으로 구성하는 2중도관 방식으로 되고, 각각의 축받이부에는 마찰을 경감시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축받이 부시를 필요로 하고, 그리고 축받이로부터 쓸데 없는 물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받이 간극을 작게 유지하지 않으면 않된다.
그결과, 구조는 복잡하게 되고 노즐아암(11)을 붙이고 떼는 경우에 헹굼질 노즐아암(18)을 떼어낸 다음에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3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은 노즐분출구(113,113')와 축받이부(115)와 드러스트 축받이부(170)와를 모두 일체 성형한 플라스틱 부품이고, 이 회전 중심축이 되고 세척수(102)를 유도 유입시키는 상승관(152)도 축받이부(115)와 일체로 하는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3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만 바로 위에서 얹어 상승관(115)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좋고, 회전노즐아암(111)의 점검·청소도 용이한 것으로 된다.
더욱, 압무용 세척기를 고려하였을 경우, 회전노즐아암과 헹굼질아암과는, 반드시 별개의 수로와 부품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는 노즐아암(11)과 헹굼질아암(18)과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척기의 중앙에 회전중심을 동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2중 도관을 필요로 한다.
이점 본 실시예에 의하면 4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은 제1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척기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한 4개소에 있고, 제15도 중의 중심부(172)는 제10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방 분기관(151)이 세척조(101) 저부에 있는 이외는 그 상부가 공간으로 되어 비어 있다.
이와 같이 빈공간을 헹굼질 노즐아암(118)의 회전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제10도의 하부 헹굼질도관(114)을 직립시키는 것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16도 및 제17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설명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식기랙의 평면형상을 단변과 장변과의 비율이 1 : 2인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한 하프사이즈 랙 전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프사이즈 랙 전용 세척기는 1개의 노즐식에서는 실현 불능하였다.
또 고정노즐에 의하여 상하로부터 분사하는 형식에 의하면, 실현가능하지만, 이 형식에서는 구조가 극히 복잡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의 하프사이즈 랙 전용 세척기는 제12도에 도시하는 것과 비교하면 꼭 절반으로 되어 있다.
그 구체적인 예를 제17도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식기랙(201)은 평면형상이 25×50cm이고, 제1의 실시예에 도시한 식기랙(135)의 절반의 형상이다.
이와 같은 식기랙(201)은 25×50cm의 풀사이즈 랙과는 별도로 하프사이즈 랙으로서 널리 실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식기랙(201)의 아래에 2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을 배치하고, 더욱 이 회전노즐아암(111)과 동형상의 2개의 회전노즐아암(211)이 상기 식기랙(2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의 2개의 회전노즐아암(111)은 분기관(203)에 의하여 각각의 회전노즐아암(111)에 세처탕이 분배되고, 상부의 회전노즐아암(211)에는 수직분기관(204)을 경유하여 수평분기관(205)으로부터 세척탕이 보내어진다. (209)는 세척탕의 탕류(湯溜)이고, 이중에 저장해 둔 세척탕은 스트레이너(207)를 지나 펌프(202)의 흡입구(208)에 이르고 이 펌프(202)로 가압되어 상승관(210)으로부터 세척조 중앙부로 유도되고 세척조내에 있어서의 분기관(203,204,205)을 지나 상하로 2개씩 설치된 회전노즐아암(111,211)으로부터 세척탕을 분출한다.
다음에 (206)는 세척량이 외부로 비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케이싱이고, 이 케이싱(206)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식기랙(201)을 출납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평면형상이 25×50cm의 평면부를 갖는 식기팩(135)에 채워 넣어진 식기를 상하로부터의 분사세척에 의하여 세척탕의 분사를 유효하게 식기에 대하여 분사할 수가 있고, 그리고 케이싱(206)을 제1의 실시예에 도시한 풀사이즈랙의 식기 세척기의 거의 절반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프사이즈의 식기 세척기의 용도로서는 글라스·컵류의 세척이 있다. 글래스·컵류는 전용 세척장에 운반하는 일없이 객석에 가까운 서비스 에리어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때문에 식기 세척기의 외형치수가 풀사이즈 랙의 식기 세척기의 절반의 크기로 되면 객석에 가까운 서비스 레리어에 놓을 수가 있고, 일반의 식기와는 별도로 주방으로 운반하는 일없이 작업동선이 짧고 효율적으로 글래스나 컵류를 세척처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1)의 발명은 세척조내에 복수개의 세척분기관을 배설하고, 이들의 세척 분기관의 각각에 복수개의 노즐분사구를 갖는 회전노즐아암을 거의 동일 평면내에 위치시켜 회전 자유로이 부착하였으므로 세척용의 회전노즐아암은 동일 평면내에 복수개로 되고, 이로써 세척조의 전면적에 대한 세척 능력은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할 수 있고, 또, 청구항(2)의 발명은 세척조의 수평면 형상을 정방형으로 형성하고 세척분기관을 4개로 하여 상기 세척조를 4분할한 대략 중심부에 각각 배설하였으므로 현재 실시되어 있는 각형의 세척조에 대하여 가장 합리적인 배치를 행할 수가 있고 더욱 청구항(7)의 발명은 세척조내에 복수개의 세척분기관을 배설하고, 이들의 세척분기관의 각각에 복수개의 노즐분사구를 갖는 회전노즐아암을 대략 동일 평면내에 위치시켜 회전 자유로이 부착하고, 상기 세척조내의 중앙부에 헹굼질 수도관을 배설하고, 이 헹굼질 수도관에 복수개의 헹굼수 분사노즐을 갖는 1개의 헹굼질 노즐아암을 회전운동 자유로이 연결하였으므로, 각각의 회전중심을 포함하는 세척노즐 구조는 극히 단순화된 구조로 실현되고, 그리고 중심부의 공간에 헹굼질 노즐축을 설치하는 것으로, 복잡한 2중축 구조에 의하지 않는 단순구조로 할 수 있고, 회전노즐 아암의 플라스틱 성형화와 동시에 총체구조에서는 구형타입 보다 염가로 고성능의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고, 더욱 또 청구항(3)의 발명은 세척조의 수평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세척 분기관을 2개로 하여 상기 세척조를 2분할 한 대략 중심부에 각각 배설하였으므로, 설치 스페이스가 작은 서어비스 에리어 등에 설치를 할 수 있고, 객석의 근방에서 글래스 등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2도는 그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3도는 세트로서 조립한 경우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4도는 하부분사노즐아암과 식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하부분사노즐아암과 식기와 상부분사노즐아암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랙과 하부분사노즐아암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7도는 랙과 하부분사노즐아암과의 다른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8도는 고정노즐 분사방식의 사시도.
제9도는 내주부와 외주부와의 분사범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11도는 그 일부의 사시도.
제12도는 그 평면도.
제13도는 회전노즐아암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14도는 분사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15도는 하나의 회전노즐아암에 의한 분사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세척조 111 : 회전노즐아암
113,113' : 노즐분사구 114 : 헹굼질 수도관
151 : 세척분기관
본 발명은 업무용으로의 이용에 적합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업무용에 사용되고 있는 박스형의 식기세척기의 약 90%는 지금으로 부터 50년 이상전에 미국에서 제조된 회전노즐분사식을 그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회전노즐분사식」의 대표적인 구조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1)은 세척조로, 1변이 대략 60cm의 각형조이고, 내부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고, 그리고, 일정한 세척농도를 유지한 세척수(2)가 괴여 있다. 이 세척조(1)의 윗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0)가 형성되어 있다. (3)은 세척펌프로서 이 세척펌프(3)는 세척펌프 모우터(4)로 구동된다. 흡입구(5)는 세척조(1)의 저부에 접속되고, 이 흡입구(5)의 상부에는 그 흡입구(5)로 부터 흡입하는 세척수(2)중에 포함되는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작물(음식물의 찌꺼기)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다수의 통과 구멍(6)을 갖는 스트레이너(7)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펌프(3)로 가압된 세척수(2)는 세척조(1)와 결합된 토출구(8)로 부터 세척조(1) 내의 하부도관(9)과 상부도관(10)에 분리유입한다. (11)은 하부세척노즐아암으로서 이 하부세척노즐아암(11)은 전장 약 50cm를 갖고, 노즐분출구(12)와 외주부에 가까운 노즐분출구(13,13')와를 합하여 6개~8개의 분출구를 갖고, 하부도관(9)의 중심부에 있고 2중도관을 형성하는 파이프(14)를 회전축으로서 축받이(15)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도록 유지하고 있다.
파이프(14)의 상단부는 막힘마개(15a)로 막혀 있지만 그 도중에 여러개의 개구구멍(16)이 개구되어 있다. (18)은 헹굼질 노즐아암으로서 축받이부(17)로 파이프(14)에 회전 자유롭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헹굼질 노즐아암(18)에는 헹굼질 노즐팁(19)이 6개~10개 심어져 있다.
(21)은 헹굼질 펌프로서, 이 헹굼질 펌프(21)는 헹굼질 펌프 모우터(22)로 구동되고, 헹굼질 탱크(25)에 모여져 있는 헹굼수(26)를 흡입구(23)로 부터 흡입하고, 토출구(24)로 가압하여 세척조(1) 내의 헹굼질 도관(27)을 통하여 하부 헹굼질 도관(28)과 상부 헹굼질 도관(29)으로 도입한다.
헹굼질 펌프(21)로 가압된 헹굼수(26)는, 헹굼질 도관(27)을 지나 하부 헹굼질 도관(28)으로 도입됨과 동시에, 그 일부는 상부 헹굼질 도관(29)을 지나, 상부의 4모퉁이에 설치된 헹굼질 노즐팁(32)으로 부터 헹굼수(26)를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세척펌프(3)로 가압된 세척수(2)는 하부도관(9)을 지나 하부세척노즐아암(11)으로 도입되지만, 그 일부는 상부 세척도관(10)을 지나 상부에 설치된 상부분사노즐아암(30)에도 도입되고, 상부노즐분사구(31)로 부터도 분출한다.
(35)는 식기랙으로서, 아래로 부터의 세척수(2)의 분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물 바구니식 구조로 되어 있고, 식기의 글라스(36)나 식기의 사발(37)이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적당한 간막이를 가짐과 동시에, 세척되기 쉬운 자세를 유지하도록 연구되어 있다. 이 식기랙(35)의 크기는 50cm×50cm로 통일되어 있고 글라스용, 사발용, 접시용등의 용도에 따라 각종의 것이 있다.
(41)은 세척중에 세척수(2)가 밖으로 비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후드이고, 식기(36,37)을 넣은 식기랙(35)을 출입할때에는 이 후드(41)를 위로 들어올린다. (42)는 가대로서, 세척펌프(3)와 헹굼질 펌프(21), 헹굼질 물탱크(25)나 도시하지 않는 제어상자를 수납하고, 4개의 다리(43)로 지지되어 있다. 세척펌프(3)로 가압된 세척수(2)는 하부도관(9)을 통하여 세척노즐아암(11)에 들어가고, 노즐분출구(12,13)로 부터 분출하여 식기(36,37)로 향하여 아래로 부터 세척수(2)를 분출하지만, 외주부의 노즐분출구(13,13')는 세척노즐아암(11)을 분출하는 반력으로 회전하는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타의 노즐로 부터는 수직으로 분사하는데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약 30°쯤 경사시켜 분출시켜 그 결과 1초에 1~2회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세척수(2)를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같은 원리로 상부분사노즐아암(30)도 회전하면서 세척탕(湯)을 분출한다. 또 헹굼질 펌프(21)로 가압된 헹굼수(26)가 헹굼질 노즐아암(18)에 이르러, 헹굼질 노즐팁(19)으로 부터 분출하는 경우도, 외주부의 노즐팁(19)을 수직방향에서 약 30°쯤 수평방향으로 경사시켜 분출시키므로서 헹굼질 노즐아암(18)에 회전 추진력을 부여하고, 1초에 1회쯤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헹굼질 탕을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식기세척기는 업무용이고, 그 1회당의 소요시간은 가정용의 식기세척기와는 크게 다르고 약 1분간에 세척과 헹굼질의 공정을 자동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3도는 식기세척을 능률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세척기의 좌우에 보조테이블(50,51)을 조화시켜, 미리 오염된 식기를 보조테이블(50)에서 식기랙(35')에 가득 채워두고 식기세척기의 후드(41)를 위로 열어 세척기의 중앙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고, 후드(41)를 끌어내린다. 후드(41)는 세척기의 기동 스위치와 연동하여 후드를 내리므로서, 우선, 세척펌프 모우터(4)가 운전되고, 세척펌프(3)는 세척조(1)에 괴어 있는 세척수(2)를 흡입하여 토출관(7)을 경유하여 하부세척노즐아암(11)에 송출하고, 노즐분출구(12,13)에 의해 세척수(2)를 분출하고, 분출할때의 추진력에 의하여 노즐아암(11)은 회전하면서 세척수(2)를 분출하여 식기(36,37)에 수류충격을 준다. 한편, 세척펌프(3)로 가압된 세척수(2)는 동시에 상부 세척도관(10)을 지나 상부세척노즐아암(30)에 이르고, 노즐분출구(31)로 부터 분출함으로서(하부세척노즐아암(11)과 같이 회전하면서), 식기(36,37)의 상측으로 부터 세척수(2)의 충격수류를 부여한다. 세척펌프(3)는 약 45초간, 운전되어 정지한다.
그후 수초간의 간격을 두고 헹굼질 펌프 모우터(22)가 자동적으로 운전개시한다. 헹굼질 펌프(21)는 미리 헹굼질 물탱크(25)에 저장되어 있는 헹굼수(26)를 흡입하여, 토출구(24)로 부터 도관(28)을 경유하여 헹굼질 노즐아암(18)에 이르고, 헹굼질 노즐아암(18)이 회전하면서 노즐팁(19)으로 부터 헹굼수(26)를 분출하고, 헹굼질 세척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동시에 헹굼질 펌프(21)로 가압된 헹굼수(26)는 상부도관(29)을 지나, 상부의 네모퉁이에 배치된 헹굼질 노즐(32)로부터도 분출하여 위로 부터의 헹굼질도 행한다. 헹굼질 펌프(21)가 운전하고 있는 시간은 10~15초 사이로서 이 헹굼질이 끝나면, 버저로 세척→헹굼질의 일련의 공정이 끝마침을 알리든가, 후드(41)를 자동적으로 위로 개방함으로서 1회당의 작업을 종료한다. 이리하여 세척 45초→휴지수초→헹굼질 12초의 합계시간은 약 1분간으로 된다. 한 공정이 끝나면 제3도의 테이블(51)편으로 인출하고, 다음에 미리 오염된 식기(36,37)가 들어있는 식기랙(35')을 세척기에 인입하여 후드(41)를 끌어 내림으로서, 다음 공정이 시작된다.
이상과 같이 겨우 45초 사이에 오염된 식기(36,37)를 깨끗이 세척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세척펌프(3)의 토출유량과 토출압력 및 세척노즐아암(11)에 대한 노즐분출구(12,13)의 수량, 형상등이 중요한 요소로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식기랙(35)에 가득채운 오염된 식기는 글라스(36)의 경우는 하향으로 하고, 사발(37)의 경우는 비스듬히 아래로 향하여 식기와 식기가 포개어지지 않도록, 식기랙(35)에는 간막이 또는 돌기둥이 설치되어 있다.
식기랙(35)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하부세척노즐아암(11)과 상부세척노즐아암(31) 사이에 있고, 오염된 식기는 아래로 부터의 분사수류와 위로 부터의 분사수류를 받으면서 세척되는 것이나, 글라스(36)나 사발(37)의 경우 아래로 부터의 분사수류가 세척결과에 매우 큰 비중을 갖는 것이다. 왜냐하면 아래로 부터의 분사수류는 글라스(36)의 개구부에 부착한 오물을 직접, 제거하도록 분사되고, 사발(37)의 경우도 내측의 오물에 직접 분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상부분사노즐아암(30)의 노즐구(31)로 부터 분출한 세척수(2)는 글라스(36)의 밑이나 사발(37)의 저면을 세척하는 것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3도는 식기랙(35)에 접시(52)를 비스듬히 위로 향하여 기대어 세워놓고 세척하는 경우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접시(52)를 세척하는 경우는 이와같은 자세도 좋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부분사노즐아암(30)로 부터의 분사수류가 오물을 떨어뜨리는데 크게 영향하고, 하부분사노즐아암(11)으로 부터의 분사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접시(52)의 경우에도 사발(37)과 마찬가지로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여 랙(35)에 채워서 세척하면 하부분사노즐아암(11)으로 부터의 분사가 상부분사노즐아암(30)으로 부터의 분사에 비하여 중요하다고 하는 것으로 된다. 이쨌든 식기세척기는 하부분사노즐아암(11)으로 부터의 세척수 분사가 상부분사노즐아암(30)에 비하여 매우 중요한 효과를 완수하는 것이다. 이 사실은 업무용 식기세척기의 간이형의 경우에는 상부분사노즐아암이 없고 하부분사노즐아암 만으로 구성되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부터도 알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구미에 비하여 식기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구미의 접시주체형과 다르고, 사발, 공기, 주발, 도시락 그릇, 글라스, 등의 많기 때문에 특히 하부 세척분사의 좋고 나쁨이 세척결과를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서두에 기술한 바와같이 미국에서는 50년의 역사를 갖고, 일본에 있어서도,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설명한 구조의 식기세척기가 업무용으로서 90%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 이유로서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세척펌프(3)가 소형(1/2마력~1마력)으로 해결되는 것이 주된 이유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회전노즐분사식」은 후술하는 결점이 있고, 그 세척력은 반드시 사용자에게 만족을 주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지금까지 설명하여온 식기세척기의 높이의 문제에 대하여 언급하면, 제3도에 있어서 식기랙(35)의 바닥면으로 부터의 높이는 작업테이블과 수평으로 조화시키는 관계로 약 80cm로 유지되어 있다(구미제품에서는 85~90cm이다). 따라서, 세척기 본체의 윗 가장자리도 80cm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이 80cm의 높이의 범위내에 대표적인 평균치로서는 세척조(1)가 약 30cm, 가대(42)에는 펌프(3), 펌프(21) 및 헹굼질 탱크(25)를 수납하기 위하여 가대(42)가 약 40cm, 다리(43)가 약 10cm로 합계 80cm로 된다.
세척조(1) 속에는 위로 부터 헹굼질 노즐아암(18), 하부분사노즐아암(11)이 있고, 그 밑에 세척수(2)가 괴여 있다. 이리하여 하부분사노즐아암(11)은 식기랙(35)의 약 12cm 아래에서 회전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노즐분출구(12,13)로부터 세척수(2)가 분출하고 있는 상태는 분출구로 부터 분출한 세척수(2)는 약 30°의 부채꼴로 벌어지면서 식기랙(35)을 통하여 식기(36)에 부딪치게 된다.
제4도에 있어서 식기랙(31)과 하부분사노즐아암(11)과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2cm이다 라고 설명하였지만, 이를 더욱 20cm정도까지 증가시키면 분사수류는 식기랙(35)에 이르기까지 부채꼴로 벌어져서, 분사수류가 커버하는 범위는 증가하고, 제6도의 식기랙(35)의 네모퉁이를 충분하다고는 할수 없더라도 커버할 수 있게 되나 상술한 이유에 의하여 12c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 하부분사노즐아암(11)을 회전분사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 가령 이 거리를 20cm 정도로 크게 하였을 경우, 분사수류는 부채꼴로 벌어져서 분사수류의 커버하는 면적은 증가하지만, 수류의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약해지는 것으로 부터 세척력 본위로 생각하였을 경우에 반드시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Claims (7)

  1. 세척조내에 복수개의 세척분기관을 배설하고 이들의 세척분기관의 각각에 복수개의 노즐분사구를 갖는 회전노즐아암을 대략 동일 평면내에 위치시켜 회전 자유로이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세척조의 수평면 형상을 정방형으로 형성하고, 세척분기관을 4개로 하여 상기 세척조를 4분할한 대략 중심부에 각각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세척조의 수평면 형상은 장방향으로 형성하고, 세척분기관을 2개로 하여 상기 세척조를 2분할한 대략 중심부에 각각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노즐아암의 외주측의 노즐분사구의 수를 내주축의 노즐분사구의 수보다 많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노즐아암의 외주측의 노즐분사구내의 1개는 상기 회전노즐아암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하여 분출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노즐아암을 플라스틱에 의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세척조내에 복수개의 세척 분기관을 배설하고, 이들의 세척 분기관의 각각에 복수개의 노즐분사구를 갖는 회전노즐아암을 대략 동일 평면내에 위치시켜 회전자유로이 부착하고, 상기세척조내의 중앙부에 헹굼질 수도관을 배설하고, 이 헹굼질 수도관에 복수개의 헹굼수 분사노즐을 갖는 1개의 헹굼질 노즐아암을 회전운동 자유로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19930003181A 1992-03-06 1993-03-04 식기세척기 Expired - Fee Related KR940011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917892 1992-03-06
JP92-49178 1992-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184A KR930019184A (ko) 1993-10-18
KR940011551B1 true KR940011551B1 (ko) 1994-12-21

Family

ID=1282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181A Expired - Fee Related KR940011551B1 (ko) 1992-03-06 1993-03-0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559466B1 (ko)
KR (1) KR940011551B1 (ko)
DE (1) DE6930474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75B1 (ko) * 2005-11-29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2982C2 (de) * 1998-07-22 2000-08-03 Premark Feg Llc Spülvorrichtung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DE10120894B4 (de) * 2001-04-27 2007-03-01 Miele & Cie. Kg Verfahren zum Spülen von Spülgut
EP1300107A1 (en) * 2001-10-08 2003-04-09 Wavebest Limited Glasswashing machine
DE602006007115D1 (de) * 2006-06-21 2009-07-16 Getinge Disinfection Ab Desinfektionsvorrichtung mit Sprühmitteln
DE102009007297A1 (de) 2009-02-03 2010-08-12 Miele & Cie. Kg Spülautomat mit einem quaderförmigen Spülraum
ES2717795T3 (es) 2015-03-26 2019-06-25 Steelco Spa Máquina para el lavado y/o la desinfección térmica y/o esterilización de objetos
DE102016217912B3 (de) 2016-09-19 2018-02-0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IT201700057779A1 (it) * 2017-05-26 2018-11-26 Icos Pharma S P A Dispositivo di contenimento per una macchina di trattamento, in particolare lavaggio e/o sterilizzazione, di prodotti sfusi
US10531781B2 (en) 2017-09-29 2020-01-14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iscretely directable tubular spray elements
US10524634B2 (en) 2017-09-29 2020-01-0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ombined liquid and air sprayers
US12290225B2 (en) 2017-09-29 2025-05-06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walking tubular spray element
US11000176B2 (en) 2018-09-14 2021-05-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rotatable diverter valve
US11071440B2 (en) 2018-09-14 2021-07-2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rack-mounted conduit return mechanism
US10631708B2 (en) 2018-09-14 2020-04-2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ocking arrangement for elevation-adjustable rack
US10765291B2 (en) 2018-09-14 2020-09-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heck valve in rotatable docking port
US11045066B2 (en) 2019-03-11 2021-06-29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keyed coupling to rack-mounted conduit
US11484183B2 (en) 2019-09-30 2022-11-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026559B2 (en) 2019-09-30 2021-06-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US11191416B2 (en) 2019-09-30 2021-12-0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position sensor
US11259681B2 (en) 2019-09-30 2022-03-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US11399690B2 (en) 2019-09-30 2022-08-02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am-based position sensor
US11464389B2 (en) 2019-09-30 2022-10-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US11185209B2 (en) 2019-11-20 2021-11-30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steam generator
US11202550B2 (en) 2019-11-20 2021-12-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US11497374B2 (en) 2020-02-19 2022-11-15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wall-mounted rotatable conduit
US11564551B2 (en) 2020-09-16 2023-01-3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molded tubular spray element
US11412912B2 (en) 2020-09-21 2022-08-16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tubular spray element slip ring alignment
US11484180B2 (en) 2020-11-11 2022-11-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tubular spray element including multiple selectable spray patterns
CN112704449B (zh) * 2020-12-31 2022-04-1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清洗方法、装置及洗碗机
US11826001B2 (en) 2022-02-15 2023-11-2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tubular spray element including elongated metal tube and retaining tab for mounting support member thereto
US12245735B2 (en) 2022-02-25 2025-03-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tubular spray element with intermediate support and/or fluid inlet
US12329341B2 (en) 2023-06-28 2025-06-1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rack-mounted tubular spray elemen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07285A (en) * 1928-10-30 1929-03-07 Friedley Voshardt Company Improvements in dishwashing machines
US2960990A (en) * 1956-01-26 1960-11-22 Whirlpool Co One level dishwasher
DE1183214B (de) * 1961-12-13 1964-12-10 Siemens Elektrogeraete Gmbh Geschirrspuelmaschine
DE1628548A1 (de) * 1966-11-29 1970-10-22 Constructa Werke Gmbh Spruehvorrichtung fuer einen Geschirrspuelautomaten
FR1545359A (fr) * 1966-11-29 1968-11-08 Constructa Werke Gmbh Bras d'arrosage pour une machine à laver la vaisselle
DE1628547A1 (de) * 1966-11-29 1970-10-22 Constructa Werke Gmbh Sprueharm fuer eine Geschirrspuelmaschine
DE2817813A1 (de) * 1978-04-22 1979-10-25 Licentia Gmbh Sprueharm fuer eine geschirrspuel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75B1 (ko) * 2005-11-29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59466B1 (en) 1996-09-18
EP0559466A1 (en) 1993-09-08
KR930019184A (ko) 1993-10-18
DE69304740D1 (de) 1996-10-24
DE69304740T2 (de) 199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551B1 (ko) 식기세척기
CN203736145U (zh) 开放式水槽清洗机
AU544392B2 (en) Cleaning machine
CN103735237B (zh) 水槽式清洗机
US8287660B2 (en) Upper spray arm water deflector
CN110446448A (zh) 洗碗机
CN112120629B (zh) 一种清洗机
AU2017437705B2 (en) Dishwasher spray arm assembly
CN203693523U (zh) 水槽式清洗机
CN216776997U (zh) 用于清洗机的喷淋臂及应用有该喷淋臂的清洗机
CN209153525U (zh) 一种洗碗机
JP3231872B2 (ja) 食器洗浄機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CN217645167U (zh) 用于清洗机的喷淋臂及应用有该喷淋臂的清洗机
CN109330524A (zh) 一种用于清洗水瓶的洗碗机
CN209285408U (zh) 一种水槽式清洗机的盖板结构
CN110267576B (zh) 餐具清洗机
CN112932274A (zh) 智能锅盖、烹饪设备及刷锅方法
JPH09164105A (ja) 食器洗浄機
CN218852645U (zh) 用于清洗机的喷淋结构及清洗机
CN219206802U (zh) 一种用于清洗机的喷淋结构及清洗机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CN216776998U (zh) 用于清洗机的喷淋臂及应用有该喷淋臂的清洗机
CN222149954U (zh) 一种碗筷多级分拣清洗机
CN214259249U (zh) 一种具有双喷射水路的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1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12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