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5027B1 -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027B1
KR100515027B1 KR10-2002-0002051A KR20020002051A KR100515027B1 KR 100515027 B1 KR100515027 B1 KR 100515027B1 KR 20020002051 A KR20020002051 A KR 20020002051A KR 100515027 B1 KR100515027 B1 KR 100515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pedo
band
cable
time delay
de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522A (ko
Inventor
김인학
독고욱
전완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2-000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0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9/00Marine torpedoes, e.g. launched by surface vessels or submarines; Sea mines having self-propulsion means
    • F42B19/46Marine torpedoes, e.g. launched by surface vessels or submarines; Sea mines having self-propulsion means adapted to be launched from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계기와 어뢰가 탑재된 밴드 어셈블리가 분리될 때 작동 케이블이 투하되는 어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어뢰의 초기 투하자세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밴드 어셈블리와 어뢰가 분리될 때 밴드 어셈블리가 어뢰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탈되기 때문에 어뢰에서 전개되는 낙하산과 밴드 어셈블리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어뢰에 감싸지는 한 쌍의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초계기에 고정되는 파이론에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밴드의 타측에 탑재되고 어뢰에 감싸진 밴드를 잠금 및 잠금해제 작용을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부의 록킹이 해제될 때 록킹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에 끼워지는 장전핀이 연결되어 상기 어뢰가 초계기로부터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에서 장전핀을 이탈시켜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BAND ASSEMBLY FOR MOUNTING TORPEDO}
본 발명은 초계기에 사용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 어셈블리의 개방 및 어뢰의 낙하산 전개시 상호 간섭을 배제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는 초계기에 어뢰를 탑재하여 투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반원 형태의 두 개가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어뢰에 감싸지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회전되는 부위에 탑재되고 초계기의 파이론(pylon)에 연결되는 탑재부와, 상기 밴드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의 잠금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밴드가 벌어질 때 어뢰를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와 파이론 사이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밴드 어셈블리가 파이론에서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는 발사 신호에 의해 탑재부가 초계기와 분리되고, 이때 상기 시간 지연장치가 작동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개폐부가 개방되어 어뢰와 밴드 어셈블리가 분리된다. 그리고, 어뢰는 투하에 따른 충격을 저감하기 위해 낙하산이 전개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뢰용 밴드 어셈블리는 초계기에 탑재된 파이론에서 밴드 어셈블리가 분리될 때 작동 케이블이 어뢰의 하중에 의해 당겨지면서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고 끊어지는 데, 이때 작동 케이블이 투하되는 어뢰에 작용하게 되어 어뢰의 초기 투하자세가 불안정하게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뢰용 밴드 어셈블리는 초계기의 파이론으로부터 밴드 어셈블리가 분리된 후 밴드 어셈블리와 어뢰가 분리될 때 분리된 밴드 어셈블리가 비행 중인 초계기에 충돌하는 위험성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뢰용 밴드 어셈블리는 밴드 어셈블리가 벌어질 때 어뢰를 밀어주는 탄성력이 적절하기 못하기 때문에 낙하산과 밴드 어셈블리 사이에 간섭이 발생될 위험이 있어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계기와 어뢰가 탑재된 밴드 어셈블리가 분리될 때 작동 케이블이 투하되는 어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어뢰의 초기 투하자세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밴드 어셈블리와 어뢰가 분리될 때 밴드 어셈블리가 어뢰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탈되기 때문에 어뢰에서 전개되는 낙하산과 밴드 어셈블리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다른 목적은 밴드 어셈블리가 어뢰에서 분리될 때 비행 중인 초계기와 일정 거리를 두고 분리되기 때문에 어뢰에서 분리된 밴드 어셈블리와 초계기 사이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는 어뢰에 감싸지는 한 쌍의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초계기에 고정되는 파이론에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밴드의 타측에 탑재되고 어뢰에 감싸진 밴드를 잠금 및 잠금해제 작용을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부의 록킹이 해제될 때 록킹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에 끼워지는 장전핀이 연결되어 상기 어뢰가 초계기로부터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에서 장전핀을 이탈시켜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는 어뢰(2)에 감싸지도록 한 쌍을 이루는 밴드(4)와, 상기 밴드(4)의 일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초계기에 탑재되는 탑재부(6)와, 상기 밴드(4)의 타측에 각각 탑재되고 어뢰에 감싸진 밴드(4)를 록킹시키는 개폐부(8)와, 상기 개폐부(8)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부(8)의 록킹이 해제될 때 록킹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10)와, 상기 초계기의 일측과 시간 지연장치(10) 사이에 연결되어 어뢰(2)가 초계기로부터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10)를 작동시키는 케이블(12)과, 상기 밴드(4)의 일측에 연결되어 밴드(4)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4)는 상기 어뢰(2)의 둘레에 감싸져 어뢰(2)가 초계기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두 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12)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16)는 케이블(12)의 직선 이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밴드(4)의 외측면에서 일정 각도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12)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 부재(16)는 밴드(4)에 양측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고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12)이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재부(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양측에 힌지핀(18)이 끼워지는 탑재 프레임(20)과, 상기 탑재 프레임(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초계기에 탑재되는 파이론(pylon)(22)의 래크(rack)(24)에 록킹되는 걸림고리(26)와, 상기 힌지핀(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12)의 추출방향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부재(2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파이론(22)에는 어뢰(2)의 탑재위치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 부재(28)는 케이블(12)의 이동 방향이 직각방향으로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그 양단이 상기 힌지핀(18)에 끼워지고 다수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2)이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폐부의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감금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개폐부(8)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4) 중 어느 하나의 밴드(4) 끝부분에 연결되는 제1플레이트(32)와, 상기 밴드(4) 중 다른 하나의 밴드(4)의 끝부분에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34)와, 상기 제1플레이트(32)에 나선 결합되는 록킹고리(36)와, 상기 제2플레이트(34)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록킹고리(36)가 걸림 작용되는 제1레버(38)와, 상기 제2플레이트(34)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제1레버(38)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10)에 의해 회전운동이 제한되는 제2레버(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32)는 일정 평판형태이고, 그 후측면에는 상기 밴드(4)의 끝부분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전방측면에는 상기 록킹고리(36)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부(42)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고리(36)는 사각홈(44)을 갖는 일정 형태이고, 그 후방에는 제1플레이트(32)의 나사홈부(42)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봉(46)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봉(46)은 상기 나사홈부(42)에 끼워진 후 조임너트(48)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34)는 일정 평판형태로 형성되고, 그 후방 측면에는 밴드(4)의 끝부분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레버(38) 및 제2레버(40)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브레킷(50)이 돌출된다.
상기 제1레버(38)는 그 일측이 힌지 브래킷(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고리(36)의 사각홈(44)에 걸림되는 걸림돌기(52)가 돌출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레버(40)가 걸림되는 걸림로드(54)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제2레버(40)는 상기 힌지 브래킷(50)의 일측에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레버(38)의 걸림로드(54)가 걸림 작용되는 걸림홈(56)이 형성되며, 그 전방측에는 상기 시간 지연장치의 작동을 받는 걸림턱(58)이 돌출된다.
상기 시간 지연장치(10)는 상기 제2플레이트(34)의 일측에 탑재되어 타이머 작용을 하는 기어박스(60)와, 상기 기어박스(60)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레버(40)의 걸림턱(58)에 걸림 작용되어 제2레버(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작동로드(64)와, 상기 작동로드(64)의 타측에 연결되어 작동로드(64)가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케이스(90) 내에 일정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로드(64)에는 작동로드(64)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케이블(12)의 장전핀(66)이 끼워지는 끼움홀(6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시간 지연장치(10)는 케이블(12)이 당겨져 끼움홀(68)에서 장전핀(66)이 이탈되면 작동로드(64)는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 이동되고, 이때 기어박스(60)에 내장된 다수의 기어들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다.
상기 케이블(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론(22)의 지지대(30)에 걸림되도록 연결고리(70)가 연결되는 제1케이블(72)과, 상기 작동로드의 끼움홀(68)에 끼워지는 장전핀(66)이 연결되는 제2케이블(74)과, 상기 제1케이블(72)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하중이 작용하면 끊어지는 전단부(76)와, 상기 제1케이블(72)과 제2케이블(74)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단부(76)는 제1케이블(72) 및 제2케이블(74)의 어떤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케이블이 끊어진 후 지지대(30)에 남는 부분이 짧아질 수 있도록 제1케이블(72)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단부(76)는 케이블에 약 250Kg의 하중이 걸리면 끊어지는 구조로서, 그 구조는 하중이 걸리면 끊어지는 어떠한 구조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케이블의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설치 후 케이블의 길이를 줄여 고속 와류에 케이블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케이블(72)의 끝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블(74)이 통과하는 제1조절부재(78)와, 상기 제2케이블(74)의 끝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블(72)이 통과하는 제2조절부재(80)로 구성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은 제1케이블(72)과 제2케이블(74)이 제1조절부재(78) 및 제2조절부재(80)에 의해 교차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조절부재(78)와 제2조절부재(80)를 서로 멀어지게 당기고, 케이블의 길이를 길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조절부재(78)와 제2조절부재(80)를 서로 가깝게 배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12)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16) 및 제2가이드부재(28)를 통과하도록 배치하여 고속 와류에 의해 케이블(12)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과 아울러 케이블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여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에 당기는 방향으로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82)와, 상기 탄성밴드(82)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32)에 연결되는 제 1연결고리(84)와, 상기 탄성밴드(8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34)에 연결되는 제 2연결고리(86)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32)와 제2플레이트(3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어뢰(2)를 감싸게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8)의 록킹이 해제되어 밴드(4)가 벌어질 때 상기 어뢰(2)와 밴드 어셈블리 사이에 탄성밴드(82)에 의한 탄성력과 두 개의 연결고리(84,86)에 의하여 어뢰(2)로부터 밴드 어셈블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밴드(4)를 어뢰(2)의 둘레에 감싼 후 개폐부(8)를 록킹시킨다. 즉, 록킹고리(36)를 상기 힌지 브래킷(50) 사이로 밀어 넣은 후 제1레버(38)를 회전시켜 록킹고리(36)의 사각홈(44)에 제1레버(38)의 걸림돌기(52)가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40)를 회전시켜 제1레버(38)의 걸림로드(54)에 제2레버(40)의 걸림홈(56)을 걸림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간 지연장치(10)의 작동로드(64)가 상기 제2레버(4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2레버의 걸림턱(58)에 걸림되게 위치시킨 뒤 작동로드의 끼움홈(64)에 장전핀(66)을 끼워서 조립한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48)를 규정된 토크로 조여 밴드(4)를 어뢰(2)의 둘레면에 가압한다.
그런 후, 탄성수단(14)의 일측을 제1플레이트(32)에 연결한 다음 어뢰(2)의 외주면을 따라 감은 후 탄성수단(14)의 타측을 제2플레이트(34)에 연결한다.
이렇게 밴드 어셈블리가 탑재된 어뢰(2)를 들어올린 후 탑재부(6)의 걸림고리(26)를 파이론의 래크(24)에 끼우고 잠근다. 그리고, 지지대(30)를 하측방향으로 내려서 적당한 힘으로 눌려 어뢰(2)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케이블(12)을 제1 및 제2가이드부재(16,28)를 통과시킨 뒤 연결고리(70)는 파이론의 지지대(30)에 걸고, 길이조절수단의 제1조절부재(78)와 제2조절부재(80)의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당겨주어 케이블(12)의 길이를 줄이면 어뢰(2)의 탑재가 완료된다.
다음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어뢰의 투하되는 과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이륙 전 밴드 어셈블리에 체결된 안전핀(88)을 제거하고, 이륙 후 지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조정석에서 발사버튼을 누르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래크(24)가 탑재부(6)의 걸림고리(26)에서 이탈되면서 밴드 어셈블리가 탑재된 상태의 어뢰(2)가 투하된다. 이때 어뢰(2)가 떨어지는 하중에 의해 케이블(12)의 길이 조절수단이 최대 길이까지 길어지고, 케이블(12)이 완전히 당겨지면 장전핀(66)이 끼움홀(68)에서 빠짐과 동시에 케이블의 전단부(76)가 끊어지면서 어뢰(2)와 초계기가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30)에는 제1케이블(72)의 짧은 길이만큼만 남기 때문에 상기 어뢰(2)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장전핀(66)이 끼움홀(68)에서 이탈되면 작동로드(64)가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고, 이때 기어박스(60)에 내장된 다수의 기어들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작동로드(64)가 완전히 이동되면 상기 제2레버(40)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2레버(40)가 회전되면서 걸림홈(56)이 제1레버(38)의 걸림로드(54)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제1레버(38)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레버(38)가 회전되면서 제1레버(38)의 걸림돌기(52)가 걸림고리의 사각홈(44)에서 이탈되고,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32)가 제2플레이트(34)에서 이탈되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밴드(4)가 개방되면서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밴드 어셈블리가 어뢰(2)에서 일정 거리만큼 튀어 오르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수단은 탄성밴드(4)와 2개의 연결고리(84,86)가 결합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밴드(4)와 어뢰(2) 사이를 신속하고 보다 멀리 분리시킨다.
즉, 초계기에서 분리된 어뢰(2)의 후미에서 낙하산이 전개되어 어뢰(2)가 아래 방향으로 자세를 잡은 상태에서 밴드 어셈블리가 분리되면 탄성수단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밴드 어셈블리는 어뢰(2)로부터 약 2m 정도 튀어 나가고,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어뢰(2)와는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되므로 낙하산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는 초계기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이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낙하되는 어뢰에 케이블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뢰의 초기 투하자세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밴드 어셈블리와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을 탄성밴드와 연결고리의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어뢰에서 분리되는 밴드 어셈블리가 강한 탄성력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어뢰에서 전개되는 낙하산과 밴드 어셈블리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밴드 어셈블리가 어뢰에서 분리될 때 비행 중인 초계기와 일정 거리를 두고 분리되기 때문에 어뢰에서 분리된 밴드 어셈블리와 초계기 사이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탑재부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폐부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폐부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개폐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케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의 탄성수단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어뢰 4 : 밴드
6 : 탑재부 8 : 개폐부
10 : 시간 지연장치 12 : 케이블
14 : 탄성수단 16 : 제1가이드 부재
18 : 힌지핀 20 : 탑재 프레임
22 : 파이론 24 : 래크
26 : 걸림고리 28 : 제2가이드 부재
30 : 지지대 32 : 제1플레이트
34 : 제2플레이트 36 : 록킹고리
38 : 제1레버 40 : 제2레버
42 : 나사홈부 44 : 사각홈
46 : 나사봉 48 : 조임너트
50 : 힌지 브레킷 52 : 걸림돌기
54 : 걸림로드 56 : 걸림홈
58 : 걸림턱 60 : 기어박스
62 : 스프링 64 : 작동로드
66 : 장전핀 68 : 끼움홀
70 : 연결고리 72 : 제1케이블
74 : 제2케이블 76 : 전단부
78 : 제1조절부재 80 : 제2조절부재
82 : 탄성밴드 84 : 제1연결고리
86 : 제2연결고리 88 : 안전핀
90 ; 스프링 케이스

Claims (10)

  1. 삭제
  2. 어뢰에 감싸지는 한 쌍의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초계기에 고정되는 파이론에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밴드의 타측에 탑재되고 어뢰에 감싸진 밴드를 잠금 및 잠금해제 작용을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부의 록킹이 해제될 때 록킹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에 끼워지는 장전핀이 연결되어 상기 어뢰가 초계기로부터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에서 장전핀을 이탈시켜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어뢰의 둘레에 감싸져 어뢰가 초계기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띠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에 연결된 장전핀이 시간 지연장치에서 이탈될 때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고속 와류에 의해 케이블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밴드의 일측에 그 양단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고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4. 어뢰에 감싸지는 한 쌍의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초계기에 고정되는 파이론에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밴드의 타측에 탑재되고 어뢰에 감싸진 밴드를 잠금 및 잠금해제 작용을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부의 록킹이 해제될 때 록킹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에 끼워지는 장전핀이 연결되어 상기 어뢰가 초계기로부터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에서 장전핀을 이탈시켜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밴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양측에 힌지핀이 끼워지는 탑재용 플레이트와, 상기 탑재용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초계기에 탑재되는 파이론(pylon)의 래크(rack)에 록킹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에 걸림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고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탑재부와 밴드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다수번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6. 삭제
  7. 어뢰에 감싸지는 한 쌍의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초계기에 고정되는 파이론에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밴드의 타측에 탑재되고 어뢰에 감싸진 밴드를 잠금 및 잠금해제 작용을 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부의 록킹이 해제될 때 록킹 해제작용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장치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에서 어뢰가 분리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시간 지연장치에 끼워지는 장전핀이 연결되어 상기 어뢰가 초계기로부터 분리될 때 시간 지연장치에서 장전핀을 이탈시켜 시간 지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파이론의 지지대에 걸림되도록 연결고리가 연결되는 제1케이블과, 상기 시간 지연장치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로드의 끼움홀에 끼워지는 장전핀이 연결되는 제2케이블과, 상기 제1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하중이 작용하면 케이블이 끊어지는 전단부와, 상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상기 케이블이 약 250Kg의 하중이 걸리면 끊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케이블의 끝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2케이블의 끝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10. 삭제
KR10-2002-0002051A 2002-01-14 2002-01-14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KR100515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051A KR100515027B1 (ko) 2002-01-14 2002-01-14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051A KR100515027B1 (ko) 2002-01-14 2002-01-14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522A KR20030061522A (ko) 2003-07-22
KR100515027B1 true KR100515027B1 (ko) 2005-09-15

Family

ID=3221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051A KR100515027B1 (ko) 2002-01-14 2002-01-14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9133A (zh) * 2019-10-09 2019-12-17 郑州郑飞机电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鱼雷吊挂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355A (en) * 1984-06-19 1986-12-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Joint release mechanism
US4685412A (en) * 1986-02-14 1987-08-11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KR0175646B1 (ko) * 1996-10-17 1999-02-18 김기주 어뢰 장착용 서스펜션 밴드
US6076467A (en) * 1997-09-26 2000-06-20 Construcciones Aeronauticas, S.A. System for attaching and separating satellites
US6403873B1 (en) * 2000-08-22 2002-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orpedo joint band with in-water separation capability utilizing frangible link EE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355A (en) * 1984-06-19 1986-12-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Joint release mechanism
US4685412A (en) * 1986-02-14 1987-08-11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KR0175646B1 (ko) * 1996-10-17 1999-02-18 김기주 어뢰 장착용 서스펜션 밴드
US6076467A (en) * 1997-09-26 2000-06-20 Construcciones Aeronauticas, S.A. System for attaching and separating satellites
US6403873B1 (en) * 2000-08-22 2002-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orpedo joint band with in-water separation capability utilizing frangible link E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522A (ko)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9465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EP2287047B1 (de) Gassackmodul
EP4073335B1 (de) Kraftfahrzeugschloss
US8939473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housing and lock suitable therefor
KR101673685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EP3126599B1 (de)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CN105857566B (zh) 配备有安全出口的飞机驾驶舱
EP1904369B1 (en) Emergency opening device for an overhead locker with a lowerable shell
US20160230433A1 (en) Device for operating at least one aircraft door comprising a control handle
JPS5846996B2 (ja) シリンダ錠の錠止ボルトを錠止する装置
US9932758B2 (en) Watertight door or window
EP3210926B1 (en) Elevator service panel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0515027B1 (ko) 어뢰 탑재용 밴드 어셈블리
EP1577214B1 (en) Catch device of a cockpit door
KR10159533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래치 장치
DE102006023502B3 (de) Überroll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e mit mindestens einem aktiv aufstellbaren Überrollkörper
KR20200068428A (ko) 비상탈출용 차량 후드 개방 장치
US3466081A (en) Delay action device
US11542729B2 (en) Handle system with a safety device
EP3483368A1 (en) Motor vehicle lock
JP2021107676A (ja) 自動車のドアパネル用ハンドル
US12091151B2 (en) Aircraft door with retraction of the means for retaining the deployable evacuation device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423318B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