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80B1 - Color-changing window unit - Google Patents
Color-changing window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7880B1 KR900007880B1 KR1019870011204A KR870011204A KR900007880B1 KR 900007880 B1 KR900007880 B1 KR 900007880B1 KR 1019870011204 A KR1019870011204 A KR 1019870011204A KR 870011204 A KR870011204 A KR 870011204A KR 900007880 B1 KR900007880 B1 KR 900007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color
- present
- unit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에 의한 참고사시도.1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참고도.3 is a reference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참고도.4 is a reference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예도.5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참고도.6 is a reference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A : 색상가변창호유니트 11 : 제 1 소재창1A: Color variable window unit 11: First material window
12 : 제 2 소재창 13b : 제 1 유(流)공12: second material window 13b: first oil hole
14b : 제 2 유공 15 : 접착소재14b: second hole 15: adhesive material
16 : 이격공간 2 : 유액튜브16: spaced apart 2: latex tube
21 : 꼭지21: faucet
본 발명은 가옥의 창문, 벽재, 탁자, 자동차창등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는 색상가변 창호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본 발명의 창호장치에 의하여 소망하는 창호등의 색상을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색상가변창호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variable window device that can be widely used in windows, walls, tables, automobile windows of houses, and the lik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vert the color of the desired window light by the user by the window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bout a color variable window unit.
일반적으로 빌딩등의 사무실창호에는 일정한 상호문구등을 선팅등에 의하여 햇빛 가리개겸 선전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일단 소정패턴등으로 상기 창호에 소망하는 형태를 형성시킨 후에 이를 변경코자할때는 일일이 다시 작업을 진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페인트칠이 이미 진행되었을때는 이를 변공코자할때의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것이었다.In general, office doors such as buildings, etc. are used for sunshade and promotional purposes by the use of a certain cross-language. In this case, once the desired pattern is formed in the window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there is an uncomfortable and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work again one by one, especially when painting is already done. 'S work was quite cumbersome.
한편, 실내의 인테리어 디스플레이의 경우 벽재의 색상등을 이용하여 취미감등을 살리는 기법등이 널리 성행하고 있으나, 여기서도 일단 하나의 패턴으로 고형화된 상태로 존재시킨후 이를 다른 형태로 변경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못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terior display of the room is widely used techniques such as using the color of the wall materials to enhance the hobby, but here it is easy to change it to another form once it exists in a solid state in one pattern It didn't work.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사무실창호등에 색상이 부여될때 이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창호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이러한 창호등에 있어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케되므로 이로인한 이용가치를 새롭게 부여하려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window and use value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windows and windows by providing a window device that can be selectively changed conveniently when the color is given to the general office window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옥내의 실내벽면등을 본 발명의 창호장치로 구성하므로서 사시사철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창호벽면색상을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므로 이로인한 다양한 융통성을 부여케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flexibility because the interior wall surface of the house, such as the window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window wall surface color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four seasons or users' preferences. .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단지 이중창호와 색상주입 및 공기조절구, 색상주입튜브등과의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효과상의 다양성과 함께 그 이용가치가 월등히 양호하게 되는 창호장치를 제공코져한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device that is only a simple configuration of the double window and the color injection and air control, color injection tube and the like and the use value is excellent with the variety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즉, 제 1 도는 본 발명의 창호장치에서 그 일반적인 형태의 것인 색상다변창호유니트(1A)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적어도 투명재질의 제 1 소재창(11)과 제 2 소재창(12)이 테두리 부위에의 접착소재(15)에 의해 완전 밀폐되고, 이에 의해 그 내부는 일정이격공간(16)이 형성되어진다.That is, FIG. 1 shows the color variable window unit 1A which is of the general form in the window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t least the
상기 일정이격공간(16)은 상기 접착소재(15)의 수직폭에 의해 임의로 주어질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접착소재(15)의 일측벽엔 공기조절구(13a)와 색상주입구(14a)가 각기 매설고정되어 있고, 이들은 상기 일정 이격공간(16)과 유관으로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wall of the adhesive material 15 is air-regulated (13a) and the color inlet 14a is buried and fixed, respectively, these are configured to lead to the
상기 공기조절구(13a) 및 색상주입구(14a)는 일종의 밸브를 가진 관으로서 되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뤄지는 창호유니트(1A)는 제 1 도와 같이 복수개가 인접접착되어진 것으로도 될수 있다. 그리고, 제 3 도에서는 이를 칸막이 창호유니트(1B)로 구성한 제 2 실시예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air regulator 13a and the color inlet 14a may be a tube having a kind of valve. The window unit 1A formed in this way may be a plurality of adjacently bonded ones as in the first diagram. In FIG. 3, the second embodiment exemplifies the partition window unit 1B.
여기서는 역시 제 1 소재창(11)과 제 2 소재창(12)이 서로 테두리면에서 소정이격공간(16)을 가지도록 접착된 상태로되고 마개형태의 제 1 유공(13b)과 제 2 유공(14b)이 칸막이 창호유니트(1B)의 제 1 소재창(11) 또는 제 2 소재창(12)에 천설되고, 이에 마개(13c, 14c)에 의한 기밀결합 구성으로 되어진다. 또, 제 4 도에서는 본 발명을 자동차창호유니트(1C)로 이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는 상기 자동차창호유니트(1C)에 적어도 상하측벽 또는 좌우측변에 각기 한개씩의 공기조절구(13a) 및 색상주입구(14a) 또는 제 1 유공(13b) 제 2 유공(14b) 및 마개(13c,14c)가 주어진 관련구성으로 되고, 이에 상기 공기조절구(13a), 제 1 유공(13b)등에 색상주입튜브(2)에 의해 주입되는 색상안료(22)에 의해 색상가변창호로되며, 세척액주입튜브에 의해 상기 색상가변창호가 투명의 형태로 주어지는 구성으로 되어진다.Here, at least one air control unit 13a and color inlet 14a or first hole 13b and second hole 14b and plug 13c and 14c,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 walls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window unit 1C. ) Is given in a related configuration, and the color variable window is formed by the
또, 상기 제 4 도의 제 3 실시예의 것은 제 5 도와 같이 자동차 전면창을 전면창색상가변창호(1D)로 하였을때는 상기 창호(1D)의 이격공간(16)내로 유통되는 제 1펌프(31) 및 제 2 펌프(32)로부터의 관을 관설시키고, 이 제 1 펌프(31)는 유액통(33), 제 2 펌프(32)는 세척통(34)과 연결하여 제 1 펌프(31)에 의해 유액통(33)으로부터의 색상액이 상기 창호(1D)로 주입되고, 이를 세척시에는 상기 제 2 펌프(32)에 의해 세척액을 투입시켜 상기 이격공간(16)내의 색상액을 씻어내는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4, the
그리고, 상기 색상안료(22)는 수성용액일때는 상기 이격공간(16)내에 표면장력이 발생되지 않는 형태의 것으로 하면 바람직하며 또 이때는 상기 창호(1D)의 하단변에 가변개폐변(35)을 설치하여 세척시에 세척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진다.When the
한편, 제 6 도에서는 문자유니트(1E)를 가변창호유니트(1A)에 매설구획시켜 이에 각기 다른 색상주입튜브(2)로 색상을 주입시켜 간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진다. 미설명부호 21은 꼭지이다.Meanwhile, in FIG. 6, th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일예로 제 1 도와 같이 색상가변창호유니트(1A)로 되어 있을때는 공기조절구(13a)와 색상주입구(14a)의 밸브를 개방시킨후 상기 색상주입구(14)의 주입관 구경과 기밀되는 꼭지(21)를 가진 색상주입튜브(2)를 압압하면 색상주입튜브(2)로부터 소정액체인 안료(22)가 제 1 소재창(11) 및 제 2 소재창(12)와의 이격공간(16)내로 퍼지면서 충입되어진다. 이때는 상기 이격공간(16)이 거의 용액의 종류를 고려하여 몇 m 정도의 두께로 되므로 상기 색상주입튜브(2)의 용기부피는 큰것을 요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색상주입튜브(2)의 압압하는 사용자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16)내로의 색상액인 안료(22)가 충분히 충입되어지고, 상기 공기조절구(13a)로 색상액이 뿜어나올때는 이들 밸브를 잠그므로서 소정색상이 부여된 칸막이 창호유니트(1B)로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color variable window unit 1A is formed as shown in FIG. 1, the valves of the air inlet 13a and the color inlet 14a are opened, and then the inlet pipe diameter of the color inlet 14 is opened. When the color injection tube 2 having the
또, 이러한 과정은 복수개로 구획된 창호유니트(1A)에서 하나의 창호가 여러가지 색상으로 모자이크된 것으로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is process can be achieved by mosaicing a window in a variety of colors in the window unit 1A divided into a plurality.
한편, 상기 창호유니트(1A)등에 일단색상이 부여된 이후 이를 변경코자할때는 상기 공기조절구(13a) 및 색상주입구(14a)를 열고 이에 세척제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절구(13a)로부터 세척액을 주입하면 색상주입구(14a)로 상기 이격공간(16)내의 용액이 빠져나와 씻겨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once the color is given to the window unit (1A), etc., once the color is changed, open the air regulator (13a) and the color inlet (14a) to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air regulator (13a) by using a detergent tube. When injected, the solution in the
이때 덜빠져나온 용액은 흡착구로서 유인해내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ss solution can be completely removed by attracting the adsorption port.
이상태에서는 역시 상기 제 1 소재창(11) 및 제 2 소재창(12)은 투명창으로 되어진다. 이러한 과정이후 사용자는 또다른 색상의 색상주입튜브(2)를 이용하여 상기 언급된 동작으로 제 1 소재창(11) 및 제 2 소재창(12)내의 이격공간(16)에 색상액을 주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 제 4 도에서는 자동차창호(1C)의 측벽창호등에 수시로 그 색상을 간단히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연출효과나 햇빛 차단용등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state, the
또, 상기 제 1 소재창(11)은 유리등의 소재로되고, 제 2 소재창(12)은 불투명의 것으로하여 제 2 소재창(12)의 색상과 조화되는 색상액으로 창호를 구성하므로서 이에따른 색상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상기 제1,2소재창(12)의 제1,2소재는 모두 투명의 것으로 하여 전후면이 일치된 색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제 6 도와 같이 글자등 광고문구의 형태로 격벽(4)을 형성한 문자유니트(1E)에 있어서는 이에는 별도의 제 1 유공(13b) 및 제 2 유공(14b)을 형성하므로서, 광고문안에 대한 디스플레이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이를 대형빌딩의 벽면에 이용되는 창호로 될때에는 소정개소에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색상이 일률적으로 또는 선택적인 형태로 주어질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도시 미관을 양호하고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Also, in the
이러한 본 발명은 이중창 즉 이중의 투명소재를 이용하여 그 내공간에 색상을 주입 또는 세척하는 등의 장치 구성을 부여하므로서 이에 따른 가옥의 창호, 자동차 창호, 실내벽재 디스플레이등으로 가변되는 색상창호를 이룰수 있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 color window that can be changed to a window of a house, a car window, an indoor wall display, and the like by giving a device configuration such as injecting or washing color into the inner space using a double window, that is, a double transparent material. There is a beneficial characteristic that i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1204A KR900007880B1 (en) | 1987-10-06 | 1987-10-06 | Color-changing window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11204A KR900007880B1 (en) | 1987-10-06 | 1987-10-06 | Color-changing window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6948A KR890006948A (en) | 1989-06-17 |
KR900007880B1 true KR900007880B1 (en) | 1990-10-22 |
Family
ID=1926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11204A KR900007880B1 (en) | 1987-10-06 | 1987-10-06 | Color-changing window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78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8178B1 (en) * | 2012-10-19 | 2014-04-22 |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 Sunlight protect of light and heat for double-glazed to device acces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7755B1 (en) * | 2000-02-28 | 2003-01-15 |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Pair glass presenting various colors |
-
1987
- 1987-10-06 KR KR1019870011204A patent/KR90000788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8178B1 (en) * | 2012-10-19 | 2014-04-22 |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 Sunlight protect of light and heat for double-glazed to device acc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6948A (en) | 1989-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08848A (en) | Decorative system | |
US4697365A (en) | Edge-illuminated sign | |
ATE263119T1 (en) | TITANIUM OXIDE PARTICLES, AQUEOUS DISPERSION AND FILM AND PRODUCTION THEREOF | |
KR900007880B1 (en) | Color-changing window unit | |
US4077146A (en) | Simulated neon display device | |
US5890702A (en) | Ornamental fence | |
IL182784A (en) | Glass-darkening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windows and similar | |
CN110126596A (en) | A kind of vehicle glass of more color changes | |
CN208017421U (en) | A kind of water-saving bath suitable for children | |
KR960009738Y1 (en) | Color changeable plate glass device | |
EP0659290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 |
US192843A (en) | Improvement in tinted window-lights | |
DE4024093A1 (en) | Dividing bathtub into compartments - involves wooden or plastics panel with sealing strip around its edge | |
KR101286354B1 (en) | The panel with changeable color | |
CN215274765U (en) | Champignon machine convenient to use atomization effect is good | |
JP2000027549A (en) | Sliding screen | |
KR200439465Y1 (en) | Holding door window | |
US598396A (en) | Advertising device | |
DE10055034C2 (en) | effect decoration | |
KR970010212A (en) | Liquid film forming device for automobile glass | |
CN108952490A (en) | A kind of garage door | |
DE102021203963A1 (en) | Large household appliance with a body and a locking element | |
KR200219987Y1 (en) | Picture having door | |
JPS645014Y2 (en) | ||
CN205530859U (en) | Wall greening curt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92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1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