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8159B1 -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59B1
KR930008159B1 KR1019860003126A KR860003126A KR930008159B1 KR 930008159 B1 KR930008159 B1 KR 930008159B1 KR 1019860003126 A KR1019860003126 A KR 1019860003126A KR 860003126 A KR860003126 A KR 860003126A KR 930008159 B1 KR930008159 B1 KR 93000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omponent
emulsion composition
aqueous emul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243A (ko
Inventor
히데도시 곤도
다로 고시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죤 웰터 웨스트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죤 웰터 웨스트코트 filed Critical 도레이 실리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only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접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험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분을 제거한 후 고무 탄성체를 형성하는 여러가지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실리콘의 우수한 발수성, 내후성 및 고무탄성으로 인하여 섬유와 종이를 처리하고 콘크리트, 목재 또는 슬레이트용 방수 페인트 필름으로서 사용하도록 제안 또는 제공되어 왔다. 예를 들면, 1980년 9월 9일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221,688 호에 상응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56-16553(81-16553)호에는 하이드록실로 말단처리된 디오가노폴리실록산, 콜로이드상 실리카 및 알킬 주석염으로 주로 이루어진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에멀죤 조성물에 증량 충진제를 첨가하면 한번 도포에도 두꺼운 피막을 쉽게 제공해 주는 페인트 필름 재료가 제조되거나 균열, 간격 또는 접합용 충진제가 제조된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증량 충진제로는 점토, 산화알루미늄, 석영, 탄산칼슘, 산화아연 및 미카가 있다.
1984년 1월 24일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427,811 호에 상응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58-118853(83-118853)호에는 고형분이 높은 실리콘 탄성체 에멀죤의 개량된 제조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꺼운 피복용 페인트 및 코우크 등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고형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수성 에멀죤에 증량 충진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고형분을 또는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량의 충진제를 함유한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을 간격, 접합 등을 충진하기 위한 밀봉제로서 사용할 경우, 특히 피복면이 다공질 표면이면, 경화공정시 계면으로부터 박리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공질 표면에 대해서만 특이한 것이며, 금속, 유리 등의 평활면에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토목 건축물에는 모르타르(Mortar), 슬레이트 및 목재 등 여러가지 다공질 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다공질 재료로부터 박리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고형분이 높은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높은 고형분의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상술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연구를 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질 재료에 적용한 경우, 경화 도중에 또는 경화 후에 계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높은 고형분의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본 에멀죤은 각 분자중에 적어도 2개의 실리콘 결합된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직쇄상의 폴리오가노실록산, 콜로이드상 실리카 또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경화촉매, 유화제 및 물로부터 제조한다. 기본 에멀죤 pH를 9 내지 12로 조절하고 실온에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탄성체가 형성될 때까지 숙성시킨다. 이어서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 또는 이의 부분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충진제 및 분산제를 소정량 첨가한다. 제조된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경화시 다공질 재료와 접촉하여 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 1 도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접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험편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치수는 밀리미터(mm)이다.
두개의 모르타르판(1)은 목재 스페이서(3)와 별개로 유지되며,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용하여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각 분자중에 적어도 2개의 실리콘 결합된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직쇄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 (B) 콜로이드상 실리카 1 내지 150중량부 또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0.3 내지 30중량부, (C) 촉매량의 경화촉매, (D) 유화제 2 내지 30중량부 및 (E) 물로부터 기본 에멀죤을 만들고, pH를 9 내지 12로 조절한 후 실온에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탄성체 물질이 형성될 때까지 숙성시키고, (F)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가수분해 축합물 0.5 내지 30중량부, (G) 충진제 50 내지 300중량부 및 (H) 성분(G)를 기준으로 하여 분산제 0.1 내지 2.0중량%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분자중에 적어도 2개의 실리콘 결합된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직쇄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즉 성분(A)는 성분(B)와 가교 결합하여 탄성체를 형성한다. 하이드록실 그룹의 결합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이들은 양 말달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원자에 결합된 유기 그룹은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1가 탄화수소 그룹이며,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등의 알킬그룹 ; 비닐, 알릴 등의 알케닐 그룹 ; 페닐 등의 아릴 그룹 ; 벤질 등의 아르알킬 그룹 ; 스티릴, 톨릴 등의 알크아릴 그룹 ;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펜틸 등의 사이클로알킬 그룹 ; 및 이들 그룹의 수소원자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 염소, 브롬 등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그룹(예 : 3-클로로프로필 및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이 있다. 이러한 유기 그룹은 통상적으로 메틸, 비닐 및 페닐이다. 유기 그룹은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지만, 다른 형태의 유기 그룹과의 배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의 분자구조는 실질적으로 직쇄상이며, 이것은 직쇄상 또는 약간 분지된 직쇄상을 의미한다. 또한 분자량도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5,0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30,000 이상이면 만족스러운 인장강도와 파단신도를 얻고, 분자량이 50,000이상이면 가장 유리한 인장강도와 파열신도를 얻는다.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예로는 모두 하이드록실 그룹에 의해 말단차단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오가노 폴리실록산은 환상 오가노실록산을 개환중합시키는 방법, 알콕시 또는 아실옥시 그룹 등의 가수분해 가능한 그룹을 함유하는 직쇄상 또는 측쇄상 오가노폴리실록산을 가수분해하는 방법, 또는 1 또는 2 이상의 디오가노디할로실란을 가수분해하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된다.
성분(B)는 성분 (A)의 가교결합체로서 작용한다. 콜로이드상 실리카는 훈증 콜리이드상 실리카 또는 침전 콜로이드상 실리카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들면, 나트륨, 암모니아 또는 알루미늄 이온으로 안정화된, 입자 크기가 0.0001 내지 0.1㎛인 콜로이드상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콜로이드상 실리카의 사용량은 성분 (A)를 포함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당 1 내지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중량부이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드는 수용성이어야 하며, 미리 수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드는 리튬 실리케이트, 나트륨 실리케이트, 칼륨 실리케이트 및 루비듐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의 사용량은 성분(A)를 포함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당 0.3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중량부이다.
성분(C)를 포함하는 경화촉매는 축합반응을 촉진하는 것이며, 예로는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주석 옥타노네이트, 디부틸 주석 디옥토에이트, 주석 라우레이트, 제 2 철주석 옥타노에이트, 납 옥타노에이트, 납 라우레이트, 아연 옥타노에이트 등의 유기산과의 금속염 ;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및 디부톡 씨티 타늄 비스(에틸아세토 아세트디이트)등의 티타네이트 에스테르 ; 및 n-헥실 아민, 구아니딘 등의 아민 화합물 및 이들의 염산염이 있다. 이들 경화촉매는 미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유화제 및 물을 사용하여 에멀죤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C)의 사용량은 성분(A)의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당 0.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내지 1중량부이다.
성분(D)의 유화제는 주로 성분(A)를 유화시키는 것이며, 음이온계 유화제, 비이온계 유화제 및 양이온계 유화제를 포함한다. 음이온계 유화제의 예로는 고급 지방산염, 고급 알콜 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칼나프탈렌설폰산염, 알킬설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황산에스테르염이 있다. 비이온계 유화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및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있다. 양이온계 유화제의 예로는 지방족 아민염, 4급 암모늄염 및 알킬피리디늄염이 있다. 이들 유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이들 유화제의 사용량은 성분(A)의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당 2 내지 30중량부이다.
성분(E)의 물은 성분(D)의 작용하에 성분(A) 내지 (C)을 유화시키는데 충분한 양이어야 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성분(F)의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가수분해 축합물은 다공질 기질의 표면에 대한 접착성에 책임이 있으며 예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3, 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및 이들의 1 또는 2 이상의 가수분해물 및 가수분해 축합물이 있다.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물 또는 가수분해 축합물은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와 물을 혼합한 다음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제조할 수 있다. 혼합물은 알콜을 생성하며 2개의 층은 단일층으로 전환한다. 이것은 실리콘 원자에 결합된 알콕시 그룹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전환된 가수분해물이 제조되는 것을 나타낸다. 가수분해 축합물에서는 여러개의 가수분해물이 서로 축합되어 올리고머를 형성한다.
성분(F)의 사용량은 성분(A)와의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30중량부이다. 균일성의 면에서, 성분(F)는 가수분해물 또는 가수분해 축합물의 수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를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의 양을 초과하거나 거의 같은 양의 물로 용해시켜 제조한다.
성분(G)의 충진제는 성분(A) 내지 (E)로 이루어진 기본 에멀죤의 고형분을 높임으로써, 그것을 두꺼운-피복 페인트 필름 재료 유용한 밀봉제로 전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충진제의 예로는 탄산칼슘, 점토,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석영, 미카, 카본 블랙, 흑연,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이 있다.
충진제를 적합하게 선택함으로써 탄성체에 특별한 성질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산칼슘을 사용하면 벽의 균열이나, 조인트 또는 벽과 기둥의 경계에서 생긴 간격 등을 막는데 유용하고 고형분이 80중량%인 밀봉제를 얻을 수 있다.
충진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에, 충진제의 입자 크기 분포차에 따라, 제조되는 에멀죤 조성물의 유동성 및 점도에 상당한 차가 나타난다. 목적하는 탄성체 및 에멀죤 특성을 지닌 에멀죤 조성물은 여러 형태의 충진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성분(H)는 성분(A) 내지(E)로 이루어진 기본 에멀죤에 성분(G)의 충진제를 첨가하는 동안, 충진제의 첨가후 및 혼합시에 일어나는 에멀죤 입자의 응집파괴를 방지해준다. 또한 충진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결과 불용성 성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이러한 성분은 통상적으로 보호 콜로이드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의 예로는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테트라포스페이트,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테트라폴리로스페이트 등의 폴리포스페이트염 ; 나트륨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 저분자량 암모늄 폴리아크릴레이트, 저분자량 스티렌-암모늄 말레에이트 공중합체 ; 카제인 ; 나트륨 리그닌설포네이트 또는 폴리비닐 알콜 ;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 폴리비닐 피롤리돈 ;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 및 메틸셀룰로오즈, 하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 유도체가 있다. 이들 화합물중에서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나트륨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가 특히 유효하다. 성분(H)의 첨가량의 충진제의 표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성분(G)의 충진제의 0.1 내지 2.0중량%이다.
상기보다 적은 양을 첨가하면, 그 효과는 불완전하거나 완전 없어지며, 에멀죤 입자 응집파괴나, 충진제 입자의 분산불량, 불용성 성분의 잔류하고 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러한 성분은 충진제를 첨가하기전에 미리 실리콘 수성 에멀죤에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목적달성상 바람직하다.
또는, 성분(G)의 충진제의 표면을 성분(H)의 분산제로 예비처리하고서 첨가하는 것이 목적달성상 바람직하다. 충진제를 분산제로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분류하여 건식 처리법과 습식 처리법이 있지만, 어느 방법이나 충진제 입자의 표면을 분산제 분자로 균일하게 피복시키는 한은, 에멀죤 입자의 응집파괴, 충진제입자의 분산불량 및 불용성 성분의 발생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는 유리한 에멀죤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충진제 입자의 표면처리에 사용하는 분산제는 특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나트륨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리콘 수정 에멀죤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 먼저, 성분(A) 내지 (E)로 이루어진 기본 에멀죤 조성물을 당해 분야에 공지된 여러가지 방법중의 어느 방법으로 제조한다. 예를들면, 하이드록실-말단 처리된 폴리디메틸실록산[성분(A)]을 호모믹서, 균질기 또는 콜로이드 분쇄기와 같은 유화장치를 사용하여 유화제[성분(D)]로 물[성분(E)]속에서 유화시킨 다음, 콜로이드상 실리카 또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성분(B)] 및 경화촉매[성분(C)]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얻는 방법, 또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사이클릭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유화제로 물에 유화시키고, 개환중합촉매를 첨가하여 가열하에 중합시켜 하이드록실-말단 처리된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의 에멀죤을 제조하고, 이것에 콜로이드상 실리카 또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성분(B)] 및 경화촉재[성분C)]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얻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기본 에멀죤 조성물은 먼저 하이드록실 그룹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성분(A)] 100중량부, 콜로이드상 실리카 1 내지 150중량부 또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성분(B)] 0.3 내지 30중량부, 촉매량의 경화촉매[성분(C)], 유화제[성분(D)] 20 내지 30중량부 및 물[성문(E)]로 조제한다. 이어서 생산된 기본 에멀죤 조성물의 pH를 9 내지 12로 조절한다. pH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아민을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유기 아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이외에, 유기 아민의 예로는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및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있다.
이어서 기본 에멀죤 조성물을 일정 시간동안 숙성시킨다. 숙성온도는 에멀죤을 파괴하지 않는 온도, 즉 1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이다. 숙성시간은 기본 에멀죤 조성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한 후 탄성체 물질을 형성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예를 들면, 기본 에멀죤 조성물은 25℃에서 1주일 이상 또는 40℃에서 4일 이상 숙성시켜야 할 것이다. 기본 에멀죤 조성물을 충분하지 않게 숙성시키면, 성분(F)을 첨가할 때 흔히 겔이 생성된다. 숙성후,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가수분해 축합물[성분(F)]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성분(H), 이어서 성분(G)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좋다. 또는, 표면이 성분(H)로 예비처리된 성분(G)를 첨가하여 혼합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목적하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에는 통상 수성 페인트 등에 첨가배합되는 성분, 예를들면, 충진제, 소포제, 안료, 염료, 방부제 및 침투제(수성 암모니아 등)를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실온에서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분을 제거함으로서 실온에서 경화되어 경화시 조성물과 접촉하고 있는 다공질 기재와의 결합성이 우수한 탄성체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모르타르, 콘크리트, 슬레이트, ALC, 칼슘 실리케이트판, 목재, 석재 및 석면포와 같은 다공질 기질에 대한 피복제 또는 밀봉제로서 유용하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부이다.
접착성은 JIS A 5758에 따르는 접착시험으로 평가한다. 즉, 시험편은 제 1 도에 나타낸 모형으로 제조한다. 시험편은 20℃/55% RH하에서 4주간 경화시킨 다음 인장시험기로 시험한다. 인장시험은 20℃ 기압 및 인장속도 50mm/min에서 텐션 UTM -1-2500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성분(A)를 함유하는 에멀죤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 30개의 실록산 반복단위를 갖는 하이드록실-말단처리된 폴리디메틸실록산 100부를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2부 및 물 70부와 혼합하고, 이것을 300kg/㎠의 압력하에 균질기를 통하여 2회 통과시키고, 여기에 중합 개시제로서 도데실벤젠설폰산 1부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에멀죤 중합을 수행한다. 이어서 생성물의 pH를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7로 조절한다. 그 결과 분자량이 200,000인 하이드록실 말단처리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하는 에멀죤(에멀죤 A)을 얻는다.
성분(C)를 함유하는 에멀죤 C는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40부를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10부 및 물 40부와 혼합한 다음, 균질기내로 통과시켜 제조한다.
이어서, 에멀죤 A 100부를 에멀죤 C 1.5부 및 성분(B)로서 수성 실리카(40중량% 고체) 25부와 혼합한 다음, 소량의 디에틸아민을 첨가하여 pH를 11로 조절하고, 이것을 실온에서 2주간 숙성시켜 기본 에멀죤을 수득한다. 성분(F)로서의 용액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또는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을 동량의 물과 혼합한 다음 용액을 하루동안 방치시켜서 제조한다. 이를 표 1에 기록된 바와 같이 기본 에멀죤에 첨가하여 혼합한다. 비교실시예에서는,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 대신에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마찬가지로 첨가하여 혼합한다. 에멀죤의 고형분을 높이기 위하여, 기본 에멀죤 100부당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성분(H)] 0.5부 및 기본 에멀죤 100부당 탄산칼슘[평균 입자 크기가 1인 성분(C)]100부를 혼합 첨가한다. 생선된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접착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록한다.
[표 1]
Figure kpo00001
먼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에멀죤 C 1.5부와 나트륨 실리케이트 3부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한 에멀죤 A 100부에 첨가하고 이것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어서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첨가하여 pH를 10으로 조절한 다음, 실온에서 3주간 숙성시켜 기본 에멀죤을 수득한다.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부를 동량의 물과 혼합하고, 1일간 방치하여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기본 에멀죤에 첨가한다. 이어서 평균 입자 크기가 0.7㎛이고 나트륨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 0.5중량%로 표면처리된 탄산칼슘 100부를 혼합하여 첨가한다. 이렇게 하여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샘플 번호 7)을 제조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편을 제조하여 접착시험을 행한다. 비교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샘플번호 8)을 상기와 같이 제조하지만,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수용액은 생략한다.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샘플번호 9)은 상기에서 처리된 탄산칼슘 대신에 미처리된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접착시험은 상기와 같이 수행하며 그 결과는 표 2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실온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 외부 외관변화 또는 특성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샘플번호 9로 표시된 비교용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에멀죤의 파괴로 인하여 제조 직후에 외부 외관이 비정상적으로 된다.
[표 2]
Figure kpo00002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은 샘플번호 1에서 사용한 탄산칼슘 대신 평균 입자 크기가 0.8㎛인 점토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에 기술된 조건하에 제조한다. 수득된 조성물은 샘플번호 1의 조성물처럼 탄성체 물질로 잘 경화된 다음 ALC에 접착된다.

Claims (5)

  1. (A) 각 분자중에 적어도 2개의 실리콘 결합된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직쇄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100부, (B) 콜로이드상 실리카 1 내지 150중량부 또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0.3 내지 30중량부, (C) 촉매량의 경화촉매, (D) 유화제 2 내지 30 중량부 및 (E) 물로부터 기본 에멀죤을 만들고, pH를 9 내지 12로 조절한 후 실온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탄성체 물질이 형성될 때까지 숙성시키고, (F)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가수분해 축합물 0.5 내지 30 중량부, (G) 충진제 50 내지 300중량부 및 (H) 성분 (G)의 0.1 내지 2.0중량%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경화시 에멀죤과 접촉하여 다공성 기질과 결합하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충진제(G)의 표면을 분산제(H)로 예비처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오가노폴리실록산(A)의 분자량이 30,000 이상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관능성 실란 커플링제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3, 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및 이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수분해물 및 가수분해 축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5. 제 1 항에 방법으로 제조한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
KR1019860003126A 1985-04-24 1986-04-23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845 1985-04-24
JP60087845A JPH0639568B2 (ja) 1985-04-24 1985-04-24 シリコ−ン水性エマルジヨン組成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243A KR860008243A (ko) 1986-11-14
KR930008159B1 true KR930008159B1 (ko) 1993-08-26

Family

ID=1392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126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159B1 (ko) 1985-04-24 1986-04-23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77160A (ko)
EP (1) EP0202494B1 (ko)
JP (1) JPH0639568B2 (ko)
KR (1) KR930008159B1 (ko)
AU (1) AU583371B2 (ko)
CA (1) CA1277073C (ko)
DE (1) DE3684505D1 (ko)
ES (1) ES87067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66B1 (ko) * 2000-12-30 2003-08-09 주식회사 한화 침투성 물 흡수 방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KR20110133604A (ko) * 2009-03-10 2011-12-13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수중유 실리콘 에멀젼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773A (ja) * 1986-11-10 1988-05-25 Toray Silicone Co Ltd シリコ−ン水性エマルジヨン防水材組成物
JPH0832854B2 (ja) * 1987-01-06 1996-03-29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コ−テイング用組成物
DE3729039A1 (de) * 1987-08-31 1989-03-09 Henkel Kgaa Verwendung von glycidoxypropylsilanol und polydimethylsiloxanen und diese enthaltende waessrige formentrennmittel
FR2621921B1 (fr) * 1987-10-20 1990-02-23 Rhone Poulenc Chimie Emulsion aqueuse de silicone pouvant reticuler en un elastomere par elimination de l'eau
JPH01149866A (ja) * 1987-12-08 1989-06-12 Yoshio Ichikawa コーティング方法
FR2638166B1 (fr) * 1988-08-31 1991-01-11 Rhone Poulenc Chimie Dispersion aqueuse a base de resine silicone pouvant reticuler en un elastomere par elimination de l'eau
FR2637605B1 (fr) * 1988-10-11 1990-12-14 Rhone Poulenc Chimie Dispersion aqueuse de silicone a base de siliconate reticulant en un elastomere par elimination de l'eau
US4954565A (en) * 1989-09-25 1990-09-04 Dow Corning Corporation Precured silicone emulsion
JP2992591B2 (ja) * 1989-12-18 1999-12-20 ジーイー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カコア―シリコーンシェル体、これを分散含有するエマルジョンおよび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US5620773A (en) * 1990-02-21 1997-04-15 Mcghan Nusil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exturing the surface of gloves
JPH0822945B2 (ja) * 1991-08-12 1996-03-0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難燃化された導電性の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組成物
DE4140733C2 (de) * 1991-12-11 1995-02-02 Bayer Ag Fassadenanstrichmittel und Putze mit hoher Frühwasserbeständigkeit
US5900459A (en) * 1994-02-24 1999-05-04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release agent and method
JP3694703B2 (ja) * 1996-04-25 2005-09-14 Az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FR2753708B1 (fr) * 1996-09-26 1998-12-31 Dispersion silicone aqueuse, reticulable par condensation en un elastomere adherent sur de nombreux supports et mastic constitue par ledit elastomere
KR100238992B1 (ko) * 1997-04-09 2000-02-01 신범수 방수씰링용 실리콘 에멀젼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방수 시공방법
FR2780065B1 (fr) * 1998-06-17 2000-09-15 Rhodia Chimie Sa Emulsion aqueuse de resine silicone pour l'hydrofugation de materiaux de construction
KR20020019089A (ko) * 1999-06-16 2002-03-09 니혼 야마무라 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코팅조성물
JP2002249722A (ja) * 2001-02-27 2002-09-06 Daikin Ind Ltd 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JP2003171554A (ja) * 2001-12-06 2003-06-20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水中油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FR2837218B1 (fr) * 2002-03-18 2005-02-18 Dacral Sa Composition de revetement de substrat metallique
US8012544B2 (en) 2003-10-08 2011-09-06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MQ resin reinforced silicone elastomer emulsions
FR2861722B1 (fr) * 2003-11-04 2007-05-11 Rhodia Chimie Sa Procede de traitement de surface d'un support contenant de l'amiante et entrant dans la constitution d'un batiment, support ainsi obtenu
KR100601797B1 (ko) * 2003-12-02 2006-07-1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실리콘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06081476A2 (en) * 2005-01-28 2006-08-03 Ralph Sacks Water-based coating
ES2282035B1 (es) * 2006-03-06 2008-09-16 Aidico, Asociacion De Industrias De La Construccion Adhesivos epoxi y de poliester insaturado en emulsion acuosa para la consolidacion de piedras naturales.
JP2007291279A (ja) * 2006-04-26 2007-11-08 Tokyo Thermochemical Ind Co Ltd 耐熱性水性塗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864828B2 (ja) * 2007-08-31 2016-02-17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パウダ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7500A (ja) * 2007-08-31 2009-03-19 Dow Corning Toray Co Ltd 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ATE554145T1 (de) * 2009-08-05 2012-05-15 Omya Development Ag Verwendung von 2-amino-2-methyl-1-propanol als zusatz in wässrigen suspensionen aus calciumcarbonathaltigen materialien
JP5902017B2 (ja) * 2012-03-28 2016-04-13 株式会社白石中央研究所 表面処理炭酸カルシウム及びそれを含むポリマー組成物
US9523022B2 (en) 2013-01-11 2016-12-20 Dow Corning Corporation Air and water barrier
EP3744704A1 (en) * 2019-05-29 2020-12-02 Sika Technology Ag Non-invasive repair and retrofitting of hardened cementitious materials
US12209189B2 (en) * 2020-08-07 2025-01-28 Illinois Tool Works Inc. Vehicle ceramic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use thereof
CN114381154A (zh) * 2022-01-20 2022-04-22 深圳市广田环保涂料有限公司 无机瓷砖美缝涂料及其制备方法
CN119371637B (zh) * 2024-12-30 2025-06-03 山东一诺威聚氨酯股份有限公司 无溶剂聚氨酯合成革粘合层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688A (en) * 1978-04-28 1980-09-0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emulsion which provides an elastomeric product and methods for preparation
AU524393B2 (en) * 1979-07-09 1982-09-16 Dow Corning Co. Silicone emulsion which provides an elastomeric product
US4427811A (en) * 1981-12-30 1984-01-24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elastomeric emulsion having improved shelf life
GB2123297B (en) * 1982-07-03 1985-07-17 William Blair Mcgreg Donaldson Eye protector
GB8319300D0 (en) * 1983-07-16 1983-08-17 Ciba Geigy Ag Treating textiles
JPS6096650A (ja) * 1983-10-31 1985-05-30 Toray Silicone Co Ltd シリコ−ン水性エマルジヨン組成物の製造方法
US4587288A (en) * 1985-05-02 1986-05-06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water-based putty
US4590220A (en) * 1985-05-24 1986-05-20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 silicone water-based elasto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66B1 (ko) * 2000-12-30 2003-08-09 주식회사 한화 침투성 물 흡수 방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복합 방수시공방법
KR20110133604A (ko) * 2009-03-10 2011-12-13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수중유 실리콘 에멀젼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77073C (en) 1990-11-27
ES8706776A1 (es) 1987-07-01
US4677160A (en) 1987-06-30
AU5654286A (en) 1986-10-30
EP0202494B1 (en) 1992-03-25
KR860008243A (ko) 1986-11-14
EP0202494A2 (en) 1986-11-26
JPS61246255A (ja) 1986-11-01
DE3684505D1 (de) 1992-04-30
JPH0639568B2 (ja) 1994-05-25
EP0202494A3 (en) 1988-05-18
ES554289A0 (es) 1987-07-01
AU583371B2 (en) 198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159B1 (ko) 실리콘 수성 에멀죤 조성물의 제조방법
US4535109A (en) Method for producing silicone aqueous emulsion compositions
US4496687A (en) Aqueous emulsion-type silicone compositions
CA1309539C (en) Water repellent for masonry
CA1309790C (en) Silicone water-based emulsion composition
US4554187A (en) Stable silicone emulsions
US3629228A (en) Non-corrosive siloxane vulcanizable at room temperature
KR930012217B1 (ko) 실리콘 수계 코오킹 재료
EP0248443B1 (en) Method for forming a waterproof, unevenly textured coating film
AU594523B2 (en) Aqueous silicone dispersions
GB2057474A (en) Silicone emulsion
CN101235203B (zh) 室温可固化的有机聚硅氧烷组合物
US6319980B1 (en) Method for preparing organic silicon compound emulsion
JPH0651863B2 (ja) シリコ−ン水性エマルジヨン被覆材
KR100253895B1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수용성 분산액
JP3962926B2 (ja)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US6521699B2 (en) Aqueous silicone dispersion
EA001578B1 (ru) Водная силиконовая дисперсия
EP0203363B1 (en) Silicone water-based putty
EP0572927A1 (en) Low modulus room-temperature-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
JPH0645755B2 (ja) 室温でエラストマーに架橋する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材料を含有する塗料相溶性封止剤
GB2056473A (en) Silicone Emuls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JP6911148B2 (ja) オルガニルオキシ基を含んでな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に基づく架橋性集団
JPH0848967A (ja) シリコーンシーラント組成物を熱い多孔性表面上で硬化するとき発泡を減らす方法
JP7640754B2 (ja) シリコーン組成物及びその調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08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082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