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7454B1 - 자체강착밴드를 가지는 잠수함용 병기받침대 - Google Patents

자체강착밴드를 가지는 잠수함용 병기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54B1
KR930007454B1 KR1019870001192A KR870001192A KR930007454B1 KR 930007454 B1 KR930007454 B1 KR 930007454B1 KR 1019870001192 A KR1019870001192 A KR 1019870001192A KR 870001192 A KR870001192 A KR 870001192A KR 930007454 B1 KR930007454 B1 KR 93000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apon
clamping
recess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169A (ko
Inventor
모리스 해리스 로버트
개리 앤더슨 닐
Original Assignee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리챠드 비. 미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리챠드 비. 미그리 filed Critical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3/00Arrangements of ammunition stores or handl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Handcar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s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Fishing Ro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Cook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체강착밴드를 가지는 잠수함용 병기받침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병기 클램핑 위치에서 도시된 받침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 방향에서 본 받침대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방향에서 본 제2도의 측면도.
제4도는 병기고정위치에서 병기고정밴드를 가지는 금속 및 합성부분을 도시하는 제3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단면.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지만 전부 도시된 밴드와 병기로부터 풀리고 받침대에서 강착된 작동해제 위치속으로 회전된 밴드.
제6도는 2개의 작동위치에 있어서 밴드 클램핑 기구중의 하나를 도시하는 확대 작동도.
제7도는 5개의 받침대내에서 죄어진 병기의 개략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받침대 22 : 본체
26 : 철제 프레임 28 : 트랙
30 : 밴드 32,41 : 궁형 슬롯
34 : 안내핀 38 : 리세스
40 : 궁형링크 46 : 후크
48 : 밴드 걸쇠 조립체 60 : 편심캠
62,72 : 축 66 : 즘금 슬롯
68 : 캠후크 70 : 걸쇠 아암 조립체
74 : 해제 레버(핸들) 75 : 인접대
76 : 걸쇠 잠금기구 98 : 잠금핀
104 : 환형 안내부재 109 : 라이너 안내부재
본 발명은 잠수함 병기 취급시스템, 특히 잠수함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다수의 경량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받침대는 그로부터 병기를 고정하기 위한 자동보관 고정밴드를 가지고 있다.
어뢰, 지뢰 및 미사일 등과 같은 병기를 취급하기 위해 잠수함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병기받침대는 잠수함에 병기를 고정하며 선택된 발사관속으로 이송용 트랙을 따라 병기를 운반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병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5개의 받침대가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받침대는 병기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받침대를 배치하도록 트랙을 따라 받침대를 이동하며 보관되거나 선택된 발사관속으로 장착될 위치로 병기를 이동하는 4 내지 6명에 의해 보조되는 잠수함에서 종래의 동력보조수단에 의해 이동된다. 그러나 각각의 종래기술의 병기받침대는 2부품 구조이며, 약 6.75㎏(140Ib)의 총중량을 가지는 받침대 본체와 매는 띠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의 병기받침대의 2부품은 수동으로 취급되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별개의 부품으로 보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병기받침대는 철제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된 경량의 합성재료의 본체를 포함한다. 합성재료는 거의 반원통형 또는 궁형 고정밴드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되는 거의 반원통형 또는 궁형 변기 지지면을 가진다. 병기의 원통형 부분은 반원통형 본체와 반원통형 밴드에 의해 둘러싸이며 그래서 받침대에 병기를 고정하도록 병기 주위에서 죄어진다. 병기를 해제하도록 요구되면 각 받침대의 밴드는 풀려지며 본체내에 보관용 리세스속으로 회전된다. 잠수함에 병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5개의 받침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병기받침대(20, 제1도 내지 제3도)는 잠수함 바닥(도시않음)에 고정된 트랙(28)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철제 프레임(26)에 고정되는 경량 합성재료(25)로부터 형성되는 일반적으로 오목형 또는 궁형 병기 지지면(24)을 가지는 본체(22)를 포함한다. 합성재료로 형성된 거의 반원통형 또는 궁형밴드(30)는 합성 본체(22)에 고정된 다수의 안내핀(34)의 자유단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한쌍의 궁형 슬롯(32, 제1도에서만 도시)이 제공되어 있다. 밴드(30)는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되는 병기 클램핑 위치와 제5도에서 도시되는 리세스(38)내의 강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궁형 슬롯(41)을 가지는 한쌍의 궁형 링크(40)(제1도 내지 제13도)는 합성재료로 형성되며 피봇핀(42)에 의해 밴드(30)의 각 단부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각 링크(40)의 자유단부는 밴드가 병기(W ,제7도)를 받침대(20)의 본체에 고정할때 밴드걸쇠조립체(48)의 조합 후크(46)를 수용하기 위해 그곳에 고정된 클램핑 핀(44)을 가진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각 밴드걸쇠조립체(48)는 링크(54)의 상부벽에 있는 구멍을 통해 연장하며 너트(56)에 의해 조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나사난 생크(52)를 가지는 후크(46)를 포함한다. 링크는 축(62)에 고정된 편심캠(60)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허브(58)를 포함한다. 축은 본체(22)의 철제 프레임(26)에서 저어널되어 있다.
각각의 편심캠(60)은 후크(46)가 조합핀(44)가 클램핑 결합할때 및 편심아암(60)이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그의 최하위치에서 밴드걸쇠조립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위치될때 걸쇠아암조립체(70)의 한쌍의 캠후크(68)에 의해 맞물려지는 한쌍의 잠금슬롯(66)을 가진다. 각각의 걸쇠아암조립체(70)는 철제 프레임(26)에서 저어널되는 축(72)에 핀고정되며 축의 외부 단부에 고정된 해제레버(74)를 가진다. 밴드걸쇠조립체(48)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쇠위치에 있으면 각각의 편심아암(60)은, 그의 최하위치에서 걸쇠되며 허브(58)는 철제 프레임(26)의 인접대(75)와 접촉하여서 양방향으로의 캠의 회전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받침대(20)가 예정된 병기수용 또는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는다면 후크(68)가 우발적으로 해제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걸쇠잠금기구(76, 제4도 및 제5도)가 제공되어 있다.
걸쇠잠금기구(76)는 한쌍의 로드를 포함하며 각 로드는 그의 외부단부에서 스프링(84)으로 조합걸쇠아암조립체(70)상에 있는 히일(82)에 대항하여 밀려지는 슈우(80)를 가진다. 각 스프링 조합로드(78)에 핀고정 된 칼라(86)와 합성본체(22)의 플랜지(88)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78)의 내부단부는 링크(90,62)에 피봇연결되어 있고 두 링크는 잠금핀(98)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잠금핀(98)은 철제 프레인(26)의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된 환형 안내부재(104)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잠수함 바닥(도시않음)에 고정된 보통 트랙(28)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핀(107)은 잠금핀(98)내에 있는 슬롯(110)을 통해 연장하며 잠금핀(98)의 수직 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하여 환형 안내부재(104)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26)에 의해 고정된 환형 안내부재(104)와 한쌍의 라이너 안내부재(109)는 받침대가 트랙(28)을 따라 이동하면 받침대(20)를 안내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84)은 트랙(28) 바닥상에서 잠금핀 바닥을 통상적으로 지탱한다. 그러므로 트랙바닥은 잠금핀(98)이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서 조합캠(60)의 잠금슬롯(60)에서 후크(68)를 유지한다. 그러나 받침대(20)가 트랙(28)을 따라 병기적재, 하역 또는 보관위치로 이동되면 잠금핀(98)은 트랙(28)의 바닥 또는 마루에 있는 구멍(108)상에 위치된다. 그때 핸들(74)은 제1도에서 도시된 잠금위치로부터 제5도에서 점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편심캠(60)에 있는 슬롯(66)으로부터 후크(68)를 해제하는 위치까지 유압실린더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상향으로 움직인다. 그때 편심아암(60)은 조작자가 핀(44)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향으로 축(62, 제5도)을 회전시키는 것에 반응하여 인접대(75)로부터 떨어져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 다음에 밴드(30)와 하나의 궁형 링크(4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의 강착위치인 리세스(38)속으로 수동으로 회전시킨다.
스프링 부하밴드 제동핀(110, 제1도 및 제2도)은 본체(22)의 합성재료(25)에 고정되어있으며 밴드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2)내에 집어 넣어질때 중앙위치에서 밴드를 잠그기 위하여 밴드내에 있는 구멍(114, 제5도)속으로 밀어넣어지는 스프링핀(112)을 포함한다,
작동중, 본 발명의 병기받침대(20)는 그의 밴드(30)가 조합오목본체(22)의 합성재료에 있는 리세스(38)내에 집어넣어지면 병기를 수용하도록 위치된다.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5개의 받침대가 병기(W)를 지지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병기는 호이스트등(도시않음)의 도움으로 본체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한명 또는 그 이상의 조작자가 스프링 부하 밴드 제동핀(110, 제2도)를 해제하여 각 받침대(20)에서 리세스(38) 밖으로 밴드를 회전시키며 도시된 잠금위치(제1도)의 범위 밖으로 핸들(74)을 회전시켜서 이미 풀려지지 않았다면 후크(68)를 편심캠(60)에 있는 잠금슬롯(66)으로부터 해제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후크를 들어올림으로써 조합핀(44)속으로 후크(46)를 연결하여서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편심캠을 180°회전시키며 그리고 그 다음에 핀(44)을 덮어 내향으로 후크(46)를 피봇한다. 후크 스핀들상에 있는 너트(56, 제3도)가 이미 병기(W)를 조기 위한 적당한 위치속으로 조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조작자는 단순히 걸쇠 아암 잠금후크(68)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슬롯(66)과 맞물릴 때까지 캠(60)을 회전시키기 위해 축(62, 제6도)을 회전시키기만 하면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조작자들은 축(62) 한쪽 단부에서 소켓(67, 제1도)에 맞물리는 렌치(도시않음)을 가지고 있다. 후크(68)가 해제되면 캠(60)은 자동적으로 그의 해제위치로 회전한다.
그래서 받침대와 장착병기(W)는 동력보조기구(도시않음)의 도움으로 보관소 속으로 이동되거나 어뢰관등(도시않음)과 같은 발사관속에 병기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병기가 장착된 위치에 있으면 받침대 잠금핀(98)은 핀(98)의 하단부가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트랙(28) 바닥상에서 미소간격 이격위치되어 밴드(30)가 우발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프링(84)에 의해 그의 상부 밴드 잠금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제4도). 병기(W)가 그의 지지받침대로부터 격리될때 받침대는 잠금핀(98)이 트랙(28)에 있는 구멍(108, 제2도 내지 제4도)과 일렬로 정렬되는 예정된 위치에서 위치되어야 하며 그래서 핀(98)이 핸들(74)을 상향으로 피봇하는 것에 반응하여 구멍(108)속으로 하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그때 후크(46)는 클램핑 핀(44)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수동으로 이동되어서 그 때문에 궁형 링크(40)와 밴드 걸쇠 조립체(48)가 제5도에서 도시된 위치라고 가정할때에 밴드(30)가 본체(22)의 합성재료에 있는 리세스(38) 속으로 회전되고 그 속에 보관되게 한다. 그리고 병기(W)는 보통수단(도시않음)에 의해 받침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병기 받침대는 보관할때 그리고 또한 잠수함내에 있는 종래의 장비에 의해 발사관등 속으로 옮기기 위하여 예정된 위치로 이동될때 그안에 병기를 고정하기 위해 잠수함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받침대의 본체와 밴드는 중량의 합성재료를 사용하므로 각 받침대의 중량은 종래기술의 받침대의 중량의 약 53% 정도 뿐이다. 또한 각 받침대의 밴드는 사용하지 않을때는 받침대의 본체에 보관되므로 종래기술의 받침대와 비교되는 본 발명의 받침대를 사용하면 약 25% 정도의 공간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계획된 가장 좋은 방식이 이안에서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수정과 변형예가 본 발명의 주제로 간주되는 것을 벗어나지 않고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Claims (30)

  1. 제1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오목 병기 결합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리세스내의 강착 위치와 서로 직면하고 있는 제1 및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병기 클램핑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충분한 두께의 단단한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강착 위치에 있을 때 본체 수단과 밴드수단 사이에서 본체에 있는 리세스내에 상기 밴드를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본체에 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오목면은 경량의 합성물의 예비 형성된 단단한 원통형 시그먼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3. 제1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오목 병기 결합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리세스내의 강착 위치와 서로 직면하고 있는 제1 및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병기 클램핑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강착 위치에 있을때 본체 수단과 상기 밴드 수단사이에서 본체에 있는 리세스내에 상기 밴드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본체에 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병기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궁형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측벽에서 궁형 홈수단과 상기 본체 수단에 고정되어서 상기 궁형 홈에 끼워져 협력하는 수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은 받침대의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합성물로 형성되고, 제1오목 병기 결합면의 외면으로 단단한 밴드부를 둘러싸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수단은 합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수단은 합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7. 제1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오목 병기 결합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리세스내의 강착위치와 서로 직면하고 있는 제1 및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병기 클램핑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강착 위치에 있을 때 본체 수단과 밴드 수단사이에서 본체에 있는 리세스내에 밴드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본체에 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병기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해 본체에 저어널되며, 그안에 캠 잠금 슬롯을 가지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에 저어널된 종동부와, 상기 캠 종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편심캠이 병기 클램핑 위치로 상기 후크 수단을 피봇할 때 병기 클램핑력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밴드의 일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밴드 후크 수단과, 상기 본체에 피봇 연결되며 수동으로 해제될 때까지 잠겨진 밴드 후크 수단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캠 잠금 슬롯속으로 통상적으로 밀어넣어지는 캠 후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바닥을 가지며 구안에 예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된 구멍을 가지며 통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병기 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트랙 수단과, 본체 수단으로부터 트랙속으로 하향으로 돌출하는 안내 수단과, 히일을 포함하는 캠 후크 수단과, 본체 수단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와, 잠금 슬롯속으로 캠 후크 수단을 밀어넣기 위해 히일과의 결합속으로 로드를 통상적으로 밀어넣는 탄성 수단과, 로드에 연결되며 안내 수단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고 탄성 수단에 의해 트랙 수단의 바닥 위에서 통상적으로 지지되는 잠금핀을 포함하며, 트랙 수단의 바닥은 받침대는 잠금핀이 트랙에 있는 구멍상에 있는 위치속으로 이동될 때까지 병기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캠 잠금 슬롯에 있는 캠 후크 수단을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후크 수단은 본체 수단에 저어널된 캠 후크 샤프트에 고정되며, 해제 레버는 샤프트에 고정되며 병기 받침대가 트랙을 따라서 이동될 때만 캠 잠금 슬롯으로부터 잠금핀이 트랙 수단에 있는 구멍중의 하나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위치까지 상기 캠 후크 수단을 해제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밴드 수단의 일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클램핑 수단은 상기 밴드 수단의 다른 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1. 제1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오목 병기 결합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리세스내의 강착 위치와 서로 직면하고 있는 제1 및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병기 클램핑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강착 위치에 있을 때 본체 수단과 밴드 수단 사이에서 본체에 있는 리세스내에 상기 밴드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본체에 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 수단은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양단부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궁형 링크와, 각 링크 수단에 고정된 핀과 결합되는 후크와, 병기가 본체 수단에 들어가거나 또는 격리되도록 하기 위한 본체 수단의 외향으로 피봇된 궁형 링크 수단의 부분과 리세스내 중앙 위치속으로 밴드 수단을 잠그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2. 철제 프레임과 연속적인 제1궁형 병기 결합면을 포함하는 합성 본체로부터 형성된 경량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궁형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2궁형 병기 결합면과 측벽을 가지는 경량의 합성물로 형성되며 제2결합면이 소정의 궁형으로 보유되는 동안 병기 클램핑 위치와 리세스에 있는 강착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본체 수단으로부터 병기를 수용하거나 하역하기 위하여 리세스내에 밴드 수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해 밴드와 합성 본체상에 있는 보조 밴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밴드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병기 받침대에 합성물의 사용은 병기 받침대의 중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수단에 있는 리세스에 저장된 밴드 수단을 가지는 받침대는 저장될때 공백 받침대에 의해 점유되는 저장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5. 철제 프레임과 연속적인 제1궁형 병기 결합면을 포함하는 합성 본체로부터 형성된 경량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궁형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2궁형 병기 결합면과 측벽을 가지는 경량의 합성물로 형성되며 병기 클램핑 위치와 리세스에 있는 강착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본체 수단으로부터 병기를 수용하거나 하역하기 위하여 리세스내에 밴드 수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해 밴드와 합성 본체상에 있는 보조 밴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밴드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안내 수단은 밴드 수단의 인접벽에 형성된 홈의 형태이며 다수의 핀이 상기 합성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밴드 수단에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홈에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6. 철제 프레임과 연속적인 제1궁형 병기 결합면을 포함하는 합성 본체로부터 형성된 경량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궁형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2궁형 병기 결합면과 측벽을 가지는 경량의 합성물로 형성되며 병기 클램핑 위치와 리세스에 있는 강착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본체 수단으로부터 병기를 수용하거나 하역하기 위하여 리세스내에 밴드 수단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해 밴드와 합성 본체상에 있는 보조 밴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밴드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잠금 슬롯을 갖고 축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본체 수단에 저어널된 적어도 하나의 편심캠과, 편심캠이 저어널된 캠 종동부와, 편심캠이 후크를 병기 클램핑 위치로 피봇시키면 축을 따라 병기 클램핑력을 적용하기 위해 밴드 수단의 일단부와 캠종동부 사이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후크와, 상기 캠 종동부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종동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본체 수단상에 있는 인접대 수단과, 본체에 피봇 연결되며 잠금 슬롯속으로 통상적으로 밀어넣어지는 캠 후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병기 클램핑력을 잠금 슬롯을 상기 캠 후크 수단에 대항하여 통상적으로 가압하고 캠 종동부 인접대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7. 제16항에 있어서, 바닥을 가지며 그안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고 통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병기 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트랙 수단과, 본체 수단으로부터 트랙속으로 하향으로 돌출하는 안내 수단과, 캠 후크 수단상에 있는 히일을 포함하는 래치 후크 잠금 수단과, 본체 수단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와, 안내 수단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잠금핀과, 로드를 잠금핀에 피봇연결하는 링크 수단과, 로드를 상기 히일과 인접 결합속으로 통상적으로 밀어넣고 잠금핀을 트랙수단의 상기 바닥상에서 유지시키는 탄성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며, 트랙 수단의 바닥은 잠금핀이 적어도 하나의 구멍과 일직선인 위치로 상기 받침대가 이동될 때까지 병기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 슬롯에서 캠 후크 수단을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8. 제17항에 있어서, 본체 수단에 저어널된 캠 후크 샤프트와, 병기 받침대가 트랙 수단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상기 잠금핀이 정렬하는 위치까지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된 후에만 캠 잠금 슬롯으로부터 상기 캠 후크를 해제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되고 샤프트에 고정된 해제 레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19.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은 밴드 수단의 일반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클램핑 수단은 밴드 수단의 다른 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0. 제15항에 있어서, 밴드 수단의 대향 단부에 피봇 고정된 한쌍의 궁형 링크를 부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링크 수단은 그로부터 밴드 수단에 홈을 연속 형성하는 인접벽에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며 제2홈의 하나는 밴드 수단이 리세스내의 장착 위치로 이동될 때 핀에 의하여 수용하고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1. 제20항에 있어서, 밴드가 강착 위치에 있을 때 리세스내의 중심 위치에서 밴드 수단을 잠금기 위한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수단은 병기가 병기 받침대에 들어가거나 격리되는 강착 위치에 있을때 경량 본체 수단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외향으로 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3. 제22항에 있어서, 다수의 병기 받침대는 병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차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4. 제1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수단과, 제1오목 병기 결합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수단과, 리세스내의 강착 위치와 서로 직면하고 있는 제1 및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가지는 병기 클램핑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2오목 병기 결합면을 함께 형성하는 한쌍의 궁형 링크와 중심부에 의해 형성된 궁형 밴드를 형성하는 수단과, 강착 위치에 있을때 본체 수단과 밴드 수단사이에서 본체에 있는 리세스내에 밴드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본체에 밴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 수단, 궁형 링크 및 본체 수단의 병기 결합면의 중심부는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원통형 형상 클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5. 원통면을 가지는 병기를, 병기 수용, 병기 하역 및 병기 강착 위치사이에서 트랙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잠수함에 있는 병기 받침대에 클램핑하기 위한 병기 받침대에 있어서, 잠수함에 고정된 트랙 수단과, 받침대를 트랙에 이동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과, 병기 원통면의 일부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병기 지지면을 가지는 경량 합성 본체를 포함하고 그안에 리세스를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받침대에 있는 수단과, 본체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며, 병기를 본체에 클램핑하기 위해 본체에 대향 외면으로의 병기 클램핑 위치와 리세스내의 강착 위치사이에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지지된 때 병기로부터 이격되고, 강착 위치에 있을 때의 반경과 동일한 고정된 반경의 궁형 병기 결합면을 갖는 밴드 수단과, 밴드 수단의 단부에 피봇 고정되며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리세스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궁형 링크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잠수함에 병기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밴드 수단을 본체수단에 해제가능하게 클램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상기 궁형 링크, 상기 본체의 주요부분은 잠수함에 의해 운반되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량의 합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7. 제26항에 있어서, 각 병기에 대해 4개의 병기 받침대가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8. 제25항에 있어서, 밴드 수단이 강착 위치에 있을 때 리세스에 있는 중앙 위치에서 밴드 수단을 잠그기 위한 밴드 잠금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29. 제28항에 있어서, 궁형 링크 수단은 밴드가 중앙 위치에서 잠겨질 때, 본체의 외향으로 피봇되서 병기가 본체 부분의 속으로 내려지고 본체 부분의 밖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30. 원통면을 가지는 병기를, 병기 수용, 병기 하역 및 병기 강착 위치 사이에서 트랙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잠수함에 있는 병기 받침대에 클램핑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받침대를 잠수함에 고정된 트랙 수단과, 트랙에 이동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과, 병기 원통면의 일부분을 결합시키기 위한 병기 지지면을 가지는 경량 합성 본체를 포함하고 그안에 리세스를 가지는 본체를 형성하는 받침대에 있는 수단과, 본체에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며 병기를 본체에 클램핑하기 위해 본체에 대향 외면으로의 병기 클램핑 위치와 리세스내의 강착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지지된 때 병기로부터 이격되는 밴드 수단과, 밴드 수단의 단부에 피봇 고정되며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리세스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궁형 링크 수단과, 밴드가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잠수함에 병기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밴드 수단을 상기 본체수단에 해제 가능하게 클램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잠금 슬롯을 가지는 편심아암, 상기 클램프 수단이 병기 클램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슬롯과 결합가능한 캠 잠금 후크 및, 상기 클램핑 수단을 잠그고 해제하기 위한 조작자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기 받침대.
KR1019870001192A 1986-02-14 1987-02-13 자체강착밴드를 가지는 잠수함용 병기받침대 KR930007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9262 1986-02-14
US829,262 1986-02-14
US06/829,262 US4685412A (en) 1986-02-14 1986-02-14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69A KR870008169A (ko) 1987-09-24
KR930007454B1 true KR930007454B1 (ko) 1993-08-11

Family

ID=2525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192A KR930007454B1 (ko) 1986-02-14 1987-02-13 자체강착밴드를 가지는 잠수함용 병기받침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85412A (ko)
EP (1) EP0234322B1 (ko)
JP (1) JPS63183400A (ko)
KR (1) KR930007454B1 (ko)
AT (1) ATE61550T1 (ko)
AU (1) AU6874987A (ko)
BR (1) BR8700695A (ko)
CA (1) CA1285825C (ko)
DE (1) DE3768525D1 (ko)
IL (1) IL81113A0 (ko)
NO (1) NO870570L (ko)
TR (1) TR227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06B1 (ko) * 2013-09-25 2014-02-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20160107814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고정 장치
KR20200044512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5688A (en) * 1990-06-20 1991-11-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weapon handling support system
US5445104A (en) * 1994-06-30 1995-08-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cylindrical objects
DE19726242C2 (de) * 1997-06-20 2000-07-13 Stn Atlas Elektronik Gmbh Munitioniereinrichtung
US5885040A (en) * 1997-06-27 1999-03-2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Tie-down with strap and strap tension indicator
KR100515027B1 (ko) * 2002-01-14 2005-09-15 국방과학연구소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US7036833B1 (en) 2004-03-23 2006-05-02 Berna Greg E Adjustable lightweight platform dolly
US7270069B1 (en) * 2005-07-11 2007-09-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orpedo mounted dispenser
DE102009020323B4 (de) * 2009-05-07 2011-01-13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Waffenmulde für ein Unterseeboot
DE102009025349B4 (de) * 2009-06-18 2016-10-20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DE102010048176B3 (de) * 2010-10-13 2012-01-05 Thread Guard Technology Ltd. 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r Mehrzahl von Rohren relativ zueinander bei deren Lagerung und Transport
FR3024973B1 (fr) * 2014-08-19 2016-09-30 Dcns Dispositif d'accueil d'un engin sous-marin et vehicule naval associe
US11530560B1 (en) * 2015-04-28 2022-12-20 Wayne W. Ramsdell Hinge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533773B1 (ko) * 2018-08-20 2023-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9843C (ko) *
US2914831A (en) * 1955-02-23 1959-12-01 Mcbrien Roger William Readily adjustable flexible holder
US4184801A (en) * 1978-06-16 1980-01-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ual loading and stowag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06B1 (ko) * 2013-09-25 2014-02-0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KR20160107814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고정 장치
KR20200044512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점검용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68525D1 (de) 1991-04-18
BR8700695A (pt) 1987-12-15
IL81113A0 (en) 1987-03-31
AU6874987A (en) 1987-08-20
EP0234322B1 (en) 1991-03-13
TR22791A (tr) 1988-07-19
NO870570D0 (no) 1987-02-13
NO870570L (no) 1987-08-17
ATE61550T1 (de) 1991-03-15
KR870008169A (ko) 1987-09-24
US4685412A (en) 1987-08-11
CA1285825C (en) 1991-07-09
JPS63183400A (ja) 1988-07-28
EP0234322A1 (en) 1987-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454B1 (ko) 자체강착밴드를 가지는 잠수함용 병기받침대
US5932829A (en) Suspension and release rack apparatus capable of carrying both bombs and missiles
US2841300A (en) Method of and means for handling coils of wire
KR920006524B1 (ko) 잠수함 병기 취급 시스템
US3249011A (en) Missile tray with clamp
CA1260301A (en) Rotary storage magazine
FR2538528A1 (fr) Conteneur pour la reception et l'amenee de projectiles dans la tourelle d'un char d'assaut
US3974737A (en) Semi-automatic weapon-loading system
US4257567A (en) Retractable gripping-arm device for transporting and jettisoning ringless loads carried under aircraft
US2981152A (en) Missile handling and launching device
US4655668A (en) Projectile storage rack with gang lock mechanism
US3173334A (en) Missile launching system
US3165205A (en) Apparatus for modular missile stowage
US4606517A (en) Store adapter
US2998753A (en) Hoist device for trainable missile launchers
US5915290A (en) Integral weapons loading hoist and bomb rack interface unit
US5445104A (en)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cylindrical objects
US2906176A (en) Quick detachable gun supporting tripod
US2720818A (en) Multiple rocket launcher
US2779245A (en) Projectile parbuckling mechanism
US5679917A (en) Breech plug support mechanism
FR2519422A1 (fr) Dispositif de chargement avec positionnement precis, notamment pour les moyens balistiques d'un engin de tir
US3193317A (en) Installation aligning bridge
AU2020259650B2 (en) Barrelled Weapon
US2948562A (en) Weapon component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7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2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