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3666Y1 -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66Y1
KR0133666Y1 KR2019960024659U KR19960024659U KR0133666Y1 KR 0133666 Y1 KR0133666 Y1 KR 0133666Y1 KR 2019960024659 U KR2019960024659 U KR 2019960024659U KR 19960024659 U KR19960024659 U KR 19960024659U KR 0133666 Y1 KR0133666 Y1 KR 0133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bill
banknote
cam
fixing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161U (ko
Inventor
기연간
Original Assignee
윤학범
주식회사경덕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학범, 주식회사경덕전자 filed Critical 윤학범
Priority to KR2019960024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66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2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faulty articles from the main strea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무인자동판매기 또는 현금입출금기 등에 지폐를 투입한 후, 투입된 지폐를 강제로 역송시켜 지폐 투입의 효과를 얻고 불법으로 판매기의 물품을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 역송으로 인하여 지페의 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된 지폐의 조각으로 인하여 지폐식별기 자체가 고장 또는 사용중지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지폐식별기의 삽입구 내측에 상하로 수평 이동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되 그 차단판에 고정핀을 형성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캠판의 캠홀에 상기 고정핀을 삽입하여 캠홀의 경사폭만큼 차단판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폐의 통로를 차단토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지폐식별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구비된 지폐식별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차단판을 보인 사시도.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통로 4 : 차단판
5 : 감지홀 6 : 고정핀
7 : 캠판 8 : 캠홀
9, 10 : 솔레노이드 11 : 센서
본 고안은 각종 자동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식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지폐를 삽입구를 통해 지폐식별기로 투입한 후 강제로 역송시켜 부정하게 사용하거나 지페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절단된 지폐의 조각으로 인하여 지폐식별기 자체가 고장 또는 사용중지에 이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자동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 등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지폐식별기에 있어서 이용자가 이러한 장치에 투입하는 지폐는 진폐와 위폐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를 거쳐 위폐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반출시키며, 투입된 지폐가 해당 장치에서 허용하는 진폐의 경우는 투입된 지폐의 액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고, 진폐는 지폐보관부로 이송 보관하여 운용자가 일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 등에서 판매되는 각종 상품이 점차 고급화되어 감에 따라 지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보급이 보편하되고 있다.
이에 위폐를 투입하여 지폐감별부의 오동작으로 진폐투입의 효과를 얻는 불법행위는 최근 지폐식별기술의 발달로 난이해짐에 따라서 이보다는 진폐를 투입하여 지폐식별부에서 진폐투입 전기적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출한 다음, 투입된 지폐가 지폐보관부로 이송되는 것을 강제로 저지하고 투입구로 강제역송 시킴으로서 진폐 투입의 효과를 얻는 불법행위가 빈번히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강제역송에 의한 불법행위는 무인자동판매기 문화에 역행이 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지폐식별장치의 강제역송 방지장치의 구조는 한방향으로만 흐름이 허용되는 랫치(LATCH)형태의 기계적 구조를 갖는 방지장치로서, 이는 투입한 지폐를 강제로 역송시킬 경우 투입된 지폐가 찢겨지거나 부분절단 혹은 심한 구겨짐이 발생되어 시중에서 유통되는 정상의 다른 지폐를 손상시키거나 부분절단된 부분절단된 지폐의 조각으로 인하여 지폐식별기 자체가 고장 또는 사용중지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각종 자동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 등에 지폐를 투입한 후, 강제로 역송시켜 진폐 투입의 효과를 얻거나 지폐의 부분이 절단되도록 함으로서 불법으로 판매기의 물품을 인출하거나 절단된 지폐의 조각으로 인하여 지폐식별기 자체가 고장 또는 사용중지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폐의 강제역송 차단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페식별기의 삽입구 내측에 상하로 수평 이동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되 그 차단판에 고정핀을 형성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캠판의 캠홀에 상기 고정핀을 삽입하여 캠홀의 경사폭만큼 차단판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폐의 톨로를 차단토록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자동판매기와 동전교환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지폐식별기(12)의 삽입구(13) 내측에 상하로 수평 이동하는 차단판(4)을 구비하되 그 차단판(4)의 상측 중앙에 고정핀(6)을 형성하고, 양측의 솔레노이드(9)(1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캠판(7)에는 캠홀(8)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6)을 캠홀(8)에 삽입한 후 상기 차단판(4)의 일측에는 감지홀(5)을 형성하여 센서(11)에 의해 차단판(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폐를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상태일 때는 제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솔레노이드(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캠판(7)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도록 하면 차단판(4)에 형성된 고정핀(6)이 캠판(7)의 캠홀(8)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차단판(4)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삽입구(13)내측의 통로(3)를 개방한다.
이때, 차단판(4)이 상승하여 통로(3)가 개방되면 차단판(4)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홀(5)이 센서에 감지되므로 통로(3)의 개방상태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지폐를 삽입구(13)로 삽입하면 지폐는 벨트(1)와 풀리(2)에 의해 통로(3)를 따라 이송되어 지폐식별센서에서 진폐와 위폐 여부를 식별받게 된다.
이때, 지폐가 지폐식별센서로 이송되면 별도의 콘트롤부에서 우측의 솔레노이드(10)에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고, 촤측의 솔레노이드(9)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7)이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므로 차단판(4)에 형성된 고정판(6)이 캠홀(8)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차단판(4)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차단판(4)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차단판(4)의 하단에 의해 통로(3)가 차단되므로 삽입된 지페는 진페와 위폐를 식별하고 저장 및 반출의 명령이 시행될 때까지는 인위적으로 빼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삽입된 지폐가 진폐일 경우에는 삽입된 지폐는 저장부로 이동되고, 지폐의 저장이 완료된 후 통로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판(4)은 제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솔레노이드(10)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통로(3)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삽입된 지폐가 위폐로 식별된 경우에도 차단판(4)은 상기와 같이 우측의 솔레노이드(10)에 의해 상승하여 통로(3)를 개방하게 되므로 위폐로 식별된 지폐를 반출하는 것이다.
한편, 지폐가 삽입된 후 통로를 차단한 차단판(4)은 삽입된 지폐가 진폐일 경우 지폐를 저장부에 저장한 후 열리는 것이므로 지페에 끈 등을 연결하여 지페가 진폐로 식별된 후 강제로 역송시키려하여도 지페가 강제로 역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지페식별기의 삽입구 내측에 상하로 수평 이동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되 그 차단판에 고정핀을 형성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캠판의 캠홀에 상기 고정핀을 삽입하여 캠홀의 경사폭만큼 차단판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폐의 통로를 차단토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무인자동판매기 또는 현금입출금기 등에 지폐를 투입한 후, 투입된 지페를 강제로 역송시켜 진폐 투입의 효과를 얻고 불법으로 판매기의 물품을 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 역송으로 인하여 지폐의 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된 지폐의 조각으로 인하여 지폐식별기 자체가 고정 또는 사용중지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각종 자동판매기와 동전교환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지폐식별기(12)의 삽입구(13) 내측에 상하로 수평 이동하는 차단판(4)을 구비하되 그 차단판(4)의 상측 중앙에 고정핀(6)을 형성하고, 양측의 솔레노이드(9)(1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캠판(7)에는 캠홀(8)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6)을 캠홀(8)에 삽입한 후 상기 차단판(4)의 일측에는 감지홀(5)을 형성하여 센서(11)에 의해 차단판(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KR2019960024659U 1996-08-19 1996-08-19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Expired - Lifetime KR0133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659U KR0133666Y1 (ko) 1996-08-19 1996-08-19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659U KR0133666Y1 (ko) 1996-08-19 1996-08-19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161U KR19980011161U (ko) 1998-05-25
KR0133666Y1 true KR0133666Y1 (ko) 1999-03-30

Family

ID=1946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659U Expired - Lifetime KR0133666Y1 (ko) 1996-08-19 1996-08-19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6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161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716B2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KR940009294B1 (ko) 지폐 등의 인출방지방법 및 장치
KR0133666Y1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KR200145504Y1 (ko) 지폐식별기용 지폐 강제역송 차단장치
JP2004139189A (ja) 紙幣処理装置
KR960000491B1 (ko)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
KR100201994B1 (ko) 지폐의 강제역송 방지장치
KR19980011162U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KR19980011159U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KR0170093B1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JP2007206767A (ja) 異物返却機構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0133668Y1 (ko) 지폐의 강제역송 차단잠금장치
KR200457949Y1 (ko) 지폐식별장치
KR950009514A (ko) 현금자동지급기 고객인도부의 잔류지폐 자동 덤프장치
JPH0454540Y2 (ko)
US20210327196A1 (en) Currency note acceptor
KR200349735Y1 (ko) 지폐식별장치
KR200411897Y1 (ko) 지폐인식기용 지폐 강제인출 방지구조.
JP2925686B2 (ja) 紙幣等の引き抜き防止方法
KR200399932Y1 (ko) 지폐식별장치
KR19980053117U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지폐종류 식별장치
KR20050078734A (ko) 지폐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39416Y2 (ja) 複合鎖錠機構を有する自動販売機
KR200163004Y1 (ko) 자동판매기의 지폐 강제인출 방지장치
KR20200088614A (ko) 지폐 강제인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8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