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2385B1 - 흡수성, 보호 부직포 - Google Patents

흡수성, 보호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385B1
KR940002385B1 KR1019870004180A KR870004180A KR940002385B1 KR 940002385 B1 KR940002385 B1 KR 940002385B1 KR 1019870004180 A KR1019870004180 A KR 1019870004180A KR 870004180 A KR870004180 A KR 870004180A KR 940002385 B1 KR940002385 B1 KR 94000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layers
web
layer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307A (ko
Inventor
에프. 쿡 로날드
씨. 커닝햄 모니카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피. 패트릭 테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피. 패트릭 테일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1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3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3Microfiber, less than 100 micron 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3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precoated with other than free metal or alloy
    • Y10T442/607Strand or fiber material is synthet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6Microfiber is synthet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71Multiple nonwoven fabric layers composed of the same polymer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흡수성, 보호 부직포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8뱅크(bank) 융해취입(melt-blown) 생산 라인 또는 기계의 부분 개략도.
제2도는 표면상에 임보싱패턴을 보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테이블냅킨의 모서리의 부분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테이블 냅킨으로 변환되기도 하는 웨브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뱅크 12 : 웨브 또는 포(fabric)
21-28 : 다이헤드 30 : 다공성 벨트
34 : 다이오리피스 38,40 : 1차 공기 덕트
42 : 개구부 44.46 : 2차 공기 덕트
50,52,62,64,66,68,70,72 : 노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직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친수성인 1개 또는 그 이상의 외부층 사이에 끼워지며 소수성인 1개 또는 그 이상의 내부층을 갖는 다층 부직, 융해취입 포에 관한 것이다.
종이 및 다른 염가의 1회용으로 부직웨브로 만들어진 제품이 액체 접촉으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해 수년간 사용되어 왔다.
이런 보호 제품들의 예로서는 1회용 테이블 냅킨, 턱받이, 식탁보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1회용 보호제품들이 1표면상에 부딪히는 수분을 흡수한다 하여도 수분이 그 흡수성 보호 제품들을 침투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접촉하기도 한다.
특히, 테이블 냅킨에 대해서는 물이 그 위에 쏟아질때 2가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냅킨의 표면은 물이 냅킨으로부터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물을 흡수하여야 한다. 둘째, 냅킨은 물을 쉽게 침투하여 그 아래의 냅킴 사용자의 옷과 같은 대상물을 적시지 못하도록 물이 쏟아진 정부 표면과 저면 사이에 장애물을 제공하여야 한다.
추가로, 테이블 냅킨 또는 다른 보호제품은 찌꺼기를 남겨 놓지 않고 표면으로부터 물이 오일을 흡수하는 걸레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열가소성 마이크로 섬유 웨브를 사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들어 산업 및 엔지니어링 화학 48권, 8호(1956), 1342-13246페이지와 1976. 8. 31지로 번틴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구 특허 제3,978,185호, 1975. 5. 5자로 프렌티스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95,571호, 1974. 5.21자로 번틴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811,975호에 게재되어 있다. 이들 공정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점성의 열가소성 중합체 융해물을 형성하고 필라멘트들을 평균 약 10미크론 까지의 미세한 직경으로 인발하여 필라멘트들을 그후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해 수집되는 분리된 섬유들로 부수는 모이는 공기 분류내로 필라멘트들을 압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톰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16,447호는 1개층 이상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결합된 1개층 이상의 합성 중합체 열가소성 마이크로섬유를 갖는 테이블 또는 다른 액체 보호 웨브를 게재하고 있다. 톰슨의 특허의 예 3에는 2플라이 테이블 냅킨이 게재되어 있다. 2플라이 테이블 냅킨을 셀룰로오스 티슈(클리넥스 단일 플라이 안면용 티슈)와 마이크로섬유 웨브를 얇게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 티슈는 평방미터당 15.77그램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마이크로섬유 웨브는 평방미터당 15.42그램으 기초 중량을 가지며 약 2 내지 6미크론 범위에 있는 평균 섬유직경을 갖는 자연히 소수성인 융해취입된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형성된다. 예5에, 융해취입된 폴리프로필렌 웨브의 각 측부에 얇게 적층된 티슈를 갖는 1회용 손수건이 게재되어 있다. 각 티슈층은 평방미터당 15.77그램의 기초중량을 가지며 융해취입된 웨브는 평방미터당 7.42그램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결적으로 소수성 융해취입 폴리프로필렌 웨브를 갖는 박층은 물이 쉽게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로 웨브를 통해 침투되지 않도록 양호한 물 방해 성질를 갖는다.
왈퀴스트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79,192호는 중합체 필름과 섬유웨브의 박층으로 된 흡수성 장해 웨브를 게재하고 있다. 그 박층은 표면 흡수를 위한 연속적인 필라멘트 방사결합된 재료의 외층과 융해취입된 폴리올레핀 마이크로섬유의 내층 및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중합체 필름의 받침층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섬유 폴리올레핀 내층의 흡수성능이 보다 적은 흡수성능이 요구되며 마이크로섬유층의 표면에 가해지거나 성형전에 마이크로섬유상에 분무되기도 하는 계면활성제로 마이크로섬유를 처리함으로써 증가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미츤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196,245호는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내부 소수층을 갖는 수술용 가운을 게재하고 있다. 내부층은 융해취입 폴리프로필렌 마이크로섬유로 구성된다. 가운의 외부층의 소수성 또는 친수성이며 1실시예에서는 가운을 방수되게 하기 위해 소수성이 되게 처리하거나 자연히 친수성인 평방미터당 약 34그램의 기초 중량을 갖는 방사 결합된 레이온 웨브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브의 각 측부상의 1개 또는 그 이상의 친수성 표면층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중심층을 갖는 다층, 부직, 융해취입 웨브로서, 상기 표면층과 중심층이 웨브의 1표면상에 부딪치는 물이 표면층에 의해 흡수되고, 그 밖으로 방출되지 않으며 웨브의 반대 표면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결합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과 오일을 흡수하며 찌꺼기나 물을 남기지 안호 표면을 깨끗이 닦아낼 수 있는 소수성 중심층과 친수성 표면층으로 갖는 부직, 융해취입웨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마이크로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다층 부직 융해취입 폴리올레핀 웨브가 여러개의 헤드 또는 뱅크를 갖는 융해취입 생산 라인을 통한 단일 통과중 다수의 융해취입층을 순차적으로 적층 및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층 융해취입 웨브의 각 측부상의 표면층은 그 표면이 친수성이 되어 흡수할 수 있게 되도록 융해취입 마이크로섬유의 형성중 계면 활성제로 처리 된다. 융해취입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내부층은 물이 흡수되지 않고 따라서 쉽게 웨브로 침투될 수 없도록 계면활성제로 처리되지 않으며 자연히 소수성이다. 그리고, 오일 흡수성인 내부 소수층과 친수성 표면층이 조합된 융해취입 폴리프로필렌 웨브는 찌꺼기가 물을 남기지 않고 표면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물과 오일을 흡수할 수 있는 우수한 걸레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한 하기 서술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서술되더라도 그것은 본 발명을 그 실시예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모든 변형, 수정 및 균등물들이 커버되어야 한다.
제1도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층 융해취입 부직 웨브 또는 포(12)를 형성하기 위한 8 뱅크의 융해취입 생산 라인 또는 기계(10)의 개략이 도시된다. 융해취입 기계(10)은 거의 통상적인 것이며 뱅크(1-8)을 포함한다. 각 뱅크(1-8)은 각기 다이헤드(21-28)을 포함한다. 각 다이헤드(21-28)은 화살표(32)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공성 벨트(30)상에 융해취입 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제3도와 같이, 웨브(12)는 벨트가 각 다이헤드(21-28) 밑으로 화살표(3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적층된(121-128)을 갖는 8층 웨브다.
제1뱅크(1)이 상세히 서술된다. 잔여 뱅크(2-8)은 동일하다. 다이헤드(21)은 웨브(12)의 제1층(121)(제3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이헤드(21)은 다이오리피스(34)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36)은 융해된 상태로 통상적인 압출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이오리피스(34)로 밀려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공기인 고온 유체가 1차 공기 덕트(38,40)을 경유하여 다이오리피스의 양측부 상에 공급된다. 다이오리피스(34)는 다이헤드(21)의 개구부(42)로 부터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다이오리피스 형상은 외부층(121,122,127,128)(제3도)이 외부층내에 결합된 또는 묶여진 섬유들과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다이헤드(21,22,27,28)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다. 표면층(121,122,127,128)내에 결합된 또는 묶여진 섬유들은 웨브(12)의 마멸저항을 개량한다.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다이오리피스가 모든 다이헤드(21-28)에 대해 바람직하지만 들어가 있지 않은 오리피스가 섬유들의 묶음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웨브(12)의 중심층(123,124,125,126)을 형성하기 위해 다이헤드(23,24,25,26)에서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 융해물(36)이 다이오리피스(34)를 나올때 덕트(38,40)으로부터 모여드는 고압 공기는 중합체 분류를 약화시켜 이동하는 다공성벨트(30)상에 쌓이는 마이크로섬유(56)을 형성하게 하여 웨브(12)의 층(121)을 형성시킨다(제3도). 융해취입 공정중 벨트(30)상으로 섬유를 끌어 내기 위해 각 다이헤드 밑의 다공성 벨트뒤의 언더와이어 배기 유동에 의해 진공이 발생된다. 웨브이 부피를 유지하기 위해 언더와이어 배기는 가능한한 낮게 설정되며 동요없이 벨트(30)상에 웨브(12)를 잔류시킨다.
다이헤드(21-28)은 각기 다이헤드(21)용으로 (44,46)과 같은 2차 공기덕트를 갖는다. 2차 공기덕트는 이동하는 다공성 벨트상에의 적층전에 융해된 섬유(56)을 급냉시키기 위해 저압 및 저속으로 다이 개구부(42)에 인접하게 냉각 공기를 공급한다.
웨브(12)의 제1,2,7,8층(121,122,127,128)에 관한 뱅크(1,2,7,8)은 각기 뱅크(1)용 노즐(50,52), 뱅크(2)용 노즐(62,64), 뱅크(7)용 노즐(66,68), 뱅크(8)용 노즐(70,72)와 같은 분무 노즐을 포함한다. 분무 노즐(50,5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계면활성제를 섬유(56)에 형성직후 및 벨트(30)상에 쌓이기 전에 전에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뱅크(3,4,5,6)에서 형성된 층의 섬유(56)에는 가해지지 않는다. 추가로, 계면활성제 분무는 섬유(56)의 급냉을 돕는다. 따라서, 뱅크(1,2,7,8)의 2차 공기 유동은 감소될 수 있다.
융해취입기계(10)에 대한 기술 서술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것이며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융해취입웨브(12)의 특서은 융해취입기계(10)에서 융해취입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조작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융해취입웨브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다음 매개 변수들이 조절 및 변화될 수 있다.
1. 중합체의 종류,
2. 중합체 처리량(시간당 다이폭 인치당 파운드 : pih),
3. 압출기의 중합체 온도 구배(℉)
4. 압출기의 압력(psi)
5. 다이 오리피스의 우묵하게 들어가기,
6. 1차 공기 유량(분당 표준 입방피이트 : scfm.)
7. 1차 공기 온도(℉)
8. 2차 공기 유량(scfm),
9. 2차 공기 온도(℉)
10. 언더와이어 배기(scfm),
11. 다이와 성형벨트 사이의 거리(인치),
12. 계면활성제량(특정농도의 분단 갈톤)
웨브(12)가 융해취입기(10)에 의해 한번 형성되면, 그 웨브는 예를들어 냅킨으로 변환되며, 그 변환중 웨브는 종래의 방식으로 임의의 원하는 직조패턴(60)으로 임보싱되고, 절단되며 접힌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흡수성, 보호 부직웨브 또는 포(12)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공정상 매개변수들이 주요하다. 첫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500ppm의 과산화물과 같은 전감성제(prodegradant)가 가해진 일리노이스 데플레인의 엑슨사제 엑슨 3214가 바람직하다. 괴산화물 전감성제는 브리티시 석유제 비피 1081이 적당하다. 둘째, 다이헤드(21,22,27,28)상의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다이오리피스들은 그런 헤드들이 보다 균일한 층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보다 적은 섬유들은 마멸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으로 더욱 묶이는 표면 섬유를 유발한다. 셋째, 형성거리는 층내의 쇼트(경질 점)의 양이 감소되도록 섬유에 급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고 와이어상 섬유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최적거리는 약 12인치 ±2인치이다. 넷째, 압출중 중합체의 전단을 증가시키기 위해 높은 율의 처리가 필요하다. 처리의 범위는 약 2.5 내지 5.5pih이며 약 3.2pih가 바람직하다. 다섯째, 린트(lint)를 제어하기 위해 높은 1차 공기 유동이 유리하다.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다이오리피스를 갖는 다이헤드에 대한 1차 공기 유동은 약 1.800scfm±200scfm이며, 우묵하게 들어가 있지 않은 다이오리피스를 갖는 다이헤드에 대해서는 약 1,200scfm±200scfm이다. 여섯째, 압출기 배럴내 온도 구배를 제어하는 것은 쇼트의 양을 제어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과산화물 전감성제를 적당히 혼합하기 위해 유리하다. 압출기 배럴은 375℉, 385℉, 395℉, 490℉, 560℉, 560℉, 560℉인 제1대역으로부터 제7대역에 이르는 7개의 공청온도를 갖는 7개의 대역을 갖는다. 처음 3개 대역의 보다 낮은 온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과산화물점감성제의 혼합과 전단을 확실하게 하며 나중의 4개 대역의 보다 높은 온도는 최종재료의 쇼트의 발생을 제어한다. 압출기 배럴의 온도 범위는 ±50℉다. 일곱째, 폴리프로필렌수지와 과산화물건 감성제의 혼합을 돕기 위해 높은 압출기 압력이 배럴내에 유지된다. 압출기 배럴내의 탄소에 따라서, 압출기 압력은 1000psi±500psi로 설정된다. 여덟째, 다이헤드(21,22,27,28)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추가는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외부층(121,128)을 발생시키는 뱅크(1,8)을 위해서, 분당 0.9갈톤의 트리톤 X-102(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의 롬 앤드 하스사제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타놀)의 1.0% 용액이 섬유(56)상으로 분무된다. 층(122,127)을 발생시키는 뱅크(2,7)을 위해서, 분단 0.35갈톤의 트리톤 X-102의 1.0% 용액이 섬유(56)상으로 분무한다.
흡수성, 보화 부직웨브(12)의 샘플른 하기의 예 1의 공정 매개변수(공청값)에 따른 8뱅크 융해취입 생산라인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생산라인은 뱅크(1,2,7,8)에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다이오리피스를 갖는 다이헤드와 뱅크(3,4,5,6)에 우묵하게 들어가 있지 않은 다이오리피스를 갖는 다이헤드를 갖는다.
[예 1a]
Figure kpo00001
[예 1b]
Figure kpo00002
4개의 샘들이 예1의 공정에 따라서 제조된다. 각 샘플은 그 공칭 기초중량 0.75 oz./yd.2, 1.0 oz./yd.2, 1.25 oz./yd.2, 1.5 oz./yd.2에 의해 인지 된다. 기초 중량은 벨트(3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변화된다. 제5샘플은 뱅크(7,8)을 위해 계면활성제가 잠겨진 2개의 8층의 0.75 oz./yd.2웨브를 발생시킴으로써 제조된ㄷ. 그후, 2개의 8층의 0.75 oz./yd.2웨브는 각 포를 위한 계면 활성제 처리된 층이 각 측부상의 2개의 친수성 표면층 사이에 끼워진 12개의 소수성 중심층을 갖는 2-플라이 16층의 1.5 oz./yd.2박층의 외부에 있도록 냉간 임보싱에 의해 함께 박층이 된다.
예 1에 따라 제조된 샘플은 다이헤드(21,22,27,28)의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오리피스를 사용한 결과로서 대략 2.0 내지 4.0 미크론 범위의 크기를 갖는 층(121,122,127,128)의 마이크로 섬유를 갖는다. 층(123,124,125,126)내 마이크로섬유는 다이헤드(23,24,25,26)내 우묵하게 들어가지 않은 다이오리피스를 사용한 결과로서 대략 1.5 내지 7.5 미크론 범위의 크기를 갖는다.
처음 4개의 샘플은 8층을 갖는다. 4개의 중심층(123,124,125,126)은 자연적으로 소수성이며 1측부상의 표면층(121,122)와 계면활성제 처리에 의해 친수성인 다른 측부상의표면층(127,128)사이에 끼워진다. 웨브(12)내 각 층은 대략 같은 기초 중량을 갖는다. 그리고, 기계의 횡방향으로 웨브(12)는 그 120인치폭을 가로질러 기초중량이 4% 내지 8%만이 변화하는 전체 중량이 예외적으로 균일하다.
각 샘플은 실제 기초중량, 인장 강도, 파열 강도, 드레이프 강성, 수용량, 오일용량, 오일비율, 오일 모세관흡입, 부피, 침투없는 흡수를 결정하기 위해 시험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6개이 웨브와 관련하여 수행된 각종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a]
Figure kpo00003
[표 1b]
Figure kpo00004
인장강도는 미연방 시험방법 191A를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트랩 파열강도는 ASTM D-1117-14를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드레이프 강성은 ASTM D-1388에 따라 결정되었다. 수용량(water capacity)과 오일 용량은 ASTM D-117-5.3에 따라 결정되었다.
오일 모세관 흡입은 주로 1967. 5월호 섬유 리써어치져널 356-366페이지의 버어게니 앤드 카퍼에 의한 "섬유질량의 모세관 수착 평형"에 개재된 바와 같이 얻어졌다. 그 시험때 필터 깔때기는 보정된 수직 포스트에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었다. 깔때기는 이동될 수 있으며 수직 위치로 유지되는 약 8인치의 모세관 유리 튜우브에 연결된다. 10-15미크론 범위의 최대 세공 직경을 갖는 평탄바닥의 150㎖ 부크너 형태로 끼워진 유리 매체 파이렉스 필터디스크가 깔때기내의 계량된 샘플을 지지한다. 깔때기는 휘트코케미칼, 소느본(Sonneborn) 디비죤으로부터의 60℉에서 0.845 내지 0.860 범위의 비중을 갖는 블란돌 화이트 미네랄 오일로 채워지며, 샘플은 0.4psi의 압력하에 계량되고 필터상에 놓인다. 1시간 동안 10㎝의 주어진 높이로 메니스커스가 유지된 후, 샘플은 제거되고 계량되어 흡수된 그램(샘플)당 그램(오일)이 계산된다.
서술한 시험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웨브(12)의 침투없는 흡수가 중요하다. 그것과 관련하여, 웨브(12)의 1표면상에 부딪치는 물이 방출되는가, 흡수되는가 도는 침투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하기의 시험 규약이 수립되었다. 명백히, 그 재료가 표면상에 100%의 물을 흡수하고 0%의 침투와 0%의 방출시킬때 최적 성능이 초래된다. 규약은 하기와 같다.
절차 :
1. 압지(blotter)를 평방인치로 자른다.
2. 샘플을 4 평방인치로 자른다.
3. 압지를 정확히 계량하고 그 중량을 기록한다.
4. 샘플을 정확하게 계량하고 그 중량을 기록한다.
5. 압지를 테이블(플라스틱 필름조각의 정부)상에 놓는다.
6. 샘플을 압지의 정부 상에 놓는다(포의 2개 측부사이에 차이가 있으면 흡수측부를 위로 하여)
7. 주사기(syringe)에 1㎖에 물을 취한다.
8. 표면으로부터 약 3 내지 4인치에 유지된 주사기로부터 샘플상에 물을 떨어뜨린다(물을 주사기로부터 강제로 떨어뜨려서는 안되며 시험될 재료상에 가볍게 떨어뜨려야 한다. 물 방울은 시험될 샘플 상방에 균등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9. 1분간 물이 포내로 흡수되게 한다.
10. 압지로부터 샘플을 천천히 제거하고 과다한 액체가 방출되도록 1분간 유지한다(압지상으로 과다한 약제가 옮겨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과다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흔들어 준다).
11. 압지를 다시 계량하고 중량을 기록한다.
12. 샘플을 다시 계량하고 중량을 기록한다.
13. 물 1㎖의 중량을 결정한다(이것은 시험을 위해 사용된 주사기로부터 떨어진 물 1㎖를 계속하여 5회 계량함으로써 행해진다).
계산 :
그 재료에 의해 흡수된 물의 중량을 계산한다.
A=흡수된 물의 중량
B=건조 샘플의 중량
C=습윤 샘플의 중량
A=C-B
그 재료를 침투한 물의 중량을 계산한다.
D=샘플을 침투한 물의 중량
E=건조 압지의 중량
D=F-E
F=습윤 압지의 중량
흡수된 물 %를 계산한다.
H=흡수된 물%
G=물 1㎖의 중량
(A/G)×100=H
침투물 %를 계산한다.
I=침투율%
(D/G)×100=I
흡수되지 않은 물 %를 계산한다.
J=흡수되지 않은 물%
100-(H+I)=J
표 1에서, 그속의 데이타는 1.0 oz./yd.2, 1.25 oz./yd.2, 1.5 oz./yd.21플라이 샘플은 모두 방출과 침투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1.5 oz./yd.21플라이 샘플에서는 거의 절반이 흡수되고 단지 10 퍼센트이 액체만이 침투된다.
물 및 오일 용량 시험결과, 오일 모세관 흡입 결과, 오일 비율시험 결과는 웨브가 마찰없이 오일을 바르게 집어 내며 상당량의 오일과 물을 흡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1.0 oz./yd.2샘플웨브를 경쟁하는 테이블 냅킨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웨브는 표 2에 보인것과 같이 경쟁 제품이 50% 이상의 기초중량을 갖지 않는한 경쟁하는 냅킨보다 강도 및 흡수성이 유리하다.
[표 2]
Figure kpo00005

Claims (12)

  1. 서로 결합되며 일체로 형성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표면층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중심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층이 융해취입에 의해 형성된 비연속적인 열가소성 섬유로 구성되고, 중심층 섬유가 소수성이며, 상기 표면층이 융해취입에 의해 형성된 비연속적인 열가소성 섬유로 구성되고, 표면층 섬유가 그 위에 계면활성제를 도입함으로써 형성중 친수성이 되는 부직, 융해 취입 웨브.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층 섬유가 표면층 섬유가 단일 중합체로부터 생산되는 웨브.
  3.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인 웨브.
  4. 제2항에 있어서, 섬유의 직경이 평균 1.5 내지 7.5 미크론인 웨브.
  5. 제2항에 있어서, 4개의 중심층과, 그 각 측부 상에 2개의 표면층을 가지며, 평방야드당 0.75 내지 1.5 온스의 전체 기초중량을 가지며, 모든 층들이 거의 같은 기초 중량을 갖는 웨브.
  6. a) 수집 표면상으로 1개 또는 그 이상의 비연속적 열가소성 섬유의 제1표면층을 융해 취입에 의해 연속적으로 적층하고, 제1표면층 섬유가 친수성 표면층이 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1표면층 섬유에 계면활성제를 가하며, b) 제1표면층 정부상에 비연속적, 열가소성 섬유의 1개 또는 그 이상의 중심층을 융해취입에 의해 연속적으로 적층하고, 중심층 섬유가 자연히 소수성이 되게 하며, c) 제1중심층의 정부상에 비연속적, 열가소성 섬유의 1개 또는 그 이상의 제2표면층을 융해 취입에 의해 연속적으로 적층하고, 제2표면층 섬유가 제2친수성 표면이 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2표면층 섬유에 계면활성제를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젖을 수 있을 표면층과 1개 또는 그이상의 젖지 않은 중심층을 갖는 다층 부직 웨브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비이온계면활성제이고 형성후 수집표면과 중심층 위에 적층되기 전에 섬유상에 분무함으로써 제1 및 제2표면층에 가해지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1% 용액이 분당 0.9 내지 0.35 갈톤의 비율로 가해지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표면층 섬유와 중심층 섬유가 모두 단일 중합체로부터 생산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표면층 섬유와 중심층이 a) 과산화물 전감성제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가해진다. b) 처리량이 2.5 내지 5.5 pih이다. c) 입력으로부터 출력까지 온도대역으로 나누어진 압출기 배럴을 통한 압출용 배럴내 과산화물 전감성제와 중합체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중합체의 온도가 수개의 대역에 대한 그 융점이 이하로 유지된다. d) 압출기 배럴내 압력이 중합체와 과산화물 전감성제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500psi 이상으로 유지된다. e) 1차 공기 유량이 1600 내지 2000 scfm이다. f) 형성거리가 10 내지 14인치이다.는 한정요소를 융해 취입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
  12. 제6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부직웨브.
KR1019870004180A 1986-05-01 1987-04-30 흡수성, 보호 부직포 Expired - Fee Related KR940002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8329 1986-05-01
US06/858,329 US4753843A (en) 1986-05-01 1986-05-01 Absorbent, protective nonwoven fabric
US858,329 1986-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07A KR870011307A (ko) 1987-12-22
KR940002385B1 true KR940002385B1 (ko) 1994-03-24

Family

ID=2532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180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2385B1 (ko) 1986-05-01 1987-04-30 흡수성, 보호 부직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53843A (ko)
JP (1) JPS62282057A (ko)
KR (1) KR940002385B1 (ko)
AU (1) AU584506B2 (ko)
GB (1) GB21901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091A (en) * 1987-05-26 1991-02-26 Acumeter Laboratories, Inc. Product comprising substrate bearing continuous extruded fiber forming random crisscross pattern layer
JPH0433735Y2 (ko) * 1987-07-03 1992-08-12
US4818597A (en) * 1988-01-27 1989-04-04 Kimberly-Clark Corporation Health care laminate
US4906513A (en) * 1988-10-03 1990-03-06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iper laminate
US5064578A (en) * 1989-04-21 1991-11-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 high wet-strength polyolefin blown microfiber web
US4933229A (en) * 1989-04-21 1990-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wet-strength polyolefin blown microfiber web
US4904521A (en) * 1989-05-26 1990-02-27 Kimberly-Clark Corporation Melt-blown nonwoven wiper
US5111618A (en) * 1989-12-11 1992-05-12 Ardco, Inc.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stylized substantially all glass front
KR930700218A (ko) * 1990-05-30 1993-03-13 원본미기재 피복재를 기재로 향하게 하는 도포기
US5075068A (en) * 1990-10-11 1991-12-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eltblown filaments
US5149576A (en) * 1990-11-26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laminiferous structure
US5145727A (en) * 1990-11-26 1992-09-08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TW273531B (en) * 1991-08-14 1996-04-01 Chicopee Textile-like apertured plastic films
US5258220A (en) * 1991-09-30 1993-11-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pe material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232770A (en) * 1991-09-30 1993-08-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temperature st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229191A (en) * 1991-11-20 1993-07-20 Fiberweb North America, Inc. Composite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069839A1 (en) * 1991-12-13 1993-06-14 Charles W. Colman Nonwoven, coated substrates and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at high bath concentration and low wet pick-up
CA2070588A1 (en) * 1991-12-31 1993-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ductive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302446A (en) * 1992-03-30 1994-04-1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wo-sided skin care wipe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5443898A (en) * 1993-06-29 1995-08-22 Fiberweb North America, Inc. Nonwoven web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09142A (en) * 1993-06-30 1996-04-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aised arm coveralls
CA2134279C (en) * 1993-12-29 2006-11-07 Takamitsu Igaue Liquid absorbing sheet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quid absorbing sheet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a sheet material and sanitary articles produced thereby
US5554435A (en) * 1994-01-31 1996-09-10 Hercules Incorporated Textile structures, and their preparation
US5487189A (en) 1994-03-16 1996-01-30 Kimberly-Clark Corporation Coveralls having reduced seams and seamless shoul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59926A (en) * 1995-06-07 1998-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denier fibers and fabrics made therefrom
JP3226803B2 (ja) * 1995-11-02 200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を注入させるインク吸収体、該吸収体を用いた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
KR100445769B1 (ko) 1995-11-30 2004-10-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극세섬유 부직웹
US5773375A (en) * 1996-05-29 1998-06-30 Swan; Michael D. Thermally stable acoustical insulation
US5912194A (en) 1996-08-30 1999-06-15 Kimberly Clark Corp. Permeable liquid flow control material
WO1998024618A1 (en) * 1996-12-06 1998-06-11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web laminate having relatively hydrophilic zone and relate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5887278A (en) * 1997-01-31 1999-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bib having notched tear resistance
CA2278652C (en) * 1997-01-31 2004-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bib having notched tear resistance
WO1999017926A1 (en) 1997-10-03 1999-04-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performance elastic composite materials made from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triblock elastomers
US6182732B1 (en) 1998-03-03 2001-02-06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nonwoven webs and laminates including means to move the spinning assembly
PE20000627A1 (es) * 1998-05-30 2000-07-26 Kimberly Clark Co Material absorbente
US6242723B1 (en) * 1998-07-30 2001-06-05 Milestone S.R.L. Apparatus for performing chemical and physical processes without sample transfer within a microwave radiation field
US6315800B1 (en) 1998-10-27 2001-11-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Laundry care products and compositions
US20030119410A1 (en) * 1999-06-16 2003-06-26 Hassan Bodaghi Method of making media of controlled porosity and product thereof
US6521555B1 (en) * 1999-06-16 2003-02-18 First Quality Nonwovens, Inc. Method of making media of controlled porosity and product thereof
MY125395A (en) * 1999-07-08 2006-07-31 Kao Corp Personal cleansing sheet
US6458756B1 (en) 1999-07-14 2002-10-0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owder detergent process
US6716309B2 (en) * 2001-12-21 2004-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viscous compositions to the surface of a paper web and products made therefrom
AU2003220140A1 (en) * 2002-04-03 2003-10-20 Filtrona Richmon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dditive to fibrous products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EP1382730A1 (de) * 2002-07-15 2004-01-21 Paul Hartmann AG Kosmetisches Wattepad
US8395016B2 (en) 2003-06-30 2013-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produced from low melt flow rate polymers
WO2005005696A1 (en) * 2003-06-30 2005-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ated nanofiber webs
ATE518982T1 (de) * 2003-06-30 2011-08-15 Procter & Gamble Partikulate in nanofaservliesen
US8487156B2 (en) 2003-06-30 2013-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giene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WO2005103355A1 (en) 2004-04-19 2005-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ers, nonwovens and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produced from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mers
EP1738006B1 (en) * 2004-04-19 2011-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for use as barriers
EP1637632B1 (de) * 2004-09-17 2007-08-01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ilament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20070135787A1 (en) * 2005-12-14 2007-06-14 Maria Raidel Extensible absorbent layer and absorbent article
US10863783B2 (en) 2007-04-16 2020-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tective apparel with angled stretch panel
US7841020B2 (en) 2007-07-20 2010-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asy donning garment
US9265292B2 (en) * 2007-07-20 2016-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asy donning garment
US20100031427A1 (en) * 2008-08-06 2010-02-11 Aaron Drake Smith Garment With Interior Surface Indicator
WO2010033960A1 (en) * 2008-09-22 2010-03-25 Nanopaper, Llc Fibrous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587329B2 (en) * 2013-12-11 2017-03-07 Kyung-Ju Choi Process for making a polymeric fibrous material having increased bet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447A (en) * 1972-04-24 1975-11-04 Kimberly Clark Co Low cost, absorbent, clinging, aqueous liquid barrier protective covering
GB1453447A (en) * 1972-09-06 1976-10-20 Kimberly Clark Co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US4075382A (en) * 1976-05-27 1978-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nonwoven surgical towel and method of making it
US4165352A (en) * 1976-10-18 1979-08-21 James River Corp. Method of producing self-bonded, melt-blown battery separators, and resulting product
JPS6047845B2 (ja) * 1977-10-17 1985-10-24 キンバリ− クラ−ク コ−ポレ−シヨン 微小繊維の油及び水用雑巾
US4196245A (en) * 1978-06-16 1980-04-01 Buckeye Cellulos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djacent microfine fibers in layers
US4328279A (en) * 1981-01-29 1982-05-04 Kimberly-Clark Corporation Clean room wiper
US4468428A (en) * 1982-06-01 1984-08-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philic microfibrous absorbent webs
US4379192A (en) * 1982-06-23 1983-04-05 Kimberly-Clark Corporation Impervious absorbent barrier fabric embodying films and fibrous webs
US4436780A (en) * 1982-09-02 1984-03-1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iper laminate
US4426417A (en) * 1983-03-28 1984-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iper
US4508113A (en) * 1984-03-09 1985-04-02 Chicopee Microfine fiber laminate
US4604313A (en) * 1984-04-23 1986-08-05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555811A (en) * 1984-06-13 1985-12-03 Chicopee Extensible microfine fiber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4506B2 (en) 1989-05-25
GB8710431D0 (en) 1987-06-03
GB2190111B (en) 1989-12-06
AU7225287A (en) 1987-11-05
GB2190111A (en) 1987-11-11
KR870011307A (ko) 1987-12-22
US4753843A (en) 1988-06-28
JPS62282057A (ja) 198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385B1 (ko) 흡수성, 보호 부직포
EP0754796B1 (en) Nonwoven laminate fabric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CA2116196C (en)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utene polymer and nonwoven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with
EP0586937B1 (e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EP0924328B2 (en) Laminat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778460A (en) Multilayer nonwoven fabric
JP4068171B2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753834A (en) Nonwoven web with improved softness
AU668973B2 (e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US4379192A (en) Impervious absorbent barrier fabric embodying films and fibrous webs
US20070026753A1 (en) Differential basis weight nonwoven webs
JPH07300754A (ja) バリヤ特性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溶融吹き込み布
WO1993010300A1 (en) Composite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WO1995003172A1 (en) Barrier fabrics which incorporate multicomponent fiber support webs
JP2002504835A (ja) 吸収性外科用滅菌布
JP2004501287A (ja) メルトブローンウェブ
JPH09209254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0006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930010351B1 (ko) 다층부직포
JP5567836B2 (ja) 偏芯中空複合長繊維、それからなる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用途
JPH10251960A (ja) 積層不織布
EP0864682A1 (en) Bulky nonwoven fabric
JPH0375056A (ja) 衛生用品のフェーシング
JP2003201670A (ja) 親水性長繊維不織布、複合化不織布及びそれら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20040013756A (ko)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3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3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