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9294B1 -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294B1
KR940009294B1 KR1019910011744A KR910011744A KR940009294B1 KR 940009294 B1 KR940009294 B1 KR 940009294B1 KR 1019910011744 A KR1019910011744 A KR 1019910011744A KR 910011744 A KR910011744 A KR 910011744A KR 940009294 B1 KR940009294 B1 KR 94000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normal
banknotes
withdrawal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217A (ko
Inventor
마사유끼 와다베
요시노리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 콘럭스 캄파니 리미티드
오까다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84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9048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576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5686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콘럭스 캄파니 리미티드, 오까다 마사하루 filed Critical 닛폰 콘럭스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2000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인출방지장치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인출방지레버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제5도는 편심캠을 상사점위치에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제1도의 지폐처리장치의 종단면도.
제6도는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의 삽입시를 나타낸 제1도의 지폐처리장치의 부분확대 종단면도.
제7도는 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의 스택시를 나타낸 제6도의 지폐처리장치의 종단면도.
제8도는 플라스틱판의 삽입시를 나타낸 제6도의 지폐처리장치의 종단면도.
제9도는 지폐의 인출시를 나타낸 제6도의 지폐처리장치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지폐처리장치의 제어시스템의 블록도.
본 발명은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판매기와 환전기 등의 지폐처리장치로부터 부정행위로 지폐등을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 등 명세서에 있어서, “지폐”는 지폐 및 이와 유사한 유가 지폐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지폐처리장치에는 삽입된 지폐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는 지폐식별장치와, 받아들인 정상지폐만을 집적복스내에 수납하는 지폐집적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는 반송벨트 등의 수단에 의해 지폐통로에 따라서 지폐삽입구로부터 지폐집적복스내로 보내지며, 이 사이에 정상지폐인지, 위조지폐인지가 식별된다. 종래에는 지폐식별장치를 통과한 정상지폐가 부정행위에 의해 지폐의 삽입구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폐통로에는 셔터판이 지폐통로를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지폐인출방지방법에 의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길다란 형태의 플라스틱의 박판 등을 지폐의 삽입구로부터 지폐통로내에 삽입하여 셔터판을 인위적으로 후퇴시켜서 지폐가 부정으로 인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의 삽입구로부터 플라스틱의 박판을 지폐통로에 따라서 삽입했을 때에 스택모터를 구동하여 지폐를 집적복스내에 압입하여 지폐를 인출할 수 없도록 한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삽입구로부터 플라스틱의 박판을 지폐통로에 따라서 삽입하여 지폐를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폐삽입구로 부터 삽입된 지폐류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고, 정상지폐로 식별되는 경우에만 지폐통로를 통해 지폐를 지폐스택위치로 반송하고, 정상지폐가 셔터판 및 인출방지레버를 통과한 후에 셔터스위치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스태커장치의 편심캡을 구동하여 지폐스택위치의 정상지폐를 집적복스내에 압입하고, 편심캠을 상사점(上死點)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상지폐가 지폐통로를 통해 지폐스택위치로 반송된 후, 셔터판을 인위적으로 후퇴시켜서 셔터스위치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스태커장치의 편심캠을 구동하여 지폐스택위치의 정상지폐를 집적복스내에 압입하고, 편심캠을 상사점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류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고, 정상지폐만을 지폐통로를 통해 지폐스택위치로 반송하고, 정상지폐가 인출방지레버를 통과한 후에 스태커장치의 편심캠을 구동하여 지폐스택위치의 정상지폐를 집적복스내에 압입하는 스텝후에, 진권(眞券)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정상지폐가 인출방지레버를 통과한 후에 진권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부정행위자가 스택된 지폐를 지폐의 삽입구를 통해 인출하려고 해도, 지폐가 인출방지 레버에 걸려서 인출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는 만곡되어 있는 클릭끝을 포함하고, 이 클릭끝을 지폐삽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내측에 후크홈을 형성한 인출방지레버와, 인출방지레버가 피봇회전하여 지폐통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인출방지레버를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피봇축(35)과, 지폐통로를 차단하도록 인출방지레버를 스프링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인출방지레버가 스프링가압되어 지폐통로를 차단한다. 테이프가 부착된 정상지폐를 집적복스내에 수납시킨 경우와 같이, 지폐통로내에 플라스틱의 박판을 삽입하여 지폐를 인출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인출방지레버의 클릭부재의 후크 홈과 결합된다. 따라서, 지폐의 인출의 부정행위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이 지폐처리장치의 하우징(1)의 앞면에는 지폐의 삽입구(2)가 설치되고, 커버(3)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지폐를 삽입구(2)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구(2)를 연통하도록 대략 L자형으로 연속된 수평의 지폐통로(4) 및 수직의 지폐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이중 수평의 지폐통로(4)의 상측에는, 지폐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기헤드(6)가 설치되고, 이 자기헤드(6)의 대향측에는 헤드핀치롤러(7)가 배치되어 있다. 이 헤드핀치롤러(7)의 전후에는 풀리(8, 9)가 배치되고, 이들 풀리(8, 9)의 사이에 벨트(10)가 평행으로 걸쳐 있다. 이 풀리(8, 9)를 회전시키기 위해 반송모터(51)(제10도)가 풀리(9)에 접속되고, 또한 핀치롤러(11)는 상기 벨트(10)의 위로부터 풀리(8)를 누르고 있다.
한편, 상기 수직의 지폐통로(5)의 한쪽에는, 도면에는 1개의 구동풀리(12)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1쌍의 구동풀리(12, 12)가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이 구동풀리(12, 12)는 반송모터(51)(제10도)에 의해 회전된다. 이들 구동풀리(12, 12)에 각각 대응하는 1쌍의 종동풀리(14, 14)가 하우징(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구동풀리(12)와 종동풀리(14)의 2쌍이 설치된다. 상기 각 구동풀리(12)와 종동풀리(14)의 1쌍의 사이에는 수납벨트(15)가 평행으로 걸쳐 있다. 이들 수납벨트(15)의 내측에는 누름판(17), 1쌍의 링크봉(19, 20), 편심캠(22)을 포함하는 지폐의 스태커장치(16)가 설치되어 있으며, 누름판(17)은 수납벨트(15)에 의해 수직의 지폐통로(5)에 따라서 보내온 지폐 B를 뒤쪽으로 누르고, 링크봉(19, 20)은 그 일단이 누름판(17)의 앞면에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타단이 링크봉(19, 20)을 통해 형성된 슬롯(19A, 20A)을 관통하는 고정축(18A, 18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택모터(21)에 의해 회전 중심 0주위를 모터 구동되는 편심캠(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17)은 1쌍의 코일스프링(23, 23)에 의해 스태커장치(16)의 쪽으로 스프링가압되어 있다. 또한, 수직의 지폐통로(5)의 다른쪽에는 상기 스태커 장치(16)에 의해 가압된 지폐 B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복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집적복스(24)내에는 압축판(25)이 배치되고, 스프링봉(26)에 의해 제1도의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수평의 지폐통로(4), 수직의 지폐통로(5)의 접속영역에는 셔터판(28)이 설치되고, 피봇(29)을 통해 하우징(1)에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셔터판(28)은 통상 제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판(28)의 클릭끝(28a)의 수직의 지폐통로(5)를 닫고 있다. 따라서, 셔터판(28)은 지폐의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지폐 B에 눌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자동적으로 수직의 지폐통로(5) 밖으로 물러나서 셔터스위치(30)을 온으로 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지폐 B에 대해서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이리하여, 집적복스(24)의 저판(31)의 내단의 아래쪽에는 지폐의 인출방지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방지장치(3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판(33)과, 인출방지레버(34)와, 양자를 피봇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봇축(35)을 가지고 있다. 상기 브래킷판(33)은 장착부재(33a, 33a)와, 이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위쪽이 개구된 ㄷ자형의 브래킷 본체(33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출방지레버(34)는 클릭끝(36a, 36a)을 지폐의 삽입구(2)로부터 멀어지는 경사 위쪽으로 연장된 1쌍의 클릭부재(36, 36)를 가지고, 클릭부재(36, 36)의 위쪽에는 후크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클릭부재(36, 36)는 연결판(38)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그 대략 중앙에는 설편(39)이 세워져 있다. 이 설편(39)은 집적복스(24)내에 수납된 지폐의 하단이 이 수직의 지폐통로(5)내에 밑으로 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각 클릭부재(36, 36)의 하면 후방에는 제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정지면(3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출방지레버(34)는 피봇축(35)의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고, 인출방지레버(34)는 코일스프링(40)의 스프링힘에 의해, 피봇축(35)의 주위를 반시계방향 즉 클릭부재(36, 36)가 수직의 지폐통로(5)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가압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지폐의 삽입구(2)의 직후에는, 지폐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입구센서(41R, 41L)가 배치되고, 또한 부호(42)는 집적복스(24)가 소정의 위치에 세트되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스태커스위치이다.
지폐인출방지장치에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종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ROM(read only memory)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50)가 설치된다.
다음에, 제4도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지폐의 인출방지의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투입시에는 스태커스위치(42)가 온이고(스텝 S1), 셔터스위치(30)가 오프이면(스텝 S2), ROM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는 스택모터(21)를 구동하도록 지령한다(스텝 S3), CPU는 편심캠(22)이 2회전한 곳에서 대기상태로 된다(스텝 S4, S5). 또한, 상기 스텝 S4에서 편심캠(22)이 2회전할 수 없으면, 집적복스(24)가 충만 상태라고 추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후의 지폐받아들이기 금지 등의 필요한 처리를 한다. 즉, 스텝 S4에서는 전원투입시, 집적복스(24)내의 지폐가 충만 상태인가의 여부를 검지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상기에서 지폐를 집적복스(24)내에 압입하여 수납하기 위한 편심캠(22)은 1회전이라도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그 지폐의 수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편심캠(22)을 2회전하고 있다. 이 회전은 스택모터(2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검출한다. 또한, 전원투입시에 스텝 S2에서 셔터스위치(30)가 온이면, 지폐 등이 식별장치내의 지폐통로에 남아 있을 우려가 있으므로, RM 경우에 CPU는 반송모터(51)를 역전하여(스텝 S25), 잔존 지폐 등을 지폐삽입구(2)측으로 회송하는 동작을 한다. 지폐가 지폐삽입구(2)측으로 완전히 회송된 경우 입구센서(41R, 41L)가 CPU에 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CPU는 상기 반송모터의 역전을 오프로 하여(스텝 S30), 스텝 S3의 앞으로 되돌아가고, 되돌아가지 않으면 스텝 S26의 체크가 약 3초동안 반복되고(스텝 S26, S27), 약 3초가 경과하면 반송모터의 역전을 오프로 한다(스텝 S28). 이 반송모터의 역전 오프 후, CPU는 1매 또는 여러매의 지폐 등의 잼이 있으면 그것이 해소되기 까지 그 루프를 돌고, 지폐의 잼이 없어지면, CPU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스텝 S29).
그리고, S5의 대기상태로부터 지폐 B가 지폐삽입구(2)로부터 삽입되고, 셔터스위치(30)가 온이 아닌 경우(스텝 S6) CPU는 스텝 S7로 진행하여 입구센서(41R, 41L)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입구센서(41R 41L)가 온으로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지폐 B가 지폐삽입구(2)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입구센서(41R, 41L)는 지폐의 삽입을 검지하여 온으로 되고(스텝 S7), 반송모터(51)를 구동하여 삽입 지폐를 반송벨트(10, 15)에 의해 지폐통로(4, 5)내에 도입하게 된다(스텝 S8).
여기서, 상기 스텝 S6에서 셔터스위치(30)가 온으로 되었을 때는, 부정행위자에 의한 부정이 있었다고 판단해서, CPU는 루틴 ①으로 들어가서 스텝 S21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 S21에서는, CPU는 스택모터(21)를 온하여 편심캠(22)의 회전에 의해 누름판(17)을 상사점까지 들어올리는 동작을 행한다(제5도). 그리고, 상기 셔터스위치(30)가 계속 온되어 있으면, 상기 누름판(17)은 집적복스(24)의 수납 지폐를 스프링봉(26)에 의해 제5도의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압축판(25)에 항거하여, 상사점상태에서 가압을 유지한다.
또한, 여기서 CPU는 상기 스텝 S22에서의 셔터스위치(30)의 온이 부정행위자에 의해 해제되면 약 3초 기다리고(스텝 S23), 상기 누름판(17)의 상사점상태를 대기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다시 스택모터(21)를 온하여 편심캠(22)을 회전시켜서, 누름판(17)을 하사점(下死點)의 대기위치(제1도)까지 되돌리는 동작을 한다(스텝 S24). 그리고, CPU는 루틴 ③의 대기상태의 스텝 S5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부정행위란, 예를 들면 먼저 정상지폐의 일단에 테이프를 부착하여, 정상지폐의 정규의 루틴의 스텝 S7∼스텝 S17에서 집적복스(24)에 스택된 테이프가 부착된 정상지폐를 발취하는 행위이다. 즉, 지폐통로내에 돌출되어 있는 셔터판(28)를 통로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해, 플라스틱의 박판 등을 삽입하여 상기 셔터판(28)을 누르고 있는 상태(셔터스위치(30)가 온됨)이며, 상기 테이프가 부착된 정상지폐를 발취하려고 하는 부정행위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텝 S6에서는, 스텝 S5의 대기상태 후, CPU는 먼저 셔터스위치(30)의 온, 오프를 검지하여, 이 셔터스위치(30)가 온으로 되면 CPU는 스텝 21∼스텝 24의 처리를 하다. 편심캠(22)의 회전에 의해 누름판(17)에서 상사점까지 가압되어 있으므로, 테이프가 부착된 정상지폐를 되돌릴 수 없게 된다.
다음에, 스텝 S8에서 반송모터가 온되고나서부터의 정규의 루트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지폐의 선단이 자기헤드(6)에 도달하고나서, 먼저 지폐에 자기(磁氣)가 있는가의 여부를 자기헤드(6)에서 식별하고, 자기헤드(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자기가 있으면 CPU는 일단 정상지폐로 인식하여 이 지폐를 반송한다(스텝 S9). 그리고, 지폐가 셔터스위치(30)에 도달하여 그것을 계속 온하면서, CPU는 이 지폐의 자기패턴이 정규의 지폐의 자기패턴이면, 정상지폐라고 판단하고(스텝 S10), 이 지폐가 셔터판(28)을 통과하여, 그 셔터스위치(30)가 오프로 된 후(스텝 S11), 이 지폐를 스택위치까지 반송하여 정지한다(스텝 S12 및 S13).
여기서, 상기 스텝 S10에서 정규의 지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25∼S30과 동일하게하여, 반송모터를 역전하여 지폐삽입구(2)로 이 지폐를 되돌리는 처리를 한다(스텝 S31∼S36).
한편, 스텝 S13에서 반송모터를 정지시킨 후, CPU는 스택모터(21)를 구동하여 편심캠(22)을 회전시켜서, 지폐의 스택동작을 한다(스텝 S14). 스택동작이 종료되고, 편심캠(22)이 2회전하는 경우(스텝 S15, S16), CPU는 진권신호를 출력하고(스텝 S17),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 S16에서 편심캠(22)이 2회전하지 않았을 때, 즉 편심캠(22)이 집적복스(24)가 충만된 것을 검지하여, 예를 들면 그 후의 지폐의 받아들임을 금지하는 등의 처리를 한다.
그런데, 스텝 S9에 있어서, 자기헤드(6)로부터의 출력이 NO일때에는, 정상지폐의 이외의 것, 예를 들면 부정행위자가 지폐를 인출할 목적으로 비자성재의 플라스틱판 등을 지폐통로내에 삽입한 것으로 생각되며, 셔터스위치(30)가 온으로 되어 소정의 자기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셔터스위치(30)가 정상지폐 이외의 삽입물에서 온으로 되면(스텝 S19), CPU가 반송모터를 정지시키고(스텝 S20), 다음에 CPU는 스택모터(21)를 구동하여 편심캠(22)을 회전시키고, 누름판(17)을 밀어올리고, 그 누름판(17)이 집적복스(24)측으로 상사점까지 가압된 상태로 된다(스텝 S21).
셔터스위치(30)의 온이 해제되지 않는 한, 그 상태가 유지된 채로 된다(스텝 S22). 그리고, 이 셔터스위치(30)의 온이 해제된 경우, 즉 예를 들면 부정행위자에 의해 비자성재의 플라스틱판 등이 인출됨으로써, 상기 셔터스위치(30)의 온이 해제되어 오프로 되었을 때는, 약 3초 기다리고(스텝 S23), CPU가 스택모터(21)를 제어하여 상기 누름판(17)이 편심캠을 회전시킴으로써, 통상의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제1도의 도시와 같다).
또한, 집적복스(24)내에 지폐가 충만상태일 때에, 부정행위자가 플라스틱 박판을 삽입구(2)로부터 지폐통로(4)내에 삽입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즉, 정상지폐에 테이프 등을 부착하여 삽입해서, 그것에 의해 지폐의 집적복스(24)가 충만상태로 되고, 그리고나서 플라스틱 박판 등의 삽입에 의한 부정행위로 지폐통로에 돌출한 셔터판(28)의 클릭 끝(28a)등을 후퇴시켜서 지폐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정상지폐를 인출하려고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상태에서 셔터스위치(30)가 온으로 된 때에는, 스텝 S21로 진행하고, 이후 스택모터(21)를 구동하여 편심캠(22)을 회전시키고, 누름판(17)을 집적복스(24)내에 압입하여 유지한다. 또한, 스텝 S37에 있어서 셔터스위치(30)가 오프 일 때에는, 스태커스위치(4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CPU가 스태커스위치(42)가 온인가 오프인가를 판별한다(스텝 S38). 여기서, 스태커스위치(42)가 오프인 경우 집적복스(24)를 꺼내어 안의 지폐를 꺼내고, 다시 이 집적복스(24)를 정위치에 세트한 후, 스태커스위치가 온인것을 나타내는 신호의 수신후(스텝 S39), CPU는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 S5).
다음에, 부정행위에 의해 정상지폐 B의 후단에 테이프 T를 부착한 지폐가 일단 받아들여진 다음 인출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부정방지의 양태를 제6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테이프 T가 접속된 정상지폐 B는 통상과 같은 양태에서, 삽입구(2)로 부터 지폐통로(4)내에 삽입되고, 지폐 B는 자기헤드(6)에 의해 정상, 위조가 식별된다. 이어서, 정상지폐 B는 셔터판(28)의 클릭끝(28a)를 지폐통로(4)의 외측으로 후퇴시켜서 지폐통로(4)내를 진행한 후, 코일스프링(40)의 스프링힘에 항거하여 인출방지레버(4)를 후퇴시켜서 지폐통로(4)내에 도입된다. 지폐 B가 누름판(17)에 대응하는 스택위치까지 도달한 곳에서 지폐는 정지되고, 편심캠(22)이 2회전하여 누름판(17)을 2왕복운동시킨다. 누름판(17)는 지폐 B를 압축판(25)에 항거하여 집적복스(24)내에 압입한다. 그리고, 스택위치에서 정지한 지폐를 집적복스내에 수납시키는데에, 편심캠(22)을 1회전시켜서 누름판(17)을 1왕복운동시켜도 되지만, 지폐의 수납을 확실하게 행하는데는 편심캠(22)을 2회전시켜서 누름판(17)을 2왕복운동시키는 편이 좋다.
여기서, 부정행위자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판(44)을 삽입구(2)로부터 지폐통로(4)내에 삽입하여 셔터판(28)의 클릭끝(28a)을 통로의 밖으로 후퇴시켜서, 지폐 B를 인출하려고 해도, 지폐 B의 끝이 인출방지레버(34, 34)의 후크홈(37)에 걸려서 지폐 B의 인출이 저지된다.
따라서, 부정행위자가 플라스틱판(44)을 더욱 깊이 삽입해서, 인출방지장치(32)의 클릭부재(36a)를 눌러서 지폐 B를 인출하려고 한 경우에는, 설편(39)이 가장 앞면의 지폐 B를 집적복스(24)내로 압입하도록 작용하므로, 지폐 B의 인출이 방지된다. 이 결과, 설편(39)은 지폐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 외에, 지폐를 인출하려는 부정행위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작용한다.

Claims (4)

  1. 지폐삽입구(2)로 부터 삽입된 지폐류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고, 정상지폐로 식별되는 경우에만 지폐통로(4)를 통해 지폐를 지폐스택위치로 반송하고 정상지폐가 셔터판(28) 및 인출방지레버(34)를 통과한 후에 셔터스위치(30)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스태커장치(16)의 편심캠(22)을 구동하여 지폐스택위치의 정상지폐를 집적복스(24)내에 압입하고, 편심캠(22)을 상사점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스위치(30)가 온으로 되는 전체조건은 집적복스(24)내의 지폐가 충만이 아닌 상태와 충만인 상태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3. 지폐삽입구(2)로 부터 삽입된 지폐류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고,0 정상지폐만을 지폐통로(4)를 통해 지폐스택위치로 반송하고, 정상지폐가 인출방지레버(34)를 통과한 후에 스태커장치(16)의 편심캠(22)을 구동하여 지폐스택위치의 정상지폐를 집적복스(24)내에 압입하고, 상기 정상지폐의 압입 스텝 후, 진권신호를 출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4. 지폐삽입구(2)로부터 삽입된 지폐류의 정상, 위조를 식별하고, 정상지폐만을 지폐통로(4)를 통해 지폐집적복스(24)내에 집적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는 클릭끝(36a)을 포함하고, 이 클릭끝(36a)을 지폐삽입구(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내측에 후크홈(37)을 형성한 인출방지레버(34)와, 인출방지레버(34)가 피봇회전하여 지폐통로(4)를 차단하기 위하여 인출방지레버(34)를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피봇축(35)과, 지폐통로(4)를 차단하도록 인출방지레버(34)를 스프링가압하는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
KR1019910011744A 1990-07-12 1991-07-11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40009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84849 1990-07-12
JP2184849A JP2904884B2 (ja) 1990-07-12 1990-07-12 紙幣等の引き抜き防止装置
JP20576490A JP2925686B2 (ja) 1990-08-02 1990-08-02 紙幣等の引き抜き防止方法
JP90-205764 1990-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217A KR920003217A (ko) 1992-02-29
KR940009294B1 true KR940009294B1 (ko) 1994-10-06

Family

ID=2650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744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9294B1 (ko) 1990-07-12 1991-07-11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54841A (ko)
KR (1) KR940009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JP3014924B2 (ja) * 1994-06-17 2000-02-28 有限会社ウイング設計 紙葉類計数方法及び装置
US6293469B1 (en) 1994-12-20 2001-09-25 Dh Technology Inc. Transaction printer
US5803227A (en) * 1995-06-06 1998-09-08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Bill stacker
USD404075S (en) 1996-01-11 1999-01-12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Bill validator
AU2026799A (en) 1998-01-07 1999-07-26 Mars, Incorporated Flexible media stacking and accumulating device
JP3779076B2 (ja) * 1998-10-06 2006-05-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US6609661B1 (en) 1998-10-06 2003-08-26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2002092687A (ja) * 2000-09-11 2002-03-29 Sanden Corp 紙葉類収納装置
US20100320056A1 (en) * 2008-03-31 2010-12-23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cceptor that prevents arching of each received bill
WO2014138928A1 (en) * 2013-03-15 2014-09-18 Crane Canada Co. Cashbox with latch arrangement
GB2570706B (en) * 2018-02-05 2020-10-14 Innovative Tech Ltd A banknote valid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3067A (en) * 1979-05-15 1980-11-28 Toshiba Corp Paper currency receiver
US4494743A (en) * 1981-08-31 1985-01-22 Docutel Corporation Dispenser picker apparatus
GB2108935B (en) * 1981-11-10 1985-06-12 Ncr Co Sheet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217A (ko) 1992-02-29
US5254841A (en) 199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294B1 (ko)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KR910009308B1 (ko) 지폐장치
US5195739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US20010011659A1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JP3027207B2 (ja) 紙幣等の引抜き防止装置
US6668998B1 (en) Hook array for a bill acceptor
JP2925686B2 (ja) 紙幣等の引き抜き防止方法
JPH0471094A (ja) 紙幣等の引き抜き防止装置
JP2004139189A (ja) 紙幣処理装置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0526581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출금장치
KR20110078203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로딩 감지장치
KR0133666Y1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KR19990069194A (ko) 지폐 인식장치
KR10125268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시스템
KR100639054B1 (ko) 지엽류 계수 장치
JP2749356B2 (ja) 紙幣識別機
JP3052436U (ja) バリデータ
KR200349735Y1 (ko) 지폐식별장치
JP2680339B2 (ja) 自動取引装置
JPH0844927A (ja) 紙幣識別装置
KR20050078734A (ko)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23036Y1 (ko) 자동 수납 지폐 저금통
JPH10232961A (ja) 識別装置
JPH0644439A (ja) 紙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0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