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7880B1 -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 Google Patents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80B1
KR900007880B1 KR1019870011204A KR870011204A KR900007880B1 KR 900007880 B1 KR900007880 B1 KR 900007880B1 KR 1019870011204 A KR1019870011204 A KR 1019870011204A KR 870011204 A KR870011204 A KR 870011204A KR 900007880 B1 KR900007880 B1 KR 90000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lor
present
unit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948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1987001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880B1/ko
Publication of KR89000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8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에 의한 참고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참고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참고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예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색상가변창호유니트 11 : 제 1 소재창
12 : 제 2 소재창 13b : 제 1 유(流)공
14b : 제 2 유공 15 : 접착소재
16 : 이격공간 2 : 유액튜브
21 : 꼭지
본 발명은 가옥의 창문, 벽재, 탁자, 자동차창등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는 색상가변 창호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본 발명의 창호장치에 의하여 소망하는 창호등의 색상을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색상가변창호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등의 사무실창호에는 일정한 상호문구등을 선팅등에 의하여 햇빛 가리개겸 선전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일단 소정패턴등으로 상기 창호에 소망하는 형태를 형성시킨 후에 이를 변경코자할때는 일일이 다시 작업을 진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페인트칠이 이미 진행되었을때는 이를 변공코자할때의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것이었다.
한편, 실내의 인테리어 디스플레이의 경우 벽재의 색상등을 이용하여 취미감등을 살리는 기법등이 널리 성행하고 있으나, 여기서도 일단 하나의 패턴으로 고형화된 상태로 존재시킨후 이를 다른 형태로 변경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못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사무실창호등에 색상이 부여될때 이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창호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이러한 창호등에 있어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케되므로 이로인한 이용가치를 새롭게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옥내의 실내벽면등을 본 발명의 창호장치로 구성하므로서 사시사철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창호벽면색상을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므로 이로인한 다양한 융통성을 부여케하려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단지 이중창호와 색상주입 및 공기조절구, 색상주입튜브등과의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효과상의 다양성과 함께 그 이용가치가 월등히 양호하게 되는 창호장치를 제공코져한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 도는 본 발명의 창호장치에서 그 일반적인 형태의 것인 색상다변창호유니트(1A)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적어도 투명재질의 제 1 소재창(11)과 제 2 소재창(12)이 테두리 부위에의 접착소재(15)에 의해 완전 밀폐되고, 이에 의해 그 내부는 일정이격공간(16)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일정이격공간(16)은 상기 접착소재(15)의 수직폭에 의해 임의로 주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소재(15)의 일측벽엔 공기조절구(13a)와 색상주입구(14a)가 각기 매설고정되어 있고, 이들은 상기 일정 이격공간(16)과 유관으로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진다.
상기 공기조절구(13a) 및 색상주입구(14a)는 일종의 밸브를 가진 관으로서 되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뤄지는 창호유니트(1A)는 제 1 도와 같이 복수개가 인접접착되어진 것으로도 될수 있다. 그리고, 제 3 도에서는 이를 칸막이 창호유니트(1B)로 구성한 제 2 실시예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역시 제 1 소재창(11)과 제 2 소재창(12)이 서로 테두리면에서 소정이격공간(16)을 가지도록 접착된 상태로되고 마개형태의 제 1 유공(13b)과 제 2 유공(14b)이 칸막이 창호유니트(1B)의 제 1 소재창(11) 또는 제 2 소재창(12)에 천설되고, 이에 마개(13c, 14c)에 의한 기밀결합 구성으로 되어진다. 또, 제 4 도에서는 본 발명을 자동차창호유니트(1C)로 이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자동차창호유니트(1C)에 적어도 상하측벽 또는 좌우측변에 각기 한개씩의 공기조절구(13a) 및 색상주입구(14a) 또는 제 1 유공(13b) 제 2 유공(14b) 및 마개(13c,14c)가 주어진 관련구성으로 되고, 이에 상기 공기조절구(13a), 제 1 유공(13b)등에 색상주입튜브(2)에 의해 주입되는 색상안료(22)에 의해 색상가변창호로되며, 세척액주입튜브에 의해 상기 색상가변창호가 투명의 형태로 주어지는 구성으로 되어진다.
또, 상기 제 4 도의 제 3 실시예의 것은 제 5 도와 같이 자동차 전면창을 전면창색상가변창호(1D)로 하였을때는 상기 창호(1D)의 이격공간(16)내로 유통되는 제 1펌프(31) 및 제 2 펌프(32)로부터의 관을 관설시키고, 이 제 1 펌프(31)는 유액통(33), 제 2 펌프(32)는 세척통(34)과 연결하여 제 1 펌프(31)에 의해 유액통(33)으로부터의 색상액이 상기 창호(1D)로 주입되고, 이를 세척시에는 상기 제 2 펌프(32)에 의해 세척액을 투입시켜 상기 이격공간(16)내의 색상액을 씻어내는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색상안료(22)는 수성용액일때는 상기 이격공간(16)내에 표면장력이 발생되지 않는 형태의 것으로 하면 바람직하며 또 이때는 상기 창호(1D)의 하단변에 가변개폐변(35)을 설치하여 세척시에 세척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진다.
한편, 제 6 도에서는 문자유니트(1E)를 가변창호유니트(1A)에 매설구획시켜 이에 각기 다른 색상주입튜브(2)로 색상을 주입시켜 간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진다. 미설명부호 21은 꼭지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일예로 제 1 도와 같이 색상가변창호유니트(1A)로 되어 있을때는 공기조절구(13a)와 색상주입구(14a)의 밸브를 개방시킨후 상기 색상주입구(14)의 주입관 구경과 기밀되는 꼭지(21)를 가진 색상주입튜브(2)를 압압하면 색상주입튜브(2)로부터 소정액체인 안료(22)가 제 1 소재창(11) 및 제 2 소재창(12)와의 이격공간(16)내로 퍼지면서 충입되어진다. 이때는 상기 이격공간(16)이 거의 용액의 종류를 고려하여 몇 m 정도의 두께로 되므로 상기 색상주입튜브(2)의 용기부피는 큰것을 요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색상주입튜브(2)의 압압하는 사용자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16)내로의 색상액인 안료(22)가 충분히 충입되어지고, 상기 공기조절구(13a)로 색상액이 뿜어나올때는 이들 밸브를 잠그므로서 소정색상이 부여된 칸막이 창호유니트(1B)로 되는 것이다.
또, 이러한 과정은 복수개로 구획된 창호유니트(1A)에서 하나의 창호가 여러가지 색상으로 모자이크된 것으로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창호유니트(1A)등에 일단색상이 부여된 이후 이를 변경코자할때는 상기 공기조절구(13a) 및 색상주입구(14a)를 열고 이에 세척제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절구(13a)로부터 세척액을 주입하면 색상주입구(14a)로 상기 이격공간(16)내의 용액이 빠져나와 씻겨지는 것이다.
이때 덜빠져나온 용액은 흡착구로서 유인해내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는 역시 상기 제 1 소재창(11) 및 제 2 소재창(12)은 투명창으로 되어진다. 이러한 과정이후 사용자는 또다른 색상의 색상주입튜브(2)를 이용하여 상기 언급된 동작으로 제 1 소재창(11) 및 제 2 소재창(12)내의 이격공간(16)에 색상액을 주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 제 4 도에서는 자동차창호(1C)의 측벽창호등에 수시로 그 색상을 간단히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연출효과나 햇빛 차단용등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소재창(11)은 유리등의 소재로되고, 제 2 소재창(12)은 불투명의 것으로하여 제 2 소재창(12)의 색상과 조화되는 색상액으로 창호를 구성하므로서 이에따른 색상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상기 제1,2소재창(12)의 제1,2소재는 모두 투명의 것으로 하여 전후면이 일치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제 6 도와 같이 글자등 광고문구의 형태로 격벽(4)을 형성한 문자유니트(1E)에 있어서는 이에는 별도의 제 1 유공(13b) 및 제 2 유공(14b)을 형성하므로서, 광고문안에 대한 디스플레이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이를 대형빌딩의 벽면에 이용되는 창호로 될때에는 소정개소에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색상이 일률적으로 또는 선택적인 형태로 주어질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도시 미관을 양호하고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중창 즉 이중의 투명소재를 이용하여 그 내공간에 색상을 주입 또는 세척하는 등의 장치 구성을 부여하므로서 이에 따른 가옥의 창호, 자동차 창호, 실내벽재 디스플레이등으로 가변되는 색상창호를 이룰수 있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투명재질의 제1소재창(11)과 제2소재창(12)을 겹치고 그 내공간에 이격공간(16)이 형성되도록 그 테두리에 접착소재(15)등으로 밀폐처리하며, 상기 제1소재창(11) 또는 제2소재창(12)의 평면부 또는 측변에는 적어도 제1유공(13b) 제2유공(14b) 또는 공기조절구(13a), 색상주입구(14a)를 형성하고 이에 별도로 색상주입튜브(2) 및 세척튜브를 마련하여 색상액의 주입 또는 세척처리가 가능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KR1019870011204A 1987-10-06 1987-10-06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Expired KR90000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204A KR900007880B1 (ko) 1987-10-06 1987-10-06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204A KR900007880B1 (ko) 1987-10-06 1987-10-06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48A KR890006948A (ko) 1989-06-17
KR900007880B1 true KR900007880B1 (ko) 1990-10-22

Family

ID=1926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204A Expired KR900007880B1 (ko) 1987-10-06 1987-10-06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78B1 (ko) * 2012-10-19 2014-04-22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의 빛과 열을 차단할 수 있는 2중 유리에 색채를 가진 액체를 입/출입 시키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755B1 (ko) * 2000-02-28 2003-01-15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색을 연출하는 페어글래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78B1 (ko) * 2012-10-19 2014-04-22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의 빛과 열을 차단할 수 있는 2중 유리에 색채를 가진 액체를 입/출입 시키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48A (ko) 198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8848A (en) Decorative system
ATE214353T1 (de) Teilchen, wässrige dispersion und film aus titanoxid und ihre herstellung
KR900007880B1 (ko) 색상가변 창호유니트
IL182784A (en) Glass-darkening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windows and similar
CN110126596A (zh) 一种多颜色变化的汽车玻璃
CN208017421U (zh) 一种适用于儿童的节水浴缸
KR960009738Y1 (ko) 색상변경이 가능한 판유리장치
AU8170487A (en) Colored liquid curtain
EP06592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DE4024093A1 (de) Trennwand fuer dusch- und badewannen
US2496681A (en) Hollow circular segmental lens structure with liquid filler
KR950011350A (ko) 색상변경이 가능한 판유리
KR0152614B1 (ko) 자동차 글라스의 액막 형성장치
KR101286354B1 (ko) 변색 판넬
CN215274765U (zh) 一种便于使用雾化效果好的香薰机
JP2000027549A (ja) 障 子
KR200439465Y1 (ko) 홀딩 도어창
GB1163898A (en) Improvements in ornamental structures
DE10055034C2 (de) Effektdekoration
DE29813341U1 (de) Wasserspiel
KR200335074Y1 (ko) 한옥문짝 파티션
DE102021203963A1 (de) Haushaltsgroßgerät mit einem Korpus und einem Verschlusselement
KR200219987Y1 (ko) 그림을 그려넣은 문짝
JPS645014Y2 (ko)
JPS5931399Y2 (ja) アルミニウム−プラスチック容器複合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310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3102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