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102B1 -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02B1
KR920000102B1 KR1019910014922A KR910014922A KR920000102B1 KR 920000102 B1 KR920000102 B1 KR 920000102B1 KR 1019910014922 A KR1019910014922 A KR 1019910014922A KR 910014922 A KR910014922 A KR 910014922A KR 920000102 B1 KR920000102 B1 KR 92000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ater
elution
product
doxorubic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피치 에르네스토
바레시오 카를로
기아코마로사 오노리노
Original Assignee
파미탈리아 카를로 에바 에스피에이
기오르기오 오란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24939/82A external-priority patent/IT1155446B/it
Application filed by 파미탈리아 카를로 에바 에스피에이, 기오르기오 오란도 filed Critical 파미탈리아 카를로 에바 에스피에이
Priority to KR101991001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0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본 발명은 수지상의 선택적 흡착에 의한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글리코시드를 거의 순수한 형태로 수득하기 위해서는, 주로 발효제조공정 및 합성 제조공정 모두에 있어서 조생성물중의 유기불순물 및 무기불순물의 양이 특히 높아 평균 12% 내지 25%나 되므로 고도의 특수한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지된 통상의 정제방법에 의하면, 염소화 용매로 조생성물을 추출한 다음 완충제로 세척하면 비록 불순물의 함량이 상당히 저하되긴 하지만 4.5 내지 5.0%의 범위인 최종 생성물이 수득된다.
글리코시드 분자의 취급 및 화학약품에 대한 특별한 민감성을 고려해볼 경우, 상기 순도기준이 허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나, 일반적으로 거의 순수한 최종 생성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정제법의 연구 분야에 우리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왔다. 임상 실험에 있어서의 항암제로서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사용 및 또한 용량 및 독성에 관한 부수적인 문제를 유념해볼 경우, 일반적으로 독성이 높은 불순물의 최적량 제거가 본 발명이 요구하는 유용성을 분명히 입증하는 것이다.
최대 2%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최종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은 산성조건(pH 3 내지 5)하에 여러 형태의 수지상에 조생성물을 흡착시킨 다음 물 또는 물과 극성용매와의 혼합물로 용충출키는 방법을 필수적으로 기초로 하고 있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수용성 용해 물질을 함유하는 약산성 수단이 과립 또는 비드(bead)와 같은 입자중에 분산되는 것과 같이 수지상에 흡착되는 상(Phase)을 포함하며, 제1상 또는 그 과정에서 흡착된 물질이 탈흡착되는 후속단계를 포함한다.
흡착성 수지는 수지입자로 충진된 일반적으로 타우어(tower) 또는 칼럼(column)형태인 적합한 용기 중에 함유될 수 있다. 조생성물중에 함유된 불순물의 형태에 따라서, 제1형태의 수지로부터 물질의 탈흡착에 의해 얻어진 용출물을 편리하게는 상이한 형태의 수지상에 연속적으로 흡착시키고, 이어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출시킨다.
본 크로마토그래프 정제법에 있어서, 중합성 및 이온교환형태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형태의 흡착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정제될 조생성물에 따른 여러 가지 형태의 수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선택, 적합한 순서, 흡착시의 약산성 조건은 최종 생성물을 고순도로 수득할 수 있게 하며, 염소화 유기용매의 사용의 생략 및 정제시 우수한 수율을 가능케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의 정제]
조상태의 역가가 70.2%이고 불순물 함량이 18%인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 15.0g을 0.5% 나트륨 아세테이트 용액 3.6ℓ중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에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 4.7로 조절하여 직경 2.5cm의 칼럼중에 함유된 암버라이트(Amberlite)XAD2 (Rohm and Haas) 수지 400ml 상에 흡착시킨다. 생성물을 물 1000ml로 세척한 다음 물-메탄올(5:1v/v)의 혼합물로 용출시킨다. 제1용출물로서, 아글루콘(aglucon) 및 여러 가지 불순물을 함유하는 용액 2000ml를 수집한다.
물-메탄올(1:1v/v)의 혼합물로 계속 용출시켜 4500ml의 분획을 수집한다: 용액중의 용출물은 10%의 불순물과 함께 상기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을 함유한다.
용출물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2.8로 조절한 다음 1500ml의 용적으로 진공 농축시킨다. 이러한 농용액에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절하고, 약산성 용액을 유속이 150ml/h이고 직경이 2.5cm인 칼럼중에 함유된 CM 세파로오즈(Sepharose) Cl 6B(Pharmacia) 수지 150ml상에 흡착시킨다. 흡착이 완결되면, 칼럼을 우선 물 450ml로 세척하고, 이어서 0.03% 염산으로 용출시킨다.
18%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1용출물 800ml에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pH 4.7로 조절하고, 또 제1정제 단계용 암버라이트 XAD2 수지상에 흡착되어야 할 조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 용액을 재순환시키기 위해 수집한다.
순수한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을 함유하는 후속 용출물(3500ml)을 50ml의 용적으로 진공 농축시킨 다음 250ml의 아세톤을 가하고,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수득된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의 출발 조생성물에 대한 수율은 52%이며, 역가는 97%이며 불순물 함량은 3% 미만이다.
[실시예 2]
[다우노루비신의 정제]
역가가 74.2%이고 불순물 함량이 8.5%인 염소화 다우노루비신 15.0g을 물 4500ml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에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pH 5.0으로 조절하여 유속 600ml/h(1.5/v)에서 직경 2.5cm인 칼럼중에 S112카스텔(Kastell)수지 400ml 또는 암버라이트 ER180(Rohm and Haas) 수지상에 흡착시킨다.
생성물을 1% 염화나트륨 용액 1000ml로 세척한 다음 물-에탄올(1:1v/v)의 혼합물로 용출시킨다.
용액중에 아글루콘을 함유하는 헤드 분획(head fraction) 400ml를 제거하고 계속 용출시켜 순수한 다우노루비신을 함유하는 260ml의 용출물을 재수집한다. 여기에 희염산을 첨가하여 pH 2.5 로 조절하고, 아세톤을 가한 다음 이 생성물을 온도 5℃에서 6시간 동안 결정화시킨다. 생성물을 여과시켜, 아세톤으로 세척한 다음 12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다.
출발 조생성물에 대한 수득된 다우노루비신의 수율은 80%이며, HPLC로 측정한 결과 역가가 97%, 불순물 함량이 2.6%이다.
[실시예 3]
[4-데메톡시-독소루비신의 정제]
불순물 함량이 14%인 4-데메톡시-독소루비신 10.4g을 함유하는 수용액 2000ml를 유속 250ml/h에서 직경 2.5cm인 칼럼중에 함유된 ER 180(Rhom and Haas)수지 50ml상에 흡착시킨다.
이어서 불순물의 선택 흡수에 의해 부분 정제된 용출물을 CM 세파로오즈 C1 6B(Pharmacia) 수지 200ml상에 흡착시킨다. 이 생성물을 메탄올 50, 및 농염산 0.015의 혼합물로 용출시키고, 아글루콘 및 기타 불순물을 함유하는 헤드분획(약 800ml)을 제거하나. 이어서 순수 물질을 함유하는 2000ml의 용출물을 수집하여, 60ml로 진공 농축시킨다. 3시간 교반하면서, 300ml의 아세톤을 가한다.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수득된 순수한 4-데메톡시-독소루비신 6.5g의 수율은 이론치의 58.2%이고 불순물 함량은 3%이다.
[실시예 4]
[4′-데속시-독소루비신의 정제]
광물성염의 불순물 함량이 12%, 유기불순물 함량이 12%, 역가가 69.2%인 4′-데속시-독소루비신 15.0g을 물 2000ml중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유속 600ml/h에서 CM 세파덱스(Sephadex) C25 수지 300ml상에 흡착시킨다. 흡착이 완결되면, 이 용액을 0.03% 염산으로 용출시켜 4′-데속시-독소루비신을 함유하는 분획(6500ml)을 수득한다.
나트륨 수화물 용액을 첨가하여 pH 3.8으로 조절한 상기 용출물을 유속 400ml/h에서 S 112 카스텔 수지 200ml상에 흡착시킨다. 이 생성물을 물 600ml로 세척한 다음 염산을 첨가하여 pH 2.0로 산성화한 메탄올로 용출시킨다.
수득된 600ml의 중간 용출물(Core eluate)을 60ml로 진공 농축시킨다. 교반하에 농축된 용액을 600ml의 아세톤중에 서서히 가한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시켜 아세톤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수득된 4′-데속시-독소루비신의 수율은 이론치의 61%이고 역가는 95.8%이고, 불순물 함량은 4.2%이다.
[실시예 5]
[4′-에피-독소루비신의 정제]
역가가 75.9%이고 불순물 함량이 15%인 조 4′-에피-독소루비신 15.0g을 4000ml의 물에 용해시킨다.
용액에 포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pH 4.8으로 조절하고, 유속 1600ml/h(4 b.v.)에서 직경 2.5cm인 칼럼중에 함유된 암버라이트 IRC 724 수지 400ml상에 흡착시킨다.
칼럼을 물 800ml로 세척한 다음 메탄올 95, 물 5 및 농염산 0.015의 혼합물로 용출시킨다. 4000ml의 중간 용출물은 10% 불순물을 함유하는 4′-에피-독소루비신과 불순물 함량이 많은 1500ml의 최종 용출물과 함께 수집한다.
중간 용출물을 1500ml로 농축시켜 포름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pH 4.8로 조절한 다음, 유속 500ml/h(2b.v)에서 직경 2.5cm인 칼럼중에 함유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와트만 수지 250ml상에 흡착시킨다.
흡착이 완결되면, 생성물을 에탄올 99.3, 물 0.7 및 농염산 0.015의 혼합물로 세척한 다음, 에탄올 90, 물 10 및 농염산 0.05의 혼합물을 용출시켜 3200ml의 중간 용출물을 수집한다.
이 용출물을 60ml로 진공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300m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침전시킨다. 수득된 6.9g의 4′-에피-독소루비신의 역가가 91.2%이고 불순물 함량이 3%이며 수율은 55.3%이다.
[실시예 6]
[독소루비신의 정제]
(a) 70g의 독소루비신을 28ℓ의 물에 용해시킨 다음 완충제를 첨가하여 pH 3.7 내지 4.5로 조절하고, 이어서 용액을 직경 6cm인 칼럼 중에 함유된 S 112 카스텔수지 2ℓ상에 흡착시킨다. 이 생성물을 물 35ℓ와 메탄올 15ℓ의 혼합물로 용출한다.
용출물(40ℓ)을 0.5ℓ로 진공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에 5℃에서 3시간 교반하면서 에탄올 1ℓ와 아세톤 4.5ℓ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결정화시킨다.
이 생성물을 여과시켜, 0.8ℓ의 아세톤으로 세척한 다음 4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한 번 정제된 독소루비신(Ⅰ) 56.0g이 수득된다.
(b) 방법 (a)에 의해 수득된 한 번 정제된 독소루비신 80.0g을 24ℓ의 물에 용해시키고 완충제를 첨가하여 pH 4.0으로 조절한다.
이 용액을 직경이 12cm인 칼럼중에 함유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즈 와트만 수지 1.6ℓ상에 흡착시킨다.
칼럼 유출물을 제거한다.
3.2ℓ의 물로 세척한 후, 생성물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2.5로 조절한 물 55ℓ로 용출시킨다.
46ℓ의 용출물을 수집하여 0.6ℓ의 용적으로 진공 농축시킨 다음, 생성물을 이소프로판올-아세톤(1:3)의 혼합물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결정화시킨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1ℓ의 아세톤으로 세척한 다음 40℃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수득된 65g의 독소루비신은 역가가 98.5%이고 불순물 함량이 1.5%이다.

Claims (5)

  1. pH 약 4.7로 조절된, 조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의 수용액을 암버라이트 XAD2 수지상에 흡착시킨 후, 용출용매로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생성물을 탈흡착시키고, 이어 정제된 생성물을 pH 약 4에서 CM 세파로오즈 Cl 6B수지상에 재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약산성 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보다 정제된 생성물을 탈흡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법 또는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4-데메톡시-다우노루비신의 정제방법.
  2. pH 약 5로 조절된, 조 다우노루비신의 수용액을 S 112 카스텔또는 암버라이트 ER 180수지상에 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생성물을 탈흡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법 또는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다우노루비신의 제조방법.
  3. pH 3 내지 5로 조절된, 조4-데메톡시-독소루비신의 수용액을 암버라이트 ER 180수지상에 흡착시키고, 이어 정제된 생성물을 CM 세파로오즈 Cl 6B수지상에 재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메탄올과 약산성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공정에 의해 보다 정제된 생성물을 탈흡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법 또는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4-데메톡시-독소루비신의 정제방법.
  4. 조 4′-데속시-독소루비신의 수용액을 CM 세파덱스 C 25수지상에 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약산성 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생성물을 탈흡착시키고, 이어 정제된 생성물을 pH 약 3.8에서 S 112 카스텔수지상에 재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보다 정제된 생성물을 탈흡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법 또는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4′-데속시-독소루비신의 정제방법.
  5. pH 약 4.8로 조절된, 조 4′-에피-독소루비신의 수용액을 암버라이트 IRC 724수지상에 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약산성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생성물을 탈흡착시키고, 이어 정제된 생성물을 pH 약 4.8에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수지상에 흡착시킨 후, 용출 용매로 약산성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용출 공정에 의해 보다 정제된 생성물을 탈흡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법 또는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4′-에피-독소루비신의 정제방법.
KR1019910014922A 1982-12-23 1991-08-23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Expired KR92000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922A KR920000102B1 (ko) 1982-12-23 1991-08-23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4939A/82 1982-12-23
IT24939/82A IT1155446B (it) 1982-12-23 1982-12-23 Procedimento per la purificazione di glucosidi antraciclinonici mediante adsobimento selettivo su resine
KR1019830006090A KR900008743B1 (ko) 1982-12-23 1983-12-22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KR1019910014922A KR920000102B1 (ko) 1982-12-23 1991-08-23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090A Division KR900008743B1 (ko) 1982-12-23 1983-12-22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102B1 true KR920000102B1 (ko) 1992-01-09

Family

ID=2727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922A Expired KR920000102B1 (ko) 1982-12-23 1991-08-23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1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743B1 (ko)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EP3064214A1 (e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for vancomycin hydrochloride of high purity
Hrazdina Column chromatographic isolation of the anthocyanidin-3, 5-diglucosides from grapes
US4440753A (en) Purification of glycopeptide antibiotics using non-functional resins
JPH0645626B2 (ja) セフタジジムの回収方法
KR920000102B1 (ko) 안트라시클리논 글리코시드의 정제방법
CN113087774B (zh) 棘白菌素b母核降解杂质的去除方法
US664975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carbose with high purity
CN116854755A (zh) 一种高纯度京尼平苷的分离纯化方法及其应用
JP3141029B2 (ja) ペントスタチンの精製方法
IE42633B1 (en) Purification of cephamycin c
RU2332248C1 (ru) Способ хроматограф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бусерелина
US4313875A (en) Purification of penicillin derivative
JPS628118B2 (ko)
JP2000351791A (ja) ドキソルビシンの精製方法
WO2003014135A1 (en) Method for purification of acarbose
KR840000798B1 (ko) N'-메틸-d-아스파라길 아목시실린의 정제방법
JPH0737434B2 (ja) 7−ジメチルアミノ−6−デメチル−6−デオキシテトラサイクリンの採取法
JPS6149317B2 (ko)
CN116514927A (zh) 一种替考拉宁的纯化方法
WO1998026085A1 (fr) Procedes de fabrication de vancomycine
KR800001596B1 (ko) 복상식 수지 칼럼을 이용한 세파로스포린 c의 선별 회수법
RU202630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ного раствора сырого доксорубицина
JPH10225299A (ja) バンコマイシンの製造方法
JPH03524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108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19831222

Application number text: 101983000609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1126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P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203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O070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O07011S01D

Patent event date: 1994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0409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