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2647B1 - 프리 액세스 마루판 - Google Patents

프리 액세스 마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47B1
KR930002647B1 KR1019870009759A KR870009759A KR930002647B1 KR 930002647 B1 KR930002647 B1 KR 930002647B1 KR 1019870009759 A KR1019870009759 A KR 1019870009759A KR 870009759 A KR870009759 A KR 870009759A KR 930002647 B1 KR930002647 B1 KR 93000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oorboard
free access
bottom plate
top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185A (ko
Inventor
도구조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오에무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난파 마사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145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07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0919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6644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7240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36857A/ja
Application filed by 오에무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난파 마사요시 filed Critical 오에무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85A/ko
Priority to KR101992002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7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 E04F15/02423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 E04F15/02429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the core material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1Floor panels with integrated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7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 E04F15/02423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리 액세스 마루판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강제이면서도 녹이 나지 않게 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1도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제4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4각형이면서도 3각형과 동일하게 이음새의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개발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제4도는 제5도의 B-B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표면재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분할부의 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8도는 밀판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4도에 상당하는 단면도.
제10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단열성, 차음성에 우수한 것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한 프리액세스 마루판을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로서,
제10도는 프리 액세스 상판의 일부를 절단한 저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C-C부 확대단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로서,
제12도는 저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D-D부의 확대단면도.
제14도는 또 다른 예의 단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판 2 : 밑판
3 : 수직벽 4 : 지지주
5 : 체결플랜지부 6 : 접지저부
7 : 체결구멍 8 : 압압홈부
13 : 리브 14 : 표면재
15, 18 : 분할부 16 : 절개부
17 : 상대부 19 : 다리
20 : 보조다리 21 : 주입구멍
22 : 건조용 구멍 23 : 무기질중공입자
24 : 성형체 25 : 캡
27 : 중공무 40 : 타일
41 : 외면돌기부 42 : 내면돌기부
본 발명은 OA기기, 컴퓨터 등의 각종 기기를 비치한 OA실이나 일반 사무실 등의 프리 액세스 마루를 구성하는 마루판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마루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고강도로 하는 동시에 내식성, 안정설치성, 단열성 또는 차음성 등을 부여한 프리액세스 마루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으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제, 강제, 콘크리트계 등의 무기질제, 합성수지제, 목제 등이 있다. 이들은 4각형으로 형성되어 바닥위에 직접 또는 지지각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로 지지된 상태로 부설되어 있다. 이것이 소위 프리 액세스 마루이며, 그 상부에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 기타 OA기기등, 고중량의 것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금속제, 예를 들면 강제, 알루미늄합금제 등의 마루판은 대략 4각형의 윗판에 대하여 요철보강구조의 밑판을 일체화하고, 윗판상면에 마루리재로서의 직포나 부직포로 된 카페트 또는 시이트상의 합성수지타일 등을 접착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재질에 의한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마루판으로서 알루미늄제의 것은 제조시의 마무리의 정밀도가 좋은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소재가 알루미늄인때 그 영율이 강제의 약 1/3이므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제의 것과 거의 동일중량으로 하지 않으면 아니되어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될 뿐아니라 제조에 있어서도 다이캐스트의 기계가공을 하여야 되기 때문에 강제의 것에 비하여 생산성이 나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계등의 무기질 판은 내화성이 우수한 동시에 염가인 것이나, 대개 충격에 약하여 대형판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고중량이기 때문에 시공이나 부설하기 곤란하며, 또 건물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먼지나 흠이 생기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통은 강판이나 카페트로 피복하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811,237호).
합성수지제나 목제의 것은 염가이며 경량인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내화성능이 떨어지고 또 강도가 낮기 때문에 바닥위에 직접 부설하던가 판크기가 작은 것에 한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판으로 피복하여 내화성 또는 강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4,035,967호 및 제4,085,557호.
그리고 종래의 강제판의 경우에는 중량이 알루미늄과 같은 정도로 콘크리트계의 것의 약 절반과 경량으로 강도가 높고 영율이 알루미늄의 약 3배로서 굽힘이 적은 장점이 있는 것이나, 중공구조로 하는 등으로 하여도 고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었던 용접에 의한 제조방법이라면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380,217호 및 제3,696,578호), 가열 녹방지를 위하여 표면처리강판을 사용하여도 용접부분이 소결산화되어 녹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조립후에 도장 등에 의한 녹방지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구조에서 오는 특징은 들면 다음과 같다.
즉, 바닥은 전체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네모서리의 높이방향이 고르지 못하면 이음새에 요철이 생기므로, 제조할 때에 판은 높은 평면정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시공에 있어서도 바닥지면의 평면도가 좋지 않으면 마루면이 요철상태로 나타나서 이것을 조정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이음새의 요철은 판재를 3각형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3점지지의 집합체로 되어 방지하는 수단이 개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4각형으로서도 그 대각선을 따라서 굴곡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문제점이 해결되고 있다(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852,928호).
프리 액세스 마루판이 부설된 실내는 그안에 설치된 기기의 관리상의 형편으로 소정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나, 보행음이나 기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극력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종래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문제점에 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다.
어느 정도의 처음이나 단열을 기대하여 윗판 상면에 합성수지타일이나 카페트를 첩착하고 있으나, 이것들은 적극적인 해결수단으로는 될수 없고 불충분하다. 또 내부에 발포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시모도 일부하고 있으나, 콘크리트의 주입이 용이하지 않고 그 작업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CFRC(카본화이버-강화시멘트) 또는 GRC(그라스화이버-강화시멘트)를 내부에 매입시키는 시도도 볼 수 있으나, 수축변형이 크고 또고중량일 뿐아니라 높은 원가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이점을 남겨두고, 문제점만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개발에 도달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최초의 목적으로서 특히, 윗판과 밑판에 표면처리강판을 사용하여도 이들을 용접하지 않고 조립하여 종래와 같이 용접부에 녹방지 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소정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표면처리강판의 윗판(1)와 밑판(2)으로 되며, 윗판(1)과 밑판(2)은 연부의 전주에 걸쳐서 압착체결에 의하여 일체화하며, 또한 윗판(1) 또는 밑판(2)에 설치된 수직벽(3)에 의해서 외주면을 형성하고, 수직벽내부에 지지주를 설치하여 윗판(1) 또는 밑판(2)의 접촉부에서 압착체결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특징으로 되는 윗판(1)과 밑판(2)을 사용하면, 이들 사이의 일체화가 압착체결에 의한 것이므로 바닥판 전체에 용접하는 부분 또는 금속노출부분등의 부식을 받은 노출부분이 없고, 표면처리강판의 내식성이 충분히 유지된다. 또 수직벽 내부에 설치된 지지주(4)와 이것에 의해서 형성된 트러스구조는 판을 경량으로 또한 고강도로 하여 내하중구조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음 목적으로 하는 이음새의 요철방지구조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제공하고저 한 것은, 상기 미국특허 제3,852,92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3각 판의 조합의 기술을 본 발명의 스틸제판이 응용하고 그 위에 취급이 용이한 4각형의 일체형판으로 되는 4각형의 윗판(1)과 4각형의 밑판(2)으로 되는 마루판으로 하고, 윗판(1) 또는 밑판(2)의 어느 한쪽을 대각선으로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으로 하는 것이다. 이 판으로 하면 바닥지면의 평면도가 나쁠 경우에도 대각선의 분할부에서 변형하여 그 바닥지면에 잘 맞아서 이음새에 요철이 생기지 않게 하는 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들 수 있는 것은 강성에 우수한 가공으로 가요성을 가진 금속제 마루판의 장점을 실리면서, 윗판(1)과 밑판(2)사이에 단열재 또는 차음재 등의 충전 작업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제품이 경량화되며, 단열성, 차음성에 뛰어난 마루판을 얻을 수 있는 목적으로 개발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윗판(1)과 밑판(2)으로 되는 마루판에 있어서, 윗판(1)과 밑판(2)사이에 무기질 중공입자(23) 또는 그 성형체(24)를 충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판은 마루판의 내부에 충전된 무기질 중공입자(23)또는 그 성형체(24)가 단열 또는 차음, 내화의 작용을 하는 동시에 윗판(1)과 밑판(2)으로 되는 마루판전체의 보강작용을 한다. 이것으로 윗판(1)과 밑판(2)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내부에 무기질 중공입자를 충전하여도 상대적으로 전체가 경량화 된다. 제조에 있어서는 무기질 중공입자(23)가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윗판(1)과 밑판(2) 사이에 변형되지 않고 용이하게 균일 충전할 수 있는 등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무기질 중공입자(23)는 내부가 중공인 것 또는 입자내부에 다수의 독립기포를 가진 것을 말한다. 특히 일본국 큐슈지방에 분포하는 화산회를 소성하는 얻어지는 중공의「실라스파론」이 적합하며, 또한 퍼얼라이트, 세피오라이트 등의 다공질 무기입체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것, 인공의 세라믹 무기질 중공입자, 예를 들면 규조토 또는 벤트나이트를 이용한 세라믹 원료에 팽윤성 수지를 혼합하고, 윤활제를 가하여 겔상물로하여 건조소성하여 얻어지는 세라믹 다공체(일본국 공개특허 제60-46978호)로한 것이던가, 또한 중앙부가 다공질의 속으로 되며, 외주부에 치밀한 껍질을 형성한 입자(일본국 공개특허 제61-20646호)등이 사용된다.
무기질 중공입자(23)는 그대로 또는 무기, 유기 각종 접합체와 혼합하여 유동상태로 마루내판에 충진하거나, 미리 성형체로 한 후 윗판과 밑판에 의하여 피복하여 제품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목적, 특정, 이익에서 뿐만아니라 이들에 속하는 것은, 다음 설명에 의하여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강제이면서도 녹쓸지 않도록 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의해서 분명한 바와 같이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윗판(1)과 밑판(2)으로 되는 것이다. 어느것도 아연도금 등에 의한 표면처리강판을 사용하고 있다. 밑판(2)은 프레스성형에 의해서 사방에 수직벽(3)이 설치되며, 그 상부는 수평으로 절곡한 체결플랜지부(5)로 되어 있고, 마루판 저면으로 되는 접지저부(6)에는 상면측으로 돌출시켜 지지주(4)를 형성하고 있다. 윗판(1)에는 체결구멍(7)이 밑판(2)의 다수의 지지주(4)에 대향위치에 있어 그 연부가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절곡되면서 트러스구조의 지지주(4)의 상부를 압착체결한다. 윗판(1)의 사방연부는 아래쪽으로 절곡하여 밑판(2)의 체결 플랜지부(5)를 압착체결하지만, 그 연부에서 내측쪽으로 아래쪽에 압압홈부(8)가 있어 그 이면이 밑판(2)의 상연에 접촉한다(제2도의 좌우단).
제3도는 다른 압착체결구조예를 도시한 것으로 요부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밑판(2)의 체결플랜지부(5)가 상기예와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외주부를 다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윗판(1)이 지지주(4)의 상부를 압착체결하고, 또한 밑판(2)의 체결플랜지부(5)를 씌우도록 압착체결한 구조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예는 어느 것도 수직벽(3)이나 지지주(4)가 밑판(2)에 설치되고 있으나,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직벽이나 지지주를 윗판에 설치하는 등의 강제 마루판의 다양화에 따라 다른 구조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강제임에도 불구하고 녹쓸지 않는 가장 적합한 오피스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OA기기, 컴퓨터, 기타 여러가지의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경량으로 오피스의 부설이 자유로우며 이에 다른 배선변경 등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내장용 프리 액세스 마루로 유용한 것이다.
제조시에 있어서도 다른 알루미늄제등과 비교하여 기계가공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프레스가공에 의한 것이므로, 생산성이 높고 염가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목적인 이음새의 요철이 생기지 않게한 프리 액세스 바루판에 대하여 제4도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5도의 B-B선 단면 확대도이며, 제5도는 표면재를 일부 절단한 마루판의 실시예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이 4각형의 윗판(1)과 밑판(2)으로 구성된 강판제 마루판의 표면에 표면제(14)로 카페트가 접착되어 있다. 윗판(1)은 특징적으로서, 대각선 또는 그와 비슷한 3각형으로 분할하여 2매로 하여 그 각각에 대각선 리브(13)를 형성하고 있다. 이 분할은 다시 십자형으로 4분할하여도 좋고, 모서리부의 일부를 절제한 윗판으로 하여도 좋다.
대각선 리브(13)는 윗판(1)의 분할부(15)의 연부를 절곡하여 형성하여도 좋으며, 제6도에서와 같이 밑판(2)을 절곡하여 세워서 윗판(1)의 이면에 접촉고정하여도 좋다. 또 제7도와 같이 대각선 리브(13)로 하여 별개 부재를 끼워도 좋다.
제8도는 제4도에서와 같은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밑판(2)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각형의 모서리부에서 윗판(1)의 분할선상에 있는 부분은 저부까지 절개부(1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윗판(1)의 분할부(15), 상대부(17)는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할부(15), 상대부(17) 이외의 부분은 어느한 형상으로도 좋으나, 윗판(1)과 조립하여 완성시킨 후 사용할 때에 윗판(1)의 굽힘강도, 전체의 굴곡강도, 파괴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의 예는 어느 것도 윗판(1)을 분할한 것이나, 제9도에는 그와 반대로 밑판(2)이 분할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에서는 밑판(2)의 분할부(18)는 대각선 리브(13)를 다시 외쪽으로 절곡하여 윗판의 이면에 고착하고 윗판과 밑판의 공간부에 매입물을 넣은 예를 도시하고 있다. 매입물로는 경량발포 콘크리트, 발포수지, 목재, 허니컴 코어등이 있다. 이들의 예에서도 동일하게 부설된 바닥지면의 평면도가 나쁜 경우에 대각선의 분할부(18)로 변형하여 맞추어 이음새의 요철이 생기지 않게 하는 작용이 있다.
이상과 같은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그 네모서리에 다리(19)를 부착하여 또한 강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분할부(15)(18)에 따라서 적당한 간격으로 네모서리에 부착한 다리(19)보다도 약간 짧은 보조다리(20)를 설치한다. 분할부(15)(18) 폭은 0.5-수 mm가 좋고 이와 같이 하면 프리 액세스마루의 완성품의 직각모서리부가 시공상태로 2mm정도까지 착지하지 않는 부닥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4각형은 정 4각형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종횡길이가 다른 4각형이나 모서리를 절제한 형상의 것도 포함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구조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4각형인데도 불구하고 3각형과 동일하게 바닥면이나 평면정도가 나쁜점을 흡수하여 이음새의 요철이 생기지 않는다. 운반에 있어서 3각형의 것과 비교하여 취급이 편리하여 먹줄, 이음새조정이 불요하게 되어 시공이 매우 간단하게 되어 시공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단열성 및 차음성에 우수한 장점을 가진 프리 액세스 마루판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제9도에 더하여 다른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일부를 절단한 저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C-C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윗판(1)도 밑판(2)도 강판제이다. 금속제 밑판(2)은 사방연부의 외벽(28) 또는 내부의 리브가 프레스 성형되면 4각형 평반상의 윗판(1)과 예를 들면 외주를 클린치에 의하여 일체화되며 그후 이들 윗판(1)과 밑판(2)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공간에 주입구멍에서 무기질 중공입자(23)가 충전된다. 윗판(1) 상면에는 타일(40)이 접착된다. 이 윗판(1)과 강판제 밑판(2) 사이의 중공부(27)에 충전된 무기질 중공입자(23)는 본 예에서는 입경 0.6-0.21mm의 실라스파른(일본국 마세이시멘트(주)제, 상품명 스가리이도 2호)로서, 일예로 체적비가 대개 실라스 3-5대 시멘트 1의 범위로 되도록 시멘트와 혼합한 후 물을 약 50중량% 가하여 믹서로 잘 혼련한 것을 유입하여 성형하였다. 유동성이 매우 좋으므로 이와 같이 유입성형이 가능하다.
금속제 윗판(1)과 밑판(2)사이에 형성된 무기질 중공입자의 시멘트 몰탈충진체는 절대건조비중 0.6-0.9, 성형체의 열전도율 0.10-0.40Kcal/m hr ℃이며 같은 비중의 기포 콘크리트에 비교하여 굴곡, 압축 모두 약 2배의 강도를 가진다. 또한 1-20중량% 정도의 그라스화이버를 가하면, 다시 강도상승이 도모된다.
제12도 및 제13도는 다른 실시태양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2도는 저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D-D부 단면확대도이다. 이 예에서는 강간제 밑판(2)의 중앙에 충전재 주입구멍(21)을 설치하고, 이 주입구멍(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회전대위에 바닥판을 고정하여 원심력을 이용하여 윗판(1)과 밑판(2)으로 성형된 충전공간의 구석구석까지 신속 완전하게 충전할 수 있다.
네모서리에 설치한 작은 구멍은 수분건조용 구멍(22)이다. 또한 중앙의 충전재 주입구멍(21)은 그 주위에 턱부를 설치하여 밑판(2)의 강도를 높이게 하는 동시에 중전후 캡(25)을 끼우기 쉽게 되어 있다.
프리 액세스 바닥판내에 무기질 증공입자등의 충전은 4각형이외에 3각형이나 다른 형상의 것으로도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바닥면에 요철이 있을 경우, 금속제 윗판(1)에 대각선방향으로 리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분할부(15)를 형성하여 바닥판 자체가 만곡하여 요철에 따를 수 있는 구조로 하던가, 금속제 윗판(1)의 표면에 타일(40) 또는 카페트를 종래와 같은 접착하여 사용하는 등은 임의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을 구성하는 무기질 중공입자의 태양으로 시멘트중의 혼합을 예시하고 고화하기 전에 주입충전하던가, 표이면판의 어느쪽으로 충전고화시킨 후 양자를 일체화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소정 형상으로 성형고화후 금속제 윗판(1)과 밑판(2)사이에 매입할 수도 있다.
그 일예를 제14도(마루판 단부종단면도)에 도시하였다. 이예에서는 복완형상(伏椀形狀)의 금속제 윗판(1)의 측벽의 금속제 밑판(2)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외면 돌기부(41)를 가지며, 금속제 밑판(2)의 완형상의 외벽에 내면 돌기부(42)를 설치하여 결합 일체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의 금속제 윗판(1)과 금속제 밑판(2)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 중공부(27)에는 이들의 조립시에 상기 실시태양예와 동일한 실라스파른 무기질 중공입자(23)가 카본화이버와 함께 시멘트를 사용하여 성형고화된 코어성형체(24)로 된 것을 내설하고 있다.
이상에서 무기질 중공입자(23)를 성형체로 하기 위한 매체로 시멘트를 예시하였으나, 기타 페놀수지 등의 합성수지 또는 석고 혹은 물유리 등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태양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윗판(1), 밑판(2), 무기질 중공입자(23) 어느 것도 본 발명의 목적달성상 필요로 하는 방법에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조에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선택도 자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프리 액세스 마루판은 처음에 기재한 3가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구성이며, 강제판넬이면서도 녹이 쓸지 않고, 또한 시공바닥면의 마루리가 평탄하지 않아도 이음새의 요철을 흡수하여 안정한 것이며, 또한 제조시에는 무기질 중공입자를 충전하는 것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좋고 내부에 존재하는 시멘트와의 성형체는 수축변형도 적으며, 경량으로 단열성, 처음성에 우수하고 고강도로 고하중에 견딜수 있다. 또한 내화구조이므로 특히 OA기기, 컴퓨터 등을 비치한 실내의 프리 액세스 마루용으로 모든 요구에 따를 수 있는 우수한 마루판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는, 표면처리 강판을 윗판과 밑판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종래의 용접에 의한 제조방법이 아니고 압착체결에 의해서 조립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용접에 의한 소결산화된 부분이나 금속노출부분등의 부식을 받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표면처리 강판의 내식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프리 액세스 마루판의 이음새의 틈새요철을 방지하여 안정화게 설치하기 때문에 그 판이 4각형의 경우는 운반취급이 용이하며 원가로 3각형의 것보다 염가인 이점을 고려하였으며, 또한 한편으로는 3각형의 것이 3점지지로 되어 이음새의 요철이 생기지 않는 특징도 고려하였으므로 이들 쌍방의 장점을 겸비한 판으로 하였다. 이것은 4각형의 윗판과 밑판으로 되는 마루판의 윗판 또는 밑판을 대각선상으로 무분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마루판의 단열성, 차음성의 단순하게 건물로서의 기능상 문제만으로 요구되는 것이 아니고 이것을 부설한 실내에 설치된 OA기기, 컴퓨터 등의 각종 기기의 관리상의 점으로도 특히 중요시 되는 것으로 이것을 강성에 우수한 가공으로 굴곡성을 가진 금속마루판의 장점을 살리면서, 그리고 윗판과 밑판사이에 단열재, 차음재 등의 충전작업을 개선하는 동시에 제품의 경량화, 단열성, 차음성에 뛰어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윗판과 밑판사이에 무기질 중공입자 또는 그 성형체를 충전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으로 한 것이다.
이들 3가지 큰 특징을 모두 구비한 프리 액세스 마루판으로 하면 모든면에서 우수한 상품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된다.

Claims (4)

  1. 강판체의 윗판(1)과 밑판(2)을 연부에 결합한 4각형의 프리액세스 마루판에 있어서, 윗판(1) 또는 밑판(2)의 어느한쪽에 대각선 분할부(15)(18)을 형성하여 다수의 3각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엑세스 마루판.
  2. 제 1 항에 있어서, 4각형의 윗판(1) 또는 4각형의 밑판(2)의 대각선 분할부(15)(18)는 각 강판과 일체 또는 별도체의 대각선 리브(13)로 형성된 대각선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액세스 마루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윗판(1)은 평판상에 대각선으로 분할되어 3각형으로 되고, 밑판(2)은 외주에 외벽(28)을 형성하는 동시에 4모서리에는 다리(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액세스 마루판.
  4. 윗판(1)과 밑판(2)으로 이루어지는 프리액세스 마루판에 있어서, 윗판(1)과 밑판(2) 사이에 무기질 중공입자(23) 또는 그 성형체(24)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액세스 마루판.
KR1019870009759A 1986-09-10 1987-09-03 프리 액세스 마루판 Expired - Fee Related KR93000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760A KR930002648B1 (ko) 1986-09-10 1992-12-10 프리 액세스 마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555 1986-09-10
JP61214555A JPS6370763A (ja) 1986-09-10 1986-09-10 フリ−アクセス床板
JP61-214555 1986-09-10
JP62-9196 1987-01-24
JP1987009196U JPS63116644U (ko) 1987-01-24 1987-01-24
JP9196 1987-01-24
JP62-72400 1987-03-25
JP72400 1987-03-25
JP62072400A JPS63236857A (ja) 1987-03-25 1987-03-25 フリ−アクセス床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760A Division KR930002648B1 (ko) 1986-09-10 1992-12-10 프리 액세스 마루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85A KR880004185A (ko) 1988-06-02
KR930002647B1 true KR930002647B1 (ko) 1993-04-07

Family

ID=2727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759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2647B1 (ko) 1986-09-10 1987-09-03 프리 액세스 마루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56256A (ko)
KR (1) KR930002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242A (en) * 1990-04-04 1991-09-17 C-Tec, Inc. Access floor system with hemmed edge panel
FR2683242B1 (fr) * 1991-11-06 1999-02-19 Strulik Wilhelm Dalle modulaire pour cloison horizontale.
JPH086532B2 (ja) * 1991-12-20 1996-01-24 ジョン・ディー・ブラッシュ・アンド・カンパニー・インク 耐火金庫とその製造方法及び鍵座
US6226944B1 (en) 1994-03-25 2001-05-08 Mouchel Consulting Limited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US6735916B2 (en) 1994-03-25 2004-05-18 Mouchel Consulting Limited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US6101768A (en) * 1995-09-11 2000-08-15 Springstead; Gary Center supported ventilated raised floor with grated core
US6797219B1 (en) * 2000-11-28 2004-09-2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e of floor panels
US7770354B2 (en) * 2002-08-29 2010-08-10 Bui Thuan H Lightweight modular cementitious panel/tile for use in construction
US7628664B2 (en) * 2003-03-13 2009-12-08 Tzong In Yeh Slider with foam rails
US20060225627A1 (en) * 2005-04-08 2006-10-12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Work surface, edge treatment and method for configuring work surface
EP2029830A1 (en) * 2006-06-22 2009-03-04 Kingsplan Holdings (IRL) Limited An access floor panel
USD561327S1 (en) 2007-05-04 2008-02-05 Opstock, Inc. Air grate for raised floors
US7823340B2 (en) * 2007-05-04 2010-11-02 Opstock, Inc. Air grate for raised floors
KR100824194B1 (ko) * 2007-05-18 2008-04-21 김경환 고로 슬래그를 이용한 건물용 바닥재
KR100889380B1 (ko) * 2008-05-29 2009-03-19 주식회사 대진디에스피 금속 모자이크 타일
GB2465568A (en) * 2008-11-19 2010-05-26 Intelligent Engineering A prefabricated floor panel
US8776452B1 (en) 2012-04-05 2014-07-15 Opstock, Inc. Universal quick corner for raised floor system
USD754369S1 (en) * 2013-09-17 2016-04-19 Senqcia Co., Ltd. Free access floor panel
USD754368S1 (en) * 2013-09-17 2016-04-19 Senqcia Co., Ltd. Free access floor panel
US9771724B2 (en) * 2013-09-27 2017-09-26 Senqcia Corporation Floor panel
WO2015075843A1 (ja) * 2013-11-25 2015-05-28 日立機材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
TWI509135B (zh) * 2014-03-12 2015-11-21 Sunjinmaru Co Ltd 活動地板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8715A (en) * 1932-03-08 Certificate of correction
US3380217A (en) * 1965-07-15 1968-04-30 Nat Lead Co Raised floor plate
US3696578A (en) * 1970-03-06 1972-10-10 Liskey Aluminum Floor panel for an elevated floor assembly
US3811237A (en) * 1970-03-30 1974-05-21 United Fabricating Co Inc Raised floor panel and assembly
CA1002721A (en) * 1972-12-22 1977-01-04 Ronald W. S. Harvey Raised floor panels
US3852928A (en) * 1973-06-13 1974-12-10 Hauserman Inc Elevated flooring system and panel therefor
US4085557A (en) * 1976-06-01 1978-04-25 James A. Tharp Raised access floor system
US4267679A (en) * 1976-12-27 1981-05-19 Steelite, Inc. Insulated building panel wall construction
DE2811142C3 (de) * 1978-03-15 1981-03-26 Streif AG, 53560 Vettelschoß Türflügel in Hohlbauweise
US4748789A (en) * 1986-07-21 1988-06-07 Hedley Gilbert P Access floor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85A (ko) 1988-06-02
US4856256A (en) 198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647B1 (ko) 프리 액세스 마루판
US5115621A (en) Free access floor panel
US4606156A (en) Access flooring panel
JPH0259900B2 (ko)
JPH0230566Y2 (ko)
JPH0543022B2 (ko)
JPH0473505B2 (ko)
JP3465040B2 (ja) 置敷二重床構造
KR930002648B1 (ko) 프리 액세스 마루판
JPH0524754Y2 (ko)
CN217924645U (zh) 一种内嵌式踢脚线
JPH024953Y2 (ko)
JPS6348553Y2 (ko)
WO1992005322A1 (en) Building element for erecting external building walls
JPS6128813Y2 (ko)
JPH0224836Y2 (ko)
JPH028036Y2 (ko)
JPH0422660Y2 (ko)
JPH035622Y2 (ko)
JPH071373Y2 (ja) 二重床用間仕切り係止金具
JPS5825026Y2 (ja) 浴室床材
JP3507195B2 (ja) 床構成体
JPS6217542Y2 (ko)
JPS61115338U (ko)
JPS63177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4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