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5898B1 - 질소 강화 Fe-Ni-Cr합금 - Google Patents

질소 강화 Fe-Ni-Cr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98B1
KR930005898B1 KR1019890000985A KR890000985A KR930005898B1 KR 930005898 B1 KR930005898 B1 KR 930005898B1 KR 1019890000985 A KR1019890000985 A KR 1019890000985A KR 890000985 A KR890000985 A KR 890000985A KR 930005898 B1 KR930005898 B1 KR 93000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nitrogen
carbon
alloys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204A (ko
Inventor
에프.로쓰만 마이클
엘.클라스트롬 드와인
와이.라이 죠지
Original Assignee
헤인즈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폴 에프.트로이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인즈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폴 에프.트로이아노 filed Critical 헤인즈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질소 강화 Fe-Ni-Cr합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량의 철, 니켈 및 크롬을 함유하는 금속 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온에의 노출 환경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균형을 맞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온도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 낮은 크리이프율 및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합금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시도해왔다. 미합중국 특허 제3,627,516호에서, 벨롯과 후고는 니켈 30% 내지 35%, 크롬 23% 내지 27% 및 소량의 탄소, 망간, 규소, 인 및 황을 합금에 함유시킴으로써 기계적 강도와 내식성을 갖는 합금을 만들 수 있음을 보고했다. 이러한 형태의 합금의 기계적 성질은 텅스텐과 몰리브덴을 첨가함으로써 개선되었다. 벨롯과 후고는 니오브를 0.20중량 % 내지 3.0중량 %의 범위에서 첨가함으로써 이 합금을 더 개선하였다. 2년후, 그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3,758,294호에서 동일 형태의 합금에 니오브 1.0중량 % 내지 8.0중량 %, 텅스텐 0.3 % 내지 4.5중량 % 및 질소 0.02중량 % 내지 0.25중량 %를 포함시킴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 낮은 크리이프율 및 우수한 내식성을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들 두 특허에서, 합금의 탄소 함유량은 0.05중량 % 내지 0.85중량 %였다.
벨롯과 후고는 그들 합금의 열간 가공성 및 제작성에 관해서는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탄소 함유량이 0.20%를 초과하게 되면, 열간 가공성 및 제작성을 크게 손상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벨롯과 후고에 의해 발표된 합금들의 많은 것들은 0.20% 이상의 탄소를 함유하고 있다. 그들 두 특허의 청구범위에서는 약 0.40%의 탄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높은 탄소치 때문에, 그러한 합금들은 열간 가공, 제작 또는 보수하기가 어렵다.
미합중국 특허 제3,627,516호에서, 벨롯과 후고는 니오브를 0.20% 내지 3.0%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텅스텐 및 몰리브덴과 같은 고가 합금 원소의 사용을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나중에, 미합중국 특허 제3,758,294호에서, 그들은 높은 용접성과 용이한 내침탄성을 얻기 위해서는 텅스텐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벨롯과 후고의 특허는 내식성 합금에 높은 용접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값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텅스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고온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몰리브덴과 같은 고용강화제 뿐만 아니라 탄소과 텅스텐이, 보통 니켈 약 15 내지 45% 및 크롬 15 내지 30%를 갖는 Ni-Cr-Fe계 합금에 사용된다. 다량의 탄소 및 고용 강화제의 사용은 열 안정성에 역효과를 주고, 열 순환 저항성을 감소시키며, 일반적으로 생산비를 과도하게 증가시킨다. 본래 석출 경화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강도 개선에 제한되거나 열 안정성 또는 제작성의 문제에 결부되어 왔다.
이들 강화제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외에도, 이들 계통의 종래 기술 합금들은 탄화수소, CO, CO2및 황화합물들을 함유하는 것들과 같은 고온 환경에의 노출에 대해 보통 수준의 내식성만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정밀하게 조절된 양의 질소 첨가와 규정된 관계내에서의 질소, 콜룸븀(columbium) 및 탄소의 제공을 통하여 개선된 기계적 특성과 개선된 열간 가공성을 갖는 Fe-Ni-Cr합금에 관한 것이다. 콜룸븀은 합금의 사용중에 형성되어 강화를 증진시키는 복합 탄소질화물 입자를 생성하도록 합금의 1%까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콜룸븀은 합금에서의 질소 용해도를 증가시켜 더 높은 수지의 질소가 합금에 함유됨으로써 더 높은 강도의 합금을 갖게 한다. 알루미늄과 지르코늄과 같은 더 강력한 질화물 형성제는 합금제조중의 조악한 초기 질화물 형성 및 그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피하기 위하여 제한된다. 크롬은 적합한 내산화성 및 적합한 질소 용해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12%를 넘는 수준에서 존재한다. 합금내의 콜룸븀, 바나듐 또는 탄탈의 존재하에, 아주 소량의 티타늄은 유리한 강화 효과를 갖게 한다.(Ti의 양은 0.20%를 넘지 않음). 규소는 내산화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3.0%까지 첨가될 수 있지만, Si가 약 1%를 넘으면 강도가 현저하게 강화된다. 따라서, 두가지 등급의 합금이 가능한데, Si가 1%까지이면 우수한 강도를 갖고, Si가 1% 내지 3%이면 낮은 강도를 갖지만 더 좋은 내산화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합금은 양호하게 니켈 25% 내지 45%와 크롬 12% 내지 32%를 갖는 Fe-Ni-Cr합금이다. 특히, 그 조성은 다음 범위에 있어야 한다.
Ni-25% 내지 45%
Cr-12% 내지 32%
Cb-0.10% 내지 2.0%(최소 ; 9×탄소 함유량)
Ti-최대 0.20%까지
Si-최대 3%까지
N-0.05 내지 0.50%
C-0.02 내지 0.20%
Mn-최대 2.0%까지
Al-최대 1.0%까지
Mo/W-최대 5%까지
B-최대 0.02%까지
Zr-최대 0.2%까지
Co-최대 5%까지
Y, La, Ce, 희토류 금속-최대 0.1%까지
잔부-철 및 통상적인 불순물
이러한 합금에서 질소는 고용 강화제로서 작용하며, 또한 강화 기구로서 장기 사용시에는 질화물로 석출된다. 종래 기술은 고온에서 사용시, 장기간의 열 시효를 받을 때 안정한 오오스테나이트 매트릭스를 제공하는데 보다 소량의 니켈을 갖는 합금을 포함한다. 질소는 오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안정화하도록 작용하지만, 만일 철계 합금에 강도와 열 저항성을 제공하는 니켈이 25% 이하라면, 일단 433.3℃(1000℉)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사용하는 동안에 질화물이 형성되며, 매트릭스에는 질소가 고갈되어 합금들은 시그마상 석출로 인한 취성이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합금들은 25% 이상의 니켈을 함유하고, 양호하게는 30% 이상을 함유한다.
철 기초 합금에서 질소의 존재하의 티타늄은 바람직하지 않은 조악한 티타늄 질화물 입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질화물은 합금 제조중에 형성되어, 사용시에 고온 강도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 이러한 형태의 합금으로부터 티타늄을 배제하는 것은 상술한 방식에 의한 고용체에서 질소의 고갈은 피할 수 있지만, 최적 강화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자들은 합금내의 콜룸븀, 바나듐 또는 탄탈의 존재하에서 아주 소량의 티타늄이 0.20%를 넘지 않는 한 유리한 강화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합금에서 티타늄은 0.20%까지 제공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이 알 수 있는 것처럼, 다량의 질소가 조악한 초기 질화물, 질소가 풍부한 탄소 질화물 입자로서 고갈되는 일없이 질소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질소보다 탄소에 대해 약간 더 큰 친화력을 갖고 있는 콜룸븀, 바나듐 또는 탄탈등이 이러한 형태의 합금에 첨가될 수 있다. 콜룸븀이 2.0%를 초과하는 것은 Fe2Cb라브(laves)상 또는 Ni3Cb사방정상과 같은 해로운 상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콜룸븀 대탄소의 비율은 적어도 9대 1이지만 콜룸븀의 양은 대체로 2.0%이하이다. 콜룸븀 또는 콜룸븀과 동일한 양의 바나듐 또는 탄탈을 제공하지 않고 질소를 첨가하는 것은 콜룸븀만큼의 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콜룸븀대신에 사용하여 비슷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바나듐을 중량으로 1/2배 또는 탄탈을 중량으로 2배 사용해야 한다.
규소는 내산화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3.0%까지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Si가 약 1%를 넘으면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우수한 강도를 위해서 Si를 1%를 사용할 수 있고, 강도는 낮지만 더 좋은 내산화성을 얻기 위해서는 1% 내지 3%의 Si를 사용한다. 알루미늄과 지르코늄과 같은 강력한 질화물 형성제들은 합금 제조중, 과도하게 조악한 질화물 형성 및 그에 따른 사용시의 강도 손실을 피하기 위해 제한된다. 크롬은 적합한 내산화성과 적합한 질소 용해도를 제공하기 위해 12%를 넘는 수준에서 사용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합금에서 콜룸븀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Ni 33%, Cr 21%, Mn 0.7%, Si 0.5%, Al 0.3%, 그리고 표 1에 보인 탄소, 질소, 티타늄 및 콜룸븀을 추가하고 잔부는 철인 조성을 갖는 합금을 준비하였다. 세가지의 온도 및 응력 조건하에서 1퍼센트의 크리이프에 요구되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이들 합금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의 데이타는 Ti가 탄소의 존재하에 N과 결합하여, 어떤 Ti(C,N)가 가능한 TiN을 형성함을 알려준다. Cb는 N의 존재하에 C와 결합하여, C/Cb의 비율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 N은 강화 Cr2N과 CbN석출물을 형성하거나 고융 강화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합금 C, D, E가 보인 강도치는 거의 동일하다. 탄소를 대체하기 위해 Cb없이 2 : 1 이상으로 질소를 첨가하는 것은 합금 A 및 F와 합금 E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것처럼 거의 강도를 개선하지 못한다. 또한, Ti를 함유하는 합금에 단순히 Cb를 첨가하는 것은 합금 G를 합금 A에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것처럼 강도를 크게 개선하지는 못한다. 결론적으로, 0.40 및 0.45%의 티타늄을 갖는 합금들은 유익하지 못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표 1]
Cb대 Ti
공칭(%) : Fe-Ni 33%-Cr 21%-Mn 0.7%-Si 0.5%-Al 0/3%
Figure kpo00001
[실시예 2]
질소와 탄소의 영향은 실시예 1의 철 기초 합금과 동일한 니켈, 크롬, 망간, 규소 및 알루미늄 함유량과 표 2 및 표2a에 표시한 탄소, 질소, 티타늄 및 콜롬븀 함유량을 갖는 다수의 합금에 대한 시험에서 밝혀진다.
표 2의 데이타는 (C+N)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함을 보여준다. 우수한 고온 강도를 위해서는 0.14% 이상의 "유리(free)"(C+N)이 필요하다. 0.20%의 콜룸븀, 0.05%의 탄소 및 0.02%의 질소 함유량(벨롯 및 후고에 의해 제시된 최소값)에서, "유리"(C+N)의 양은 우수한 강도를 위해 적당하지 않은 0.05%이다. 필요한 최소 0.14%의 "유리"(C+N)을 0.05%의 탄소로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11%의 질소가 필요하다. 0.50%의 콜룸븀 및 0.05%의 탄소 함유량에서, 0.14%이상의 "유리"(C+N)을 얻기 위해서는 0.15%이상의 질소가 필요하다. 만일 동일 콜룸븀 함유량에서 탄소가 0.10%로 증가되는 경우, 바람직한 수치의 "유리"(C+N)을 얻기 위해서는 0.10% 이상의 질소가 아직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1.0%의 콜룸븀 함유량에서도 탄소와 질소 사이의 관계를 볼 수 있다. 0.05%의 탄소의 경우, 유리(C+N)이 0.14%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0.20% 이상의 질소가 필요하다. C=0.10%에서는 0.15%이상의 N이 필요하다. 그리고, C=0.15%에서는 0.10%이상의 N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허용 가능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 (C+N)레벨은 0.14%+
Figure kpo00002
이상이어야 한다.
표 2a는 (C+N)의 함유량이 높은 조성물의 열 안정성이 빈약함을 보여준다. 적당한 열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리"(C+N)은 0.29% 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C+N)은 0.29%+
Figure kpo00003
이하여햐 한다. 따라서, 네가지 수치의 Cb에서 (C+N)의 임계 범위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표 2]
(C+N) 및 "유리"(C+N)의 강도효과
Figure kpo00005
[표 2a]
(C+N) 및 "유리"(C+N)의 열 안정성 효과
Figure kpo00006
[실시예 3]
티타늄의 임계성은 이미 시험된 다른 합금들과 유사한 기초 재료들을 갖는 합금 I, K, L 및 M의 크리이프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다. 760.6℃(1400℉) 및 13Ksi에서 시험된 이들 합금들의 크리이프 데이타는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표에서, 합금들은 티타늄 함유량이 증가하는 순서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타는 어떠한 티타늄이 유익한지를 알려준다. 그러나, 표 1의 데이타는 티타늄의 상한치가 0.40% 이하임을 알려준다.
[표 3]
Ti 임계성
공칭(%) : Fe-Ni 33%-Cr 21%-Mn 0.7%-Si 0.5%-Al 0.3%-B 0.005%
Figure kpo00007
[실시예 4]
규소는 합금의 중요한 성분중의 하나이다. 그 영향은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의 데이타는 가장 적합한 성질을 얻기 위해서는 규소가 잘 조절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규소치가 약 2%에 도달하여 그것을 초과할 때는 성능이 급격히 감소된다. 이는 규소치가 증가함에 따라 형성된 규소 질화물에 의해 야기된 것임이 분명하다.
[표 4]
Si 임계성
공칭(%) : Fe-Ni 33%-Cr 21%-Mn 0.7%-Si 0.5%-Al 0.3%-B 0.005%
Figure kpo00008
[실시예 5]
표 5에 나타낸 데이타는 0.02%의 지르코늄의 존재로 크리이프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보여준다. 또한, 알루미늄 함유량이 1.0%에 근접할 때에도 비슷한 결과를 야기시킨다.
[표 5]
Al 및 Zr의 역효과
공칭(%) : Fe-Ni 33%-Cr 21%-Cb 0.5%-Mn 0.7%-B 0.005%
Figure kpo00009
표 1 내지 5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합금 I와 두개의 다른 합금 즉, U 및 V를 선택하여, 표 6의 크리이프 데이타를 얻었다.
합금 I 및 V는 표 7, 8 및 9에 나타낸 기계적 특성에서 종래 기술 합금과 비교되었다.
[표 6]
Cb 대 Ti
공칭(%) : Fe-Cb 0.5%-Mn 0.7%-Si 0.5%-Al 0.3%-B 0.005%
Figure kpo00010
[표 7]
Figure kpo00011
[표 8]
Figure kpo00012
[표 9]
Figure kpo00013
상술한 데이타로부터, 니켈 25% 내지 45%, 크롬 약 12% 내지 32% 그리고, 콜룸븀 0.1 내지 2.0%, 탄탈 0.2 내지 4.0% 및 바나듐 0.05% 내지 1.0% 중의 적어도 하나, 탄소 0.20%까지, 질소 약 0.05% 내지 0.50% 그리고, 잔부는 철과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은 (C+N)F가 0.14%이상, 0.29%이하이면, 우수한 열간 가공성 및 제작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전술한 것처럼, (C+N)F=C+N-
Figure kpo00014
이다. 콜룸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바나듐과 탄탈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치환되는 합금의 경우, (C+N)F는 (C+N)-
Figure kpo00015
로 정의된다. 규소가 합금에 첨가될 수 있지만 그 양은 3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 1%까지는 우수한 강도를 갖는 반면, 규소 1% 내지 3%는 더 낮은 강도를 갖지만 더 좋은 내산화성을 갖는다. 또한 크리이프 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티타늄이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0.20%이하의 티타늄이 사용되어야 한다. 환경 저항을 증대시키기 위해 기본적으로 망간과 알루미늄이 첨가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기 2.0%이하 및 1.0%이하로 제한되어야 한다.
또한, 고온에서의 강도를 더 증진시키기 위해 붕소, 몰리브덴, 텡스텐 및 코발트가 적당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0.02%까지의 붕소 함유량은 크리이프 강도를 개선하지만, 그 이상의 함유량은 용접성을 현저하게 해치게 된다. 몰리브덴과 텅스텐은 약 5%까지 심각한 열 안전성의 저해없이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그 이상의 함유량은 열 안정성에 약간의 손실을 야기시키게 되지만, 함유량 합계 약 12%까지는 상당한 강화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확실하게 이해해야 한다.

Claims (5)

  1. 중량 %로 ; 니켈 약 30% 내지 42% ; 크롬 약 20% 내지 32% ; 탄소 약 0.02% 내지 0.20% ; 질소 약 0.05% 내지 0.50% ; 그리고 알루미늄 1%까지, 붕소 0.02%까지, 콜룸븀 2%까지, 코발트 5%까지, 망간 2%까지, 몰리브덴과 텅스텐의 합이 5%까지, 실리콘 3%까지, 탄탈 1%까지, 티타늄 0.2%까지, 바나듐 1%까지, 지르코늄 0.2%까지, 및 이트륨, 란탄, 세륨 또는 다른 회토류 금속들의 합이 0.1%까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 ; 및 잔부로 철과 불순물을 함유하며, (C+N)F가 0.14% 이상 0.29% 이하이며, (C+N)F가 C+N-
    Figure kpo00016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콜룸븀 0.2% 내지 1.0%, 탄탈 0.2% 내지 4.0%, 바나듐 0.05% 내지 1.0%, 망간 0.35 내지 1.2%, 실리콘 0.25% 내지 1% 및 탄소 0.02% 내지 0.15%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중량 %의 합이 2.0% 내지 12%인 몰리브덴과 텅스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1.0% 내지 3.0%의 실리콘을 함유하고 주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합금.
  5. 제1항에 있어서, 니켈 약 37%, 크롬 약 25%, 콜룸븀 약 0.7%, 질소 약 0.2% 및 잔부로 철과 불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합금.
KR1019890000985A 1988-02-10 1989-01-30 질소 강화 Fe-Ni-Cr합금 KR930005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606 1988-02-10
US154,606 1988-02-10
US07/154,606 US4853185A (en) 1988-02-10 1988-02-10 Nitrogen strengthened Fe-Ni-Cr all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204A KR890013204A (ko) 1989-09-22
KR930005898B1 true KR930005898B1 (ko) 1993-06-25

Family

ID=2255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985A KR930005898B1 (ko) 1988-02-10 1989-01-30 질소 강화 Fe-Ni-Cr합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853185A (ko)
JP (1) JPH0798983B2 (ko)
KR (1) KR930005898B1 (ko)
AT (1) AT396118B (ko)
BR (1) BR8806368A (ko)
CA (1) CA1311374C (ko)
CH (1) CH676607A5 (ko)
DE (1) DE3903682A1 (ko)
FI (1) FI94062C (ko)
FR (1) FR2626893B1 (ko)
GB (1) GB2215737B (ko)
HK (1) HK21197A (ko)
IT (1) IT1228309B (ko)
NL (1) NL193408C (ko)
NO (1) NO173065C (ko)
SE (1) SE50553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647A (en) * 1988-02-10 1991-01-01 Haynes International, Inc. Nitrogen strengthened FE-NI-CR alloy
DE4130140C1 (ko) * 1991-09-11 1992-11-19 Krupp-Vdm Ag, 5980 Werdohl, De
US5328499A (en) * 1993-04-28 1994-07-12 Inco Alloys International, Inc. Mechanically alloyed nickel-bas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hot formability characteristics
DE4342188C2 (de) * 1993-12-10 1998-06-04 Bayer Ag Austenitische Legierungen und deren Verwendung
AU4100299A (en) 1998-05-27 1999-12-13 U.S. Department of Commerce an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 rds and Technology High nitrogen stainless steel
US20040156737A1 (en) * 2003-02-06 2004-08-12 Rakowski James M. Austenitic stainless steels including molybdenum
US7118636B2 (en) * 2003-04-14 2006-10-10 General Electric Company Precipitation-strengthened nickel-iron-chromium alloy
US7749432B2 (en) * 2005-01-19 2010-07-06 Ut-Battelle, Llc Cast, heat-resistant austenitic stainless steels having reduced alloying element content
US20060275168A1 (en) * 2005-06-03 2006-12-07 Ati Properties, Inc.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20090053100A1 (en) * 2005-12-07 2009-02-26 Pankiw Roman I Cast heat-resistant austenitic steel with improved temperature creep properties and balanced alloying element additions and methodology for development of the same
US7985304B2 (en) 2007-04-19 2011-07-26 Ati Properties, Inc. Nickel-base alloy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1784687B (zh) * 2007-10-03 2011-04-27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奥氏体系不锈钢
US20090129967A1 (en) 2007-11-09 2009-05-21 General Electric Company Forg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alloy components and method therefor
CN113817950B (zh) * 2021-07-15 2022-10-14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lf炉用氮气稳定控氮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1391A (en) * 1933-11-30 1938-06-21 Rustless Iron & Steel Corp Noncorrodible alloy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398702A (en) * 1941-02-26 1946-04-16 Timken Roller Bearing Co Articles for use at high temperatures
DE959681C (de) * 1943-08-14 1957-03-07 Eisen & Stahlind Ag Schaufeln und aehnlich beanspruchte Bauteile von Gasturbinen und andere gleich oder aehnlich beanspruchte Gegenstaende
US2423615A (en) * 1944-10-12 1947-07-08 Lawrence H Pecher Fishing lure
US2513467A (en) * 1946-05-09 1950-07-04 Union Carbide & Carbon Corp Alloy article for use at elevated temperatures
US3065067A (en) * 1959-01-21 1962-11-20 Allegheny Ludlum Steel Austenitic alloy
US3306736A (en) * 1963-08-30 1967-02-28 Crucible Steel Co America Austenitic stainless steel
AT289170B (de) * 1967-06-19 1971-04-13 Boehler & Co Ag Geb Chrom-Nickel-Stahl mit erhöhter Korrosionsbeständigkeit gegenüber oxydierend wirkenden Angriffsmedien
BE790057Q (fr) * 1967-07-24 1973-02-01 Pompey Acieries Nouvel alliage a base de fer et ses diverses
US3561953A (en) * 1968-03-19 1971-02-09 Toyota Motor Co Ltd Austenitic heat-resisting steel containing nickel, chromium and manganese
BE790197Q (fr) * 1970-03-23 1973-02-15 Pompey Acieries Alliage refractaire a base de fer resistant aux temperatures elevees eta la recarburation
FR2123768A6 (ko) * 1971-01-29 1972-09-15 Pompey Acieries
JPS5040099B1 (ko) * 1971-03-09 1975-12-22
SE419102C (sv) * 1974-08-26 1985-12-23 Avesta Ab Anvendning av ett kromnickelstal med austenitisk struktur till konstruktioner som erfordrar hog extrem krypbestendighet vid konstant temperatur upp till 1200?59c
JPS589829B2 (ja) * 1977-03-07 1983-02-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温耐食性、高温耐酸化性、および高温強度を有する鉄基合金
DE2743346C3 (de) * 1977-09-27 1980-04-0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xylammoniumsalzen
JPS5521547A (en) * 1978-08-01 1980-02-15 Hitachi Metals Ltd Austenite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JPS5698457A (en) * 1980-01-10 1981-08-07 Kubota Ltd Iron-based heat-resisting cast alloy
JPS5698455A (en) * 1980-01-10 1981-08-07 Kubota Ltd Ion-based heat-resisting cast alloy
JPS596910B2 (ja) * 1981-01-12 1984-02-15 株式会社クボタ 耐熱鋳鋼
CA1190771A (en) * 1981-04-27 1985-07-23 Junichi Sugitani Heat resistant alloy excellent in bending property and ductility after aging and its products
US4400211A (en) * 1981-06-10 1983-08-2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Alloy for making high strength deep well casing and tubing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stress-corrosion cracking
US4400210A (en) * 1981-06-10 1983-08-2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Alloy for making high strength deep well casing and tubing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stress-corrosion cracking
JPS58125396A (ja) * 1982-01-22 1983-07-26 Hitachi Ltd オ−ステナイト系溶接構造物
US4489040A (en) * 1982-04-02 1984-12-18 Cabot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nickel-iron alloy
JPS58196192A (ja) * 1982-05-10 1983-11-15 Hitachi Ltd 高温用オ−ステナイト系溶接構造物
JPS58217662A (ja) * 1982-06-11 1983-12-17 Nippon Steel Corp 使用中脆化に抵抗のある高強度、高耐食性ボイラチユ−ブ
US4523951A (en) * 1982-12-14 1985-06-18 Earle M. Jorgensen Co. Stainless steel
JPS59173249A (ja) * 1983-03-19 1984-10-01 Nippon Steel Corp オ−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
DE3407305A1 (de) * 1984-02-24 1985-08-29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erwendung einer korrosionsbestaendigen austenitischen legierung fuer mechanisch hoch beanspruchte, schweissbare bauteile
DE3407307A1 (de) * 1984-02-24 1985-08-29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erwendung einer korrosionsbestaendigen austenitischen eisen-chrom-nickel-stickstoff-legierung fuer mechanisch hoch beanspruchte bau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919364A0 (it) 1989-02-09
AT396118B (de) 1993-06-25
NO173065C (no) 1993-10-20
GB2215737B (en) 1992-05-06
FR2626893B1 (fr) 1994-04-15
DE3903682A1 (de) 1989-08-24
JPH01252758A (ja) 1989-10-09
NL193408C (nl) 1999-09-06
NO890558D0 (no) 1989-02-09
FI94062C (fi) 1995-07-10
US4853185A (en) 1989-08-01
SE8803982L (sv) 1989-08-11
FI890471L (fi) 1989-08-11
HK21197A (en) 1997-02-27
NO890558L (no) 1989-08-11
IT1228309B (it) 1991-06-11
KR890013204A (ko) 1989-09-22
NL193408B (nl) 1999-05-03
JPH0798983B2 (ja) 1995-10-25
FR2626893A1 (fr) 1989-08-11
GB2215737A (en) 1989-09-27
GB8902742D0 (en) 1989-03-30
SE8803982D0 (sv) 1988-11-02
NL8900314A (nl) 1989-09-01
SE505535C2 (sv) 1997-09-15
CA1311374C (en) 1992-12-15
NO173065B (no) 1993-07-12
FI890471A0 (fi) 1989-02-01
FI94062B (fi) 1995-03-31
CH676607A5 (ko) 1991-02-15
BR8806368A (pt) 1990-07-24
ATA28089A (de) 199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898B1 (ko) 질소 강화 Fe-Ni-Cr합금
US5906791A (en) Steel alloys
US4086085A (en) Austenitic iron alloys
US4530720A (en) High 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t austenitic steel
US3420660A (en) High strength precipitation hardening heat resisting alloys
CA1211302A (en) Corrosion resistant austenitic alloy
US4981647A (en) Nitrogen strengthened FE-NI-CR alloy
JPH04202729A (ja) 耐熱性に優れたTi合金
US4810467A (en) Nickel-base alloy
US5158744A (en) Oxidation- and corrosion-resistant alloy for components for a medium temperature range based on doped iron aluminide, Fe3 Al
EP0306758B1 (en) Silicon modified low chromium ferritic alloy for high temperature use
JPH0114305B2 (ko)
US4391635A (en) High Cr low Ni two-phased cast stainless steel
US4722828A (en) High-temperature fabricable nickel-iron aluminides
JPH055599B2 (ko)
US4261767A (en) Alloy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oxidation
JPH07138708A (ja) 高温強度と熱間加工性の良好なオーステナイト鋼
US4653684A (en) Welding material for austenite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i content and method of application
JPH0344448A (ja) 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
CA1044924A (en) Austenitic castable high temperature alloy
US5330705A (en) Heat resistant alloys
JPS613859A (ja) ガスタ−ビン用高強度Co基耐熱合金
JPS5959865A (ja) 耐熱鋳鋼
JPS61546A (ja) ガスタ−ビン用高強度Co基耐熱合金
US4826655A (en) Cast high silicon heat resistant allo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0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6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