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1275B1 -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75B1
KR910001275B1 KR1019870008782A KR870008782A KR910001275B1 KR 910001275 B1 KR910001275 B1 KR 910001275B1 KR 1019870008782 A KR1019870008782 A KR 1019870008782A KR 870008782 A KR870008782 A KR 870008782A KR 910001275 B1 KR910001275 B1 KR 91000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ode
data
laser beam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277A (ko
Inventor
아쯔시 사이도우
다게시 마에다
히사다가 스기야마
와사오 다가스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0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7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28Shaping of magnetic domains, e.g. form, dimens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3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to compensate for the magnetic domain drift or time shif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제1도는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형성된 피트와 빔 이동거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기록 파워와 어긋남양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열확산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 기본 구성도.
제6도는 데이타 기록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데이타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피트 포지션 기록 및 피트 에지 기록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디스크 포매트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기록 회로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기록 데이타 패턴 검출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제11도의 검출회로의 타임 챠트.
제13도는 데이타 기록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제13도를 위한 기록 회로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재생 보정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2중화 동기 데이타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패턴 검출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시간축 보정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19도, 제20도는 제18도의 시간축 보정회로의 타임 챠트.
본 발명은, 정보기록 재생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하여, 특히 기록 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사용한 정보 기록 재생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에서 얻어진 반사광량 변화(즉 재생 신호 파형)의 상승, 하강을 검출해서 기록 데이타의 복조를 행하는 방법은, DAD(digital audio disk)에 채용되고 있다. 데이타 복조의 원리는, 예를들면 이와무라가 저술한 「비디오 디스크와 DAD 입문」(코로나사 발생)p 212∼p215에 기술되어 있다. 복조는, 재생 파형의 변화점, 즉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검출하고, 이것에서 재생검출창를 발생하여, 재생 데이타를 얻는 것이다. DAD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데이타 간격을 T로 하면, 검출창 폭은 T/2이고, 변화점 펄스의 위치로써 ±T/4 이내에 들어가 있는 것이, 정확한 복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신호의 제로 크로스(zero cross) 점(변화점에 해당한다)의 잡음이나 파형 왜곡, 회전 지터, 편심 지터 등에 의해서 변동하여 검출창에서 어긋나면 에러로 된다. 추기형 광 디스크에 있어서도,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를 데이타로 하는것이 가능하지만, 추기형의 경우에는 기록 재생의 대상 디스크에 대해서 직접으로 레이저 광 펄스의 조사를 행하여 열기록하므로, 형성되는 기록 영역(pit or magnetic domain)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의 위치가, 기록매체의 감도 특성이나, 지터의 영향에 좌우되기 쉽기 때문에, 불확정하게 시프트하기 쉽게 된다. DAD의 경우는 디스크 제작시에 레지스트 단계에서 피트를 만들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없었다.
추기형이나 소거형의 광 디스크에,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적용하는데는, 무언가의 방법으로, 기록시의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의 에지 시프트를 보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DAD와 같이 사전에 정보 피트를 디스크 제작시에 만들어 놓은 형식때문에, 에지 시프트량은 거의 문제없고, 안정한 복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추기형 광 디스크나, 광 자기디스크, 상변화형 광 디스크와 같이, 광 스폿의 열에 의해 대상 디스크의 기록막에 기록 피트를 직접 형성하는 매체에 대해서는, 에지를 데이타로 하는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은 실용화되고 있지 않다. 이 이유는 형성되는 피트가, 매체의 감도 특성이나, 또는 선 속도등에 영향받기 쉽기 때문이다. 열기록에 의해서 형성되는 피트는, 열확산의 영향에 의한 퍼짐을 가지기 때문에 에지 위치의 제어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피트의 앞가장자리 및 뒤가장자리를 데이타로 하는 기록 재생 방식에 관해서, 기록막 특성의 흐트러짐(dispersion)을 흡수하고, 에지 시프트가 적은 높은 신뢰도의 데이타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여, 열기록형 매체에 대해서도, 고밀도 기록에 유리한 피트 에지 기록을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는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지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기록 펄스폭과 파워를, 매체의 특성이나 기록 위치에 대해서 항상 가장 적합하게 한다. 매체 자신의 특성으로써는, 기록 펄스폭에 대하는 재생 펄스폭의 변화가 선형이던가 또는 그것에 유사한 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록시에는 제거할 수 없는 에지 위치의 변동량은, 재생시에 제거한다.
기록시의 보정에서는, 디스크상의 대상 위치를, 사전에 작성되어 있는 헤더부의 정보를 사용하던가 또는 외부 스케일을 사용해서 검출된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행한다. 또는 양자를 병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헤더 부에 매체의 종류, 감도 특성등을 사전에 기록해 놓으면, 보다 정확한 보정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기록 펄스폭이냐 파워의 설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재생시의 보정에서는, 사용자 데이타의 기록시에, 이 데이타에 선행해서 2중화 동기 신호를 동시에 기록해 놓고, 이 동기 신호의 앞가장자리 데이타 열에서 얻어진 검출 신호와, 뒤가장자리 데이터 열에서 얻어진 검출 신호의 시간차를 검출하여, 뒤가장자리의 1섹터의 사용자 데이타에 대해서 시간축 보정을 시행하여, 기록 보정만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에지 변동량이나 고르지 못한 반사의 영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지 이동량에 대해서는 기록시에 보정해주고, 에지 변동량에 대해서는, 재생시에 보정하는 것으로, 안정한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열기록형 매체에 대해서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서, 미국 특허 제4,646,103호가 있다.
이 특허에 의하면, 열확산의 영향을 강하게 주는 것과 같은 펄스폭이 긴기록 펄스에 관해서는, 피트 또는 자화 도메인의 앞가장자리부에서 뒤가장자리부에 이르는 열확산의 효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기록 펄스가, 변조 신호 펄스의 앞가장자리부 및 뒤가장자리부를 각각 표시하는 곳의 펄스폭이 짧은 2개의 펄스로 형성된다.
이들 2개의 피트 또는 자화 도메인 사이의 간격(즉, 상기 2개의 기록 펄스사이의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공간적 간격)이, 재생용 광 빔의 광학적 분해능(optical resolution)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재생 파형에 있어서의 2개의 피트 또는 도메인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골은, 슬라이스 레벨 보다도 높은 레벨에 있다. 즉, 이 경우에는 2개의 피트 또는 자화 도메인은 연속한 1개의 피트 또는 도메인으로써, 재생된다.
이들 2개의 피트 또는 자화 도메인 사이의 간격이 재생용 광 빔의 광학적 분해능보다도 짧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기록 펄스사이에, 뒷부분 피트의 뒤가장자리부에 열확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레이저 출력이 주어지던가, 또는 상기 2개의 기록 펄스사이에 1개 또는 여러개의 펄스폭이 짧은 펄스가 삽입된다. 이들 펄스의 서로 이웃한 것의 사이의 간격은, 이들 펄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피트 또는 자화 도메인의 서로 이웃한 것의 사이의 간격이 재생 광 빔의 광학적 분해 길이보다도 짧게 되는 것과 같은 간격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피트 또는 자화 도메인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재생 파형의 골이, 슬라이스 레벨 보다도 높은 레벨로 유지되어, 여러개의 피트 또는 도메인은, 연속한 1개의 피트 또는 도메인으로써 재생된다. 더욱, 재생시에는, 기록 정보의 앞가장자리 및 뒤가장자리에 대응한 신호를 각각 독립으로 검출하여, 이들 신호의 각각에서 독립으로 타이밍 신호의 재생 및 이 타이밍 신호에 의한 데이타 재생을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 피트의 앞가장자리 및 뒤가장자리를 데이타로 하는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열기록형 매체에 적용한다. 본 발명은 추기형 광 디스크, 상변화형 광 디스크, 광자기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다.
열기록에서는, 기록막으로의 광조사에 의해서, 흡수된 광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주로 기록 매체의 열 전도율에 강하게 의존하는 열확산의 영향을 반영한 온도 분포가 형성되어, 이 온도 분포에 대응한 피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록 과정에 있어서 열확산의 효과가 피트 형상에 현저하게 관여한다. 그 현상을 아래에 기술한다.
제1도에 있이서,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펄스폭 184의 기록 펄스 207에서 광 조사를 행한 경우,(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가우스 분포의 조사 에너지 분포 186을 가지고, 유한의 지름의 광 스폿 185가 디스크상을 주사하기 때문에, 광 스폿 이동방향 187로의 열확산이 생긴다. 이 때문에, 디스크상에 형성되는 온도 분포 188 또는 이것에 대응하는 피트 189의 형은,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 뒤쪽으로 향해서 퍼지는 비대칭적인 것으로 되고 만다. 이것에 대응해서 얻어지는 재생 파형 190도(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승 191, 하강 192의 경사와 진폭이 다르게 되고 만다.
다음에, 열확산의 영향에 의한 피트 189의 퍼짐과 기록 펄스폭에 대응하는 빔 이동거리의 관계를 제2도에 도시한다. (a) 및 (b)도면은, 어떤 선속도에 대해서, 기록 파워가 다른, A와 B(A>B)에 대하여, 가로측에 빔 이동거리 193을 취하고, (a)도면은 세로측에 광 스폿 이동방향 187의 피트 189의 길이, 즉 제1도(a)에 도시한 피트 길이 194를 구한 것을 도시하고, (b)도면은 광 스폿 이동방향 187에 수직 방향으로의 피트의 평균적인 폭 즉 제1도(d)에 도시한 피트 폭 195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되는 피트 189의 퍼짐의 방법을 일점쇄선 196을 경계로 2개의 영역으로 나눌수 있다. 즉 기록 파워가 일정의 경우, 빔 이동거리 193을 경계 196 보다도 큰 영역 216에서는 피트 길이는 어떤 일정의 퍼짐량 197을 표시하여, 빔 이동거리에 의존하지 않는 선형의 관계를 가진다. 또 피트폭 195도 일정 값으로 포화하는 특성을 표시한다.
상기 퍼짐량 197은 기록 파워의 증가와 함께 크게되고, 선속도의 증가와 함께 작게 된다. 한편, 경계 196보다도 빔 이동거리 197이 작은 영역 217에서는 피트 길이, 피트 폭과 함께 비선형의 관계를 표시한다. 이상의 특성의 정상적 해석은 다음에 기술한다. 광 스폿 185가 디스크상을 주사하는 경우, 경계 196으로 표시한 빔 이동거리보다도 짧은 영역에서는, 피트 뒤쪽으로의 열확산에 의한 열에너지의 퍼짐과 축적의 효과때문에, 피트의 퍼짐은 빔 이동거리의 증가에 대해서 비 선형으로 크게 된다. 그러나, 경계 196 보다도 빔 이동거리가 크게 되면, 열에너지의 축적이 정상적으로 되기 위해서, 피트 길이는 선형의 퍼짐량을 가지고, 피트 폭은 일정 값으로 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의 열전도도가 높아지면, 열에너지의 퍼짐이 크게 되기 때문에 축적이 정상적으로 되기까지의 빔 이동거리 즉 경계 196이 장거리 측으로 시프트한다. 기록 조건의 변화에 대해서는, 기록 파워가 크게 됨과 동시에, 또는 선속도가 작게 됨과 동시에, 열확산의 영향이 강조되기 때문에 경계 196은 장거리축으로 시프트한다. 이 특성은 제3도(a), (b), (c)에 도시한다. (a)도면에 측정량의 정의를 도시한다. 기록 펄스 조사의 디스크면 상에서의 중심 위치 198과 형성된 피트의 중심 위치 199의 어긋남을 기록 타이밍 어긋남량 200으로 하고, 이 어긋남량 200과 기록 파워와의 관계를 빔 이동거리를 파라미터로써 구한 것을 (b), (c)도면에 도시한다. 또 (b), (c)도면은 선속도가 상이하여, (c)는 (b)에 비해서 선속도가 작다. 제3도의 (b), (c)도면은 제2도에 도시한 특성에 대응하고 있어, 상기 선형 영역에서는, 기록 파워· 선속도 일정 조건하에서 일정한 어긋남량을 도시한다.
한편, 상기 비선형 영역에서는, 빔 이동거리의 증가와 동시에, 어긋남량이 크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크게 2가지의 특징으로써, 첫째, 기록 파워·선속도 일정 조건하에서는 기록 타이밍의 어긋남에 관해서, 피트 앞가장자리측의 퍼짐은 거의 변화하지 않고, 피트 뒤끝측의 퍼짐만이 빔 미동거리에 의해서 변화하여, 제3도(b) 또는 (c)의 특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두번째, 기록 파워의 증가에 의한 어긋남량의 증가도, 피트 뒤끝측의 퍼짐의 정도가 앞가장자리측보다도 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2가지의 특징은 피트 뒤쪽으로의 열확산의 영향이 피트 형성에 크게 관여하는 것에 의한다.
이상 제1∼3도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기본으로,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열기록에 적용시키는 경우의 문제점을 아래에 기술한다.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이상의 피트 형성은, 제1도(d)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한 이상 피트 형상 208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제1도(a)의 기록 펄스 207의 상승 201과 하강 202에 대응하는 디스크상의 각각의 위치와, 형성되는 피트의 앞가장자리 203과 뒤가장자리 204가 일치하고, 또한 피트의 폭도 피트의 앞가장자리측과 뒤가장자리측에서 같을 경우에, 이상 재생 파형 205(제1도(e))가 얻어지고, 재생 파형 진폭의 반값에 설정한 슬라이스 레벨 206과의 교차점에서 검출한 재생 펄스 209(제1도(f))는 기록 펄스 207(제1도(a))과 일치한다. 그리고, 데이타 열로써 기록 펄스폭이 다른 펄스열을 가지는 가변조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기록 펄스폭에 의해서 피트폭이 변화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일정 슬라이스 레벨에서 피트 열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열기록 매체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은, (1)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대칭 피트 189에 의해서 얻어지는 재생 파형 190의 상승 191과 하강 192에서의 진폭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의 슬라이스 레벨 206의 교차점으로써 에지를 검출할때에, 피트의 앞가장자리 또는 뒤가장자리 어느것인가가, 재생 펄스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일치하지 않게 되어 지터의 원인으로 된다.
(2)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와 같은 연속한 기록 펄스열에서 기록하는 경우, (b)와 같이, 선행하는 피트 210을 기록할때의 열에너지가, 뒤쪽의 피트 211을 기록하는 위치에 열확산의 영향에 의해서 전해지기 때문에 예열이 생겨, 고립된 펄스에서 기록한 경우의 피트 212(점선으로 도시)보다도 큰 피트 211이 형성되고 만다. 소위 열간섭의 문제가 생겨, 지터의 원인으로 된다.
(3) 제2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반으로 피트 길이는 빔 이동길이 보다도 길어지고, 이 때문에 대응하는 재생 펄스폭도 기록 펄스폭보다도 길어진다. 특히, 가변조방식을 적용하여, 그 데이타열의 기록 펄스 폭에 대응하는 빔 이동거리가 비선형 영역에 포함될 정도로 데이타열의 간격을 조여서 고밀도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피트의 길이 방향, 폭방향의 퍼짐의 정도가 빔 이동거리에 의해서 다르기 때문에, 제3도(a)에 도시한 기록 타이밍 어긋남 200도 고려해서 상기의 이상 피트 형성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으로 기술한 3개의 문제점에 대해서, 종래는 기록, 재생시에 행하여야할 구체적인 방법, 피트 에지 기록에 적합한 매체를 발견하는 것이 곤란하게 생각되어, 명확한 수법이 발견되어 있지 않았다.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열기록 매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3개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의 선택과 기록시의 보정 방식의 최적합화를 행하였다.
우선, 제1에 기록막으로서, 열전도도의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과 제2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러나, 열전도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실효적으로 기록 감도가 크게 되기 때문에, 데이타 리드(read)시의 조사 광 파워로 기록막의 변형이 생기고 만다. 그래서, 가장 적합한 열전도도는 제1, 제2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 정도로 될 수 있는 한 큰 값이다. 제1의 문제점, 즉 피트의 비대칭성이 문제로 되지않는 열전도도의 상한은, 재생 신호의 선단부 191과 후단부 192에서 진폭 레벨의 차가 작은 것이다. 즉, 피트 선단부의 폭과 피트 후단부의 폭의 차가 광 스폿 지름에 대하여 충분히 작게(1/10 이하)로 되는 것과 같은 값이다. 한편, 제3의 문제점, 즉 열간섭의 영향이 문제로 되지 않는 열전도도의 상한은, 열간섭의 영향이 가장 크게 되는 기록 조건, 즉 제4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하는 가변조 코드의 최대 데이타간격 TMAX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 213의 뒤에 최소 데이타 간격 TMAX의 시간 214를 놓아서 다음의 기록 펄스 215가 주어진 경우에 있어서, 피트 211의 형상이 고립 펄스시의 형성 피트 212와 다르지 않는 정도로의 최대값이다.
이상의 열전도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제1, 제3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그래서 다음에 기술하는 기록 보정 방식을 사용한다. 이 보정은 기록막의 감도, 기록 반경 내지 선속도, 기록하는 데이터 패턴의 소밀등을 고려해서 행할 필요가 있다.
제2도(a)에 있어서, 선형 영역 216에서는 선속도와 기록 파워가 결정된 경우, 기록 펄스 폭으로써, 목표로 하는 펄스 폭에서 일정의 퍼짐량 197을 시간으로 환산한 퍼짐 시간을 뺀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는 피트 길이 즉 펄스폭의 재생 파형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어떤 선속도에 있어서의 가장 적합한 기록 파워의 설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선 선속도, 등회전 속도 디스크의 경우는 기록 위치에 대응하지만, 이 기록 위치의 인식 방법을 기술한다.
디스크에는 해더부로 불리우는 정보가, 사전에 제작되어 있어, 트랙 번호, 섹터 번호등이 기록되어 있다. 기록 동작을 행하는 경우, 우선 기록하고 싶은 트랙 및 섹터로의 광 스폿의 이동, 위치 정함을 행한다. 따라서 트랙 번호의 인식은 언제나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광 스폿의 현재 위치의 파악은, 이 트랙 번호에서 가능하다. 만일 광 헤드의 위치를 아는 수단으로써, 외부 스케일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면, 마찬가지로 해서 광 스폿 위치를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해서 기록 위치를 아는 것에 의해, 기록 파워의 최적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기록 파워의 최적합화는 제2도(a), (b)에 도시한 어떤 선속도 즉 상기의 방법으로 구한 기록 위치에서의 특성에 대하여, 다음의 세가지를 만족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첫째는, 상기 퍼짐 시간이, 사용하는 가변조 데이타 간격보다도 크게 되는 것과 같은 큰기록 파워에 설정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는, 기록 파워의 변화에 대해서, 피트 길이의 변화가 될 수 있는 한 작은 기록 파워의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피트길이의 변동이 크면, 기록 파워의 변동에 대하는 지터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열기 록에서는 매체에 열적인 기록의 임계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록 파워가 매우 작으면 기록이 불안정으로 되므로, 어느 정도 기록 파워를 크게할 필요가 있다. 세째는, 피트폭이 너무 크게 되지 않는 것과 같은 기록 파워에 설정하는 것이다. 제2도(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파워가 크게 되면, 피트폭이 크게 되고 만다. 이 때문에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나란이 있었던 트랙에 피트를 기록하여, 재생한 경우, 인접 트랙상의 피트에서의 신호의 누설, 즉 크로스 토크 노이즈의 영향이 무시될 수 없게 된다. 허용되는 피트폭의 상한은, 트랙 간격이 광 스폿 지름 W 정도의 경우 W/2 정도의 값이다.
다음에, 기록 펄스폭의 보정 수단에 대해서 기술한다.
기록 펄스폭은 데이타 패턴 그 자체의 그것과 이 데이타 패턴을 지연시킨 것과의 논리곱을 취하는 것에 의해서 폭을 좁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실제로 기록되는 피트의 길이를, 목적으로 하는 재생 펄스폭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선형 영역 216에서는, 기록 타이밍 어긋남량 200도 기록 펄스폭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의 값을 취하기 때문에, 상기의 보정 수단에 의해서 가변조 데이타열에 대응한 재생 펄스열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도(a)에 있어서의 비선형 영역 217에 대해서는, 기록 펄스폭 즉 빔 이동거리에 의해서 퍼짐량이 다르기 때문에, 가변조 데이타열의 데이타 간격이 비선형 영역이 포함되는 것과 같은 경우, 기록 펄스폭으로써 선형 영역에 있어서의 일정 퍼짐량 197을 시간으로 환산한 퍼짐 시간을 데이타 간격에서 뺀것을 사용하여도, 목표의 피트 길이를 기록할 수 없고, 그리고(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트폭도 일정값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변조 데이타 패턴을 정확히 재생할 수 있다.
그래서, 제1의 기록 보정 방법으로서 데이타 패턴에 의해서 기록 파워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방법은, 비선형 영역 217에 포함되는 피트 길이에 대응하는 데이타 패턴을 기록할때에, 선형 특성을 연장한 점선 218에 따르도록 데이타 패턴의 간격에 의해서 기록파워를 제어한다. 예를들면, 기록 파워, B에 있어서 선형 영역에 포함되는 피트 길이 l1에 대응하는 데이타 패턴을 기록할때는, 선형 영역의 보정으로써 빔 이동거리 l1에서 퍼짐량 197을 뺀 길이 l2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를 조사한다. 한편 비선형 영역에 포함되는 피트 길이 13에 대응하는 데이타 패턴을 기록할때에는, 기록 파워를, A 보다 큰, B에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기록 파워, B에 대해서의 선형 특성 218에 설정되므로, 빔 이동거리 l3에서 선형 영역과 같은 퍼짐량 197을 뺀길이 l4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를 조사하면 좋다. 이와 같이 선형 영역과 같은 퍼짐 시간을 보정하는 것으로 가변조 데이타 패턴의 각 데이타 간격에 대응한 피트 길이의 피트를 기록할 수 있고, 또한 피트폭도(b)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선 219의 레벨까지 크게되므로, 목표의 데이타 패턴을 재생할 수있다.
그리고, 제3도(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펄스 폭이 선형 영역에 있을 경우 220의 어긋남량 221은, 거의 기록 펄스폭에 의하지 않고 일정값을 취하지만. 비선형 영역의 기록 펄스폭 222에서는 어긋남량 223은 기록 펄스폭에 크게 의존하여, 어긋남량 221과 크게 다른 값을 표시한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제1의 보정 방식에서는, 비선형 영역의 기록에 대하여, 기록 파워를 선형 영역의 기록 파워, B 보다도 큰, A로 하기 위해서, 실효적으로 선형 영역의 기록에 대하는 어긋남량 221에 가까운 어긋남량 224로 된다. 기록데이타 패턴에 의해서 일정의 기록 타이밍 어긋남이면, 재생시의 타이밍 어긋남은 생기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제1의 보정 방식은, 기록 타이밍 어긋남에 의하는 지터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2도의 보정 방식으로써, 데이타 패턴에서 기록 펄스폭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2도(a)에 있어서, 기록 파워, B의 선형 영역에 대해서는 제1의 보정 방식과 동등하게 보정한다. 한편, 예를들면 비선형 영역에 포함되는 피트 길이 13에 대응하는 데이타 패턴을 기록할때에는, 기록 파워, B 그대로에서, 퍼짐량 197보다 작은 퍼짐량 225를 길이 13에서 뺀 빔 이동거리 l5에 대응하는 기록 펄스를 조사하면, 도면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표의 피트 길이 13의 피트를 기록할 수 있어, 목표의 데이타 간격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짐량은 비선형 영역에서는 빔 이동거리 즉 기록 펄스폭에서 다르므로, 데이타간격에 의해서 장기의 빼는 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2도(b)에 있어서, 기록 파워, B 일정조건에서의 기록 펄스폭에 의존한 기록 타이밍 어긋남을 고려해서, 기록시에 데이타 패턴에 의해서 기록 펄스폭을 제어하면, 지터가 없는 데이타 패턴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의 기록 패턴의 소밀에 의한 기록 파워의 설정은, 카운터를 사용한 패턴 길이 판단회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의 기록 보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열기록에서 생기는 피트길이의 늘어남량, 즉 에지 이동량의 보정이 실현된다. 그러나 기록막의 고르지 못한 감도, 기록 파워의 변동에 의하는 에지 자신의 위치 변동은 재생시에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에지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으면, 데이타 식별창에서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시의 보정을 행하는 목적으로, 정보 복호 개시 위치(타이밍)를 표시하는 기동 타이밍 마크(일반적으로 SYNC 마크로 불려진다)를 재생 파형의 상승, 하강에 대응해서 2중 패턴으로 마련하고 있다. 데이타 기록시에 사용자 데이타열에 선행해서 마련한 기동 타이밍 마크를 각각 별도계열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각각 1펄스의 검출신호로써 검지한다. 사전에 2중 패턴으로 하고 있는 이유는, 상승 에지에서의 검출 펄스와 하강 에지에서의 검출 펄스를 별계(別界)로 얻는 것에 의해, 양자의 시간차를 구하기 때문이다. 이상적인 매체이면, 기록시의 광 펄스와 서로 닮은 재생 파형이 얻어지는 것이지만, 실제로 앞서 기술 한 바와 같이, 기록막의 열확산에 의한 온도 분포의 불균일성이나, 기록 감도의 흐트러짐등에 의해, 일반적으로는 광 펄스 조사를 종료한 후에도, 약간 말미를 잡아 끈것과 같은 비대칭의 형상을 가진 피트가 형성되어, 대응하는 재생 파형의 상승, 하강의 경사가 다르게 되고 만다. 그러나, 상승 상호는 물론, 하강 상호의 경사도 거의 잘 일치하고 있는 것이, 앞에 기술한 열확산의 영향의 고찰에서, 또는 실험에 의해 확인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기동 타이밍 마크 검출 신호의 시간차에서 에지 시프트를 일단 보정해 놓으면, 그것에 계속하는 데이타열에 대해서 동일 보정량이 주어지면 좋은 것으로 된다. 섹터 관리된 기록 매체이면, 각 섹터마다 보정을 행하면,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피트의 앞가장자리 및 뒤가장자리의 각각 에 대해서 같은 패턴을 기록해 놓고, 재생시의 에지 시프트량을 보정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출원 No. 878436에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5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디스크 1은 모터 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회전양식은, 선속도 일정 방식, 즉 디스크 1에 광 헤드 3이 위치를 정한 반경에 의해서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라도 좋고, 또 각 속도 일정 방식, 즉 광 헤드 3의 위치에 의하지 않고 회전 속도가 일정의 방식의 어느것이든 좋다. 광 헤드 3은 디스크상의 목표 트랙에 위치 정하기 위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 4에서 방출된 광은 렌즈 5에 의해서 평행광속으로 변환된 후, 빔 스플리터 6, 갈바노 미러 7을 거쳐서 집광 렌즈 8에 의해 디스크 1상에 집광된다. 디스크 1에서의 반사광은, 다시 집광 렌즈 8, 갈바노 미러 7을 거쳐서, 빔 스플리터 6에서 반사된다. 그후, 트래킹용 광 검출기 9 및 오토 포카스용 광 검출기 10으로 인도된다. 디스크 1은 회전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진동한다. 상하 방향의 흔들림에 대해서는, 오토 포카스용 광 검출기 10에서의 서보 신호를 사용해서, 집광 렌즈 8을 디스크 1의 흔들림에 추종시키는 것에 의해, 언제나 초점을 디스크 1상에 맞추는 것으로 대처한다. 또, 반경 방향의 흔들림에 대해서는, 트랙킹용 광 검출기 9에서의 서보 신호를 사용해서, 큰 흔들림에 대해서는 광 헤드 3전체를 추종시켜, 작은 흔들림에 대해서는 갈바노 미러 7의 각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 언제나 목표 트랙으로의 위치 정함을 행한다. 상기의 오토 포카스 및 트래킹의 방식에 대해서는 종래의 서보 방식으로 좋고, 본 발명에는 직접 관계하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록·재생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록 방식인 피트 에지 기록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데이타를 변조(부호화)해서 코드를 변환하여,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의 방법, 제7도는, 디스크상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여, 원래의 데이타로 복조(복호화)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에 있어서, 기록하고 싶은 데이타 30은, 부호기 13에 의해서 코드 31로 변조된다. 이 부호화는 어떠한 변조 방식으로도 좋고, 가변조 부호로써 FM 부호, MFM 부호 또는 RLL(run length limit)부호로써 2-7부호, 8-10부호, 1-7부호등을 대표예로서 열거해 놓는다. 제6도에서는, 1예로서 2-7부호의 경우를 도시했다. 코드 31은, NRZ(non-return-to-zero)코드 32에, NRZ 부호기 14에 의해 변환된다. 이 NRZ코드 32를 그대로 디스크 1상의 기록막에 기록하면, 일반으로 조사 기록 광 펄스폭 보다도 긴 피트가 형성된다. 이것은 레이저 광에 의해 매체에 흡수된 열이 기록막내를 전파하는 정도와 기록막 조성 및 하지막 조성에 기인하는 융점과의 발란스, 그리고 열확산의 상태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실제로는 실험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1예로서 PbTeSe 기록막을 사용한 추기형 광 디스크에서는, 회전수가 매분 1800회전에 있어서, 기록 반경 70mm, 기록파워 8.5mW로 기록한 경우, 100ns의 기록펄스폭에 대해서 실제로 얻어지는 재생 펄스폭은 145ns로 되어, 45ns 상당의 피트 길이의 늘어남이 있었다. 따라서, 형성되는 기록 피트35의 길이를 NRZ 코드 32의 길이에 대응시키는 데는, 사전에 펄스폭을 짧게한 기록 코드 33을 사용하는 것으로 된다. 또 기록 패턴에 의해, 기록 피트 35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도 생각되므로, 짧은 패턴의 경우는 기록 광 펄스 34의 파워를 크게 하는 보정 또는, 기록 펄스폭을 짧게 하기 위한 지연량의 제어를 행할 필요도 생긴다. 기록 광 펄스폭 및 기록 광 파워의 설정은, 각각의 설정기 15, 16을 사용하여, 기록 보정기 17에서의 제어에 의해 행하여지고, 레이저 드라이버 18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 4를 구동하여 기록 피트 35의 형성을 행한다. 부호기 13에 대해서는 종래 제창되고 있는 회로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면 좋다. NRZ 부호기, 14, 펄스폭 설정기 15, 파워 설정기, 16, 기록 보정기 17, 레이저 드라이버 18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에 기술한다.
다음에 제7도를 사용해서, 기록 피트 35에서 데이타 42를 복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1에서의 반사광은 기록 피트 35의 유무에 의해서 그 광량이 변화한다. 기록막이 광자기 기록막이고, 정보가 자화 도메인으로써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광 검출기 9의 앞에 검광자를 설치하면, 자화 방향에 의한 편광면의 회전을 광량변화로 변환할 수 있고, 역시 마찬가지의 재생 신호 36을 얻을 수 있다. 재생 신호 36을 어떤 슬라이스 레벨 37에서 2진화하는 것에 의해 재생 코드 펄스 38을 얻을 수 있다. 이 재생 로드 38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서 각각 대응하는 펄스 39, 40을 생성하여, 양자에서 로드 신호 41을 얻는다. 이것을 부호기 13과는 역의 동작을 하는 복호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래의 데이타 42를 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복호기에 대해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구성 회로로써 좋기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은 데이타의 고밀도 기록에 크게 공헌한다. 그것은 생성되는 피트와, 이 피트를 알아내기 위한 광 스폿과의 상대적인 분해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제8도는, 부호화 코드의 "1"의 장소에 대응해서 둥근 구멍을 형성하는 피트 포지션 기록 방법과, 부호화 코드의 "1"의 장소를 형성 피트의 앞가장자리 또는 뒤가장자리에 대응시키는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의 비교를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 있어서 코드 31에 대응해서 둥근 구멍 피트 50을 형성한 경우를 생각한다. 기록 피트를 알아내는 광 스폿 51의 분포는, 이 피트보다도 분포가 넓기 때문에, 기록 피트사이의 거리가 근접해 있을 경우는, 재생 신호 52의 진 폭, 즉 변조도 52가 충분히 취할 수 없게 된다. 이 경향은, 보다 고밀도화를 향상시켰을 경우, 현저하게 되어간다. 한편 코드 31을 한번 NRZ 코드 32로 전환했을 경우, 그 형성 피트 53에서 얻어지는 재생 신호 54 는, 충분한 변조도 52를 얻을 수 있다. 제8도는, 피트 포지션 기록 방식과, 피트 에지 기록 방식에 대하여 동일의 기록 밀도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은 원리적으로 말해서 피트 포지션 기록 방식의 약 2배의 고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트 에지 방식을 사용하여 배밀도화한 경우, 광학적인 분해능, 즉 신호 변조도에는 문제가 없을 경우에도 재생 신호에서 본원의 데이타를 복호할때의 데이타 식별창폭은 절반으로 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히 에지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 것을 명기해둔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타 이외의 정보, 예를 들면, 헤더 신호등의 정보와 같이, 너무 고밀도화가 요구되지 않는 데이타에 대하여는, 식별창폭을 넓게 잡고, 종래 밀도의 피트 포지션 기록 방식을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디스크의 기록 포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기록 포매트의 1예이 다. 디스크 1은, 동심원 또는 나선형상의 트랙 및 1트랙을 여러개의 구역(섹터)으로 분할한 구성을 가진다. 제9도는 어떤 1개의 섹터에 대해서의 포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 섹터의 선두에는 섹터의 개시를 표시하기 위한 섹터 마크 60이 놓여져, 그것에 이어서 셀프 클럭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입 패턴 61을 갖는다. 이 패턴 61에 의해 발생한 클럭을 동기화 신호 패턴 62에 동기화하고, 복조개시의 기준 신호를 검출한다. 이 조작을 거쳐서, 트랙 번지 63, 섹터 번지 64 및 양 번지의 리드의 잘못을 검출 또는 정정하기 위한 신호 65의 재생이 행하여 진다. 여기까지의 부분은, 헤더 신호 67로 불리어지는 것이고, 사용자가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디스크 제작시에 사전에 만들어 놓는(프리 포매트)것이 편리하다. 또 헤더 신호와 데이타 신호는 다른 변조 방식 또는 다른 구멍 깊이에 의해서 기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헤더 신호는 사용 레이저 광 파장의 4분의 1 내지 8분의 1의 깊이의 위상 정보로써 기록해 놓아도 좋다. 그리고 헤 더 신호 67은 피트 포지션 기록 방식을 사용하고, 사용자 데이터 신호 66은, 고밀도화에 유리한 피트 에지 기록 방식을 사용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프리 포매트부는 트래킹을 위한 안내홈상에 형성되지만, 안내홈과 안내홈사이의 평탄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홈사이의 평탄부는, 디스크 원반 절단시의 레이저 광의 흔들림이나 프로세스에 의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재생시의 디스크 잡음의 저감에 효과가 있다.
다음에 제6도, 제7도에서 설명을 생략한 NRZ 부호기 14, 펄스폭 설정기 15, 파워 설정기 16, 기록 보정기 17, 레이저 드라이버 18에 대하여 구체적인 회로 구성예를 제10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NRZ 변환기 14는 D형의 플립 플롭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서, 코드 31의 상승이 입력될때마다 Q 출력이 반전하도록 동작한다. 일반으로는 입력을 2분의 1분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로 접속과 동일하다. 변환된 NRZ 코드 32는, 지연 소자 45에 입력된다. 이 지연소자 45는 일정한 지연 시간을 수반한 신호가 여러개의 출력랩에 나와 있는 것이다. 지연 소자 45로써, 게이트 지연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지연 소자 45에서의 출력은, 셀렉터 46에 입력되어, 어느 것인가의 출력이 기록 보정기 17에 의해서 선택된 AND 게이트 47에 입력된다. 이 AND 게이트 47의 한편쪽에는, 지연되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기때문에, 지연량만큼 짧은 펄스가 생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펄스는 제6도의 기록 코드 33에 대응한다. 이코드 33은 레이저 드라이버 18로 입력된다. 한편, 기록 광파워의 제어는, 레이저 드라이버 18내의 전류원의 값을 바꾸는 것으로 행한다. 레이저 드라이버 18은 전류 스위치의 구성을 취하고 있어, 전류값을 결정하는 트랜지스터 148의 베이스 전위를 D/A 변환기 44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반도체 레이저 4가 ON상태로 되었을때의 발광 파워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전위를 높게 하면, 트랜지스터 48의 이미터 전위도 상승하여, 이미터와 부전위(-V)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 49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4의 구동 전류도 증가하여, 발광 파워가 크게 된다. 기록 보정기 17은, 제어 정보 43에 의해서, 펄스 폭 및 파워의 설정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가장 용이한 방법으로써는, 트랙 번지 43을 어드레스 입력으로 하는 ROM(read only memory)을 사용하고, 출력으로써, ROM의 데이타를 사용하면 셀렉터 46에 의한 지연량의 선택 및 D/A 변환기 44로의 입력 비트를 지정할 수 있다. 또 트랙 번지 신호 43대신에, 외부 스케일 해독기 11에서의 값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디스크의 기준 반경(예를들면 가장 안쪽둘레)에서 현재까지 횡단한 트랙줄수에서 위치를 인식하여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0도의 회로에서는, 기록해야할 데이타 에리어의 종료시에 NRZ 부호기 14의 플립 플롭에 대하여 리세트 신호 55를 가하는 것에 의해서 다음 섹터의 헤더부에 대하여 잘못되어 기록 펄스가 조사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피트 에지 기록의 경우 데이타의 최초의 "1"로 기록 펄스가 상승하고, 다음의 "1"로써 원래의 되돌아가므로 데이타 "1"의 개수가 우수이면, 데이타 영역 종료시에는 통상 재생 파워로 되돌아가지만, 기수이면 최후의 데이타를 쓴후에 원래의 재생 파워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고, 기록 파워 그대로에서는 다음의 섹터의 데이타를 파괴하고 말기때문에, 데이타 영역을 지정하는 기록 게이트 신호가 없어졌음과 동시에, 이 플립 플롭도 리세트하는 것이 안전하다. 기록 데이타 영역의 지정 게이트는, 각 섹터 선두의 섹터 마크 검출 신호에 의해, 카운터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한 기록 펄스폭 및 기록 파워의 설정 방법에서는, 기록 반경에 수반하여 변화시킨다.
이 방법으로는, 기록 펄스폭을 짧게하는 보정량과 기록 파워 설정값은 기록 반경이 결정되면 일정값으로 되므로, 제2도에 도시한 선형 영역 216에서의 기록에 대하여 유효하다.
그러나,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고밀도화에 동반하여 데이타 패턴 간격을 좁게 해가면, 제2도에 도시한 비선형 영역 217의 기록 특성으로 되기 때문에, 상술의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기록 보정은 할 수 없다. 그래서 데이타 패턴의 소일에 의해서도, 기록 펄스폭 보정을 위한 상기 지연량 또는 기록 파워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리하여, 우선 제1의 보정 수단으로써 데이타 패턴에 의하여 기록 파워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그 실시예를 기술한다.
제11도는, 변조 방식으로써 2-7부호를 NRZ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한 경우, 가장 치밀한 기록 패턴, 즉 "1001"의 때만 기록 파워를 크게하여 기록하기 위한 회로예이다. 또 제12도는 제11도의 동작을 설명한 타임 챠트이다. 이하, 제11도, 제12도에 따라서, 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DATA-P32는 변조후의 데이타 패턴이고, 제5도의 NRZ 코드와 32와 동일 신호이다. 이 데이타 32는, 기록 클럭 CK-P150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고 있다. 카운터 151, 152, 플립 플롭 153 및 시프트 레지스터 154는, 데이타 32의 전송전에 리세트 신호 RESET-N155의 "L"레벨에서 초기 크리어된다. 카운터 151은, 데이타 32가 "H"일때만 카운트 업이 가능하게 되도록, 이 카운터의 이네이블(ENB) 단자에 DATA-P가 접속되어 있다. 카운터 151이 이네이블로되면, 이 카운터의 출력 Q0156, Q1157, Q2158은 각각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여기서, Q0, Q1, Q2,는 각각 20, 21, 22의 출력을 의미한다. AND 게이트 159의 출력 160은, 카운트 값이 3의 구간에만"H"로 된다. 더욱 카운터 151은, 클럭 150의 하강 에지에서 출력이 변화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AND게이트 출력 160은, 이 카운터 151의 리세트 단자 및 플립 플롭 153의 D(데이타)단자에 접속되어 있어, 출력 160이 "H"로 되면, 이 카운터 151은 리 세트된다. 데이타 32가 가장 치밀한 패턴 "1001"의 경우는,AND 출력이 160이 "H"로 되는 구간에, 데이타 32의 하강 에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플립 플롭 153의 Q출력 161이 세트되어 "H"로 된다. 이 Q 출력 161은 카운터 152의 이네이블(ENB)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Q 출력 161이 "H"로 되면 카운터 152는, 카운트 업을 개시한다. 이 카운터 152의 Q0162, Q1163, Q2164는 각각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AND 게이트 165의 출력 166은, 카운트값이 5의 구간에만 "H"로 되어, 이때 플립 플롭 153과 이 카운터 152를 리세트한다. 이 때문에 플립 플롭 153의 Q 출력 161은, 이 카운터 152가 0에서 5까지 카운트하고 있는 구간에만 "H"로 된다. 이 Q 출력 161이 기록 파워를 상승시키기 위한 지령신호(가장 치밀한 패턴 검출 신호)로 된다.
실제로는, 가장 치밀한 패턴 검출 신호 161이 발생하는 것이 데이타 가장 치밀한 패턴보다도 후에 되기때문에, 스포트 레지스터 15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데이타 32를 지연시켜 주고, 신호 161이 "H"로 되는 구간에 가장 치밀한 데이타 패턴을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 지연 데이타 167과 가장 치밀한 패턴 검출 신호 161의 시간 관계는, 제1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다. 이 신호 161을 제10도에 도시한 D/A 변환기 44에 입력하는 데이타의 전환에 사용해주고, 지연 데이타 167을 제10도의 신호 33으로써 사용해주는 것에 의해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의 회로예에서는, 가장 치밀한 데이타 패턴 "1001"일때에만 기록 파워 보정하는 것이였지만, 가장 치밀한 다음에 치밀한 데이타 패턴 "1001"에 대하여도, 기록 파워 보정할 경우에는AND 게이트 159기 출력 160, 카운터 151의 출력이 4일때에 "H"로 되도록 접속해주고, 그리고 카운터 152의 출력이 6일때에 AND 게이트 165의 출력 166이 "H로 되도록 접속한 회로를 제11도의 회로에 가하여주면 실시할 수 있다.
제1의 기록 보정의 효과에 대하여는 앞에 기술했지만, 그중에서 제17도(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록타이밍 어긋남량에 대해서, 선형 영역에서의 일정 어긋남량 221과 보정후의 비선형 영역에서의 어긋남량 224에는 차가 남어, 완전히 기록 타이밍 어긋남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하여, 제2의 기록 보정으로써, 데이타 패턴에 의해서, 기록 펄스폭을 짧게 하는 상기 지연량을 제어 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13도에, 제2의 기록 보정 방식에 대하여 상술한 제1의 기록 보정 방식과 비교해서 설명한다. 2-7 부호에서 변환된 NRZ 코드 32로써, 도면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패턴 간격이 넓게 선형영역 216의 기록 특성에 대응하는 데이타 패턴 227과 패턴 간격이 좁게 비선형 영역 217의 기록 특성에 대응하는 가장 치밀한 데이타 패턴 228을 기록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지연량 τ1일정으로 NRZ 코드 32를 지연시킨 지연 NRZ 코드 226과 NRZ 코드 32의 논리곱을 기록 코드 33으로써 사용한다. 이 기록 코드 33에서 기록 파워 일정으로 기록을 행한다. 데이타 패턴 227, 228 각각에 대응한 기록 펄스229, 230에 의해서 형성된 피트를 각각 231, 232로 한다. 선형 영역내에 포함되는 데이타 패턴 227에 대응 한 피트 231은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퍼짐량, 기록 타이밍 어긋남량 다함께 일정하고, 예를 들면 기록 펄스 229에 대해서 피트의 앞가장자리측에 τ1/4, 뒤 가장자지측에 3τ1/4만을 피트가 퍼져서 기록되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대하여, 비선형 영역내에 포함되는 가장 치밀한 데이타 패턴 228에 대응한 피트 232는 앞에기술한 바와 간치 선형 영역에 대응하는 피트 231의 형성에 대하여, 피트 앞가장자리측의 퍼짐은 같은 정도이지만, 뒤가장자리측의 퍼짐은 작어, 이 때문에, 제3도(b)에 있어서의 어긋남량 223과 같이 기록 타이밍어긋남은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1예로써 앞가장자리측의 퍼짐을 τ1/4, 뒤가장자리측도 τ1/4로 한다. 여기서 제1의 기록 보정에서는 가장 치밀한 데이타 패턴 228에 대하여 기록 파워를 크게 설정하고 있었다. 이 경우에 형성되는 피트 233은, 제3도(b)에 있어서 기술한 것과 같이, 어느 정도 뒤가장자리측에 어긋남량 224를 가지지만, 선형 영역에 대한 어긋남량 221에는 이르지 않는다. 그리하여, 기록 파워의 증가에 의해서 앞가장자리측, 뒤가장자리측 각각에 τ1/2만큼 퍼진 피트 233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제1의 기록 보정에 의해서 기록된 피트 231과 233에서 검출되는 재생 데이타 234는, 기록타이밍 어긋남량이 τ1/4 어긋나 버리므로, 지터 239가 남고 만다. 그래서, 제2의 기록 보정에서는, 이 기록 타이밍 어긋남량이 일치하도록 지연량을 제어한다. 구체적 방법으로써, 기록 펄스의 앞가장자리측과 뒤가장자리측을 결정하기 위한 지연량을 따로따로 마련한다. 앞가장자리측을 결정하는 지연량 τl은, 선형 영역과 비선형 영역에 대해서 피트 앞가장자리로의 퍼짐이 같은 정도이기 때문에, 지연 NRZ 코드 226을 그대로 사용한다. 한편, 뒤가장자리측을 결정하는 지연량 τ2는, 선형 영역의 데이타 패턴 277에 대해서는 제로에 설정하고, 비선형 영역의 데이타 패턴 228에 대해서는(τl-τ2)의 시간차를 패턴 간격에서 뺀 기록 펄스 조사에 의해서 데이타 패턴 228과 같은 패턴 간격을 재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피트를 형성하는 조건을 제2도(a)의 기록 특성에서 구하여, τ2를 설정한다. 즉 데이타 패턴에 의해서 지연량 τ2를 바꾸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여, NRZ 코드 32의 τl지연 NRZ 코드 226과 τ2지연 NRZ 코드 235에 의하여 기록 펄스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결정된 기록 코드 236을 사용하면, 데이타 패턴 227과 228에서 기록 타이밍 어긋남이 같은 피트 231과 237이 형성할 수 있으므로, NRZ 로드 32와 같은 재생 데이타 238을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의 기록 보정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제1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데이터 패턴에 대하여 일정의 지연량 τl의 설정을 행하여 기록 코드 33을 얻는 수단은 제10도의 펄스폭 설정기 15와 동일하다. 한편, 가장 치밀한 패턴에 대해서만 지연량 τ2를 설정하기 위하여 펄스폭 설정기 239를 가한다. 이 펄스폭 설절기 239는, 기록 보정기 17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2도(a)의 기록 특성에서 구하여지는 τ2의 설정을 행하여, 얻어지는 τ2지연 NRZ 코드 235와 NRZ 코드 32를 OR 게이트 240으로 통하여, NRZ 코드 32의 펄스의 뒤가장자리측만을 τ2만큼 늘린 펄스열 241을 출력한다. 다음에 기록 코드 33과 펄스열 241을 플립 플롭 242의 트리거 단자 T와 리세트 단자 R 각각으로 입력시킨다. 여기서 플립 플롭 242는, 리세트 단자 R가 "H"의 상태에 있어서 트리거 단자 T로의 입력 펄스의 상승의 타이밍에서 출력 Q가 "H"로 되는 작용을 가진다. 또 리세트 단자 R로의 입력이 "L"로 되면, 트리거 단자 T로의 입력에도 불구하고 출력 Q는 "L"로 된다. 따라서 기록 코드 33의 상승과 펄스열 241의 하강으로 형성되는 펄스열 243이 출력된다. 펄스열 243은 다음에 전환 회로 244에 입력된다. 이 전환 회로 244는, 가장 치밀한 패턴을 검출했을때만 펄스열 243을 출력하고, 그 이외의 패턴일때에는 기록 코드 33을 출력하도록 패턴 검출 신호161에 의해서 전환이 행하여 진다. 그 결과 출력에는 기록 코드 236이 얻어진다. 상기의 회로측에서는, 가장치밀한 데이타 패턴 "1001"일때만 지연량 τ2를 설정했지만, 비선형 영역에 포함되는 여러개의 데이타 패턴에 대해서 펄스폭 설정회로를 마련하여, 전환 회로 244로 검출된 데이타 패턴에 의해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상의 제2의 기록보정수단과 제1의 기록보정수단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기록된 피트 35에서 데이타 42를 복호화하기 위한 처리, 즉 재생 보정기 20의 구체적 구성예를 기술한다. 제15도의 재생 보정기 20의 구성예이다.
광 검출기 9에 의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데이타는 증폭기 19에서 바라는 레벨까지 증폭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 신호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록해야 할 정보에 따른 가변길이의 피트로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어, 이 피트의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를 데이타로써 취급한다. 증폭기 19에서의 신호는 차동 출력형의 비교기 70에 의해 2진화된다. 2진화일때의 임계값은 이 비교기의 반전 입력측에 주고 있다. 차동 출력은 직접 AND 게이트 71, 72로 입력되는 경로와 지연 소자 73, 74를 거친후, 이 AND 게이트로 입력되는 경로로 분기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 71의 출력은, 앞가장자리 검출 펄스 39, AND 게이트 72의 출력은, 뒤가장자리 검출 펄스 40으로 된다. 제15도의 예에서는, 비교기로써 차동 출력형을 사용하고 있지만, 1단의 싱글 출력형이라도 좋고, 이 경우는, 논리의 반전기를 넣어서 사용하면 아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다. 앞가장자리 검출 펄스 39와 뒤가장자리 검출 펄스 40은 각각 셀프 클럭 발생 동기용의 VFO(Variable fropuency oaillator)75, 76에 입력된다. 이 VFO에서의 출력은 각각 데이타 복조 개시 패턴 검출 회로(일반으로 SYNG 검출회로) 77, 78로 인도된다. 이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패턴 일치 신호 79, 80및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39,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40은, 앞가장자리, 뒤가장자리 위치의 시간적 보정을 행하는 회로(보정회로) 81로 입력된다. 이 보정회로 81의 구체적 구성에는 다음에 기술한다. 보정회로 81의 출력은, 복호기 82에 입력되어, 데이타의 복호화가 행해진다. 복호의 회로나 방법은,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좋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데이타 복조개시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타 복조 개시 패턴은, 제9도에 있어서 동기화 신호 62 및 사용자 데이타 66의 개시 위치에 기록된다. 이 패턴의 목적은, 복호화 타이밍은 정확히 주는 것에 있다. 일반으로 이 패턴을 검출하는데에는, VFO에 의해 발생한 클럭에 의해서, 시프트 레지스터 내를 시프트시켜, 이 시프트 레지스터 출력을 소블럭(예를 들면 4비트)마다에 AND 를 취하여, 이들 AND 게이트 출력의 다수결에 의해 행한다.
제16도는, 2중화한 타이밍 마크 패턴의 1예이다.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39와 뒤가장자리 검출신호 40을 각각 별개의 패턴 판별 회로의 입력하면, 앞가장자리에서의 일치신호 79와 뒤가장자리에서의 일치신호 80은 각각 제16도에서 도시한 위치에 발생한다. 제16도의 예에서는, 양자 일치 신호 79, 80의 시간차는, 정확한 에지 검출이 실현되면, 4비트만큼의 시간으로 된다.
제17도는 앞가장자리에서의 타이밍 마크 패턴 검출 회로의 1예이다. 8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터 170∼175를 사용하여, 소블럭(4비트)마다에 논리곱을 취하고, 다수결 회로에 의해 검출 신호 79를 얻고 있다. 다수결 회로 182는 게이트로 구성하든가, ROM을 사용하여 각각의 AND 게이트 176∼181의 출력을 어드레스로써 입력하여, ROM의 출력 데이타를, 검출 신호 79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6도에서 도시한 기록시의 보정만으로 정확한 위치에 기록 피트가 형성되어, 기록 시의 "1"의 위치를 재현하는 이상적인 경우로써 설명해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록시의 "1"의 위치는, 기록 보정만으로는 정확히 재현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으므로, 정보의 식별창폭이 매우 좁게 되고 말아, 이대로 복호화하면 에러로 되는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앞에 기술한 2중화한 복조 개시 타이밍용 패턴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이 타이밍 패턴에 계속되는 사용자 데이타열의 에지 위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제18도는 제15도에 도시한 보정 회로 81의 1구성예이다. 앞가장자리의 패턴 일치 신호 79는, 지연 소자 101에 입력된다. 이 지연 소자 101은, 몇개인가의 지연 출력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출력은 102∼105는, AND 게이트 106∼109에 입력되어 있다. 한편, 뒤가장자리에서의 패턴 일치 신호 80은, AND 게이트 106∼109의 1 게이트분의 지연량을 가지는 버퍼 110 및 AND 게이트 106∼109로 입력되어 있다. AND 게이트의 출력 111∼114는 각각 플립 플롭 116∼119의 D(데이타)단자에 입력된다. 또 이 플립 플롭의 T(트리거)단자에는, 버퍼 110의 출력 115가 입력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8도에 도시한 회로 동작을 제19도 및 제2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9도는 앞가장자리에서의 일치 신호 79와 뒤 가장파리에서의 일치 신호 80의 발생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9도(a)는 정규의 늦음 4T, 즉 4비트 클럭분의 늦음다도 α만큼 짧은 늦음으로 일치 신호 80이 발생한 경우, 제19도(b)는 정규의 늦음으로 일치 신호 80이 발생한 경우, 제19도(c)는 정규의 늦음보다도 다시 β만큼 늦어서 일치 신호 8D이 발생한 경우이다. 항시 제19도(b)와 같이 되어 있으면, 전혀 시간축 보정은 행하지 않고,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39와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40의 논리합(OR)을 코드 41로 하면 좋지만, 제19도(a) 또는(c)의 경우는, 각각 α,β 만큼 시간 보정하고 나서 논리합을 취하여 코드열 41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제20도는 제19도(a)의 경우에 대해서, 제18도의 회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연 출력 102∼105는 같은 시간 간격으로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제19도의 경우, 지연 출력 103이, 뒤가장자리에서의 일치 신호 80과 AND 조건을 성립시킬 수 있는 지연 출력으로 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 출력 112만이 일치시간에서 "H"로 되고, 플립 플롭 117의 Q 출력 121만이 세트되어 "H"로 된다. 즉, 제18도에 있어서, AND 게이트 124-127중, 125의 게이트만이 여는 것으로 된다. 한편,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39는, 지연 소자 128에 입력되어 있어, 지연 출력 130∼133중, 131의 출력만이, AND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지연출력 131이 제10도의 α에 상당하는 시간 늦음이면, 일치 신호 79, 80에 계속하는 사용자 데이타열 66에 대해서 오차분 α를 보정할 수 있다. 제18도에 있어서,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40도 지연 소자 134를 통하고 있지만, 이것은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40을 더욱 늦어지게 하여 보정을 행할때를 위해서, 사전에, 지연 소자 128의 최대 지연 시간의 중간 정도의 시간분만큼 늦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보정한 후, OR 게이트 135에 의해 앞가장자리 검출 신호 39와 뒤가장자리 검출 신호 40의 논리합을 취하는 것에 의해 일련의 데이타열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논리합을 취하지 않고,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 각각을 별개의 데이타 복조 회로에 입력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이 제5도에서 도시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광학계, 기록·재생 신호 처리계의 각부 동작의 설명이다. 다음에 실제로 디스크 1상의 기록막에 데이타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디스크 1은, 통상 카트리지(cartridge)에 간직된 형으로 모터 2의 스핀들에 장착되든가,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자동 조절 중심기구부의 마그네트 처크식의 스핀들에 장착된다. 광 헤드3의 이동은 선형 모터에 의해 행해진다. 디스크 1이 장착된 후, 모터 2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 모터가 정상속도에 이르면, 회전 OK의 신호가 제어부로 보내져, 반도체 레이저 4가 ON으로 되어, 재생 파워가 디스크 1의 기록막상에 조사된다. 이후, 오토 포카스 서보가 기동된다. 이어서, 트래킹 서보가 기동되어, 디스크에 새겨진 안내홈을 추종한다. 디스크 1상에 프리 포매트된 헤더부의 정보가 리드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시켄스에 의해 기록 재생 제어부 12는 현재, 광 스폿이 위치하는 트랙 번지, 섹터 번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해야할 트랙으로의 광 헤드의 위치 정함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좋다. 즉 외부 스케일 11 또는 트랙을 횡단할때의 신호의 제로 크로스점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것으로서, 광헤드의 이동을 행하여, 트랙 번지를 확인한 후, 여러줄의 트랙 이동을 갈바노 미러 7에서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목표 트랙에 위치가 정하여진 후, 기록해야할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으로 된다. 기록 펄스폭, 기록 파워의 설정은 트랙 번호 또는 외부 스케일값에 의한 것 및 기록 패턴에 의한 파워 설정 회로(제11도)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목표 섹터내의 기록 영역의 지정은, 헤더 신호내의 섹터 마크 60 또는 동기화 신호 62의 검출 펄스에서의 클럭수 관리에 의해서 기록 게이트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 진다.
기록 펄스 조사할때는, 오토 포카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이득이 상승하기 때문에, 안정하게 추종시키는데는 기록할때에는 이득을 저하시키는 방법에 취해지고 있다. 피트 에지 기록의 경우는, 피트 포지션 기록의 경우에 비해서 평균적인 기록 파워가 상승하기 때문에, 보다 큰 이득의 저감이 필요로 된다. 실제의 값은, 변조 방식이나, 기록 파워등에 맞추어서 설정해 줄 필요가 있다.
재생 동작에 대해서도, 광 스폿의 이동, 위치 정함은, 기록과 마찬가지의 시켄스를 행하는 것으로 된다. 재생시의 데이타 에지의 변동은 보정기 20에 의해서 흡수하여, 안정한 데이타 복조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피트 에지 기록 재생 장치 및 방식은, 추기형 광디스크를 매체로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광디스크 매체(광자기·상변화)로도 마찬가지로 해서 취급할 수 있다. 특히 광자기디스크의 경우는, 기록·소거를 위하여 인가하는 외부자장의 강도도, 기록 펄스폭, 파워와 마찬가지로 기록 위치나 기록 패턴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 파형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를 각각 데이타로 하는 기록 재생 방식 및 장치에 관하여, 디스크상의 기록 위치, 기록 패턴, 기록 감도 특성등을 고려하여 기록 펄스폭, 파워를 설정해서 피트 에지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재생시에는 2중화 동기신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타의 에지 변동량을 보정하고 있다. 이들의 기록시와 보정시의 양보정에 의해, 기록막 특성의 흐트러짐을 횹수하여, 에지 시프트가 적은 고신 성인 데이타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트랙번지(63)을 포함하는 헤더신호(67)을 사전에 기록한 프리포매트영역과 데이타기록영역(66)이 트랙에 따라서 질대로 배열된 기록매체(1)에 레이저빔(185)를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에 있어서, 기록해야할 데이타(30)을 바라는 코드(31)로 변환하는 스텝, 상기 코드(31)을 상승과 하강이 상기 로드의 1에 대응하는 코드(32)로 변환하는 스텝, 상기 코드(32)를 나타내는 펄스폭을 상기 기록매체상에서의 상기 레이저빔의 선속도에 따라서 보정한 기록펄스(33)을 얻는 스텝, 상기 기록펄스(33) 에 따라서 강도를 하이레벨, 로우레벨로 변조한 레이저빔(34)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데이타 기록영역위를 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코드(31)의 1이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기록마크(35)를 상기 데이타기록영역에 기록하는 스텝,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기록마크(35)에 대응하는 재생신호(36)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마크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에 대응한 에지펄스(39,40)을 각각 독립적으로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한 양에지펄스(39,40)의 시간간격을 보정하여 상기 코드(31)에 대응하는 신호(41)을 얻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2. 적어도 트랙번지(63)을 포함하는 헤더 신호(67)을 사전에 기록한 프리포매트영역과 데이타기록영역(66)이 트랙에 따라서 교대로 배열된 디스크형상 기록매체(1)에 레이저빔(185)을 조사하는 광헤드(3), 기록 해야할 데이타(30)을 바라는 코드(31)로 변환하는 부호기(13), 상기 코드(31)을 상승 및 하강이 상기 코드 의 1에 대응하는 코드(32)로 변환하고, 상기 코드를 나타내는 펄스폭을 상기 기록매체상에서의 상기 레이저 빔의 신속도에 따라서 보정한 기록펄스(33)을 얻는 펄스폭 설정수단(15), 상기 광헤드(3)에서의 상기 레이저 빔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데이타기록영역위를 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코드(31)의 1이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기록마크(35)를 상기 데이타기록영역(66)에 기록하도록 상기 펄스폭 설정수단(15)에 서의 상기 기록펄스(33)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빔의 강도를 하이레벨, 로우레벨로 변조하는 레이저 구동수단(18),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기록마크(35)에 대응하는 재생신호(36)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마크의 앞가장자리와 뒤가장자리에 대응한 에지펄스(39,40)을 각각 독립적으로 검출하는 검출수단(71,73,72,74)륵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양에지펄스(39,40)의 시간 간격을 보정하여 상기 코드(31)에 대응하는 신호(41)을 얻는 재생수단(81)늘 포함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32)를 소정시간 지연한 여러개의 코드신호에서 상기 선속도에 따라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코드 신호와 상기 코드(32)의 논리곱을 취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록펄스(33)을 얻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선속도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빔의 파워를 제어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레이저빔에서 상기 기록매체위를 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프리포매트영역에서 리드되는 상기 트랙번지(63)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서의 상기 레이저빔의 선속도를 검출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코드(31)을 상기 코드(32)로 변환할때에 상기 레이저빔에 의한 상기 데이타 기록영역의 각각의 주사종료시에 상기 레이저빔의 강도가 로우레벨로 되도록 상기 데이타기록영역을 지정하는 게이트신호(55)에서 상기 코드(32)를 나타네는 펄스폭을 하강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광헤드(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스켈을 마련하고, 기록시에 상기 외부 스켈에서의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서의 상기 레이저빔의 선속도를 검출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또매트영역에 사전에 기록된 상기 헤더 신호(67)은 상기 데이타기록영역(66)에 기록되는 데이터신호와 다른 형태로 기록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9.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신호(67)은 피트포지션 기록방식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코드(31)이 최고밀도 기록패턴인 경우에 상기 레이 저빔의 파워를 크게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32)를 나타내는 펄스의 하강을 제어하는 정보기록 재생방법.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헤드(3)은 상기 레이저 구동수단(18)에 의해서 구동 제어되는 레이저수단(4), 상기 레이저수단(4)에서의 레이저빔을 상기 기록매체(1)에 촛점맞춤하는 광학계(5,8)및 상기 기록매체에서의 반사빔을 수신하여 전기적신호를 변환하는 광전변환수단(9)로 구성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설정수단(15)는 상승 및 하강이 상기 코드(31)의 1에 대응하는 상기 코드(32)를 소정시간 지연한 여러개의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지연수단(45), 상기 지연수단에서의 여러개의 코드신호의 하나를 상기 선속도에 따라서 선택하는 선택수단(46) 및 상기 선택된 코드신호와 상기 코드(32)의 논리곱을 취하는 수단(47)로 구성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선속도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빔의 파워를 제어하는 파워설정수단(16)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4.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레이저빔에서 상기 기록매체위를 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프리포매트영역에서 리드되는 상기 트랙번지(63)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서의 상기 레이저 빔의 선속도를 검출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코드(31)을 상기 코드(32)로 변환할때에 상기 레이저빔에 의한 상기 데이타기록영역의 각각의 주사종료시에 상기 레이저빔의 강도가 로우레벨로 되도록 상기 데이타기록영역을 지정하는 게이트신호(55)에서 상기 코드(32)를 나타내는 펄스를 하강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6. 특허청구의 범위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앞가장자리에 대응한 에지펄스(39)와 상기 뒤가장자리에 대응한 에지펄스(40)에서 각각 셀프클럭을 발생하는 수단(75,76)을 별개로 독립해서 마련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17. 특허청구의 범위 제16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상기 코드(31)이 최고밀도기록패턴인 경우에 상기 레이저빔의 파워를 크게하는 수단과 상기 코드(32)를 나타내는 펄스의 하강을 제어하는 수단(239)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1019870008782A 1986-08-22 1987-08-11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Expired KR910001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95376A JP2810035B2 (ja) 1986-08-22 1986-08-22 光学的記録再生方法
JP?61-195376 1986-08-22
JP195376 1986-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277A KR890004277A (ko) 1989-04-21
KR910001275B1 true KR910001275B1 (ko) 1991-02-26

Family

ID=1634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782A Expired KR910001275B1 (ko) 1986-08-22 1987-08-11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866692A (ko)
JP (1) JP2810035B2 (ko)
KR (1) KR910001275B1 (ko)
DE (1) DE3727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8565T2 (de) * 1987-04-28 1994-10-20 Sharp Kk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GB2224911A (en) * 1988-11-09 1990-05-16 Philips Nv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igning binary values to sample values
JPH075524Y2 (ja) * 1988-11-14 1995-02-08 ローム株式会社 磁気記録回路
US5126994A (en) * 1988-11-29 1992-06-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etecting recording laser beam
JP2845915B2 (ja) * 1989-01-06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708859B2 (ja) * 1989-03-16 1998-02-04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810490B2 (ja) * 1989-03-20 1996-01-31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情報書込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16038A (ja) * 1989-06-13 1991-01-24 Tea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US5134606A (en) * 1989-07-07 1992-07-28 Nec Corporation Method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mizing laser beam power
JP2785370B2 (ja) * 1989-08-25 1998-08-13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装置
JP2534778B2 (ja) * 1989-09-26 1996-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再生方式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657959B2 (ja) * 1989-09-29 1997-09-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磁気光学的記憶装置における光学的な遷移を検出する検出装置
JPH03116531A (ja) * 1989-09-29 1991-05-17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H03116539A (ja) * 1989-09-29 1991-05-17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
JP3134290B2 (ja) * 1989-11-21 2001-02-13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2762629B2 (ja) * 1989-11-21 1998-06-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該記録媒体の再生装置
DE69033479T2 (de) * 1989-12-20 2000-09-14 Sony Corp., Tokio/Tokyo Optisches Aufzeichnungsgerät
JP3034268B2 (ja) * 1990-02-19 2000-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5493549A (en) * 1990-04-10 1996-02-20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regeneration apparatus with compensation circuit
US5237550A (en) * 1990-05-24 1993-08-17 Olympus Optical Co., Ltd. Reloadable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0793221B1 (en) * 1990-05-25 2006-08-02 Hitachi, Ltd.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2852792B2 (ja) * 1990-07-05 1999-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5235590A (en) * 1991-03-20 1993-08-10 Fujitsu Limited Read out apparatus for reading out information from magneto-optic disk
JP2850966B2 (ja) * 1991-08-02 1999-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3327933B2 (ja) * 1991-08-29 2002-09-2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US7286153B1 (en) 1991-10-11 2007-10-23 Hitachi, Ltd. Three-dimensio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69220015T2 (de) * 1991-12-27 1997-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 Platten Lesegerät
US5347505A (en) * 1992-01-20 1994-09-13 Fujitsu Limited Optical mediu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pulse width delay and/or advancement
JP3305344B2 (ja) * 1992-01-21 2002-07-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記録媒体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JP2598733B2 (ja) * 1992-03-06 1997-04-09 ローム株式会社 磁気記録用書込み回路および磁気記録装置
JP3134508B2 (ja) * 1992-06-23 2001-02-13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信号検出方法
JP2618571B2 (ja) * 1992-09-24 1997-06-11 富士通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のデータ再生回路
JP3147255B2 (ja) * 1992-10-13 2001-03-1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US5400313A (en) * 1992-11-09 1995-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heat buildup
US5297129A (en) * 1992-12-24 1994-03-22 Optical Disc Corporation Waveform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JP2911704B2 (ja) * 1993-02-16 1999-06-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RE41022E1 (en) 1993-03-15 2009-12-01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disk capable of resynchronization in digital encoding and decoding
BE1007029A3 (nl) * 1993-04-22 1995-02-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erkwijze voor het afleiden van een kwaliteitssignaal uit een uitgelezen signaal, alsmede een optekeninrichting en een uitleesinrichting waarin een dergelijke werkwijze wordt toegepast.
CA2125331C (en) * 1993-06-08 2000-01-18 Isao Satoh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H0765513A (ja) * 1993-08-27 1995-03-10 Canon Inc 同期マーク検出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CN1746990A (zh) * 1993-12-28 2006-03-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种光盘和从光盘上再生信息的再生装置
US5495466A (en) * 1994-01-10 1996-02-27 Eastman Kodak Company Write verification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by sensing mark formation while writing
JP3763419B2 (ja) * 1994-03-11 2006-04-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TW347899U (en) * 1994-08-31 1998-12-11 Sony Corp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5530688A (en) * 1994-10-31 1996-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using two modulated laser beams for recording information data
US5561656A (en) * 1994-11-18 1996-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lse width modulation optical disk drive with pulsed laser preheating between marks
JP3621149B2 (ja) * 1995-03-20 2005-02-16 富士通株式会社 同期パターン読み取り方法、同期パターン検出回路、アドレスマーク検出回路
US5726965A (en) * 1996-02-29 1998-03-10 Eastman Kodak Company Intersymbol interference detection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using a reflected write signal
US5631887A (en) * 1996-04-30 1997-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lse width modulation optical disk drive with adjustable pulsed laser write and preheat patterns
JP3861269B2 (ja) * 1996-07-16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3092523B2 (ja) * 1996-09-17 2000-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
JP3545163B2 (ja) * 1997-04-10 2004-07-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信号変換装置及びディジタル情報記録装置
JP3648914B2 (ja) * 1997-04-11 2005-05-18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光のパワー制御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6781937B2 (en) * 1998-01-21 2004-08-24 Yamaha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and device
US6925040B1 (en) 1998-08-04 2005-08-02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TW468177B (en) * 1998-08-04 2001-12-11 Hitachi Ltd Data storage method, data storage medium and data storage recording device
US6580683B1 (en) 1999-06-23 2003-06-17 Dataplay,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 master data area and a writeable data area
US20030157292A1 (en) * 1999-06-23 2003-08-21 Dataplay, Inc. Miniature optical disk for data storage
US6990058B1 (en) 2000-04-03 2006-01-24 Dphi Acquisitions,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n optical disks
JP3954280B2 (ja) 2000-05-23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と再生方法と再生装置
US6738333B1 (en) 2000-05-30 2004-05-18 Dphi Acquisitions, Inc. Format for recording data in a storage disk
US7051054B1 (en) 2000-05-30 2006-05-23 Dphi Acquisi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read/write file system on a write-once storage disk
AU2001275040A1 (en) * 2000-05-30 2001-12-11 Dataplay, Inc. Defect management system for write-once storage disk
CA2354780A1 (en) * 2000-08-04 2002-02-04 Silicon Image, Inc. Digital display jitter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970410B2 (en) * 2001-01-25 2005-11-29 Dphi Acquisitions, Inc. Focus detection in a digital focus servo system
US7092322B2 (en) * 2001-01-25 2006-08-15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focus error signal offset in a focus servo system
US6891789B2 (en) * 2001-01-25 2005-05-10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automatic media type detector
US6882601B2 (en) 2001-01-25 2005-04-19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feed-forward control loops
US7522480B2 (en) 2001-01-25 2009-04-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with an acceleration clamp
US7782721B2 (en) 2001-01-25 2010-08-24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zone calibration
US6922380B2 (en) 2001-01-25 2005-07-26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anti-skate algorithm
US6950380B2 (en) * 2001-01-25 2005-09-27 Dphi Acquisitions, Inc. Detector input dark current offset calibration in an optical disk drive digital servo
US7414940B2 (en) 2001-01-25 2008-08-19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a focus error signal gain in a focus servo system
US6891781B2 (en) * 2001-01-25 2005-05-10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second order compensator
US6847596B2 (en) 2001-01-25 2005-01-25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servo system including a multi-track seek algorithm with a track zero crossing period integrity test
US6728182B2 (en) 2001-01-25 2004-04-27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a media type boundary crossing detector
US6906985B2 (en) 2001-01-25 2005-06-14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tracking error signal gain in a tracking servo system
US6970403B2 (en) * 2001-01-25 2005-11-29 Dphi Acquisition, Inc. Calibration of tracking error signal offset in a tracking servo system
US6781929B2 (en) 2001-01-25 2004-08-24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US6762980B2 (en) 2001-01-25 2004-07-13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a multi-track seeking and accelerated servo function for regaining a closed tracking loop
US6885619B2 (en) * 2001-01-25 2005-04-26 Dphi Acquisitions, Inc. Detector input stray light offset calibration in an optical disk drive
US7260031B2 (en) 2001-01-25 2007-08-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one-track jump
US6847597B2 (en) 2001-01-25 2005-01-25 Dphi Acquisitions, Inc. Optical disk drive with a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US7095683B2 (en) * 2001-01-25 2006-08-22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digital servo system with write abort
US6809995B2 (en) 2001-01-25 2004-10-26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US7196979B2 (en) 2001-01-25 2007-03-27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storage methods for a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calibration
US7023766B2 (en) 2001-01-25 2006-04-04 Dphi Acquisitions, Inc. Flexible servicing of servo algorithms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6956797B2 (en) * 2001-01-25 2005-10-18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error signal integrity testing
US6898164B2 (en) 2001-01-25 2005-05-24 Dphi Acquisitions, Inc. Close tracking algorithm in a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US6930963B2 (en) 2001-01-25 2005-08-16 Dphi Acquis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head load
US7680004B2 (en) * 2001-01-25 2010-03-16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inverse non-linearity compensation
US6704261B2 (en) 2001-01-25 2004-03-09 Dphi Acquisitions, Inc. Spin motor control in an optical drive
US7593300B2 (en) 2001-01-25 2009-09-22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off-format detection
US6937543B2 (en) 2001-01-25 2005-08-30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focus servo system with a sliding notch filter
US6813228B2 (en) 2001-01-25 2004-11-02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direction sensor
US7016280B2 (en) * 2001-01-25 2006-03-21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defect detection
US7492675B2 (en) * 2001-01-25 2009-02-17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calibrated notch filters
US6965547B2 (en) * 2001-01-25 2005-11-15 Dphi Acquisitions, Inc.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error signal inverse non-linearity calibration
US7023776B2 (en) * 2001-01-25 2006-04-04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initiation methods for a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US6958957B2 (en) * 2001-01-25 2005-10-25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and focus servo system with TES to FES crosstalk calibration
US6813226B2 (en) 2001-01-25 2004-11-02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of a focus sum threshold in a focus servo system
US6909676B2 (en) 2001-01-25 2005-06-21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multi-track seek with track zero crossing detection
US6738320B2 (en) 2001-01-25 2004-05-18 Dphi Acquisi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optical pick up from current position to target position with smooth control
US7020054B2 (en) * 2001-01-25 2006-03-28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biased feed-forward
US6882603B2 (en) * 2001-01-25 2005-04-19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tracking servo system with tracking skate detection
US7672199B2 (en) 2001-01-25 2010-03-02 Dphi Acquisitions, Inc. Close focus algorithm in a digital focus servo system
US6904007B2 (en) * 2001-01-25 2005-06-07 Dphi Acquisitions, Inc. Digital servo system with loop gain calibration
JP3837742B2 (ja) * 2003-02-21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記録再生装置、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MXPA06006890A (es) * 2003-12-19 2006-09-0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rtadores de grabacion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os mismos.
KR100677745B1 (ko) * 2004-10-0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펄스열의 에너지레벨을 이용하여 기록펄스열을최적화할 수 있는 광디스크 기록장치 및 기록펄스열최적화방법
US8254227B2 (en) * 2005-05-10 2012-08-28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requency-modulated coding and data recording and storage using plasmonic nanostructures
US20070008850A1 (en) * 2005-07-06 2007-01-11 Yukihisa Nakajo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ly recording data
JP4484785B2 (ja) * 2005-08-09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
JP2011118996A (ja) * 2009-12-04 2011-06-16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学式記録媒体の記録装置、及び光学式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7127512B2 (ja) * 2018-11-28 2022-08-3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回転位置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9006A (en) * 1976-11-30 1978-06-20 Sony Corp Reproducer of disc form signal recording media
JPS57198546A (en) * 1981-05-29 1982-12-06 Fuji Xerox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4488277A (en) * 1982-02-10 1984-12-11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n optical data recording apparatus
JPS58158041A (ja) * 1982-03-15 1983-09-20 Sanyo Electric Co Ltd 光学的情報記録方法
JPS58158039A (ja) * 1982-03-15 1983-09-20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の記録再生装置
US4562567A (en) * 1982-11-12 1985-12-31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write beam in an optical data recording system
JPS5990449A (ja) * 1982-11-16 1984-05-24 Toshiba Corp 復調方式
US4549288A (en) * 1982-12-20 1985-10-2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playback signal in an optical data recording system
JPS60127535A (ja) * 1983-12-14 1985-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S60243824A (ja) * 1984-05-17 1985-12-03 Fujitsu Ltd 光デイスクの信号記録方法
US4646103A (en) * 1985-03-20 1987-02-24 Hitachi, Ltd. Optical recording method
JP2581663B2 (ja) * 1985-05-02 1997-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
US4734900A (en) * 1986-04-25 1988-03-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toring and clocking pulse width modulated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53722A (ja) 1988-03-08
JP2810035B2 (ja) 1998-10-15
US4866692A (en) 1989-09-12
USRE35435E (en) 1997-01-28
DE3727681C2 (ko) 1991-07-18
KR890004277A (ko) 1989-04-21
DE3727681A1 (de) 198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275B1 (ko)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JP3558168B2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H083109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807362B2 (ja) 情報再生装置
US4811316A (en) Apparatus for seeking a track of an optical information carrier in which a loss of detection signal is compensated for
JP3068105B2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再生装置
JPS61216126A (ja) 光学的記録方法
US6646968B1 (en) Magneto-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method for presetting optimum recording power of recording apparatus
US6741527B2 (en)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agneto-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reproduction power based on long recorded marks
JPH11149644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KR19990036193A (ko) 광디스크장치
JPH01185839A (ja) 光記憶書込回路
JP3503764B2 (ja) 光磁気記録方法及び光磁気記録装置
JP2861998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H0121124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3092523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
JP2691551B2 (ja) 光ディスク
JP2000163748A (ja) 情報記録方式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3191376B2 (ja) 情報記録方法
JP3445313B2 (ja) 光情報再生方法
KR100201407B1 (ko) 광디스크 기록재생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738700B2 (ja) 信号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223881B2 (ja) 情報記録装置
JP3191763B2 (ja) 情報記録媒体
JPS59139147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8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1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1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