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9680B1 -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 Google Patents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680B1
KR920009680B1 KR1019890010445A KR890010445A KR920009680B1 KR 920009680 B1 KR920009680 B1 KR 920009680B1 KR 1019890010445 A KR1019890010445 A KR 1019890010445A KR 890010445 A KR890010445 A KR 890010445A KR 920009680 B1 KR920009680 B1 KR 92000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reen
tuner
microcomputer
v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024A (ko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680B1/ko
Publication of KR91000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TV 5 : 화면 다중 콘트롤러
8 : 튜너 9 : 마이콤
10 : 프리앰프 20 : VCR
본 발명은 TV튜너와 VCR튜너를 함께 이용하여 1개의 튜너로 다중 화면(Picture in Picture)을 구성시킬 수 있도록한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CR, TV, TV일체형 VCR에서 다중 화면을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튜너가 2개 필요하게 되므로 1개의 튜너를 이용함에 비하여 비경제적인 것이었다.
즉 TV나 VCR에는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의 튜너가 필연적으로 구성되어 하나 다중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또하나의 튜너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2튜너의 구성에 의한 생산비 앙등이 필연적으로 부가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하여 TV의 1튜너와 VCR의 1튜너를 이용하여 다중 화면을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TV또는 VCR개개로서는 1개의 튜너가 구성되어 있어 화면 다중 방송을 구성시킬수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1튜너를 가진 TV와 VCR을 이용하여 다중 화면을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1튜너를 갖춘 TV(4)와 VCR(20)을 연결하여 다중 화면을 구성시키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써 분배기(2)에서 인가된 RF신호를 마이콤(9)의 콘트롤에 의하여 튜닝시키는 튜너(8)와, 상기 튜너(8)의 비데오 신호와 비데오 헤드(6)에서 픽업되어 Y/C블록(7)을 통과한 재생신호(PB)를 마이콤(9)의 제어신호(PB2)로 스위칭 선택하여 자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W2)와, 상기 Y/C블록(7)의 재생신호(PB)와 TV(4)의 비데오 신호를 마이콤(9)의 제어신호(PB1)로 스위칭 선택하여 모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W3)와, 마이콤(9)의 콘트롤에 의해 화면 다중 비데오 신호를 만들어 TV(4)와 RF변조부(3)에 인가시키는 화면 다중 콘트롤러(5)와, 상기 RF변조부(3)의 출력과 분배기(2)의 출력을 마이콤(9)의 제어신호(V)T)로 스위칭 선택하여 TV(4)에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W1)로 VCR(20)을 구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되지 아니한 리모콘 송신기로부터 인가된 리모콘 신호는 프리앰프(10)를 통하여 증폭된 후 마이콤(9)에 인가되게 되고 마이콤(9)에서는 리모콘 신호를 데코드(Decode)하여 VCR튜너(8)와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콘트롤 신호를 인가시키는 한편 각 선택스위치(SW1)(SW2)(SW3)에 제어신호(V/T)(PB2)(PB1)을 인가시킨게 된다.
이때 안테나(1)를 통하여 수신되는 RF신호는 분배기(2)에서 분배된후 선택스위치(SW1)에 인가됨과 동시에 VCR튜너(8)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튜너(8)에서 선국된 방송 신호는 선택스위치(SW2)에 인가되어 비데오 헤드(6)에서 픽업되고 Y/C블록(7)에서 신호처리된 비데오 신호와 선택되어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자화면신호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분배기(2)에서 분배된 RF신호는 RF변조부(3)의 출려과 선택스위치(SW1)에서 선택되어 TV(4)내의 튜너에 인가되어 방송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러한 TV(4)의 방송신호는 선택스위치(SW3)에 인가되어 Y/C블록(7)을 통과한 재생신호(PB)와 선택되어진후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모화면 신호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서 화면 다중 처리된 비데오 신호는 TV(4)의 비데오 신호 입력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RF변조부(3)를 통하여 변조된후 선택스위치(SW1)에 인가되어 분배기(2)에서 분배된 RF신호와 선택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TV신호와 VCR신호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SW1)는 마이콤(9)의 제어신호가 "0"로 인가되면 단자(TV)를 선택하고 TV(4)의 튜너에서 공급되는 비데오 신호 및 VCR에서 재생되는 재생신호(PB)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SW3)는 마이콤(9)의 제어신호(PB1)가 "1"로 인가되면 단자(Video)를 선택하며 튜너(8)에서 공급된 신호와 VCR에서 재생되는 재생신호(PB)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SW2)는 마이콤(9)의 제어신호(PB2)가 "0"로 인가되면 단자(Video)를 선택하게 구성되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1도에 의거 살펴본후 본 발명의 마이콤 동작을 제2도에 의거 설명한다.
먼저 리모콘 신호는 프리앰크(10)에서 증폭되어 마이콤(9)에 인가되므로 마이콤(9)에서는 리모콘 신호를 데코드하여 어떤 키가 눌렸는지 분석한후 그에 맞는 콘트롤 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VCR(20)내부의 튜너(8)는 이러한 마이콤(9)의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게 되며 마이콤(9)의 콘트롤 신호(DATA, CLOCK, STROBE)는 튜너(8)에 인가되어 분배기(2)에서 분배된 RF신호를 튜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게 된다.
그리고 튜너(8)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는 선택스위치(SW2)에 인가되어 비데오 헤드(6)에서 픽업된 후 Y/C블록(7)에서 신호 처리된 재생신호(PB)와 마이콤(9)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PB2)에 의해 선택된후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자화면 신호로 공급되게 된다.
즉 마이콤(9)에서 제어신호(PB2)를 제어하여 선택스위치(SW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므로써(제어신호(PB2)가 "0"일대 단자(Video)로 절환됨) 튜너(8)에서 튜닝된 방송신호 및 Y/C블록(7)에서 신호 처리된 재생신호(PB)중 하나가 선택되어 자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테나(1)를 통하여 수신되고 분배기(2)에서 분배된 RF신호는 VCR(20)의 비데오 신호를 RF신호로 변조시켜 TV(4)로 출력시키는 RF변조부(3)의 출력과 선택스위치(SW1)에서 마이콤(9)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V/T)에 의해 선택되어진후(제어신호(V/T)가 "0"일 때 단자(TV)를 선택함) TV(4)의 튜너입력으로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선택스위치(SW1)에서 선택된 RF신호는 TV(4)내의 튜너에서 튜닝되어진후 비데오 출력으로 선택스위치(SW3)에 인가되는 한편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서 인가되는 비데오 입력신호와 도시되지 아니한 내부 스위치에서 선택되어 브라운관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TV(4)의 튜너에서 튜닝되어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는 마이콤(9)에 인가되는 제어신호(PB1)에 의해 Y/C블록(7)의 재생신호(PB)와 선택스위치(SW3)에서 선택된후(제어신호(PB1)가 "0"일 때 단자(PB)를 선택함)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모화면 신호로 공급되게 된다.
즉 TV(4)내의 튜너에서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나 Y/C블록(7)의 재생신호(PB)중 하나의 신호가 선택스위치(SW3)에서 제어신호(PB1)의 논리레벨에 의하여 선택되어진후 선택된 신호가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모화면 신호로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제어신호(PB1)가 "1"로 출력되어 TV(4)의 튜너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모화면 신호로 선택하면 모화면 채널은 TV(4)의 채널선택에 의하여 변경되어지고 제어신호(PB1)가 "0"로 출력되어 Y/C블록(7)의 재생신호(PB)를 모화면 신호로 선택하면 모화면은 VCR(20)의 재생 비데오 신호가 된다.
그리고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서는 마이콤(9)의 콘트롤 신호를 받아 선택스위치(SW3)에서 선택된 모화면 신호와 선택스위치(SW2)에서 선택된 자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신호를 만들어 출력시키게 되며 상기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화면 다중 비데오 신호는 RF변조부(3)와 TV(4)의 비데오 입력단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의 화면 다중키를 눌러 화면 다중 리모콘 신호를 공급해 주면 마이콤(9)에서는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화면 다중 콘트롤신호를 공급하여 선택스위치(SW3)에서 선택된 모화면 신호와 선택스위치(SW2)에서 선택된 자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비데오 신호를 만들어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VCR(20)의 마이콤(9)에서는 화면 다중키가 입력되면 제어신호(V/T)를 "0"로 출력시켜 선택스위치(SW1)에서 분배기(2)의 RF신호를 선택하여 TV(4)에 인가시키고 또한 제어신호(PB2)를 "0"로 출력시켜 선택스위치(SW2)에서 튜너(8)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자화면 신호로 인가시키며 여기서 VCR(20)이 재생 동작중이면 제어신호(PB1)를 "0"로 출력시켜 Y/C블록(7)의 재생신호(PB)를 선택하여 모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인가시키고 VCR(20)이 재생동작중이 아니면 제어신호(PB1)를 "1"로 출력시켜 TV(4)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모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콘트롤로(5)에 인가시킨다.
즉 화면 다중 키가 눌려질 때 VCR(20)이 재생동작 중이 아니면 마이콤(9)에서는 제어신호(V/T)를 "0"로 제어신호(PB2)를 "0"로 제어신호(PB1)를 "1"로 출력시켜 주어 각 선택스위치도(SW1)(SW2)(SW3)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되게 하므로써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모화면 신호는 TV(4)의 튜너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가 인가되고 자화면 신호는 VCR(20)의 튜너(8)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화면상에는 TV(4)의 튜너로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가 모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VCR의 튜너(8)로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가 자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그러나 호면 다중 키가 눌려질 때 VCR(20)이 재생동작중이면 마이콤(9)에서는 제어신호(V/T)(PB2)(PB1)를 모두"0"로 출력시켜 주어 선택스위치(SW1)(SW2)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이 접속시키고 선택스위치(SW3)는 도면 도시와 반대위치로 절환시킴으로써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모화면 신호는 Y/C블록(7)에서 출력된 재생신호(PB)가 인가되게 하고 자화면 신호는 VCR(20)의 튜너(8)에서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가 인가되게 한다.
따라서 화면상에서는 Y/C블록(7)을 통과한 재생신호(PB)가 모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어지고 VCR(20)의 튜너(8)로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가 자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이때 자화면이 n개인 모우드에서는 마이콤(9)에서 스트로빙(strobing)신호가 인가될때마다 마이콤(9)에서 정의된 다음 채널을 튜너(8)에서 선국하여 n개의 자화면 모우드를 구성시키고 자화면이 1개인 모우드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튜너(8)의 방송채널에 의해 자화면을 구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하나의 모화면에 하나이상의 자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기술은 본 발명보다선출원된 특허출원 88-7120호에 기재되어 있다.
즉 화면 다중 키입력시 vcr(20)이 재생동작중이 아니면 마이콤(9)에서 출력시키는 제어신호(V/T, PB1, PB2)에 의해 선택스위치(SW1)(SW2)(SW3)가 도면과 같이 접속되어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모화면 신호로는 TV(4)에서 선국되는 채널의 방송신호가 인가되고 자화면 신호로는 VCR(20)의 튜너(8)에서 선국되는 방송신호가 인가되게 되므로써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서는 TV채널 키에 의해 변경되는 모화면과 VCR채널 키에 의해 선택되는 자화면 신호를 화면 다중 신호로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나 화면 다중 키 입력시 VCR(20)이 재생동작 중일때에는 마이콤(9)에서 제어신호(PB1)를 "0"로 출력시켜 선택스위치(SW3)가 Y/C블록(7)의 재생신호(PB)를 선택하게 절환시킨다.
따라서 이때의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는 모화면 신호로 재생되는 재생신호(PB)가 인가되게 되므로써 재생되는 비데오 신호를 모화면으로 구성하고VCR(20)의 튜너(8)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자화면으로 구성시킨 화면 다중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서 출력된 화면 다중 신호는 TV(4)의 비데오 입력단으로 입력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진다.
그러므로 1개의 튜너를 갖는 TV(4)와 1개의 튜너를 갖는 VCR(20)을 이용하여 다중화면 다중을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화면 다중 키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생된 단순 VCR(20)의 재생신호(PB)는 선택스위치(SW3)에 의해 선택되어 화면 다중 콘트롤러(5)를 통한후(이때에는 화면 다중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고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시킴) RF변조부(3)를 통하여 RF신호로 변조되어 선택스위치(SW1)를 통한후 TV(4)에 인가되므로써 TV(4)의 화면을 통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같은 본 발명의 마이콤(9)의 동작 제어 플로우챠트는 제2도와 같으며 이를 설명한다.
먼저 화면 다중 키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여 화면 다중 키가 입력되면 화면 다중 플래그를 1로 세팅시킨후 제어신호(V/T)를 "0"로, 제어신호(PB2)를 "0"로 출력시켜 선택스위치(SW1)에서 분배기(2)의 RF신호를 선택하고 선택스위치(SW2)에서 튜너(8)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VCR(20)이 재생중 인가를 체크하여 재생중이면 제어신호(PB1)를 "0"로 출력시켜 선택스위치(SW3)에서 Y/C블록(7)의 재생신호(PB)를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모화면 신호로 공급하고 재생중이 아니면 제어신호(PB1)를 "1"로 출력시켜 선택스위치(SW3)에서 TV(4)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모화면 신호로 공급해 준다.
따라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서는 마이콤(9)에서 인가시키는 화면 다중 콘트롤신호 입력에 따라 선택스위치(SW2)(SW3)에서 선택된 자화면과 모화면 신호를 다중 화면 신호로 출력시키게 되며 상기 화면 다중 콘트롤로(5)에서 출력된 다중 화면 신호는 TV(4)에 인가되어 디스플레이 되어지고 다시 VCR(20)은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모화면과 자화면 신호를 다중 화면 신호로 출력시키는 화면 다중 콘트롤러(5)는 공지의 기능블록이다.
그리고 화면 다중 키 입력이 없고 화면 다중 플래그가 1이 아닐 경우나 또는 화면 다중 플래그가 1이나 화면 다중 해제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화면 다중 플래그를 0로 클리어시키며 화면 다중 콘틀로러(5)에 콘트롤 신호를 출력시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의 동작을 중지시킨후 일반 프로세스를 수행시킨다.
그러나 화면 다중 키입력이 없고 화면 다중 플래그가 1일 경우에는 하면 다중 해제 키입력을 체크한다.
이때 화면 다중 해제 키입력이 없으면 스트로빙 엔드(atrobing end) 플래그가 1로 세팅되었는가를 체크한다.
여기서 스트로빙이란 화면 다중 콘트롤로(5)에서 출력된 다중 화면 신호중 자화면이 N개일 경우 각 자화면에 대하여 하나의 자화면만 움직이는 화면(Moving화면)으로 하고 나머지 자화면은 정지된 화면(Still화면)으로 하되 상기된 무빙(Moving)화면과 스틸(Still)화면을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며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스트로빙 엔드플래그가 1로 세팅된 경우는 상기된 스트로빙을 수행하는 단계로써 스킵메모리에 메모리되어 자화면으로 정의된 다음 채널을 선국하고 상기된 자화면 선국이 끝나면 스트로빙 엔드플래그를 0로 세팅시킨후 일반 프로세스를 수행시킨다.
그러므로 스트로빙 엔드플래그가 1이면 상기된 스트로빙을 수행하여 n개의 자화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스트로빙 엔드플래그가 0이면 자화면이 1개인 모우드에서 일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한개의 모화면에 n개의 자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기술내용은 특허출원 88-712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된 기술내용을 이용하여 하나의 튜너로 다중화면을 구성시킨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1튜너를 갖는 TV와VCR을 이용하여 화면 다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화면 다중 기능 수행을 위하여 2개의 튜너를 구성시킨 TV 또는 VCR 이 필요없게 되어 상당한 경제적인 잇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분배기(2)에서 인가된 RF신호를 마이콤(9)의 콘트롤에 의하여 튜닝시키는 튜너(8)와, 상기 튜너(8)에서 튜닝된 비데오 신호와 비데오 헤드(6)에서 픽업되어 Y/C블록(7)을 통과한 재생신호(PB)를 마이콤(9)의 제어신호(PB1)로 스위칭 선택하여 자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 콘트롤러(5)에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W2)와, 상기 Y/C블록(7)의 재생신호(PB)와 TV(4)에서 튜닝된 비데오 신호를 마이콤(9)의 제어신호(PB1)로 스위칭 선택하여 모화면 신호로 화면 다중콘트롤러(5)에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W3)와, 마이콤(9)의 콘트롤에 의해 화면 다중 비데오 신호를 만들어 TV(4)와 RF변조부(3)에 인가시키는 화면 다중 콘트롤러(5)와, 상기 RF변조부(3)의 출력과 분배기(2)의 출력을 마이콤(9)의 제어신호(V/T)로 스위칭 선택하여 TV(4)에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W1)로 VCR(20)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KR1019890010445A 1989-07-21 1989-07-21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KR92000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445A KR920009680B1 (ko) 1989-07-21 1989-07-21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445A KR920009680B1 (ko) 1989-07-21 1989-07-21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024A KR910004024A (ko) 1991-02-28
KR920009680B1 true KR920009680B1 (ko) 1992-10-22

Family

ID=1928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445A KR920009680B1 (ko) 1989-07-21 1989-07-21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927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티브이의 멀티화면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024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181B1 (ko) 영상표시장치및그외부입력단자전환제어방법
JP264292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880013370A (ko) Vcr 일체형의 텔레비젼 수상기
US5442452A (en) Sound mode switching method for multichannel selection and device thereof
EP0377334A3 (en) Picture-in-picture systems
KR920002443Y1 (ko) 메뉴 방식의 멀티채널 편집장치
WO2000027112A1 (fr) Appareil de traitement video et procede de traitement video
KR100206114B1 (ko) 외부 입출력 접속 적응형 비디오라인 접속장치
KR100228672B1 (ko) 비디오텔레비젼시스템의 pip제어방법 및 장치
KR920009680B1 (ko) 1튜너의 다중 화면 구성회로
JP3613408B2 (ja)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4566293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外部入力端子切り換え制御方法
KR19990042500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JPH097002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4334180A (ja) 予約録画予告ディスプレー装置
KR0131980B1 (ko) 더블 피아이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920000086Y1 (ko) 멀티 채널 녹화회로
JPS6128451Y2 (ko)
KR19980044359A (ko) 다중 튜너를 구비한 시스템의 튜너 전환장치
KR0170654B1 (ko) 입출력선택이 가능한 비디오테이프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장치
JP4071669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00228673B1 (ko) 부가제품 동작상태에 따른 부화면제어방법 및 장치
NL192655C (nl) Menu-type meerkanaalsbewerkingseenheid.
KR100197558B1 (ko) 컨버터에서 두채널을 동시에 재생하는 방법
KR0147669B1 (ko) 더블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조정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2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30107

Appeal identifier: 1992201001526

Request date: 19920727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9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