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5691B1 -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 Google Patents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691B1
KR940005691B1 KR1019910018834A KR910018834A KR940005691B1 KR 940005691 B1 KR940005691 B1 KR 940005691B1 KR 1019910018834 A KR1019910018834 A KR 1019910018834A KR 910018834 A KR910018834 A KR 910018834A KR 940005691 B1 KR940005691 B1 KR 94000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umping capacitor
pumping
capaci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858A (ko
Inventor
박찬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691B1/ko
Priority to US07/924,747 priority patent/US5266842A/en
Priority to JP4286222A priority patent/JPH0777076B2/ja
Publication of KR93000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05Substrate bias-voltag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제 1 도는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전체 시스템 블록도.
제 2 도는 종래에 있어서 차아지 펌프 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아지 펌프 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클록들의 타이밍도.
제 5 도는 Vcc=1.5V 일시에 종래 회로 및 본 발명에 의한 회로의 VBB의 세트업 특성 비교.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하는 기판전압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 음전압을 발생시키는 차아지 펌프(charge pump)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기판전압 발생 장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각 모오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들의 드레쉬 홀드(threshold voltage) 전압의 안정, 기생 트랜지스터 발생의 방지 그리고 외부신호의 언더슈트(undershoot)로 인한 오동작의 방지등을 위함이다. 예를들어 엔형 채널(n-type channel)로 이루어지고 기판이 파형으로된 모오스 트래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음전압을 걸어주면 기생 트랜지스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드레쉬 홀드 전압을 안정화 시킬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잘 알려진 사항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개시한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전체 시스템 블록도이다. 상기 제 1 도에서 VBB(50) 전압이 소정의 원하지 않는 전압 레벨일때는 디텍터(detector)(10)가 이것을 검출해서 오실레이터(oscillator)(2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오실레이터의 신호를 받아서 차아지 펌프 회로(40)의 구동회로(30)가 구동되어 상기 차아지 펌프 회로(40)를 동작 시키고 상기 VBB(50) 전압을 원하는 전압 레벨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바로 상기 차아지 펌프회로(40)에 관한 것이다.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이다. 이 회로는 CLK1~CLK4에 의하여 상기 차아지 펌프회로가 구동되어 기판으로 부터 빼낸 전류를 접지전압단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기판전압의 강하를 가져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회로의 구동시 문제가 되는 것은 n22(n25)의 전위가 상기 CUE2(CLK3)에 의해 구동되는 M23(M25)에 의해서 최저-VCC로 내려 갔을시에, n21(n26)의 전위도 상기 CLK1(CLE4)에 의해 구동되는 M21(M26)에 의해서 최저-VCC로 까지만 내려가기 때문에 VBB는 최저-VCC-VTP(여기서 VTP는 통상-1.0V 내외 양)까지 밖에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회로 구성의 경우에는 특히 low vcc에서의 펌핑 능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어 안정된 기판전압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아지 펌핑 능력이 향상 되어, 특히 low vcc에서 안정된 기판전압이 발생되는 기판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주파수의 구형파를 출력하는 발진회로와 상기의 구형파를 입력으로 하여 CLK1~CLK4라는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동회로와 소정의 기판전압이 유입되는 기판노드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판전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CLK1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1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2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3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4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5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CLK4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6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제 5 펑핌캐패시터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펌핑캐패시터 전극의 각 타단과 상기 기판노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노드의 전압을 소정의 음전위 레벨로 만들어 주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차아지 펌프회로임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아지 펌프회로도를 제 3 도에 도시하였으며 입력 클록들의 타이밍도를 제 4 도에 도시하였다. 상기 제 3 도의 구성은, 상기 CLK1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1 펌핑캐패시터(M1)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2 펌핑캐패시터(M2)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3 펌핑캐패시터(M3)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4 펌핑캐패시터(M4)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5 펌핑캐패시터(M5)와, 상기 CLK4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6 펌핑캐패시터(M6)와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 및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M11)와,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형성된 제 2 트랜지스터(M14)와, 상기 각 펌핑캐패시터 전극의 각 타단과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노드(VBB)의 전압을 소정의 음전위 레벨로 만들어 주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단은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3 트랜지스터(M7)와, 상기 제 3 펌핑캐패시터(M3)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접지전압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4 트랜지스터(M8)와, 상기 제 4 펑핌캐패시터(M4)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 및 접지전압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5 트랜지스터(M9)와, 상기 제 6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6 트랜지스터(M10)와, 기판노드(VB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3 펌핑캐패시터(M3) 전극의 타단 및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7 트랜지스터(M12)와, 상기 기판노드(VB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상기 제 4 펌핑캐패시터(M4) 전극의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8 트랜지스터(M13)와, 상기 제1 및 제 2 펌핑캐패시터(M1)(M2) 전극의 각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 9 트랜지스터(M15)와, 상기 제5 및 제 6 펌핑캐패시터(M5)(M6) 전극의 각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10트랜지스터(M1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본발명의 핵심은 상기 M11 및 M14트랜지스터의 각단자별 접속관계에 있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상기 제 4 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아지 펌프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3 도 회로는 상기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클록 신호 CLK1~CLK4가 입력되어 동작이 되는데, 먼저 타이밍(timing)구간 A에는 n1의 전위가 -VCC+VTP로 되어 있기 때문에 M7이 완전히 "턴온"되어 VBB node에서 n2로 전류가 유입해 상기 n2의 전위는 VBB가 된다. 한편 이때 n6은 M14를 통하여 VBB로 프리차아지 되어 있고 n5는 M9를 통하여 방전 되기 때문에 그라운드로 전위가 잡히게 된다. 타이밍 구간 B가 되면 CLK1이 OV에서 VCC로 바꿔기 때문에 n1의 전위는 VTP로 바뀌게 되어 M7을 "턴오프"하게 된다. 타이밍구간 C가 되면 CLK2가 OV에서 VCC로 바꾸게 되어 n2의 전위가 VBB+VCC로 된다. 타이밍구간 D가 되면 CLK3가 VCC에서 OV로 바뀌게 되어 n2의 전위는 M8을 통하여 ground 전위까지 방전되며 n5의 전위는 -VCC로 바뀐다. 타이밍 구간 E에는 CLK가 VCC에서 OV로 바뀌게 되어 n6의 전위는 -VCC+VTP로 바뀌게 되어 M10을 완전히 "턴온"시키므로 n의 전위는 VBB로 바뀐다. 타이밍 구간 F가 되면 CLK가 OV에서 VCC로 바뀌기 때문에 n6의 전위는 VTP로 바뀌게 되어 M10을 "턴오프"하게 된다. 타이밍구간 G가 되면 CLK3가 OV에서 VCC로 바뀌게 되어 n5의 전위는 VBB에서 VBB+VCC로 변한다. 타이밍구간 H가 되면 CLK2가 VCC에서 OV로 바뀌기 때문에 n2의 전위는 -VCC로 바뀌며 n4의 전위도 -VCC로 바뀌게 되어 M9를 "턴온"시키므로 n5의 전위는 ground 전위 까지 방전되어 한 주기 동안 펌핑 회로는 두번의 차아지 펌핑을 하게 된다.
종래이 회로 구성에서는 n21 및 n26의 전위가 최저 -VCC까지 밖에 내려 가지 않기 때문에 VBB node의 전위가 최저 -VCC-VTP까지 밖에 내려가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회로 구성에서는 n1 및 n6의 전위가 최저 -VCC+VTP 까지 내려 가기 때문에 VBB node의 전위가 최저-VCC까지 내려 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의한 회로 구성을 할 경우에는 low vcc에서도 안정된 VBB level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5 도에 VCC≒1.5V일시에 종래 회로 및 본 발명에 의한 회로의 VBB의 세트업(set-up)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 5 도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은 종래 회로 보다도 특히 낮은 레벨의 전원전압하에서도 VBB단을 소정의 원하는 음전압으로 충분히 빠르게 만들어 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아지 펌핑 능력을 향상시켜, 이것으로부터 반도체 소자가 낮은 레벨의 전원전압 하에서 동작할 때 기판 전압은 안정화 하고, 대기(stand-by)시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6)

  1. 일정주파수의 구형파를 출력하는 발진회로와 상기와 구형파를 입력으로 하여 CLK1~CLK4라는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동회로와 소정의 기판전압이 유입되는 기판노드(VBB)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판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CLK1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1 펌핑캐패시터(M1)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2 펌핑캐패시터(M2)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3 펌핑캐패시터(M3)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4 펌핑캐패시터(M4)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5 펌핑캐패시터(M5)와, 상기 CLK4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6 펌핑캐패시터(M6)와,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M11)와,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2 트랜지스터(M14)와, 상기 각 펌핑캐패시터 전극의 각 타단과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노드(VBB)의 전압을 소정의 음전위 레벨로 만들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지 펌프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3 트랜지스터(M7)와, 상기 제 3 펌핑캐패시터(M3)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접지전압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4 트랜지스터(M8)와, 상기 제 4 펑핌캐패시터(M4)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 및 접지전압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5 트랜지스터(M9)와, 상기 제 6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6 트랜지스터(M10)와, 상기 기판노드(VB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3 펌핑캐패시터(M3) 전극의 타단 및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7 트랜지스터(M12)와, 상기 기판노드(VB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상기 제 4 펌핑캐패시터(M4) 전극의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8 트랜지스터(M13)와, 상기 제1 및 제 2 펌핑캐패시터(M1)(M2) 전극의 각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 9 트랜지스터(M15)와, 상기 제5 및 제 6 펌핑캐패시터(M5)(M6) 전극의 각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10트랜지스터(M1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지 펌프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 6 펌핑캐패시터와 상기 제1-제10트랜지스터가 각각 피모오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지 펌프 회로.
  4. 일정주파수의 구형파를 출력하는 발진회로와 상기와 구형파를 입력으로 하여 CLK1~CLK4라는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동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CLK1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1 펌핑캐패시터(M2)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2 펌핑캐패시터(M2)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3 펌핑캐패시터(M3)와, 상기 CLK2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4 펌핑캐패시터(M4)와, 상기 CLK3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5 펌핑캐패시터(M5)와, 상기 CLK4신호에 전극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 6 펌핑캐패시터(M6)와, 소정의 기판전압이 유입되는 기판노드(VBB)를 가지는 차아지 펌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5 펑핌캐패시터(M5)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1 트랜지스터(M11)와,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의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2 트랜지스터(M14)와, 상기 제1 펌핑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3 트랜지스터(M7)와, 상기 제 3 펌핑캐패시터(M3)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접지전압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4 트랜지스터(M8)와, 상기 제 4 펑핌캐패시터(M4)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 및 접지전압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5 트랜지스터(M9)와,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 및 상기 기판노드(VBB)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6 트랜지스터(M10)와, 상기 기판노드(VB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3 펌핑캐패시터(M3) 전극의 타단 및 상기 제 5 펌핑캐패시터(M5) 전극의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7 트랜지스터(M12)와, 상기 기판노드(VB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펌핑캐패시터(M2) 전극의 타단 및 상기 제 4 펌핑캐패시터(M4) 전극의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제 8 트랜지스터(M13)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지 펌프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지 펌프회로가 상기 제1 및 제 2 펌핑캐패시터(M1)(M2) 전극의 각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펌프캐패시터(M1)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 9 트랜지스터(M15)와, 상기 제5 및 제 6 펌핑캐패시터(M5)(M6)전극의 각 타단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6 펌핑캐패시터(M6) 전극의 타단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10트랜지스터(M16)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지 펌프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 6펌핑캐패시터와 상기 제1-제10트랜지스터가 각각 피모오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지 펌프 회로.
KR1019910018834A 1991-10-25 1991-10-25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4000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34A KR940005691B1 (ko) 1991-10-25 1991-10-25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US07/924,747 US5266842A (en) 1991-10-25 1992-08-04 Charge pump circuit for a substrate voltage generator
JP4286222A JPH0777076B2 (ja) 1991-10-25 1992-10-23 基板電圧発生器のチャージポンプ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34A KR940005691B1 (ko) 1991-10-25 1991-10-25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858A KR930008858A (ko) 1993-05-22
KR940005691B1 true KR940005691B1 (ko) 1994-06-22

Family

ID=1932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834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5691B1 (ko) 1991-10-25 1991-10-25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66842A (ko)
JP (1) JPH0777076B2 (ko)
KR (1) KR940005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26B1 (ko) * 1992-03-30 1995-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전압 발생기의 전하 펌프 회로
US5412257A (en) * 1992-10-20 1995-05-02 United Memories, Inc. High efficiency N-channel charge pump having a primary pump and a non-cascaded secondary pump
EP0626750B1 (en) * 1992-11-18 1997-09-24 Oki Electric Industry Company, Limited Power supply voltage booster
US5381051A (en) 1993-03-08 1995-01-10 Motorola Inc. High voltage charge pump
US5493249A (en) * 1993-12-06 1996-02-20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powered with inter-coupled charge pumps
US5642073A (en) * 1993-12-06 1997-06-24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powered with inter-coupled charge pumps
EP0696839B1 (en) * 1994-08-12 1998-02-25 Co.Ri.M.Me. Consorzio Per La Ricerca Sulla Microelettronica Nel Mezzogiorno Voltage elevator of the charge pump type
JP3244601B2 (ja) * 1994-12-09 2002-01-07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KR0158478B1 (ko) * 1994-12-21 1999-02-01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기판전압 조절회로
US5583384A (en) * 1995-06-07 1996-12-1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power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208443B1 (ko) * 1995-10-14 1999-07-15 김영환 네가티브 전압 구동회로
US5767736A (en) * 1995-11-27 1998-06-16 Lucent Technologies Inc. Charge pump having high switching speed and low switching noise
JP2830807B2 (ja) * 1995-11-29 1998-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US6064250A (en) 1996-07-29 2000-05-16 Townsend And Townsend And Crew Llp Various embodiments for a low power adaptive charge pump circuit
US5828095A (en) * 1996-08-08 1998-10-27 Micron Technology, Inc. Charge pump
US6198339B1 (en) * 1996-09-17 2001-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VF current reference with standby mode
DE69619534T2 (de) * 1996-11-14 2002-10-31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BICMOS negative Leistungsladungspumpe
TW379329B (en) * 1997-02-03 2000-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harge pump circuit and logic circuit
KR100264959B1 (ko) * 1997-04-30 2000-10-02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발생회로
US6002355A (en) * 1997-06-26 1999-12-14 Cirrus Logic, Inc. Synchronously pumped substrat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system and methods
FR2773012B1 (fr) * 1997-12-24 2001-02-02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Dispositif a pompe de charges negatives
US6072358A (en) * 1998-01-16 2000-06-06 Altera Corporation High voltage pump circuit with reduced oxide stress
KR100279296B1 (ko) * 1998-06-09 2001-01-15 윤종용 승압 전압 발생 회로
KR100294584B1 (ko) 1998-06-19 2001-09-17 윤종용 반도체메모리장치의기판바이어스전압발생회로
US6392580B1 (en) * 1999-06-11 2002-05-21 Cirrus Logic, In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hav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with a negative logic supply rail
KR100675881B1 (ko) * 2001-02-21 2007-0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백바이어스전압(vbb) 발생 회로
US20050024125A1 (en) * 2003-08-01 2005-02-03 Mcnitt John L. Highly efficient, high current drive, multi-phase voltage multiplier
TWI267863B (en) * 2004-04-12 2006-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preserving charge pumping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0027A (en) * 1958-03-05 1960-03-22 William R Aylward Binary encoded information matcher circuit
ATE53153T1 (de) * 1985-09-30 1990-06-15 Siemens Ag Digital-analog-umsetzer mit temperaturkompensation.
US4794278A (en) * 1987-12-30 1988-12-27 Intel Corporation Stable substrate bias generator for MOS circuits
JPH02215154A (ja) * 1989-02-16 1990-08-28 Toshiba Corp 電圧制御回路
US5036229A (en) * 1989-07-18 1991-07-30 Gazelle Microcircuits, Inc. Low ripple bias voltage generator
US4982118A (en) * 1989-12-13 1991-01-01 Tektronix, Inc. Data acquisition system having a metastable sense feature
JP2888898B2 (ja) * 1990-02-23 1999-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
FR2668668B1 (fr) * 1990-10-30 199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nerateur de tension de substrat pour un dispositif a semiconducteurs.
JPH04205994A (ja) * 1990-11-30 1992-07-28 Toshiba Corp プリチャージ回路
US5126590A (en) * 1991-06-17 1992-06-30 Micron Technology, Inc. High efficiency charge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66842A (en) 1993-11-30
JPH05217371A (ja) 1993-08-27
JPH0777076B2 (ja) 1995-08-16
KR930008858A (ko)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691B1 (ko) 기판전압 발생 장치의 차아지 펌프회로
US7208996B2 (en) Charge pump circuit
US8212599B2 (en) Temperature-stable oscillator circuit having frequency-to-current feedback
JP2703706B2 (ja) 電荷ポンプ回路
US7427889B2 (en) Voltage regulator outputting positive and negative voltages with the same offsets
KR850000814B1 (ko) 저소비전력 전자회로(低消費電力電子回路)
US5247208A (en) Substrate bias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6762640B2 (en) Bias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5952851A (en) Boosted voltage driver
KR970076865A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지 펌프 회로
US7535269B2 (en) Multiplier circuit
US6285241B1 (en) Internal voltage boosting circuit
KR0153542B1 (ko) 반도체 집적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JP2000067578A (ja) 基板バイアス電圧発生回路
US4275437A (en) Semiconductor circuit for voltage conversion
TWI591459B (zh) Analog electronic clock
JP2001177400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H0494201A (ja) 低消費電力型水晶発振回路
US7990129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H0523439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CN113258878B (zh) 振荡器
KR0177790B1 (ko) 고전압 발생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3354708B2 (ja) 半導体昇圧回路
JPH1070440A (ja) Cr発振回路
US20230195159A1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6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62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