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1519B1 - 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19B1
KR930001519B1 KR1019900012246A KR900012246A KR930001519B1 KR 930001519 B1 KR930001519 B1 KR 930001519B1 KR 1019900012246 A KR1019900012246 A KR 1019900012246A KR 900012246 A KR900012246 A KR 900012246A KR 930001519 B1 KR930001519 B1 KR 93000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solid solution
amount
steel
steel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836A (ko
Inventor
미쓰루 기다무라
순이찌 하시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06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65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0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46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86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46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1000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2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more than one element being applied in one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5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판의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5도는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강판(steel sheet)의 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로서,
제1도는 P함량이 0.015%이하인 냉간압연 강판에 대하여, (Ti*/48+Nb/93)/ (C/12)와 r값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2도는 (Ti*/48+Nb/93)/(C/12)와 냉간가공 취성에 대한 임계온도(critical temperature)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3도는 P가 첨가된 냉간압연 강판에 있어서의 P 첨가량과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4도는 P함량이 0.025%미만이고 용융 아연도금된 냉간압연 강판에 있어서 냉간가공 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와 (Ti*/48+Nb/93)/(C/12)와 r값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바로 위에서 언급한 강판에 있어서 P 함유량과 냉간가공 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은 열간압연 강판, 냉간압연 강판, 용융 아연도금 열간압연 강판, 용융 아연도금 냉간압연 강판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냉간가공취성(resistance to cold-work embrittlement)을 갖고 있거나 또는 소부(baking) 경화특성(BH특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들어 자동차 부품이나 전기장치의 외부판넬에 사용되는 강판은 중량이 가볍고 녹생성이 없고 우수한 냉간가공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한 요건에 대하여, 강내에 C 및 N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Ti 또는 Nb와 같은 탄질화물(carbonitride) 형성원소를 단독으로 또는 복합하여 첨가한 성분강, 소위 IF(무침입형)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강에 있는 Ti 및/또는 Nb와 같은 탄질화물형성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C 및 N이 충분히 고정된 초저탄소강은 프레스성형후의 냉간가공시에 취성파단에서 기인하는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고용(solid-solute) C 및 N가 강중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C 및 N은 입계에 더이상 편석되지 않아 입계가 약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P 함유강은 P가 입계에 편석되어 취성의 촉진을 수반하는 문제점 또는 용융 아연도금강은 용융 아연도금 처리시에 아연이 입계에 침입하여 입계의 강도를 더욱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더욱이, 소부경화(BH)특성은 강내의 고용 C 및 N의 작용하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 특성은 이와같은 IF강내에 제공될 수 없다.
따라서 내냉간가공취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BH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강내에 고용 C 및 N이 잔류할 만큼 Ti 및 Nb의 첨가량을 미리 조정하면서 강을 용융시키는 것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잔류 고용 C 및 N을 가지고 있는 성분강이 제조될 수 있다해도 이 고용 C 및 N은 일반적으로 강의 r값 및 연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프레스성형성에 대하여 현저한 감소가 불가피하다. 즉 프레스성형성 및 내냉간가공 취성 또는 BH특성은 서로가 공존할 수 없었다. 더욱이, 제강 기술의 견지에서 그러한 소량의 고용 C 및 N은 잔류될 수 없다.
상기의 관점에서 지금까지 하기와 같은 제안이 있었지만 우수한 프레스성형성과 내냉간가공 취성 또는 BH특성을 함께 얻기는 어려웠다.
일예로, 디입드로잉에 사용되는 강판의 내냉간가공취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강중의 C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Ti와 Nb를 첨가하고, 냉간압연후 오푼코일 소둔시에 침탄처리를 행하여 강판의 표면에 침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공개 제 81-38556호).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 침탄처리는 긴시간에 걸쳐 처리되는 뱃치(batch) 소둔시에 적용되기 때문에 강판은 두께방향에서 미세조직과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테면 고농도의(C의 평균량 : 0.02 내지 0.10%)의 침탄층은 강판의 표면층에만 형성되고, 표면층과 중심부사이의 페라이트 결정입도에 있어서 차이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이다. 또한 상기 뱃치소둔은 당연히 생산성이 낮을 뿐만아니라 그 재질이 강판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불균일한 경향을 초래한다.
또한 디입드로잉에 사용되는 강판을 Ti 및 Nb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냉간압연후에 재결정소둔을 하고 침탄처리를 추가로 실시하는 방법이 또한 제안되었다(일본특허공개 제89-96330호). 그러나 이 방법은 주로 많은 양의 탄화물 또는 질화물의 석출에 의하여 강도를 개선하는 것을 의도하나, 내냉간가공취성 및 BH특성에 대한 배려는 없다. 더욱이 침탄처리는 소둔후 장시간 동안 뱃치식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침탄량이 과도하게 또한 불균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낮고 공정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완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에 대한 요구 특히 성형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냉간가공취성을 갖고 있고 우수한 BH특성을 구비한 강판을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상기 제안에 있어서, 연속소둔로 또는 용융 아연도금 라인에서의 소둔시간은 기껏해야 약 90초이기 때문에, 침탄처리는 뱃치식으로 행하여졌다. 따라서, 확산율속의 이론에 근거한 이론계산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C 및 N을 강두께의 중심부내로 침입시키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에서는 연속소둔 또는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의 제조가 이론적으로 불가능함에 비추어, 프레스성형성을 열화시키는 원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고용 C 또는 N이 압연집합조직의 형성단계, 재결정집합조직의 형성단계에서 국부 슬립계에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을 하고, 이로써 디입드로잉성에 바람직한 (111)집합조직의 발단을 저해하기 때문에 고용 C 또는 N이 프레스성형성을 열화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원인들은 해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재결정 집합조직이 결합되는 소둔시의 재결정 종료시까지는 고용 C와 N의 양을 영의 상태로 유지한 후 침탄처리 또는 질화처리를 함으로써 최종 제품단계에서 입계나 입내에 C와 N원자를 잔존시키는 획기적인 기술을 확립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에 있어서, 프레스성형성 및 내냉간가공 취성 또는 BH특성의 부여는 서로가 양립할 수 있어서 이상적인 강판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0.007%이하의 C(이하 조성은 중량%를 의미한다), 0.1%이하의 Si, 0.05 내지 0.50%의 Mn, 0.10%이하의 P, 0.015%이하의 S, 0.005 내지 0.05%의 가용성 Al 및 0.006%이하의 N을 포함하고; 또한 하기 식(1)에 따른 유효 Ti량(Ti*로 나타냄)과 Nb량과 C량과의 관계가 하기 식(2)를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Ti 및/또는 Nb를 단독 또는 복합하여 포함하고;
Figure kpo00001
필요에 따라 0.0001 내지 0.0030%의 B를 더 포함하고; 잔부 :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열간압연한 후 연속소둔처리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강판중의 고용 C량 및/또는 고용 N량이 2 내지 30ppm이 될 정도로 소둔을 하면서 동시에 연속침탄처리 및/또는 질화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원의 또다른 발명은 강판중에 고용 C량 및/또는 고용 N량이 2 내지 30ppm이 되도록, 상기의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재료에 대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행한후 연속소둔을 하면서 동시에 연속침탄처리 및/또는 질화처리함으로써 냉간압연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다른 발명은 강판중에 고용 C량 및/또는 고용 N량이 2 내지 30ppm이 되도록, 상기의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재료에 대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열간압연 또는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한 후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의 소둔과 동시에 연속침탄처리 및/또는 질화처리를 함으로써 용융아연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지금까지는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던 기술이, 내냉간가공취성을 얻기위해 입계의 결함을 메꾸는데 필요한 2 내지 5ppm의 C 및/또는 N을 확보하면서, 또는 BH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입계 또는 입내에 잔존하는 5 내지 30ppm의 C 및/또는 N을 확보하면서 IF강을 사용하여 연속소둔 또는 용융아연 도금라인에서의 소둔과 같은 단시간 소둔에서도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C와 N은 입내확산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보다 속도가 약 10배 빠른 입계확산에 의해 침투하고, 또한 확산속도는 입계순도가 극히 높은 IF강에서는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연속소둔 또는 용융 아연도금라인에서의 소둔에 있어서 고용 C 및 N이 존재하지 않는 이와같은 소둔전의 상태로부터 소정량의 고용 C와 N이 우선 입계에 그 다음에는 입내에 확보되기 때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강의 화학조성을 한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 : C의 함량증가에 따라 C를 고정하기 위한 Ti 및/또는 Nb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제조비용의 증가가 초래된다. 또한 TiC 및 NbC의 석출량이 증가하여 결정립 성장이 장해를 받고 r값이 열화된다. 따라서 C 함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한은 0.007%(이하 조성은 중량%임)로 한정한다. 제강기술의 관점에서 C함량의 하한은 0.0005%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 Si는 주로 용융강의 탈산을 위해 첨가된다. 그러나 과도히 첨가하면 표면상상, 화학처리성 또는 도장성을 열화시킬 수도 있으므로 함량은 0.1%이하로 한정한다.
Mn : Mn은 주로 열간취성의 방지를 목적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그양이 0.05%이하가 되면 소기목적이 달성될 수 없는 한편 첨가량이 과도하면 연성이 열화된다. 그래서 함량은 0.05 내지 0.50%이내로 한정한다.
P : P는 r값을 열화시킴이 없이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나, 이 성분은 입계에 편석되어 냉간가공취성을 초래하므로 그 함량은 0.10%이하로 제한된다.
S : S는 Ti와 화학결합하여 TiS를 형성하므로, C 및 N을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Ti량은 S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된다. 또 S는 MnS계의 신장된 개재물을 증가시켜 국부연성을 열화시키므로, 그 함량은 0.015%이하로 제한된다.
Al : Al은 용융강의 탈산을 위해 첨가된다. 그러나 함량이 가용성 Al로서 0.005%이하가 되면 소기 목적은 달성될 수 없다. 한편 함량이 0.05%를 초과하면, 탈산효과가 포함되고 Al2O3개재물이 증가되어 가공성형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함량은 가용성 Al로서 0.005 내지 0.05% 범위내로 한정한다.
N : N은 Ti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TiN을 형성하므로, C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Ti량은 N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TiN의 석출량이 증가되어 결정립 성장이 저해되고 r값이 열화된다. 따라서, N함량이 낮을수록 더 바람직하고, 그래서 함량은 0.006%이하로 한정한다.
Ti 및 Nb : Ti 및 Nb는 C와 N을 고정함으로써 r값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것처럼 Ti는 S 및 N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TiS 및 TiN을 형성하기 때문에, 최종 제품중의 Ti량은 다음식(1)로 계산된 유효 Ti량 (
Figure kpo00002
) 으로 환산된 양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Figure kpo0000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은 Ti*량, Nb량 및 C량간의 관계가 식(2)을 만족시킬 수 있는 그런 범위내로 함유될 필요가 있다.
Figure kpo00004
식(2)의 값이 1 보다 작으면 C 및 N은 충분히 고정될 수 없어 r값이 열화된다. 한편 그 값이 4.5를 초과하면, 침탄처리 및 질화처리로 침투하는 C 및 N이 고용 Ti 또는 Nb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냉간가공취성을 방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BH특성제공을 하지못할뿐만 아니라 r값 증가효과도 포화되고 또한 코스트의 상승이 초래된다.
B : B는 내냉간가공취성을 얻는데 효과적인 원소로서 필요에 따라서 첨가될 수 있다. 소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01% 이상만큼 첨가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0.0030%를 초과하면, 이 효과는 포화되고, r값이 열화된다. 따라서 첨가량은 0.0001 내지 0.0030%의 범위이내로 한정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화학조성의 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간압연 또는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에 의해 강판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최종제품에 있어 목표로 하는 r값 및 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통상적공정으로 또는 슬랩을 Ar3점 이하까지 냉각함이 없이 직접 열간압연을 하거나 또는 재가열처리후 열간압연하여 제조된 강판 또는 이렇게 열간압연된 강판에 추가로 산세척 및 냉간압연을 행하여 제조된 강판이 소둔전의 출발강판으로 사용된다.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의 조건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열간압연은 상기 조성의 강을 1000 내지 1250℃로 가열한 뒤 (Ar3-50) 내지 (Ar3+100)℃ 범위내의 마무리온도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이것은 열간압연에 의해 입자크기를 미세화하고 집합조건을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것이 r값의 개선의 견지에서 필요하고 마무리온도는 항상 Ar3점 이상이 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적용된다. 따라서 마무리온도의 범위는 (Ar3-50) 내지 (Ar3+100)℃로 한정한다.
열간압연후의 권취온도는 강에 있는 고용 C 및 N을 탄질화물로서 고정시키기 위해 400 내지 8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r값에 유리한 (111)집합조직을 발달시키기 위해 총압하율 60 내지 90%로 냉간압연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뒤, 예컨대 열간압연강판 또는 냉간압연강판과 같은 출발강판에 대해 재결정 온도이상의 온도에서 연속소둔 또는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의 소둔이 행하여지며, 여기에서 소둔은 연속적으로 실행됨과 동시에 침탄처리 및/또는 질화처리가 어느 경우에나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우수한 내냉간가공취성을 얻고 BH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2 내지 30ppm의 고용 C 및/또는 고용 N을 얻을 수 있는 그런 조건하에서 처리가 행해져야 한다. 그 양이 2ppm이하이면, 내냉간가공취성을 얻기 위해 입계의 결합을 메꾸는데 필요한 C 및 N의 양이 불충분하다. 반면에 30ppm을 초과하면, 신장율과 같은 가공성이 열화되고 연속소둔에서의 강판의 통과속도는 저하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내냉간가공취성을 얻기 위해서는 2 내지 5ppm의 양이 바람직하며, BH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5 내지 30ppm의 양이 바람직하다.
침탄처리는 CO 또는 저급탄화수소를 혼입시키면서 환원성 분위기에서 탄소소텐샬을 부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목표로 하는 침탄량은 탄소 포텐샬, 소둔온도 및 소둔시간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제어한다. 연속소둔로에서의 체류시간은 2초 내지 2분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화처리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NH3를 혼입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목표로 하는 질화량은 NH3분압, 소둔온도 및 소둔시간의 조합에 의해 제어한다. 연속소둔로내의 체류시간은 2초 내지 2분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에 용융아연도금을 하기 위해서는,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의 소둔과 동시에 침탄처리 및/또는 질화처리를 미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어서 3℃/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400 내지 550℃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냉각속도 3℃/초 이하이면,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한다. 또한 피복조의 온도와 실질적으로 같은 400 내지 550℃까지 강판의 온도를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렇게하는 것이 피복부착성의 견지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 과시효(overaging)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과시효를 400 내지 550℃에서 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냉각된 강판을 용융아연피복조중에 침지한다. 필요에 따라 합금처리를 추가로 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표 1에 표시한 화학조성을 가진 강 No.1을 용융하여 제조하고 Ar3점 아래로 낮아지지 않도록 하면서 110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인 92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그런다음 650℃에서 권취하고 산세척한후, 8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냉간압연강판을 얻었다.
그런후에 냉간압연 강판을 하기의 7가지 방법으로 소둔하였다.
(1) CO/0.3%, H2/5% 및 H2/잔부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의 850℃×50sec의 연속소둔.
(2) CO/0.3%, H2/5% 및 N2/잔부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 850℃×30sec로 소둔하고 나서, 5℃/sec의 냉각속도로 약 450℃까지 냉각한 후 침지하는 용융아연도금라인을 통과시킴.
(3) CO/0.7%, H2/5% 및 N2/잔부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의 850℃×80sec의 연속소둔.
(4) CO/0.7%, H2/5% 및 N2/잔부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의 820℃×65sec로 소둔하고 나서, 5℃/sec의 냉각속도로 약 450℃까지 냉각한 후 침지하는 용융아연도금라인을 통과시킴.
(5) NH3/1%, H2/5% 및 N2/잔부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의 850℃×90sec의 연속소둔.
(6) NH3/1%, H2/5% 및 N2/잔부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의 830℃×60sec로 소둔하고 나서, 5℃/sec의 냉각속도로 약 450℃까지 냉각시킨후 침지하는 용융아연도금라인을 통과시킴.
(7) H2/5%, N2/95%로 이루어지는 분위기에서의 850℃×90sec의 연속소둔(비교예).
표 2는 이와같이 해서 얻어진 제품 r값, 냉간가공 취성에 대한 임계온도 및 BH량을 나타낸다.
취성시험에 있어서 총 인발율 2.7로 컵성형하여 얻은 컵을 35㎜ 높이로 트리밍한 후, 꼭지각이 40°인 원추형 펀치를 각 시험온도에서 냉매중의 컵에 밀어넣어 균열이 일어나지 않는 임계온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냉간 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로 정의하였다.
[표 1 시험강의 화학조성(중량%)]
Figure kpo00005
[표 2]
Figure kpo00006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낸 화학조성을 가진 강 No.2를 용융하여 제조하고, 일단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나서, 115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 90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650℃에서 권취하고, 산세척한 후 압하율 78%로 냉간압연하여 냉간압연 강판을 얻었다. 이와같이 해서 얻은 냉간압연 강판을 실시예 1에 표시한 조건 (1)∼(7)하에서 소둔한 후의 r값, 냉간가공 취성의 임계온도 및 BH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화학조성을 가진 강 No.3을 용융하여 제조하여 다음 4종의 열간압연 강판을 얻었다.
(a) Ar3점 아래로 하회시키지 않으면서 1050℃로 가열하고, 그런후에 마무리온도 90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이어서 580℃에서 권취하였다(판두께 : 2.0㎜).
(b) 강을 일단 실온까지 냉각하고 나서, 115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 88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나서, 600℃에서 권취하였다(판두께 : 2.0㎜)
(c) 강을 일단 실온까지 냉각하고 나서, 110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 650℃에서 열간압연으로 종료하고 나서, 400℃에서 권취하였다(판두께 : 2.0㎜)
(d) 강을 일단 실온까지 냉각하고 나서 110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 65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나서, 400℃에서 권취하였다(판두께 : 2.0㎜)
이렇게 해서 얻은 열간압연 강판을 실시예 1에 표시한 조건((3), (4), (7))하에서 소둔한 후의 제품의 r값, 연신율 El,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 및 BH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낸 화학조성을 가진 강 No.4를 용융하여 제조하고, 일단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나서, 120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 92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700℃에서 권취하고, 산세척한 후 압하율 75%로 냉간압연하여 냉간압연 강판을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냉간압연 강판을 실시예 1에 표시한 조건((1), (3), (5) 및 (7))하에서 소둔처리한 후의 제품의 r값,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 및 BH량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표 1에 나타낸 화학조성을 가진 강 No.5를 용융하여 제조하고, 일단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나서 1200℃로 가열하고, 마무리온도 90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700℃에서 권취하고, 산세척한후 압하율 75%로 냉간압연하여 냉간압연 강판을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냉간압연 강판을 실시예 1에 표시한 조건((2), (4), (6) 및 (7))하에서 소둔처리한 후의 제품의 r값,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 및 BH량을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007
[표 4]
Figure kpo00008
[표 5]
Figure kpo00009
[표 6]
Figure kpo00010
[실시예 6]
표 7에 표시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시험강을 1250℃에서 30분동안 가열함으로써 용체화처리를 실행하고, 마무리온도 90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한후 750℃에서 권취하였다.
그런 다음 산세척하고, 강판을 7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고, 침탄분위기가스와 불활성가스중에서 연속소둔으로서 850℃에서 1분동안 재결정소둔을 행한 후, 약 70℃/s의 냉각속도로 400℃까지 냉각한 다음, 그 온도에서 3분동안 과시효처리를 실시하고, 1%의 스킨패스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형성된 냉간압연 강판의 냉간가공 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와 기계적특성은 표 8에 나타냈으며, 그것들 중 몇가지 특성은 정리하여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내었다.
취성시험에서, 총인발율 2.7로 컵성형하여 얻은 컵을 35㎜높이로 트리밍한 후, 꼭지각이 40°인 원추형 펀치를 각각의 시험온도에서 냉매중의 컵에 밀어넣고,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임계온도를 측정하여 그것을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로서 정의하였다.
표 8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 내냉간가공취성은 디입드로잉용 냉간압연강판으로서의 요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불활성 가스중에서 연속소둔을 실행한 비교예의 강판은 내냉간가공취성이 불량하였고, 침탄분위기 가스중에서 연속소둔을 실행한 다른 비교예의 강판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화학적 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프레스 성형성에 뿐만아니라 내냉간가공취성에 있어서도 불량하였다.
제1도는 P첨가량이 0.015% 이하인 강에서 (Ti*/48+Nb/93)/(C/12)과 r값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만약 (Ti*/48+Nb/93)/(C/12)의 값이 4.5를 초과하게 되면 r값이 실질적으로 포화됨을 알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경우와 동일한 강에서 (Ti*/48+Nb/93)/(C/12)의 값과 냉간가공 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화학조성을 가지는 강에 대하여 침탄분위기 가스중에서 연속소둔을 시행함으로써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제3도는 P첨가강에 있어서의 P첨가량과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냉각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는 본 발명의 범위내의 P첨가량을 가지고 있는 강에 있어서 침탄분위기 가스중에서 연속소둔을 시행함으로써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표 7 시험강의 화학조성(중량%)]
Figure kpo00011
(참조) X=(Ti*/48+Nb/93)/(C/12)에 있어서 Ti*=Ti-{(48/32)×S)+(48/14)×N}
[표 8]
Figure kpo00012
[실시예 7]
표 9에 표시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극저탄소강에 1150℃에서 30분동안 가열함으로써 용체화처리를 시행하고, 마무리온도 890℃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한 후, 이어서 720℃에서 권취하고 산세척한후, 7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그런 다음 강판을 침탄분위기가스 또는 불활성가스중에서 780℃에서 40초동안 용융아연도금라인내에서 재결정 소둔을 행한 후, 450℃에서 용융아연도금을 시행한 다음, 추가로 0.8% 스킨패스를 실행하였다.
얻어진 용융아연도금 냉간압연강판에 대하여 기계적 특성, r값 및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취성시험에서, 총인발율 2.7로 컵성형하여 얻은 컵을 높이 35㎜로 트리밍한 후, 각각의 시험온도에서 꼭지각이 40°인 원추형펀치를 냉매중의 컵에 밀어넣고, 균일이 발생하지 않은 임계온도를 측정하고, 그것을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로서 정의하였다.
표 10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품은 비교예와 비교했을때 디입드로잉용 용융아연도금냉간압연 강판으로서 프레스성형성(r값)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내냉간가공취성을 가지고 있다.
제4도는 P첨가량이 0.025%인 강에 있어서의(Ti*/48+Nb/93)/(C/12)의 값과 r값 및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4도로부터(Ti*/48+Nb/93)/(C/12)의 값이 본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본발명의 실시예의 강판은 r값이 낮고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5도는 P함유량과 냉간가공취성에 대한 임계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P가 입계에 편석되어 냉간가공취성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내냉간가공취성은 침탄처리에 의해 소정량의 C를 존재시킴으로써 개선되고, 더욱이 B의 첨가에 의해 내냉간가공취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9 시험강의 화학조성(중량%)]
Figure kpo00013
(참조 1) Ti*=Ti-(48/32)×S-(48/14)×N(%)
(참조 2) X=(Ti*/48+Nb/93)/(C/12)
[표 10]
Figure kpo00014
본 발명에 따라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IF강이 사용되고 고용 C 또는 N의 필요량이 연속소둔 또는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의 소둔에 의해 확보되기 때문에, 종래방법에 비해서 박강판으로서 요구되는 특성, 특히 성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내냉간가공취성이 우수하거나 또는 BH특성이 부여된 강판을 높은 생산성으로 얻은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C : 0.007중량% 이하, Si : 0.1중량% 이하, Mn : 0.05 내지 0.50중량%, P : 0.10중량% 이하, S : 0.015중량% 이하, 가용성 Al : 0.005 내지 0.05중량%, N : 0.006중량% 이하가 함유되어 있고, 또한 Ti와 Nb가 단독 또는 복합으로 하기식(1)에 따른 유효 Ti량(Ti*로 표시)과 Nb량과 C량과의 관계가 하기식(2)을
    Figure kpo00015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함유되어 있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료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열간압연한 후, 연속소둔을 행함과 동시에 강판중의 고용 C량과 고용 N량, 고용 C량 또는 고용 N량이 2 내지 30ppm이 되도록 연속침탄 처리와 질화처리, 연속침탄처리 또는 질화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0.0001 내지 0.0030중량%의 B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한정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에 대하여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한 후, 연속소둔을 행함과 동시에 강판중의 고용 C량과 고용 N량, 고용 C량 또는 고용 N량이 2 내지 30ppm이 되도록 연속침탄처리와 질화처리, 연속침탄처리 또는 질화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4. 제1항과 제2항에서 한정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을 1000 내지 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 후, 열간압연을 행하여(Ar3-50) 내지 (Ar3+10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강판을 4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이것을 산세척하고, 냉간압연을 총압하율 60 내지 90%의 범위내에서 행하고, 침탄분위기가스중에서 재결정온도이상의 온도에서 연속소둔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한정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열간압연 또는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한후,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 연속소둔을 행함과 동시에 강판중의 고용 C량과 고용 N량, 고용 C량 또는 고용 N량이 2 내지 30ppm이 되도록 연속침탄처리와 질화처리, 연속침탄처리 또는 질화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한정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을 1000 내지 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후, 열간압연을 행하여(Ar3-50) 내지 (Ar3+10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강판을 400 내지 8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고, 이것을 산세척하고, 냉간압연을 행하고, 침탄분위기가스중에서 재결정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고용 C량을 2 내지 30ppm으로 제어하고, 이어서 연속적으로 용융아연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한정된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는 강을 1000 내지 1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후, 열간압연을 행하여(Ar3-50) 내지 (Ar3+100)℃의 온도범위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강판을 400 내지 80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고, 이것을 산세척하고, 냉간압연을 행하고, 침탄분위기가스중에서 재결정온도이상의 온도로 연속소둔을 행하여 고용 C량을 2 내지 30ppm으로 제어하고, 이어서 이것을 3℃/s 이상의 냉각속도로 400 내지 550℃의 온도로 냉각하고, 이어서 연속적으로 용융아연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 냉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00012246A 1989-08-09 1990-08-09 강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30001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6305 1989-08-09
JP1206305A JPH07116521B2 (ja) 1989-08-09 1989-08-09 薄鋼板の製造方法
JP1-230873 1989-09-05
JP1230873A JPH0784618B2 (ja) 1989-09-05 1989-09-05 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1-286853 1989-11-02
JP1286853A JPH0784620B2 (ja) 1989-11-02 1989-11-02 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深絞り用溶融亜鉛メッキ冷延鋼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836A KR910004836A (ko) 1991-03-29
KR930001519B1 true KR930001519B1 (ko) 1993-03-02

Family

ID=2732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246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1519B1 (ko) 1989-08-09 1990-08-09 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5714A (ko)
EP (1) EP0421087B1 (ko)
KR (1) KR930001519B1 (ko)
CA (1) CA2022907C (ko)
DE (1) DE690145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84B1 (ko) * 1990-07-31 1994-05-03 가와사키 세이데츠 가부시키가이샤 침탄 · 침질대를 구비한 연속 어닐링로
CA2067043C (en) * 1991-04-26 1998-04-28 Susumu Okad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non-aging property at room temperature and suitable for draw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781297B2 (ja) * 1991-10-29 1998-07-30 川崎製鉄株式会社 耐2次加工脆性に優れ面内異方性の少ない冷延薄鋼板の製造方法
DE69323441T2 (de) * 1992-03-06 1999-06-24 Kawasaki Steel Corp., Kobe, Hyogo Herstellung von hoch zugfestem Stahlblech mit ausgezeichneter Streckbördel-Verformfähigkeit
CA2097900C (en) * 1992-06-08 1997-09-16 Saiji Matsuok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ing in deep draw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356493A (en) * 1992-07-08 1994-10-18 Nkk Corporation Blister-resistant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0179419B1 (ko) * 1993-07-28 1999-02-18 타나카 미노루 응력부식균열에 강한 캔용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420370B2 (ja) * 1995-03-16 2003-06-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70323B2 (ja) * 1996-06-05 2007-09-05 デュラセ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リチウム化リチウム酸化マンガンスピネルの改良された製造法
JP4177478B2 (ja) * 1998-04-27 2008-1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パネル形状性、耐デント性に優れた冷延鋼板、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BE1011066A3 (fr) * 1997-03-27 1999-04-06 Cockerill Rech & Dev Acier au niobium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s plats a partir de celui-ci.
BE1011178A3 (fr) * 1997-05-27 1999-06-01 Metallurigiques Ct Voor Resear Procede de fabrication en continu d'une bande en acier pour emboutissage presentant des proprietes de surface ameliorees.
JPH11305987A (ja) 1998-04-27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キスト音声変換装置
EP1371744A4 (en) 2001-03-21 2006-11-08 Honda Motor Co Ltd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745971B2 (ja) 2001-03-21 2006-0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鋼材料
KR100584755B1 (ko) * 2001-12-24 2006-05-30 주식회사 포스코 소부경화성을 갖는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DE102010017354A1 (de) * 2010-06-14 2011-12-1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armgeformten und gehärteten, mit einer metallischen Korrosionsschutzbeschichtung überzogenen Stahlbauteils aus einem Stahlflachprodukt
CN104060163A (zh) * 2013-09-12 2014-09-24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冷成型用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CN104060164B (zh) * 2013-09-12 2016-07-20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冷成型用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BR102014028223A2 (pt) * 2014-11-12 2016-06-28 Companhia Siderúrgica Nac produto laminado a quente em aços longos e uso do mesmo
CN112319129A (zh) * 2020-02-27 2021-02-05 浙江航通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轻量化汽车轮辋结构及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682A (en) * 1972-11-14 1974-11-12 Armco Steel Corp Method of strengthening low carbon steel and product thereof
BE854083A (fr) * 1977-04-28 1977-08-16 Centre Rech Metallurgique Procede pour ameliorer la qualite des toles en acier doux pour emboutissage
EP0041354B2 (en) * 1980-05-31 1993-11-03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old rolled steel sheets having a noticeably excellent formability
JPS5751260A (en) * 1980-09-09 1982-03-26 Daido Steel Co Ltd Method for carbonitriding
JPS6113659A (ja) * 1984-06-28 1986-01-21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2112729A (ja) * 1985-11-12 1987-05-23 Kawasaki Steel Corp 非時効性溶融亜鉛めつき鋼板の製造方法
JP2782086B2 (ja) * 1989-05-29 1998-07-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気特性、皮膜特性ともに優れた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1087A2 (en) 1991-04-10
KR910004836A (ko) 1991-03-29
CA2022907C (en) 1994-02-01
EP0421087A3 (en) 1991-09-04
US5085714A (en) 1992-02-04
DE69014532D1 (de) 1995-01-12
CA2022907A1 (en) 1991-02-10
DE69014532T2 (de) 1995-05-04
EP0421087B1 (en) 199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519B1 (ko) 강판의 제조방법
EP2415894B1 (en)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828153B2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US6306527B1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220232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US10023931B2 (en) Method of production of hot dip galvannea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workability, powderability, and slidability
CN101297051B (zh) 耐粉化性优异的高强度合金化熔融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EP2623622B1 (e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deep draw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3956550B2 (ja) 強度延性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005528519A5 (ko)
JP2011052317A (ja) 複合組織鋼板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5133815A (en) Cold-rolled steel sheets or hot-dip galvanized cold-rolled steel sheets for deep drawing
EP1577407B1 (en) Alloyed-molten-zinc-pl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high strength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3305932B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0406619A1 (en) Process for producing galvanized, non-aging cold rolled steel sheets having good formability in a continuous galvanizing line
JP2023503360A (ja) 鋼物品にホットプレス成形する方法及び鋼物品
EP2740813A1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3263143B2 (ja) 加工性に優れた焼付硬化型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177477B2 (ja) 耐常温時効性とパネル特性に優れた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11080126A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67205B2 (ja) 鋼板の歪時効処理方法および高強度構造部材の製造方法
EP1932932A1 (en)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coating curability in baking and cold slow-aging proper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519854B1 (ko) 도금 밀착성 및 가공성이 뛰어난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H0530900B2 (ko)
JPH07116521B2 (ja) 薄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3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