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8693B1 - 혈액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693B1
KR900008693B1 KR1019880001911A KR880001911A KR900008693B1 KR 900008693 B1 KR900008693 B1 KR 900008693B1 KR 1019880001911 A KR1019880001911 A KR 1019880001911A KR 880001911 A KR880001911 A KR 880001911A KR 900008693 B1 KR900008693 B1 KR 90000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lasma
membrane
vacuum
sepa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669A (ko
Inventor
엘. 헤인스 죤
에이. 그리피 니콜라스
Original Assignee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레이몬드 피. 오흘뮬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레이몬드 피. 오흘뮬러 filed Critical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88000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69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32Needle holders, for instance for holding the needle by the hub, used for example with double-ended needle and pre-evacuate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72Pierceable protectors, e.g. shields, caps, sleeves or films, e.g. f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375Liberation or purification of sample or separation of material from a sample [e.g., filtering, centrifuging, etc.]
    • Y10T436/255Liberation or purification of sample or separation of material from a sample [e.g., filtering, centrifuging, etc.] including use of a solid sorbent, semipermeable membrane, or liquid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혈액 분리 장치
제1도는 공지된 혈액 수집 바늘 조립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제2의 캐뉼러 및 탄성 슬리브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제1도의 바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공지된 진공 혈액 수집 튜브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4-4를 따라 취해진 제3도의 진공 튜브의 단면도.
제5도는 바늘 조립체와 제2캐뉼러가 진공 튜브의 마개를 천공했을 때 제1도의 바늘 조립체와 제3도의 진공튜브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6도는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본 발명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선 9-9를 따라 취해진 제7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10도는 선 10-10을 따라 취해진 제7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11도는 선 11-11을 따라 취해진 제8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12도는 상부 하우징 부분에 부착된 분리 멤브레인을 보여주는 제6도의 장치의 상부 하우징 부분의 저면도.
제13도는 제12도와 유사하지만 분리 멤브레인이 없는 제6도의 장치의 상부 하우징 부분의 저면도.
제14도는 선 14-14를 따라 취해진 제8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15도는 진공 튜브와 함께 사용하여 혈액 샘플을 추출하는 제6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16도는 혈액 샘플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제15도 장치의 측면도.
제17도는 선 17-17을 따라 취해진 제15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18도는 선 18-18을 따라 취해진 제15도의 장치의 단면도.
제19도는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데 바람직한 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
제20도는 바늘 캐뉼러 및 견고한 용기를 에워싸는 구조를 보여주도록 부분적으로는 단면도로 도시된 제19도 장치의 측면도.
제21도는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으로 분리하는데 바람직한 장치의 다른 한 변형예의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 장치의 평면도.
제23도는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데 바람직한 장치의 또다른 변형에의 평면도.
제24도는 선 24-24를 따라 취해진 제23도의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7 : 하우징 51 : 공동
52 : 분리 멤브레인 54 : 혈액 수집부
55 : 혈장 수집부 58 : 캐뉼러
59 : 관강 60 : 중공 허브 부분
61 : 인입 도관 62 : 혈액 연통 도관
63 : 용기 68 : 혈장 연통 도관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성분을 멤브레인 분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 보조회전장치, 보조펌프 등을 사용치 않고, 혈액 샘플의 세포질 성분으로부터 액체 성분을 분리하는 장치 및 이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형기술의 설명]
혈액 샘플을 얻는 보통 방법은 두개의 캐뉼러 바늘 조립체 및 천공 가능한 마개를 지니는 진공 유리 튜브를 사용한다 그 방법은 바늘 조립체의 하나의 캐뉼러를 환자의 정맥에 꽂고 바늘 조립체의 다른 캐뉼러로 진공 유리 튜브의 마개를 천공하여 정맥과 유리 튜브 내부 사이를 유체 연통시킨다. 진공 유리 튜브내의 더 낮은 압력 때문에, 혈액이 환자로부터 튜브내로 추출된다. 진공 튜브 및 그와 함께 사용하는 바늘 조립체는 네흐링의 미합중국 특허 제3,469,572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들은 뉴저지 프랭클린 레이트 소재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사의 백큐테이너라는 상표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진공 유리 튜브내의 혈액 샘플은 그후에 원심분리기에 위치되어 혈액 샘플의 밀도가 더 큰 세포질 성분이 튜브의 저부로 이동되고 밀도가 더 작은 혈장 샘플의 상부에 위치될때가지 원심분리된다. 그후에 튜브의 마개를 분리시키고 혈장 샘플을 다음의 시험을 위해 쏟을 수 있다. 혈청이 필요하면, 혈액 샘플은 그것을 원심 분리하기 전에 엉기도록 허용된다.
부노의 미합중국 특허 제4,057,499호는 액체 수집용 중공 내부 및 한 단부에 결합된 피스톤을 구비한 샘플 추출 요소를 사용하여 혈장 또는 혈청 샘플을 수집하는 것을 발표하고 있다. 피스톤은 샘플을 담는 유리 튜브의 내벽과 함께 시일을 형성하는 립(lip)을 포함하며 내부는 필터 및 일반 밸브를 지닌다. 사용시에, 유리 튜브내의 혈액 샘플은 액상 및 세포질 상을 분리하도록 원심 분리되고, 그후에, 부노의 장치는 피스톤이 샘플의 액체 부분을 통과해서 그 액체 부분을 필터 및 밸브를 통해서 장치의 중공 내부로 강제하도록 튜브내에 위치되어 튜브 내표면을 따라 강제된다. 액체 샘플의 일부를 담는 장치는 그후에 유리 튜브로부터 분리된다. 부노는 혈액의 세포질 상과 액상사이의 유해한 화학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포질 상으로부터 샘플의 액상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부노는 혈장 또는 혈청 샘플을 얻기 위하여 원심분리 및 분리 여과장치의 사용을 설명한다.
혈액 샘플을 필터 멤브레인을 통해서 강제하는 것은 필터 멤브레인이 세포질 성분에 의해 곧 막혀서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액체 및 세포질 성분들을 분리하는 실질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액 샘플의 액상이 원심 분리기를 사용치 않고, 혈액 샘플의 세포질로부터 분리되려면 크로스 플로우 필터(cross-flow filter) 장치가 제공되야 한다. 크로스 플로우 필터 장치에서, 혈액 샘플은 멤브레인의 주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필터 멤브레인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며, 부차적 힘이 멤브레인의 혈액쪽과 액체쪽 사이에 압력차를 제공하므로 액상은 멤브레인을 통과하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211,645호, 4,191,182호, 4,212,742호 및 4,343,705호는 크로스 플로우 기술을 사용하는 액체 여과용의 여러 가지 장치들을 설명한다. 이들 특허 각각에서, 사용된 장치는 적절한 분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분리원으로부터 멤브레인 필터를 가로질러 가압 구동력을 필요로 한다. 즉, 분리 송출 및/또는 회전장치가 크로스 플로우 필터와 함께 사용되야 한다.
크로스 플로우 여과방법은 혈액 샘플이 필터 멤브레인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흐르게 되었을 때 필터 멤브레인이 혈액 샘플의 세포질 부분에 의해 막히는 경항이 더 적으므로 원심분리기를 사용치 않고 혈액이 여과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더욱 훌륭하다고 믿어진다 어떤 경우에든, 전술된 모든 방법 및 장치는 원심분리기, 액체 송출 및/또는 회전 장치 등과 같은 비교적 비싼 보조 장치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추가적인 장치에 의존함으로써, 비상시에 환자의 문제를 분석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 혈액 샘플의 액상이 적절히 분석되어야 하는 위급 상황에서 귀중한 시간을 소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혈액샘플을 추출하자마자 다른 단계를 밟지 않고 세포상으로부터 혈액샘플의 액상을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트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705,100호는 원심분리기 또는 재순환 펌프를 사용치 않고 전체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장치를 설명하고 있는바, 그 특허는 분명히 피하주사기를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혈액샘플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혈액이 추출된 후에, 바늘 또한 다른 장치가 주사기로부터 분리되고 주사기는 주사가 플런저를 통해서 주사기의 내용물에 양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장치 및 필터 하우징에 결합된다. 혈액은 주사기 팀을 통해서 원형 경로 둘레 및 외부로 그것이 개방 용기에 수집되는 환경으로 이동되며, 혈장은 필터 매개체를 통과해서 제2용기내로 방울져 떨어진다. 브라트등의 설명은 원심분리기 또는 분리송출 및/또는 회전장치를 사용치 않고 혈장을 분리시키지만, 샘플을 추출하는 사람은 그 혈액 샘플에 의해 오염될 위치에 노출시키는 혈액 샘플에 대한 다수의 취급단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역시 결합을 지닌다. 또한, 그 샘플은 블라트등의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중에 주위에 노출될 수 있어서 혈액으로부터 얻어진 혈장의 어떤 실험실 분석에서 실험 결과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현재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오베르하르트등의 특허 출원(1995년 1월 25일 출원 제694,717호)이 참고로 기술되는바, 그 출원은 액체의 격리된 양의 더 가벼운 분류물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원심분리기 및 펌프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사용치 않고 작동하는, 액체 샘플의 더 무거운 분류물로부터 더 가벼운 분류물을 분리하는 개량된 장치를 사용치 않고 작동하는, 액체 샘플의 더 무거운 분류물로부터 더 가벼운 분류물을 분리하는 개량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오베르하르트등의 장치는 브라트등에 의해 설명된 장치의 다수의 단계 및 주위 환경에의 노출을 회피한다. 오베르하르트등은 내부 공동 및 그 내부 공동을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나누는 멤브레인 분리기를 지니는 하우징을 구비한 두 개의 진공 용기와 함께 사용하여 액체 샘플의 더 무거운 분류물로부터 더 가벼운 분류물을 분리시키는, 혈액을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인입수단은 공동의 제1부분과 액체 샘플 공급원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해 제공되고 제1연통 수단은 공동의 제1부분과 진공용기 사이의 연통을 위해 제공된다. 제2연통 수단은 내부 공동의 제2부분과 제2의 진공 용기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도록 제공된다. 혈액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에 오베르하르트등의 장치는 환자에게 직접 연통될 수 있는 바, 제1 및 제2 진공 튜브들은 혈액 유동 샘플이 인입 수단을 통해서 분리 멤브레인을 따라서 제1연통 수단을 통과하여 제1의 진공 용기내로 흐르고 동시에, 혈장이 멤브레인 및 제2연통수단을 통해 제2용기내로 추출되도록 제 비 및 제2연통 수단과 유체 연통된다. 오베르하르트등의 장치는 선행기술 장치의 결함을 극복하고 액체 샘플이 노출되지 않고 환자로부터 진공 용기내로 직접 추출되도록 허용한다. 오베르하르트등은 또한 분리 멤브레인의 표면을 가로질러 환자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고 혈액이 환자로부터 추출되는 중에 동시에 멤브레인을 통해서 핼액으로부터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전술된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오베르하르트등의 장치는 선행 기술 혈액 분리 쟝치들의 실질적인 개량물이다. 그러나, 그 장치도 두 개의 진공용기의 사용을 필요로하며, 분리 멤브레인의 다공성 및 하우징의 내부를 진공 용기와 연통시키는 연통수단의 구조에 의존하여 두 개의 용기들이 예컨대 하우징내의 이연통된 유체 연통 수단을 통한 진공 손실을 동시에 배제하게 연통되도록 두 개의 용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조정해야 한다.
선행 기술은 두 개의 분리된 진공 용기를 사용하여 혈액 샘플이 환자로부터 추출되는 중에 혈액 샘플의 세포질 상으로부터 액상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액체의 입상으로부터 비입상의 분리하거나 혈액이 환자로부터 추출될 때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액체 샘플의 성분들의 멤브레인 분리용의 간단학 정확하며 신리성있고 용이하게 제작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아직 존재하는바, 그 장치는 장치의 복잡성 또는 장치와 함께 다수의 진공 튜브를 작동시키는 타이밍에 포함한 공정상 복잡성에 대한 필요성을 배제하도록 단일 진공용기로 작동하게 된다.
[발명의 요약]
견고한 진공 용기와 함께 사용하여 액체 샘플로부터 분리가능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자동가능한 장치는 내부 공동 및 그 공동을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나누는 분리 메브레인을 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분리 멤브레인은 그것을 가로지른 소기의 분리를 위해 다공성을 지닌다. 또한, 공동의 제1부분과 액체 샘플 공급원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인입 수단 및 공동의 부분들중 하나와 진공 용기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이 포함된다. 견고한 용기는 공동의 부분들중 다른 것과 유체 연통된다.
본 발명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라서, 개방 단부 및 그 개방 단부를 밀폐하는 천공가능한 마개 또는 장백을 지니는 견고한 진공 용기와 함께 사용하여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도록 작동가능한 장치는 내부 공동 및 그 내부 공동을 제1의 혈액 수집부와 제2의 혈장 수집부로 나누는 분리 멤브레인을 지니는 하우징을 가진다. 분리 멤버레인은 약 0.2미크론 내지 1.5미크론 사이 범위내의 기공 치수를 지닌다. 또한, 혈액 수집부와 혈액 샘플 공급원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인입 수단 및 진공 용기내의 부분들중 하나와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이 구비된다. 견고한 용기는 공동의 다른 부분과 유체 연통된다. 연통 수단 및 견고한 용기는, 인입 수단이 액체 샘플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되고 연통 수단이 진공 용기와 유체 연통될 때 진공 용기가 공동의 부분 진공을 야기시키고 그 견고한 용기의 부분적 진공은 혈액이 인입 수단을 통해서 멤브레인을 따라서 용기들중 하냐내로 흐르도록 야기시키며, 동시에, 혈장은 멤브레인 및 제2혈장 수집부를 통해서 용기들중 다른것내로 추출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은, 내부 공동 및 그 공동을 제1 및 제2부분으로 분할하는 분리 멤브레인을 지니는 하우징을 구비한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 샘플로부터 분리가능한 성분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분리 멤브레인은 그것을 가로지른 소기의 분리를 위해 선택된 다공성을 지닌다. 또한, 제1부분과 액체 샘플 고급원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인입 수단 및 공동의 부분들중 하나와 진공 용기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이 구비된다. 견고한 용기는 공동의 다른 부분과 유체 연통된다. 그 방법은, 진공 용기가 공동의 부분적 진공을 야기시키고 견고한 용기가 액체 샘플이 인입 수단을 통해서 멤브레인을 따라 용기들중 하나로 흐르도록 하며, 동시에, 액체 샘플의 분리가능한 성분이 멤브레인 및 제2부분을 통해서 용기들중 다른 것내로 추출되도록 인입 수단과 액체 샘플 공급원 사이 및 진공 용기와 연통 수단사이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기 위해 선택된 다공성을 지니는 분리 멤브레인의 표면을 가로질러서 환자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고, 동시에, 환자로부터 혈액이 추출되는 중에 혈액으로부터 멤브레인을 통해서 진공 용기내로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다수의 장점들이 성취된다. 우선, 본 발명은, 예컨대, 혈액이 환자로부터 추출될 때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거나 액체 샘플의 입상 성분으로부터 비입상 성분을 분리시키는 간단하고 정확하며 신뢰성 있고 제작하기 용이한 액체 생플에서 분리가능한 성분을 멤브레인 분리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바, 그 장치는 장치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펌프 및 원심분리기 같은 특별한 장치를 배제시키고 본 장치와 함깨 다수의 진공 튜브들을 작동시키는 타이밍과 관련된 공정상 복잡성을 배제한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의해 만족되지만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 자세히 설명되는바, 본 발명의 설명이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고려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판단된다.
제1-5도에 대해 언급하면, 공지된 선행기술 수집 장치들은 혈액 수집 바늘(30)과 혈액 수집 진공 튜브(31)를 포함한다. 혈액 수집 튜브는 폐쇄단부(34) 및 목 부분(35)을 지니는 원통형 유리 몸체(32)를 포함한다. 목 부분은 내부(38)가 대기압보다 낮은 절대적인 내압을 지니도록 성분들이 감소된 압력 환경내에 있는 중에 적용되는 탄성의 천공가능한 마개(37)에 의해 밀폐된다.
혈액 수집 바늘은 허브(36), 환자의 살을 뚫어 그안의 정맥으로 들어가도록 된 제1 캐뉼러(39)를 지닌다. 제2캐뉼러(40)는 혈액 샘플이 환자로부터 튜브내로 추출되도록 환자의 정맥과 진공 유리 튜브 사이를 유체연통시키도록 마개(37)를 천공하도록 되어 있다. 혈액 수집 바늘의 제1캐뉼러 및 제2캐뉼러는 허브를 통해서 서로 유체 연동되는 분리된 캐뉼러이거나 그 캐뉼러들은 허브를 통과하는 하나의 캐뉼러의 일부일 수 있다. 몇몇 혈액 수집 바늘들은 정맥 천공후에 혈액 수집 바늘로부터 혈액이 이탈하는 것을 막는 탄성 슬리브를 지닌다. 탄성 슬리브(41)는 캐뉼러(40)의 종축 방향으로 슬리브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캐뉼러(40)에 의해 천공되도록 되어 있는 폐쇄단(42)을 지닌다. 이 힘은 혈액 수집 튜브 마개를 제5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캐뉼러 상에 강제함으로써 작용될 수 있다. 혈액 샘플이 추출된 후에. 진공 튜브는 혈액 수집 바늘로부터 분리되며, 탄성 슬리브는 또다른 혈액이 혈액 수집 바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도록 허용하도록 본래 위치로 귀환된다. 이러한 형태의 바늘 조립체는 각각의 튜브가 캐뉼러로부터 부리된 후에 있다. 혈액 수집 바늘 허브들은 캐뉼러가 마개의 중심의 더 얇은 부분을 천공하도록 제2캐뉼러를 향한 튜브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도록 튜브 홀더(도시 안됨)와 상호작용하는 외부 나사(도시 안됨)를 보통 지닌다.
진공 튜브내의 혈액 샘플은 원심분리기(도시 안됨)내에 위치되어 혈액 샘플의 농도가 더 높은 세포질 성분이 튜브의 폐쇄단으로 이동되고 밀도가 더 낮은 협상이 세포질 성분위로 목 부분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게속된 시험을 위하여 튜브의 마개가 그후에 분리되고 혈장을 쏟을 수 있다. 또한 혈액 샘플을 분리하기 전에 혈액 샘플이 엉기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혈정을 얻을 수 있다. 생성된 혈청 또는 혈장은 환자의 혈액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혈액의 성분들을 분석하는 여러 형태의 혈액 시험 장치에 사용된다.
이제 제6-14도를 설명하면, 전술된 혈액 수집 진공 튜브들과 같은 진공 용기와 함께 사용되어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바람직한 장치(45)는 내부 공동(51)을 형성하도록 선(50)을 따라 결합된 상부 하우징 부분(48)과 하부 하우징 부분(49)으로 구성되는 하우징(47)을 지닌다.
분리 멤브레인(52)이 내부 공동(51)을 제1혈액 수집부(54)와 제2혈장 수집부(55)로 나눈다. 분리 멤브레인(52)은 가열 밀폐, 초음파 용접, 용매 접착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부 하우징 부분의 밀페 지역(57)을 따라서 상부 하우징 부분(47)에 부착되므로, 혈액 수집부(54)로부터 혈장 수집부(55)로 통과하는 유체 분리 멤브레인(52)을 통과해야 한다. 예컨대, 멤브레인을 하우징 부분사이에 고정하는 것처럼 멤브레인으로 하우징 부분들을 분리하는 다수의 구조들이 존재하여 전술된 구조는 이들 많은 가능성중의 한 예에 불과하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관강(59 : 管腔)을 지니는 주사 캐뉼러(58)는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부 하우징 부분의 중공 허브 부분(60)에 부착된다. 하부 하우징 부분(49)은 또한 관강(59)과 혈액 수집부(54)사이를 유체 연동시키는 입구 도관(61)을 지닌다. 주사 캐뉼러는 혈액 샘플을 제공하도록 환자의 살을 뚫고 정맥내로 들어가는 예리한 말단 팁(56)을 지닌다. 하우징 부분이 주사 지역에 위치되지 않고 그에 근접하여 편리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주사 캐뉼러가 긴 가요성 튜브에 의해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혈액 연통 도관(62)은 혈액 수집부(54)와 상부 하우징 부분(48)사이에서 통한다. 혈액 연통 도관은 인입 도관(61)으로부터 혈액 연통 도관으로 통과하는 혈액이 혈액과 분리 멤브레인(52)사이의 크로스 플로우 관계를 성취하기 위해 분리 멤브레인(52)의 종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인입도관(61)으로부터 반대쪽에 있다. 견고한 용기(63)는 나사진 보스(64)상의 수나사(65)와 결합하는 용기에 혈성된 암나사(67)에 의해 보스에서 상부 하우징 부분에 결합된다. 견고한 용기를 상부 하우징 부분에 결합시키는데는 다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러한 방법들은 접착제 부착, 초음파 용접 및 용기의 내경부와 보스의 외경부 사이의 어지 끼워맞춤을 포함하며, 견고한 용기와 상부 하우징 부분 사이의 나사 결합은 이 많은 가능성들의 단순한 예에 불과하다.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견고한 용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바, 견고한 용기는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된다.
관통 관강(70)을 지니는 바늘 캐뉼러(69)는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부 하우징 부분의 허브 부분(71)에 부착된다. 바늘 캐뉼러는 진공 혈액 수집 튜브의 마개 또는 방벽을 천공시키도록된 예리한 팁(72)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분은 또한 바늘 캐뉼러의 관강과 하우징의 혈액 수집부(55)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혈장 연통 도관(68)을 지닌다.
더욱 자세히 후술되는 바와 간이 진공력이 적용될 때 분리 멤브레인(52)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의 혈장 수집부(55)내에 지지 립들(74)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립들은, 혈장이 멤브레인으로부터 혈장 연통 도관(68)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지지립들에 인접한 요홈들(75)과 평행한 관계로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립들은 상부 하우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진공력에 대항하여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다른 구조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다. 이들 다른 구조들은 비록 그에 한정되지 않지만, 융기된 표면을 지니며 상부 하우징 부분에 삽입된 분리 패널,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구조 그물, 멤브레인에 적충되어 하우징 부분에 가열 밀봉된 구조재료를 포함한다.
제15-18도는 사용시에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바람직한 장치를 도시한다. 초기에, 주사 캐뉼러(58)는 관강이 정액(V)내의 혈액(B)과 유체 연통되도록 포유동물 몸체(M)의 피부(S)를 통해서 삽입된다. 정맥과의 유체 연통이 성취된 직후, 견고한 진공, 수집 튜브(80)가 상부 하우징 부분(48)을 따라서 안내되어 바늘 캐뉼러(69)가 진공 수집 튜브의 마개(81)를 천공하여 내부(82)와 캐뉼러(69)의 관강사이에 유체 연통이 성취된다. 이 시접에서 진공튜브(80)는 하우징의 내부 공동 및 견고한 용기(63)의 내부(69)에 부분적 진공을 야기시켜서 제1혈액 수집부(54), 제2의 혈장 수집부(55) 및 용기들은 혈액이 관강(59)을 통해서 혈액 수집부(54)내로 흐를 때 실제로 같은 대기압 이하 압력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가 혈액 수집부(54)로부터 분리 멤브레인(52)을 가로지르는 장치의 제2혈장 수집 부분(55)과 직접 유체 연통되는 진공 용기를 예시하지만, 대부분의 적용에 있어서의 여과 관점으로부터 어떤 용기가 진공이고, 샘플 추출시에 적용되며 어떤 용기가 진공이 아닌 것은 중요치 않다. 그러나 특별한 적용에 있어서 여과되는 액체와 선택된 분리 멤브레인에 의존하여 분리 멤브레인의 어느 쪽이 진공 용기와 유체 연통되는지에 관계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용기가 하우징의 혈액 수집부와 직접 유체 연통되고 견고한 용기가 하우징의 혈장 수집부와 직접 유체 연통되는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견고한 용기가 제거가능하고 진공 용기가 제거불가능한 실시예 및 견고한 용기와 진공 용기가 모두 제거가능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샘플이 분리된 후에 제거가능한 용기를 캐뉼러로부터 간단히 철회하여 분석을 위해 실험실로 인계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기 때문에 히우징의 혈장 수집부와 직접 유체 연통되는 제거가능한 용기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7도 및 제18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에 결합된 진공 튜브와 함께, 긴공 튜브(80)의 작용에 의해 이제 부분적으로 진공된 견고한 용기(63)는, 정맥(V)으로부터 캐뉼러(58)의 관강(59)을 통해서, 혈액 수집부(54)를 통해서 멤브레인(52)의 표면을 따라서, 그리고 최종적으로 혈액 연통 도관(62)을 통해서 견고한 혈액 수집 용기(63)의 내부(78)로 혈액을 추출하는 진공력을 멤브레인(52)을 통해서 하우징 공급부와 반대의 멤브레인(52) 측부에 진공력을 제공한다. 수집 튜브(80)에 의해 발생된 진공력은 혈장이 혈액 수집부(54)를 통해서 흐르는 혈류로부터 분리 멤브레인(52)을 가르질러 통과하여 하우징의 혈장 수집부(55)내로 들어가게 한다. 혈장은 지지립(74)에 의해 하우징을 따라서, 혈장 연통 도관(68) 마치 바늘 캐뉼러(69)의 관강을 통해서 진공 수집 튜브(80)의 내부(82)로 안내된다.
혈액이 하우징 혈액 수집부로 들어가기 전에는 분리 멤브레인의 양쪽의 진공력이 거의 같다고 믿어진다. 혈액이 하우징의 혈액 수집부를 채우면 혈액은 분리 멤브레인의 그 쪽의 진공력을 강하사키므로 혈액 수집부보다 하우징의 혈장 수집부에 더 큰 진공력이 존재한다. 이 결과적인 진공력 차이가 혈장을 분리 멤브레인을 통해서 이동시키는 힘이라고 믿어진다.
견고한 용기(63)의 내부 압력 및 진공 수집 튜브(80)의 압력이 환자의 혈압과 거의 같을 때, 진공 수집 튜브(80)는 혈액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어떤 양의 혈장을 담고 있게 된다. 또한 용기(62)는 아직 혈장을 내포하는 어떤 양의 혈액을 담게되는 바, 그 혈액은 튜브(80)로부터 혈장의 분석 결고가 미정일 때 따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두 개의 분리된 튜브내의 샘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튜브는 혈장 및 혈액의 나머지 부분이 같은 튜브내의 담겨있는 분리 공정과는 반대로 저장 및 또는 시험을 위하여 다른 시험 지역으로 보내질 수 있다.
분리 멤브레인(52)은 혈액 샘플로부터의 혈장이 멤브레인을 통해서 흐를 수 있고 혈액 샘플의 세포질 성분이 그것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크도록 선택된 직경의 기공들을 내포하도록 만들어진다. 약 0.2미크론 범위의 기공 치수를 지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혈장 또는 혈청이 필요하면, 시간 요소에 의존하며, 견고한 용기(63)가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이 추가적인 유체를 제공하도록 원심분리기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응고성 물질을 담고 있는 견고한 용기는 혈애 샘플이 엉기지 않고 혈장이 아직 얻어질 수 있도록 사용될수 있다.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주사 캐뉼러(58) 및 바늘 캐뉼러(69)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혈액 수집 바늘들의 치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주사 캐뉼러(58)가 약 20게이지 내지 22게이지의 범위내에 있고 약 1 내지 1.5인치(25㎜ 내지 38㎜)의 범위내의 길이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캐뉼러는 약 20내지 22게이지의 범위내에서 약 0.635인치(16㎜)의 길이를 지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러 가지 다른 요소들과 관련된 변수에 의존하여 넓은 범위의 분리 멤브레인 치수들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혈장 분리에 관하여, 약 11㎠ 내지 32㎠의 범위의 면적을 지는 분리 멤브레인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진공 튜브들을 사용할 때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 멤브레인은 약 11㎠의 면적이 혈장을 혈액 수집부(54)로부터 혈장 수집부(55)로 이동시키는데 사용가능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또한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할 때 분리 멤브레인의 길이대 너비의 비가 4/1 내지 10/1의 범위인 것이 대체로 바람직하다고 믿어진다. 하우징의 내부 공동, 인입 도관, 혈액 연통 도관내의 빈공간의 체적은 이 공간을 혈액 또는 혈장으로 채우기 위하여 진공 수집 튜브내로 추출될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가장 작은 실제 값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공기는 진공 수집 튜브로 들어갈 때 혈액 샘플 추출 및 분리를 위해 사용가능한 진공력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기 위하여, 약 0.33대기압이 바람직하다고 믿어진다. 이 진공은, 견고한 용기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장치내의 빈 공간의 견고한 용기의 내부 체적과 건의 같도록 하우징을 만들고, 약 1대기압까지 진공되고 견고한 용기와 거의 같은 내부 체적을 지니는 진공 용기와 함께 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성취한다.
비록 전체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시키는데 적절한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됐지만 예컨대, 액체 샘플의 입상으로부터 비입상의 분리, 액체 샘플의 더 무거운 분류물로부터 액체의 더 가벼운 분류물의 분리 또는 분리 멤브레인이 콜로이드 현탁액으로부터 액체부분을 분리하거나 혈액으로부터 작은 분자량 증류를 분리시키는 것과 같이 분리 멤브레인이 구별할 수 있는 액체 샘플의 어떤 성분들의 분리처럼, 액체 샘플로부터 분리가능한 성분을 멤브레인 분리하는데 적절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따라서 한외 여과(限外濾過)멤브레인 및 부직 멤브레인으로 공지되어 있고 적합한 등급을 지니는 멤브레인이 액체 샘플의 가벼운 성분과 무거운 성분을 분리시키는 본 발명의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제19도와 제20도에 대해 언급하면, 본 장치의 변형예(90)는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제로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이 실시예는 주사 캐뉼러(92) 및 바늘 캐뉼러(94)를 구비한 하우징(91)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하우징(91)이 바늘 캐뉼러 둘레에 동심으로 위치된 절두 원추형 요홈(95)을 포함하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다르다. 요홈(95)의 목적은 바늘 캐뉼러가 천공가능한 마개의 중심의 얇은 부분을 천공하도록 진공 유리 튜브(도시 안됨)의 천공가능한 마개(도시 안됨)를 바늘 캐뉼러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진공 튜브에 대한 안내 수단으로 작용하는 절두 원추형 요홈을 지님으로써 작동자는 진공튜브와 장치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90)에서, 견고한 혈액 수집 용기가 도번(97)으로 도시된 지역내에서 하우징(9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진공 튜브가 혈장 샘플을 추출한 후에 장치로부너 분리된다. 장치(90)는 그후에 혈액 샘플의 나머지를 취급하는 의료인의 잼재적 위험한 AIDS같은 질병에 걸린 환자를 취급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혈액을 분리시키고 사용되지 않은 부분을 중간 취급단계를 거치지 않고 하나의 만족스런 단계에서 폐기시키는 편리한 장치를 제공한다.
제21도 및 제22도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한 변형예(100)는 상부 하우징 부분(101) 및 말단부에서 돌출되는 주사 캐뉼러(104)를 지니는 하부 하우징 부분(103)을 포함한다. 바늘 캐뉼러(도시 안됨)는 상부 하우징 부분(101)의 기부 단부로부터 도출되어 탄성 슬리브(105)에 의해 덮혀 있다. 슬리브(105)는 바늘 캐뉼러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부 하우징 부분(101)의 적립 벽(107)을 향해서 캐뉼러 방향으로 탄성슬리브에 가해진 외력의 적용으로 주사 캐뉼러에 의해 천공되는 폐쇄단부(106)를 지닌다. 슬리브(105)는 외력의 종료시에 본래의 위치로 귀환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다. 이 실시예는 바늘 캐뉼러가 주사 캐뉼러(104)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예들과 다르다. 또한 견고한 용기(도시 안됨)는 제19도 및 제20도의 상부에 보다는 하부 하우징 부분(103)에 일체로 형성된다.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혈장은 바늘 캐뉼러 및 진공 용기(도시 안됨)내로 추출되게 된다. 진공용기가 바늘 캐뉼러로부터 분리되면, 탄성 슬리브(105)가 본래 위치로 귀환하게 되므로 바늘 캐뉼러를 주위환경에 대해 밀봉하는 바, 이것이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한 유리한 특징이다. 이 실시예는 주사 캐뉼러 및 바늘 캐뉼러를 위치시키고 견고한 용기를 장치 구조에 합체시키는 여러 가지가능한 조립체들이 있으며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많은 가능성중 단지 몇가지만을 에시한 것에 불과하다.
제23도 및 24도는 본 발명의 다른 한 변형예를 보여준다. 이 변형예는 제1 내지 14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하며 제6-14도의 실시예의 요소들과 실제로 동일한 많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한 요소들은 제213도 및 제24도의 요소에 철자 "a"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6-14도의 실시예의 요소들과 같은 번호가 매겨진다. 진공용기와 함께 사용하여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장치의 변형예(110)는 내부 고동(51a)을 형성하도록 선(50a)을 따라 결합된 상부 하우징 부분(48a)과 하부 하우징 부분(49a)로 구성되는 하우징(47a)을 지닌다.
분리 멤브레인(52a)은 내부 공동(51a)을 제1혈액 수집부(54a)와 제2혈장 수집부(55a)로 분할한다. 분리 멤브레인(52a)은 가열 밀폐, 초음파 용접, 접착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부 하우징 부분(48a)에 부착되므로, 혈액 수집부(54a)로부터 혈장 수집부(55a)로 통과하는 액체는 분리 멤브레인(52a)을 통과해야 한다.
관통 관강(59a)을 지니는 주사 캐뉼러(58a)는 캐뉼러(59a)의 관강과 하우징의 혈액 수집부(54a)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도록 하부 하우징 부분의 중공 허브 부분(60a)에 부착된다.
혈액 연통 도관(도시 안됨)은 혈애 수집부(54a)와 상부 하우징 부분 (48a) 사이를 연통시킨다. 혈액 연통도관은 주사 캐뉼러부터 혈액 연통 도관으로 흐르는 혈액이 혈액과 멤브레인 사이의 크로스 플로우 관계를 성취하돌고 분리 멤브레인(52a)의 종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주사 밀봉시키는 접착제에 의해 보스(64a)에서 상부 하우징 부분에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 부분에 부착된 케뉼러와 결합되고 혈액 수집부와 유체 연통되는 말단부에 고무 플러그를 지니는 견고한 용기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관통 관강(70a)을 지니는 바늘 캐뉼러(69a)는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부 하우징 부분의 허브 부분(71a)에 부착된다. 바늘 캐뉼러는 진공 혈액 수집 튜브의 마개 또는 장벽을 천공하돌고 된 예리한 팁(72a)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분은 또한 바늘 캐뉼러의 관강과 하우징의 혈장 수집부(55a)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혈장 연통 도관(68a)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분(48a)은 또한 공기는 투과기능하고 액체는 투과를 가능한 요소(112)에 의해 덮히는 구멍을 포함하므로 구멍(111)을 통과하는 모든 가스들은 요소(112)을 통과해야 한다.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는 다공성이며 본 장치의 보통 사용중에 액체 통과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하도록 액체 접촉하에 충분히 높은 표면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공기는 투과기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112)는 전체적으로 약 0.1 내지 0.5미크론 범위의 최대 기공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미크론의 기공을 지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는 또한 구멍(112)을 폐색시키는 플러그 또는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에 의해 다시 폐색 또는 덮히는 구멍을 지니는 플러그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로 하우징내의 구멍을 막는 다수의 구조물들이 사용될 수 있고 전술된 구조들은 이들 많은 가능성중의 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자명하다. 또한 구멍(111)을 밀폐하는 전체 플러그가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구조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사용시에 주사 캐뉼러(58a)는 관강(59a)이 정맥과 유체 연통되도록 환자의 피부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정맥과의 유체 연통이 성취된 직후에, 견고한 진공 튜브(도시 안됨)는 바늘 캐뉼러(69a)가 진공 튜브의 마개 또는 장벽을 천공하고 진공 튜브의 내부와 별장 연통 도관(68a) 사이가 유체 연동되도록 바늘 캐뉼러(69a)위로 안내된다. 이 시점에서, 진공 튜브는 하우징의 내부 공동(51)과 견고한 용기(63a)의 부분적 진공을 야기시킨다. 견고한 용기(63a)가 진공화되는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멍(111)의 추가된 면적이 제공된다. 구멍(111)이 존재함으로써 혈애 수집부, 혈장 수집부 및 견고한 용기가 진공 튜브 내압과 거의 같은 대기압 이하 압력으로 부분적으로 진공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의 양이 감소된다. 구멍(111)은 공기가 투과가능하고 액체가 투과 불가능한 멤브레인에 의해 덮히거나 폐색되므로 혈액이 하우징의 혈액 수집부를 통해서 흐를 때 혈액은 요소(112)와 접촉하여 구멍(111)을 밀폐하고 액체 통과를 막게 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금속, 플라스틱 및 세라믹 같은 다종류의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른 다양하고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될 능력 및 혈액에 접합성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장치의 작동이 하우징 벽을 통해서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하다. 다종류의 금속 및 플라스틱들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캐뉼러용으로 적합하며 의학 등급의 스테앤레스강이 바람직하다. 분리 멤브레인에 대한 재료의 선택은 분리될 물질의 조성 및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지지되어야 하는 입자들의 치수에 좌우된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투석(透析) 멤브레인 및 한외 여과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멤브레인은 미합중국 켈리포니아 플레산톤 소재 뉴클레오포어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0.2미크론 내지 1.5미크론 범위내의 기공 치수를 지니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터 멤브레인이다.
탄성 슬리브는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같은 자동 방루(防漏) 탄성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은 시이트, 멤브레인 또는 플러그로 형성될 수 있는 더욱 실질적인 두께의 공기는 투과 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재료가 공지되어 있고 요소(112)에 사용하기 위해 구입가능하다. 예컨대, 메릴랜드 엘크론 소재 더블류,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사는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로 될 수 있는 고어-텍스 멤브레인으로 공지된 필터 재료를 생산하고 있다. 공기는 투과기능하고 액체는 투과불가능한 멤브레인들은 예컨대, 폴리에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비닐크롤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기타와 같은 두께가 약 0.003 내지 0.010인치(0.0076 내지 0.0025㎝) 범위가 바람직한 중합체 재료들로 사용가능하다. 요소가 사용중에 손상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되는 향상된 구조적 완전성 및 구조의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는 뒤대기(backing)시이트로 적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공성이고 비교적 얇을 수 있고 강하기만 하면 몇몇 부직포가 이 뒤대기 시이트로 적절하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재료들이 선택될 수 있지만, 그러한 부직재료들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재료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에서 요소가 그 하우징내의 구멍(111)에 밀폐될 수 있도록 양호한 가열 밀봉 특성을 지니는 뒤대기 시이트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불가능한 요소가 그 성능 특성에 대해 주로 선택될 수도 있고 뒤대기 시이트는 조립된 제품의 전체 구조를 개선시키도록 공정 특성에 대해 선택된다. 또한 뒤대기 시이트로 적층된 요소는 관통 도관을 지니는 플러그 또는 캡에 가열 밀봉 또는 부착된다. 플러그 또는 맵은 그후에 구멍(111)내로 또는 그위에 강제되거나 또는 조립 공정중에 구멍에 몇몇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제조형태는 요소가 적절히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전체 하우징 보다는 플러그만이 폐기돼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컨대, 액체 샘플의 제2입상으로부터 제2의 비입상을 분리하거나 또는 액체 샘플의 더 무거운 분류물로부터 가벼운 분류물을 분리하거나 또는 혈액이 환자로부터 추출될 때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액체 샘플로부터 불가능한 성분을 멤브레인 분리시키는 간단하고 정확하며 신뢰성있는 용이하게 제작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바, 그 장치는 장치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장치와 진공 튜브의 작동 타이밍과 관련된 문제들 또는 특별한 장치들을 배제시키도록 단일 전공 용기로 작동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환자로부터 혈액이 추출되는중에 수집되는 격리된 양의 혈장처럼 액체 샘플의 격리된 양의 더 가벼운 분류물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개방 단부 및 그 개방 단부를 밀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천공 가능한 장벽을 가지는 견고한 진공 용기와 함께 사용하여 액체 샘플로부터 분리가능한 성분을 분리하는 분리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동(51)을 가지는 하우징(47), 상기 공동을 제1부분(54)과 제2부분(55)으로 분할하며, 소기의 부리를 위하여 선택된 다공성을 가지는 분리 멤브레인(52), 상기 제1부분과 액체 샘플 공급원 사이클 유체 연동시키는 인입 수단(61), 상기 공동(51)의 상기 부분들중 한 부분과 진공 용기(80)와의 사이클 유체 연동시키는 연통수단(68) 및 상기 공동(51)의 상기 부분들 중 타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견고한 용기(63)로 구성되는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고한 용기(63)가 상기 하우징(47)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고한 용기(63)가 상기 하우징(47)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54)과 상기 제2부분(55)과의 사이에 기체를 통과하는 반면에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막도록 공기는 투과가능하고 액체는 투과 불가능한 요소(112)를 또한 포함하는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은 진공 용기(80)의 천공가능한 강력(81)을 천공하여 유체 연통시키는 관통 관강(70)보유 바늘 캐뉼러(69)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캐뉼러(69)는 유체 통과를 방지하도록 탄성슬리브로 덮여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캐뉼러(69)방향으로 스리브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캐뉼러(69)에 의해 천공되어 사익 캐뉼러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며, 상기 슬리브는 또한 오력 종료시에 원위치로 귀환되도록 되어 있는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멤브레인(52)이 약 0.2미크론 내지 15.미크론 범위내의 가공 치수를 가지는 분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멤브레인(52)이 약 0.4미크론 내지 0.6미크론 범위내의 가공치수를 가지는 분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멤브레인(52)이 플리카보네이트 및 프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되는 분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수단은 관통 관강(59) 및 액체 샘플 공급원을 천공하여 그 공급원과의 유체 연통을 확립하는 예리한 말단부를 가지는 인입 바늘 캐뉼러(58)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
  11. 내부 공동(51)을 가지는 하우징(47), 상기 공동(51)을 제1부분(54)과 제2부분(56)으로 분할하며 소기의 분리를 위해 선택된 다공성을 가지는 분리 멤브레인(54), 상기 제1부분(54)과 액체 샘플 공급원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인입 수단(61), 상기 공동(51)의 상기 부분(54, 55)중 한 부분과 유체 연통하는 견고한 용기(63) 및 상기 공동(51)의 상기 부분(54, 55)중 타부분과 진공 용기(k80)사이를 유체 연동시키는 연통 수단(68)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이용하여 액체 샘플로부터 불리가능한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인입 수단(61)과 액체 샘플 공급원 사이를 유체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유기(80)와 상기 연통 수단(62) 사이를 유체 연통시켜 상기 진공 용기(80)가 상기 공동(51) 및 상기 견고한 용기(63)의 부분적 진공을 야기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액체 샘플이 상기 인입 수단(61)을 통과하고, 상기 멤브레인(52)을 다라서 상기용기들(63, 80)중 한 용기로 흐르게 함과 아울러 액체 샘픔을 분리가능한 성분을 상기 멤브레인(52) 및 상기 제2부분(55)을 통해서 상기 용기(63, 80)중 타용기내로 추출하는 단게로 이루어지는 액체 샘플 분리 방법.
  12. 내부 공동(51)을 가지는 하우징(47), 상기 공동(51)을 제1혈액 수집 부분(54)과 제혈장 수집 부분(55)으로 분할하며 혈액으로부터 혈장의 소기의 분리를 위해 선택된 다공성을 가지는 분리 멤브레인(54), 상기 혈액부분(54)과 혈액 샘플 공급원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인입 수단(61), 상기 공동(51)의 상기 부분(54, 55) 중 한 부분과 유체 연통하는 견고한용기(63) 및 상기 공동(51)의 상기 부분(54, 55)중 타부분과 진공 용기(80)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68)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이 있어서, 상기 인입 수단(61)과 혈액 샘플 공급원 사이의 유체 연통시키는 단계, 상기진공 용기(80)과 상기 연통 수단(62)사이를 유체 연동시켜 상기 진공 용기(80)가 상기 공동(51) 및 상기 견고한 용기(63)의 부분적 진공을 야기시키도록 하는 단계 및 혈액 샘플이 상기 인입 수단(61)을 통과하고 상기 맴브레엔(52)을 따라서 상기 용기들(63, 80)중 한 용기로 흐르게 함과 아울러 혈장을 상기 멤브레인 (52) 및 상기 제2부분(55)을 통해서 상기(63, 80)중 타용기내로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수단(61)과 상기 혈액 샘플 공급원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단계는 혈액이 환자로부터 상기 인입 수단(61)으로 직접 추출되도록 환자의 신체에 바늘 캐뉼러(58)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진공 용기를 사용하여 혈액 샘플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로부터 혈액을 추출하는 단계, 환자로부터 혈액이 추출됨에 따라 상기 혈액을 혈액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52)을 통해서 상기 진공 용기(80)내로 추출되도록 야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
  15.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도록 선택된 다공성을 가지는 분리 멤브레인의 표면을 가로질러 환자로부터 혈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혈액이 환자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혈액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서 진공 용기내로 혈장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방법.
KR1019880001911A 1987-02-27 1988-02-24 혈액 분리 장치 Expired KR900008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19,829 US4980297A (en) 1987-02-27 1987-02-27 Device for the membrane separation of the components of a liquid sample
US019829 1998-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69A KR880009669A (ko) 1988-10-04
KR900008693B1 true KR900008693B1 (ko) 1990-11-27

Family

ID=2179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911A Expired KR900008693B1 (ko) 1987-02-27 1988-02-24 혈액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980297A (ko)
EP (1) EP0283663B1 (ko)
JP (1) JPH0773664B2 (ko)
KR (1) KR900008693B1 (ko)
AT (1) ATE74289T1 (ko)
AU (1) AU606917B2 (ko)
BR (1) BR8800795A (ko)
CA (1) CA1323580C (ko)
DE (1) DE3869646D1 (ko)
DK (1) DK169311B1 (ko)
ES (1) ES2030772T3 (ko)
GR (1) GR3004999T3 (ko)
MX (1) MX170516B (ko)
MY (1) MY102735A (ko)
NZ (1) NZ223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1053B2 (en) 2018-04-26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for monitoring vibration-isolated found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5468A1 (de) * 1990-05-14 1991-11-21 Schwarzpunkt S Schwarz Kg Vorrichtung zur arteriellen blutentnahme
US5217627A (en) * 1990-11-06 1993-06-08 Pal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logical fluid
CA2074671A1 (en) * 1991-11-04 1993-05-05 Thomas Borman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a biological fluid
JPH05188053A (ja) * 1992-01-10 1993-07-27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血液から血清又は血漿成分を分離する器具
US5678564A (en) * 1992-08-07 1997-10-21 Bristol Myers Squibb Liquid removal system
US5324480A (en) * 1992-12-04 1994-06-28 Hamilton Company Liquid handling system
GB9311988D0 (en) * 1993-06-10 1993-07-28 Pall Corp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a blood product
US5531959A (en) * 1994-01-31 1996-07-02 Hamilton Company Automated liquid handling and computer controlled system and method for solid phase chromatographic extractions
WO1996024425A1 (en) * 1995-02-09 1996-08-15 First Medical, Inc. Peristaltic system and method for plasma separation
US5575796A (en) * 1995-05-17 1996-11-19 Utah Medical Products, Inc. Umbilical cord cutter and sampler
FR2734640B1 (fr) * 1995-05-23 1997-08-14 Dubus Yves Francois Pierre Dispositif et procede pour tests et analyses
US5569210A (en) * 1995-11-06 1996-10-29 Moen; Michael Multiple draw syringe
US5787901A (en) * 1997-01-28 1998-08-04 Akzo Nobel N.V.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blood coagulation properties with absorbent materials
US6398956B1 (en) * 1999-05-28 2002-06-04 Bio/Dat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ly sampling a fluid for microfiltration
DE10153084C1 (de) * 2001-10-30 2003-06-12 Bruker Daltonik Gmbh Probenahmegerät für Stäube auf Oberflächen
US20080017577A1 (en) * 2006-07-21 2008-01-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mbrane-based Double-layer Tube for Sample Collections
WO2009109997A1 (en) 2008-03-07 2009-09-11 Advanced Microdevices Pvt Ltd Method and device for particle removal and droplet preparation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bioanalysis
US20130095007A1 (en) * 2010-03-30 2013-04-1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uffy coat separator float systems and methods
EP3236259A1 (en) * 2011-04-29 2017-10-25 Seventh Sense Biosystems, Inc. Plasma or serum production and removal of fluids under reduced pressure
US9022950B2 (en) 2012-05-30 2015-05-05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Fluid diversion mechanism for bodily-fluid sampling
US9060724B2 (en) 2012-05-30 2015-06-23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Fluid diversion mechanism for bodily-fluid sampling
ES2878047T3 (es) 2012-10-11 2021-11-18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Sistema para administrar un fluido a un paciente con contaminación reducida
ES2877185T3 (es) 2012-11-30 2021-11-16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Mecanismo de desviación de fluido basado en jeringa para muestreo de fluidos corporales
US9386948B2 (en) 2012-12-05 2016-07-12 Therano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odily fluid sample transport
US10248765B1 (en) 2012-12-05 2019-04-02 Theranos Ip Company,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odily fluid sample collection, transport, and handling
CN105209880B (zh) 2013-03-15 2020-03-17 赛拉诺斯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用于样品收集和样品分离的方法和装置
US20140323911A1 (en) * 2013-03-15 2014-10-30 Therano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ample collection and sample separation
EP3302764A1 (en) 2015-06-08 2018-04-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iltration cell and method for filtering a biological sample
WO2016201406A1 (en) 2015-06-12 2016-12-15 Bullington Gregory J Devices and methods for syringe-based fluid transfer for bodily-fluid sampling
US10371606B2 (en) 2015-07-21 2019-08-06 Theraos IP Company, LLC Bodily fluid sample collection and transport
US9820682B2 (en) 2015-07-24 2017-11-21 Kurin, Inc. Blood sample optimization system and blood contaminant sequestration device and method
US9814822B2 (en) 2015-08-27 2017-11-1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lasma generation with dialysis systems
EP3733067B1 (en) 2015-09-03 2023-06-14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maintaining sterility of a specimen container
US11247208B2 (en) 2015-09-09 2022-02-15 Labrador Diagnostics Llc Methods and devices for sample collection and sample separation
JP6974340B2 (ja) 2016-03-02 2021-12-01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Becton, Dickinson And Company 生物学的流体分離デバイス
JP2019520566A (ja) * 2016-06-09 2019-07-18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Becton, Dickinson And Company 生物学的流体分離デバイス
IL302893B2 (en) * 2016-12-27 2025-07-01 Kurin Inc System for optimizing blood samples and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blood contamination
US10827964B2 (en) 2017-02-10 2020-11-10 Kurin, Inc. Blood contaminant sequestration device with one-way air valve and air-permeable blood barrier with closure mechanism
US11857966B1 (en) 2017-03-15 2024-01-02 Labrador Diagnostics Llc Methods and devices for sample collection and sample separation
CN116250868A (zh) 2017-09-12 2023-06-13 木兰医药技术股份有限公司 流体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JP7229267B2 (ja) 2017-12-07 2023-02-27 マグノリア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流体制御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CA3129065A1 (en) 2019-02-08 2020-08-13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bodily fluid collection and distribution
CN117100323A (zh) 2019-03-11 2023-11-24 木兰医药技术股份有限公司 流体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US20210137433A1 (en) * 2019-11-13 2021-05-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cuum tube receiver for drawing blood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CN117723346B (zh) * 2023-12-21 2024-08-02 宁夏厚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境水样中高效样品制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4410A (en) * 1968-09-11 1971-09-14 Gary L Whitacre Multitube blood sampler
FR2511872A1 (fr) * 1981-08-25 1983-03-04 Messier Denis Dispositif perfectionne pour separer le plasma des globules du sang
JPS5848185A (ja) * 1981-09-17 1983-03-22 Masakazu Seo 計数機
DE3304486C2 (de) * 1983-02-10 1986-06-19 Dieter Prof. Dr.med. 4400 Münster Rühland Autotransfusionsflasche
ATE180513T1 (de) * 1984-11-16 1999-06-15 American Cyanamid Co Antitumorale antibiotika (komplex ll-e-33288)
US4639316A (en) * 1984-12-14 1987-01-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utomatic liquid component separator
US4879098A (en) * 1985-01-25 1989-11-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the lighter fraction from the heavier fraction of a liquid samp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1053B2 (en) 2018-04-26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for monitoring vibration-isolated foundation
US12320403B2 (en) 2018-04-26 2025-06-03 Samsung Display Co., Ltd. System for monitoring vibration-isolated fou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2735A (en) 1992-09-30
KR880009669A (ko) 1988-10-04
DK96388A (da) 1988-08-28
CA1323580C (en) 1993-10-26
ES2030772T3 (es) 1992-11-16
NZ223288A (en) 1991-03-26
AU1129388A (en) 1988-09-01
DK169311B1 (da) 1994-10-10
MX170516B (es) 1993-08-27
AU606917B2 (en) 1991-02-21
EP0283663A1 (en) 1988-09-28
JPS63224703A (ja) 1988-09-19
GR3004999T3 (ko) 1993-04-28
JPH0773664B2 (ja) 1995-08-09
EP0283663B1 (en) 1992-04-01
BR8800795A (pt) 1988-10-04
DK96388D0 (da) 1988-02-24
ATE74289T1 (de) 1992-04-15
DE3869646D1 (de) 1992-05-07
US4980297A (en) 199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693B1 (ko) 혈액 분리 장치
US4843017A (en)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the lighter fraction from the heavier fraction of a liquid sample
EP2046499B1 (en) Membrane-based double-layer tube for sample collections
EP2264453B1 (en) Method for filtering blood
US4210623A (en) Fluid collection apparatus
US4131549A (en) Serum separation device
EP0184852B1 (en) Automatic liquid component separator
JP2001321368A (ja) 血漿採取具
EP1549240A4 (en) WHOLE BLOOD SAMPLING DEVICE
JPH10272124A (ja) フイルター部材を有する動脈血ガスシリンジ
US3937213A (en) Body fluid collection device
EP2826501A1 (en) Container for testing blood and blood sampling instrument
JPH06206008A (ja) 密度勾配遠心分離を実施する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成層用インサート等
CN117018689B (zh) Prp提取装置及提取方法
CN114870436B (zh) 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JP2001321367A (ja) 血漿又は血清採取具
JP3942912B2 (ja) 血液成分分離装置
KR102512973B1 (ko) 생물학적 유체 분리 장치
GB2048097A (en) Fluid Filt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JPS6156766B2 (ko)
JP2000241408A (ja) 血液濾過器
JP2001321369A (ja) 血漿採取具
MX2007007438A (es) Dispositivo separador de suero sanguin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11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112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