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7850B1 - 음식물 제조용 오븐 - Google Patents

음식물 제조용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50B1
KR900007850B1 KR1019880000196A KR880000196A KR900007850B1 KR 900007850 B1 KR900007850 B1 KR 900007850B1 KR 1019880000196 A KR1019880000196 A KR 1019880000196A KR 880000196 A KR880000196 A KR 880000196A KR 900007850 B1 KR900007850 B1 KR 90000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ven
food
fan
ai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751A (ko
Inventor
엠. 쉐이 스티븐
시. 헹크 미첼
따블유. 신들러 존
Original Assignee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시. 해이트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시. 해이트하우스 filed Critical 린컨 푸드서비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5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6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by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45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with a plurality of air nozzles to obtain an impingement effect on the f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식물 제조용 오븐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제1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오븐의 적층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오븐의 후벽과 팬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제4도는 제1도 오븐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 5-5선 단면도.
제6도는 오븐 내부의 공기 흐름 상태를 보인 제4도 6-6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급기통의 제2형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형태의 급기통과 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븐 11 : 조리실
26 : 컨베이어 40a, 40b : 상부 공기 분배관
42a, 42b : 하부 공기 분배관 43 : 분사노즐
52a, 52b : 팬 54a, 54b : 급기통
56a, 56b : 보호관 58a, 58b : 보호관 설치대
62a, 62b, 92 : 공기 유도판 70 : 버어너
72 : 버어너 동체 74 : 단부 캡
76 : 화염유도판 78 : 단부판
79 : 차단판 82 : 화염배출공
본 발명은 음식물 제조용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자와 같은 음식물을 제조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가열 공기의 분사류가 음식물에 충격 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하게된 충격식 오븐에 관한 것이다.
패스트 푸드(Fast food)요식업계에서는 음식물이 신속히 만들어지고 음식물 제조에 필요한 주방 면적이 최소화 되어 주방 공간 면적당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최대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조리용 오븐을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컨베이어가 음식물을 오븐의 조리실 내부로 운반 하도록 된 충격식 오븐을 사용하므로서 피자와 같은 패스트 푸드의 조리속도가 단축되었다. 이러한 오븐에서는 가열 공기의 원주형 분사류를 형성하여 오븐 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의 불연속 부위에 직접 충격 시키는 충격 노즐들이 형성된 공기 분배관이 컨베이어의 상하방에 각각 설치되었다. 이와같은 오븐은 일반적으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하나의 단일 버어너와 가열된 공기를 급기통을 거쳐 공기 분배관 속으로 보내는 하나의 팬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충격식 오븐에서의 음식물 조리시간은 통상적으로 대류식 오븐에서의 음식물 조리시간보다 짧은 것이 사실이다.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 4,556,043호에는 대단히 성공적인 충격식 오븐이 공개되었다.
이러한 충격식 오븐에서는 충격하는 공기 분사류의 속도가 음식물에 충분한 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을정도로 높아야 함은 물론이고 공기 분배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여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인 충격식 오븐에서는 공기가 급기통과 충격 노즐을 통하여 분출된 후 팬에 의하여 오븐의 상부, 하부, 및 측부를 거쳐 뒤쪽으로 흐르도록 되었다. 이때 일부의 가열 공기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오븐 측벽의 개구부로부터 오븐 밖으로 배출되므로 에너지 손실이 나타나게되어 오븐의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가열 공기가 오븐의 중앙을 통하여 뒤로 흐르도록 하므로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식 오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음식물의 조리시간과 음식물의 품질을 나쁘게 하지 않으면서 종래의 충격식 오븐 보다 주방의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다수의 오븐을 적충할 수 있도록된 높이가 낮은 충격식 오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충격식 오븐에서는 열에너지 전달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다량의 공기흐름이 필요하게 된다. 측류 팬은 고속 저압의 공기 흐름을 만들어 내는 우수한 공기 이동 특성을 갖고 있어서 충격식 오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공기 충격식 오븐의 높이가 그에 사용되는 축류 팬의 크기에 의하여 좌우되었다. 따라서 오븐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는 종래 오븐에 사용되는 단일 팬 보다 직경이 적은 여러개의 측류 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러개의 측류 팬을 충격식 오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기통에서 나사식 공기흐름이 형성되므로 분사노즐에 불균일한 공기 압력이 생성되고 그 결과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 에너지가 불균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더구나 여러개의 측류팬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 공급되는 공기가 오븐 내부를 가로지르는 측류 공기 흐름을 나타내어 팬층의 하나는 환류되는 공기에 의하여 그 힘이 약하여지는 경우가 나타난다. 따라서 다수의 측류팬을 포함하면서도 공기 흐름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열 에너지가 음식물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충격식 오븐이 필요하게 된다.
여러개의 측류 팬을 종래의 통상 가동 속도로 회전시키면 소음이 많게되는바, 이러한 현상은 음식점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충격식 오븐에 사용되는 팬보다 저속으로 가동되는 여러개의 측류팬을 갖는 충격식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부의 종래 오븐은 여리개의 방사류 또는 원심류 팬을 갖고 있는바, 이러한 팬들은 저속 고압의 공기 흐름을 만들어 낸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충격식 오븐에서는 음식물에 최대량의 열에너지를 전달하기위하여 고속 저압의 공기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므로 방사류 팬을 충격식 오븐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종래의 충격식 오븐에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후벽 전체에서 부위별 온도차가 나타나고 그 결과 후벽의 부위별 열 팽창이 달라지게 되어 후벽이 찌그러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축류 팬은 일반적으로 후벽에 설치되고 후벽에 직접 부착된 보호판이 팬의 날개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후벽이 찌그러지면 팬의 날개가 보호판에 걸리게 되어 소음이 나거나 팬의 회전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충격식 음식물 제조용 오븐에서는 측류팬의 보호판을 열적으로 안정하게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충격식 오븐에 여러개의 팬을 사용할때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점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여러개의 통상적인 버어너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따른 오븐의 생산비 증가이다. 하나의 버어너를 사용하였을때는 하나의 버어너로부터 여러개의 공기 분배관에 동등하게 열을 분배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하나의 버어너와 다수의 축류팬 및 공기 분배장치를 사용하여 충격 공기를 각개 공기 분배관에 골고루 분배 시키므로서 충격 공기의 분사류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개량된 오븐에 의하여 전술한 종래 오븐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조리실과 조리실 내부로 음식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음식물 제조용 오븐으로 구성된다. 조리실 내부에는 여러개의 원주형 공기 분사류를 생성하여 컨베이어 위에 지지된 음식물의 불연속 부위에 공기 분사류를 충격 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충격 노즐을 갖는 공기 분배관과 공기 분배관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기위한 여러개의 급기통이 설치된다. 급기통은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하나의 측류팬을 갖고 있으며, 급기통에는 팬으로부터 공기 분배관속으로 흐르는 공기가 일직선 상태로 들어가도록 하는 공기 유도판이 설치된다. 더구나 하나의 버어너가 모든 급기통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다른 형태는 대향하는 양측벽에 개구부를 갖는 조리실과 조리실내에 음식물을 운반하도록 양측벽의 개구부와 조리실 내부에 걸쳐 지도록 설치된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공기 분배관은 2개의 분배관이 한 셋트로 된 두 셋트가 설치되는바, 각개 공기 분배관 셋트는 컨베이어의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위치하는 2개의 분배관으로 구성된다. 2개의 급기통이 각개 공기 분배관 셋트에 하나씩 연결되고 각개 급기통에는 하나의 팬이 연결되어 두개의 축류팬이 각각 한셋트의 급기통과 분배관에 관련 되게 되었다. 일예를들면 팬들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었는바, 이러한 구성에서는 공기가 팬으로부터 나온 다음 일직선으로 되면서 분배관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각개 급기통에 공기 유도판을 설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 팬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하므로서 공기가 분배관으로부터 분출되어 음식물에 충돌한 다음 분배관 사이에 위치하는 오븐 중앙의 공간부를 거쳐 오븐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환류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개 급기통에 상향 수직판으로 된 최소한 하나의 유도판을 설치하므로서 팬에서 나오는 공기가 급기통을 거쳐 분배관 속으로 똑바로 들어갈때 거의 와류되지 아니한 일직선 상태로 흐르게 된다. 일직선 상태의 공기 흐름은 분배관 내에 공기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므로 공기는 균일한 충격 분사류를 형성하여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게 된다. 팬들은 오븐의 후벽에 착설되고 오븐의 후벽에 부착된 원추형 설치대에 고정된 보호판으로 둘러싸인다. 오븐은 단일 버어너 만을 포하므로 버어너로부터 나오는 화염은 2개의 급기통 사이로 나오게 되어 있어서 가스 버어너로부터의 열에너지는 2개의 급기통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버어너에도 2개의 화염 유도판이 착설되어 있어서 그 열에너지가 2개의 급기통에 동일하게 나누어 지도록 되었다.
본 발명의 이점은 충격 공기 분사류의 분사 속도를 향상시키고 우수한 조리 효과를 얻으면서 충격식 오븐의 높이를 낮출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이점은 급기통에 공기 유도판을 사용하므로서 축류팬에 의한 나사형 공기 흐름이 방지되어 분배관내에 균일한 공기 압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들을 사용하므로서 오븐내의 환류 공기의 흐름이 오븐의 중앙부를 통과하게 되어 오븐으로 부터의 공기 유실이 극소화되고 오븐의 열 효율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들을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배관들에 균일한 공기의 분배가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외의 이점은 오븐후벽에 대한 팬과 보호관의 설치 장치가 열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는 조리실과 조리실 내부로 음식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음식물 제조용 오븐으로 구성된다. 조리실내에는 공기의 원주형 분사류를 형성하여 컨베이어에 지지된 음식물의 불연속적 부위에 분사류를 충격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 충격 노즐을 갖는 공기 분배관과 분배관 속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분배관에 연결된 급기통에 설치된다. 각개 급기통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팬이 연결되는바, 이 급기통은 최소한 하나의 팬에 연결되어 있어서 컨베이어에 지지된 음식물에 충돌한 공기는 두분배관 사이를 거쳐 팬으로 되돌아 가도록 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는 조리실과 음식물을 지지하여 조리실 내부로 음식물을 운반하는 조리실 내부에 설치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음식물 제조 장치로 구성된다. 여러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공기 분배관들이 여러개의 원주형 공기 분사류를 형성하여 컨베이어에 지지된 음식물의 불연속 부위에 충격시키도록 컨베이어의 상방과 하방에 설치된다. 공기 분배관은 공기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급기통에 연결되며 각개 급기통에는 충격 노즐로 공급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공기 유도판이 착설되고 또한 각개 급기통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팬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대향하는 양측벽에 하나씩의 개구부를 갖는 조리실을 포함하는 음식물 제조장치로 구성된다. 조리실 내에는 조리실 내부로 음식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바 이 컨베이어는 조리실 양측벽의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연설된다. 조리실내부에는 여러개의 원주형 공기 분사류를 형성하여 컨베이어에 지지된 음식물의 불연속 부위에 충돌시키는 제1 및 제2 공기 분배관 셋트가 설치되는바, 각개 분배관 셋트는 컨베이어의 상하방에 설치되는 각각 2개의 분배관으로 구성된다. 각개 분배관 셋트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급기통이 연결되며 각개 급기통에는 분배관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일직선 상태로 되게 유도하는 공기 유도판이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급기통은 분배관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가열하는 하나의 버어너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낮고 조리 특성이 우수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다수의 축류 팬을 사용하게 된 높이가 낮은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팬과 하나의 단일 버어너를 사용하는 높이가 낮은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 보호판이 열적으로 안정한 설치대에 설치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급기통으로부터 충격 노즐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각개 급기통에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유도판에 의하여 와류되지 않도록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류되는 공기가 오븐의 중앙부를 통하여 뒤쪽으로 흐르도록 팬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 높이가 낮은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다수의 팬들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높이가 낮은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단일 버어너에 의하여 발생된 열에너지가 다수의 급기통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4도에 의하면 충격식 오븐(10)은 조리실(10)과 내외 벽판 사이에 단열 물질(13)이 충전된 상면벽(12)을 포함하고 있다. 오븐(10)의 전면벽(14)에는 도어(15)가 착설되어 있는바, 이 도어(15)는 오븐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6)을 갖고 있다. 오븐(10)의 저면벽(17)은 단열층(18)을 갖고 있고 측면벽(19)(20)도 단열층을 갖고 있는바, 측면벽(19)(20)에는 각각 개구부(22)(24)가 형성되었다. 컨베이어(26)는 측벽의 개구부(22)(24)에 걸쳐지게 설치되었으며, 음식물은 컨베이어(26)위에 놓여져서 개구부(24)를 통하여 조리실(11)속으로 이송되어 조리된후 측벽(20)에 있는 개구부(22)를 통하여 조리실(11)밖으로 이송된 다음 컨베이어(26)로부터 수거할 수 있게 되었다. 컨베이어(26)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하였는바 컨베이어(26)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 4,462,383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온도조절과 컨베이어의 속도조절같은 각종 제어장치는 조정판(28)에 부착되었다.
제2도는 프레임(30)위에 여러개의 오븐(10a)(10b)(10c)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 주고 있는바, 프레임(30)에는 바퀴(32)가 부착되어 있어서 전체 적층체를 이동 시킬수 있도록 되었다. 각개 오븐들은 높이가 낮은형태로 되어 있어서 오븐 조립체의 전체 높이는 통상적인 오븐 적층제의 높이 보다 낮게 되었다. 특히 본발명에 의한 높이가 낮은 형태의 오븐은 보다 많은 오븐을 적층시킬수 있어서 조리 면적을 기준으로 할때 주방의 바닥 면적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제3도 내지 6도에 의하면 오븐에는 다수의 공기 분배관(40)(42이 설치되는바, 분배관(40a)(40b)은 컨베이어(26)상방에 설치되고 분배관(42a)(42b)은 컨베이어(26)하방에 설치된다. 각개 분배관(40)(42)는 컨베이어(26)위에 지지된 음식물의 특정부위에 충돌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잘 정리된 고속 공기 분사류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43)들을 갖고 있다. 분배관(40)(42)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는바 구체적인 내용은 미국 특허 제 4,154,861호에 기재되어 있다. 오븐의 후면벽은 외부벽판(44)과 내부벽판(46) 및 그사이에 내장된 단열층(48)으로 구성되었다. 급기통(54a)(54b)의 후방에는 이들과 직선으로 되게 배치된 축류팬(52a)(52b)과 이들을 회동시키는 모우터(50)가 착설되었다. 팬 보호판(56a)(56b)는 절두 원추형 보호판 설치대(58a)(58b)에 고정되어 팬(52)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분배관(40)(42)속으로 유도한다. 절두 원추형 설치대(58)의 사용도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바, 절두 원추형 설치대(58)에 보호판(56)을 설치하면 그 구성이 열적으로 인정되게 된다. 만약 보호판(56)을 내부벽판(46)에 직접 설치하면 내부벽판(46)을 변형시킬 정도의 온도차가 내부벽판(46)에 나타날때 보호판(56)의 위치가 변동되게 되어 팬(52)의 날개가 보호판에 걸리게 되고 그 결과 팬(52)의 회동이 중단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그러나 각개 보호판(56)을 절두 원추형 설치대(58)에 설치하면 보호판 설치부위의 열적 안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호판(56)이 팬(52)의 날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급기통(54a)(54b)는 분배관(40a)(42a)(40b)(40b)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들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4도 내지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는 팬(52a)(52b)로부터 나와서 급기통(54a)(54b)을 거쳐 분배관(40)(42) 속으로 들어 간 다음 컨베이어(26)위에 있는 음식물에 충돌하게된다. 음식물에 충돌한 공기는 분배관(40a)(40b)(42a)(42b) 사이의 공간부(60)와 각개 분배관과 오븐의 4주벽(12)(17)(19)(20) 사이의 공간부를 거쳐 조리실(11)로 부터 팬(52a)(52b)뒤쪽으로 흘러 가서 재 가열되된 다음 재 가열된 공기는 팬(52a)(52b)에 의하여 급기통(54a)(54b)를 분배관(40a)(40a)(40b)(40b) 속으로 주입된다.
제3도 내지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개 팬(52a)(52b)들은 급기통(54a)(54b)에 연관되어 상부 분배관(40)과 하부 분배관(42)에 공기를 긍급한다. 즉 팬(52a)는 일측 분배관(40a)(42b)에 공기를 공급하고 팬(52b)는 타측 분배관(40b)(42b)에 공기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오븐에서는 하나의 팬과 하나의 급기통을 사용하여 모든 분배관에 공기를 공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축류팬(52a)(52b)을 사용하므로서 공기 유속과 공기의 대량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에 가하여 지는 열 에너지가 증가되고 그 결과 조리 특성이 더 좋아지게 된다.
제3도 내지 6도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팬(52a)(52b)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어서, 하나의 팬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팬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븐 내부의 공기 흐름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부분의 환류공기가 분배관(40a)(40b)(42a)(42b)사이에 위치하는 오븐 중앙의 공간부(60)을 통하여 조리실(11)로부터 뒤쪽으로 흐르는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소량의 공기는 오븐의 4주 측병(12)(17)(19)(20)을 따라 판쪽으로 흐르지만 그 양이 오븐의 중앙부에 있는 공간부(60)을 통하여 흐르는 공기 양에 비하여 극히 적은 양에 불과하므로 큰 영향이 없다. 이와같은 공기 흐름의 이점은 양측벽에 있는 개구부(22)(24)를 통하여 오븐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극히 적어지므로 오븐(10)으로부터의 열에너지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게 되어 오븐(10)의 열 효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공기 압력차가 개구부(22)(24)를 따라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환류 공기가 오븐의 중앙부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오븐(10)의 측벽(18)(20)에 있는 개구부(22)(24)에서 발생하는 부압이 비교적 적게되어 극히 소량의 차가운 실온의 공기만이 오븐의 조리실(11)속으로 들어오게 되므로 종래의 충격식 오븐보다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고 오븐의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제3도와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기통(54a)(54b)에 공기 유도판(62a)(62b)을 착설한 것이다. 공기 유도판(62a)(62b)은 평평한 판상체로서 급기통(54a)(54b)의 구멍(64a)(64b)내에 위치한다. 구멍(64a)(64b)는 차단판(66a)(66b)으로 일부분이 유도판(62a)(62b)및 차단판(66a)(66b)는 각각 급기통(54a)(54b)의 전면벽(68a)(68b)에 고정된다. 공기 유도판(62a)(62b)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축류 팬(52a)(52b)를 사용하면 공기가 급기통(54a)(54b)을 떠나 분배관(40a)(40b)(42a)(42b) 속으로 들어갈때 나사형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나사형 공기의 흐름은 분배관(40a)(40b)(42a)(42b) 내부에 불균일한 공기 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분배관에 의하여 형성되는 충격 공기의 분사류가 불균일한 형태를 이루게된다. 이러한 현상은 조리실(11) 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에 전달되는 열 에너지를 불균일하게 하므로 오븐(10)의 조리 특성을 나쁘게 한다. 그러나 판상 유도판(62a)(62b)을 분배관(40a)(40b)(42a)(42b)의 종축과 일직선으로 되게 설치하면 공기가 급기통(54a)(54b)을 나와서 분배관(40a)(40b)(42a)(42b)속으로 흐를때 이 공기는 와류되지 아니하는 유선 형으로 각개 해당하는 분배관 속으로 직진하여 흐르게 된다. 유선형 공기 흐름은 분배관(40)(42)내에 균일한 압력 패턴을 만들어 내게 되므로 충돌 공기의 분사류도 균일한 패턴으로 되어 컨베이어 위에 놓여 있는 음식물에 열 에너지를 균일하게 전달하게 되고 그 결과 오븐(10)의 조리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오븐(10)에 측류팬(52a)(52b)을 사용하는 것을 저속 고압의 공기 흐름을 만들어 내는 방사류 팬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고속저압의 공기를 만들어 내는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분배관(40a)(40b)(42a)(42b)속으로 대량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충격식 오븐에서는 음식물에 전달되는 열 에너지의 양을 최대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공기 흐름량을 최대로 하여 가열 공기에 의하여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의 양을 최대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도에는 오븐용 버어너 장치가 도시되었다. 2개의 급기통(54a)(54b)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단 하나의 버어너(70)만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어너(70)에 대하여는 출원인의 동일한자 한국 특허 출원 제 88-195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버어너(70)는 단부에 고정된 단부 캡(74)을 갖는 동체(72)를 포함하는바, 탄부캡(74)은 나사, 용접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동체(72)의 단부에 고정된다. 단부캡(74)은 화염 유도판(76), 단부판(78) 및 동체(72)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80)로 구성된다. 유도판(76)은 단부판(78)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절곡 시킬수 있게 되었다. 동체(72) 내에서 생성된 화염은 단부판(78)에 충돌한 다음 상향 편향되어 버어너 유도판(76)에 충돌하게되고 유도판(76)은 배출공(82)으로 부터 나오는 화염의 진로를 변경시켜 화염의 일부가 급기통(54b) 쪽으로 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화염의 일부는 급기통(54a)쪽으로 향하게 한다. 유도판(76)이 없는 경우에는 동체(72)에서 화염배출공(82)으로부터 나오는 화염이 거의 급기통(54a) 쪽으로만 향하게 되어 급기통(54b)에는 열 에너지가 결핍된다. 이 유도판(76)은 분배관(40a)(40b)(42a)(42b)에 의하여 형성되는 충격공기의 분사류가 거의 동일한 온도를 갖도록 오븐을 조립한 후에 조절할 수도 있다.
버어너(70)에는 화염차단판(79)이 설치 되는바, 이 차단판(79)은 동체(72)에 용접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화염배출공(82)을 절추 형성할때 절취부를 평평하게 펴고 이를 상향절곡하여 형성 할수도 있다. 이 차단판(79)은 화염배출공(8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이 차단판(79)은 분배관(40a)(42a)(40b)(42b)사이에 있는 공간부(60)와 급기통(54a)(54b)를 거쳐 조리실(11)로부터 환류되는 동기 흐름의 진로상에 위치한다. 이 차단판(79)은 공기 흐름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베트놀리의 원리에 의하여 화염배출공(82)의 전방에 부압구역(84)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화염이 화염배출공(82)으로부터 배출되면 부압구염(84)쪽으로 흡인 되므로 화염은 후면벽의 내부벽판(46)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그 결과 외부벽판(44)과 내부벽판(46)에 대한 극부적인 가열이 방지되어 후벽의 변형이 방지되게 된다.
화염 유도판(76)을 사용하면 오븐(10)내의 온도가 유도판(76)에 의하여 조절되므로 버어너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는 필요네 따라 급기통(54a)(54b)에 분배시킬수 있다. 따라서 분배관(40a)(42a)(40b)(42b)에 의하여 컨베이어(26)위에 있는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의 양도 변경시킬수 있다. 더구나 2개의 팬(52a)(52b)을 서로 다른 속도로 회동시키면 분배관(40a)(42a)(40b)(42b)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속도를 변경시킬수도 있다. 이와같이 오븐내의 공기 흐름패턴을 변경시키면 오븐내의 조리 공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음식물이 조리실(1l)로 들어 갔을때 처음에는 비교적 서서히 가열하고 이어서 조리실(11)의 배출 부분에서는 음식물에 대한 열 에너지의 전달을 최대한으로 할수도 있다. 그와 반대로 처음에 음식물에 가하여지는 열 에너지를 크게 하고 음식물이 조리실(11)내부를 통과할때 가하여지는 열 에너지의양을 감소시킬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오븐은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식물의 종유에 따라 조리주기를 변경 시킬수도 있다. 전술한 도면에의한 설명은 4개의 분배관을 예로들어 설명했지만 분배관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제7도 내지 9도에는 축류팬(52a)(52b)의 나사형 공기 흐름효과를 제거하고 공기 흐름을 직진토록 하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가 도시되었다. 급기통(54a)(54b)의 측벽(88)에는 지지판(66a)(66b)의 플렌지(90)가 부착되고, 이 지지판(66)에는 다수의 유도판(92)이 착설된다. 유도판(92)은 만곡지게 형성되었고 지지편(4)에 의하여 지지판(66)에 고정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도판(92)은 그들의 후단 연부(93)가 급기통의 후벽(65)의 표면과 환상 개구부(64)에 평행한 평면상에 일직선으로 정열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팬(52)의 날개들은 유도판(92)의 후단연부(93)로부터 떨러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9도에 의하면 팬(52)으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분배관(40)의 축에 대하여 각도지게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고 있음을 알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만곡된 유도판(92)을 설치하면 공기의 흐름이 유도판(92)의 만곡면에 의하여 서서히 직선상으로 되므로 유도판(92)들이 흐름에 대한 저항성을 최소로 되게 하면서 효과적으로 직진 시키게 되어 공기가 분배관(40)(42)의 종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기한 분배관들 속으로 흐르게 된다. 도면에는 4개의 유도판이 도시되었으나 유도판의 수는 늘이거나 줄일수 있다. 제7-9도에 도시된 예에서는 팬(52a)(52b)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되었다. 따라서 동일한 모우터(50)가 팬(52a)(52b)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이와같은 유도판(92)의 배치에 의하면 공기 흐름 패턴이 가장 효과적으로 되므로 팬(52)을 구동하는 모우터(50)의 속도를 감소 시킬수 있다. 예를들면 제7-9도의 유도판 배치에 따르면 통상적인 팬의 회전속도 3000rpm보다 낮은 2800rpm으로 되도록 할수 잇다. 이와같이 팬(52)과 모우터(50)의 회전속도를 낮추면 작업중의 소음이 통상적으로 충격 오븐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주방의 소음 공해를 줄이는데 대단히 바람직하게 된다.
보호관(56)는 지지간(96)과 보울트(98)에 의하여 절두 원추형 설치대(58a)(58b)에 고정된다. 이러한 절두 원추형으로된 설치대(58)의 구조는 벽판(46)이 온도 변화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벽판(46)이 변형되면서 보호관(56)이 팬의 날개에 걸리는 일이 없게 된다.

Claims (7)

  1. 조리실(11), 조리실(11)내에 음식물을 지지하는 컨베이어(26), 공기의 원주형분사류를 형성하여 컨베이어(26)에 지지된 음식물의 불연속 부위에 전술한 분사류를 충격시키도록 전기한 조리실(11) 내제 설치된 다수의 공기 분배관(40a)(40b)(42a)(42b), 전기한 분배관(40a) (40b)(42a)(42b) 속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한 분배관에 연결된 다수의 급기통(54a)(54b)및 전기한 분배관 속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 구성된 음식물 제조용 오븐에 있어서 이 오븐이 급기통(54a)(54b)속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각개 급기통들에 결합된 축류 들은 음식물에 충돌한 공기가 공기 분배관(40a)(40b)(42a)(42b)들 중의 최소한 2개의 분배관 사이를 거쳐 팬으로 돌아가도록 팬(52a)(52b)중의 하나로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제조용 오븐.
  2. 청구범위 l항에서, 급기통(54a)(54b)이 2개이고 급기통(54a)(54b)들은 각각 그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팬(52a)(52b)를 갖고 있으며 전기한 급기통(54a)(54b)은 각각 전기한 다수의 분배관(40a)(40b)(42a)(42b)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청구범위 1항에서, 전기한 급기통(52a)(52b)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청구범위 1항에서, 전기한 급기통(54a)(54b)이 관련되는 분배관(40a)(40b)(42a)(42b) 속으로 공기를 직진하여 들어가도록 유도하는 최소한 하나의 공기 유도판(62a)(62b)(92)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청구범위 4항에서, 유도판(62a)(62b)가 급기통(54a)(54b)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되게 착설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청구범위 4항에서, 전기한 유도판(92)이 하나의 급기통(54a)(54b)에 착설된 다수의 만곡진 유도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청구범위 l항에서, 오븐이 다수의 보호관(56a)(56b)을 포함하고 각개 보호관은 전기한 팬(52a)(52b)과 결합되며, 보호관들은 절두 원추형 설치대(58a)(58b)에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19880000196A 1987-01-14 1988-01-13 음식물 제조용 오븐 Expired KR900007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23 1987-01-14
US07/003,223 US4757800A (en) 1987-01-14 1987-01-14 Air flow system for a low profile impingement oven
US003223 1993-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751A KR880008751A (ko) 1988-09-13
KR900007850B1 true KR900007850B1 (ko) 1990-10-22

Family

ID=2170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196A Expired KR900007850B1 (ko) 1987-01-14 1988-01-13 음식물 제조용 오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57800A (ko)
EP (1) EP0274902A3 (ko)
JP (1) JPS63192411A (ko)
KR (1) KR900007850B1 (ko)
AU (1) AU1023988A (ko)
BR (1) BR88001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749A (en) * 1982-02-10 1994-11-08 Southbend Gas fired convection oven
US5403607A (en) * 1987-02-17 1995-04-04 American Harvest, Inc. Method for rapidly cooking food
KR910005959B1 (ko) * 1988-01-19 1991-08-09 니혼 덴네쯔 게이기 가부시끼가이샤 리플로우 납땜 방법 및 그 장치
US4876437A (en) * 1988-07-14 1989-10-24 Nihon Den-Netsu Keiki Co., Ltd. Soldering apparatus
US6041398A (en) * 1992-06-26 2000-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ssively parallel multiple-folded clustered processor mesh array
CA2024203C (en) * 1989-09-22 2002-07-30 Donald P. Smith Balanced air return convection oven
US5025775A (en) * 1990-06-04 1991-06-25 Lincoln Foodservice Products, Inc. Air delivery system and oven control circuitry cooling system for a low profile impingement oven
CA2088419A1 (en) * 1992-02-10 1993-08-11 Gajanan Madhav Prabhu Gas fired convection oven
ES2054576B1 (es) * 1992-05-18 1997-07-16 Asensio Navarro Jose Maquina tostadora automatica.
US5277105A (en) * 1992-05-29 1994-01-11 Middleby Marshall Corporation Low profile stackable conveyor oven
CA2149019C (en) * 1992-11-13 1998-12-29 James Still Apparatus for forced air cooling of produce
US5334406A (en) * 1993-02-26 1994-08-02 The Boc Group,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heating or cooling medium to a food product on a moving substrate
US5466912A (en) * 1993-04-13 1995-11-14 American Harvest, Inc. Convection oven
DE69433803T2 (de) * 1993-10-14 2004-10-07 Fujimak Corp Drehtellerantriebsmechanismus
US5736025A (en) * 1994-04-04 1998-04-07 Genomyx Inc. Control of temperature gradients during gel electrophoresis using turbulent gas flow
US5560125A (en) * 1994-09-13 1996-10-01 Genomyx Corporation Air impingement gel drying
EP0883994B1 (de) * 1997-06-09 2003-09-17 Werner & Pfleiderer Lebensmitteltechnik GmbH Backofen
US6049066A (en) * 1999-03-26 2000-04-11 Wilson; W. Robert Concentric air delivery and return oven
US6526961B1 (en) * 2000-07-10 2003-03-04 Lincoln Foodservice Products, Inc Conveyor oven
US6481433B1 (en) 2000-11-17 2002-11-19 Middleby Marshall Incorporated Conveyor oven having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 modulated gas flow
US6592364B2 (en) 2001-11-30 2003-07-15 David Zapata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airflow in a conveyor oven
FR2837067A1 (fr) * 2002-03-12 2003-09-19 Eurofours Sa Four ventile
US20070006865A1 (en) 2003-02-21 2007-01-11 Wiker John H Self-cleaning oven
JP2004269242A (ja) * 2003-03-12 2004-09-30 Paloma Ind Ltd コンベヤーオーブン
US6880545B2 (en) * 2003-08-28 2005-04-19 Gas Research Institute Dual conveyor jet impingement oven
CN1909792A (zh) * 2003-09-16 2007-02-07 林克恩炊具公司 具有改进的空气回流的传送器式炉及方法
KR101013376B1 (ko) * 2003-12-10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920777B1 (en) * 2004-02-02 2005-07-26 Agilent Technologies, Inc. Intake cross-sheets for gas chromatographic oven
US9585400B2 (en) 2004-03-23 2017-03-07 The Middleby Corporation Conveyor oven apparatus and method
US8087407B2 (en) 2004-03-23 2012-01-03 Middleby Corporation Conveyor oven apparatus and method
US7371999B1 (en) * 2006-10-03 2008-05-13 Alto-Shaam, Inc. Temperature changing apparatus having a rotating air deflector
WO2008112606A2 (en) * 2007-03-10 2008-09-18 Turbochef Technologies, Inc. Compact conveyor oven
US20110048244A1 (en) * 2009-08-28 2011-03-03 Wiker John H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bustion blower in a gas-fueled conveyor oven
US8839714B2 (en) * 2009-08-28 2014-09-23 The Middleb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veyor oven
DE102010024020B4 (de) * 2010-06-16 2019-08-01 Clyde Bergemann Drycon Gmbh Fördermittel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heißem Material
US20140199446A1 (en) * 2013-01-11 2014-07-17 Sta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Inc. Split-Belt Conveyor Toaster
US10088172B2 (en) 2016-07-29 2018-10-02 Alto-Shaam, Inc. Oven using structured air
US10337745B2 (en)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US10890336B2 (en) 2015-06-08 2021-01-12 Alto-Shaam,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multizone oven
US9879865B2 (en) 2015-06-08 2018-01-30 Alto-Shaam, Inc. Cooking oven
US9677774B2 (en) 2015-06-08 2017-06-13 Alto-Shaam, Inc.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US10060647B2 (en) * 2015-10-16 2018-08-28 Primo Wind, Inc. Rooftop exhaust collectors and power genera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7152225A1 (en) * 2016-03-09 2017-09-14 Dmp Enterprises Pty Ltd Conveyor-type oven
US11045047B2 (en) 2017-11-10 2021-06-29 Ron's Enterprises, Inc. Variable capacity oven
WO2019118580A1 (en) * 2017-12-13 2019-06-20 Laitram, L.L.C. Bulk food processor with angled axial flow fan
EP3986139A1 (en) * 2019-06-19 2022-04-27 De Luca Oven Technologies, LLC Dynamic modulation and binarization of heating profile and conveyance system within an oven for heating based on energy availability
USD1015797S1 (en) * 2020-02-27 2024-02-27 Wolfe Electric, Inc. Set of end shrouds for stacked conveyor tunnel oven
CN215305176U (zh) * 2021-06-15 2021-12-28 江门市新会恒隆家居创新用品有限公司 多士炉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56887A (fr) * 1951-06-01 1954-03-03 Vits Elektro G M B H Sécheur du type à tuyères, avec soufflage et guidage d'air à faibles pertes, pour tissus et autres produits en bandes
US3076320A (en) * 1960-01-04 1963-02-05 Conradi Henrik Air cooling system for cold storage rooms
US3149932A (en) * 1961-03-06 1964-09-22 Galbraith & Sulley Ltd Drying kiln
US3884213A (en) * 1973-03-30 1975-05-20 Donald P Smith Cooking apparatus
US3908533A (en) * 1973-04-04 1975-09-30 Electrolux Ab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oking food in sequential oven section of an elongated oven
US4137649A (en) * 1973-04-21 1979-02-06 Vepa Ag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textiles
BR7403180A (pt) * 1973-04-21 1975-12-30 Vepa Ag Dispositivo aperfeicoado particularmente bastidor esticador para o tratamento termico de uma tira continua de material
IT1024113B (it) * 1974-05-18 1978-06-20 Zanussi Grandi Forro a convenzione forzata
DE2544590A1 (de) * 1975-10-04 1977-04-14 Buettner Schilde Haas Ag Duesentrockner mit ober- und unterhalb einer durchlaufenden warenbahn angeordneten duesenkoerpern
DE2544589A1 (de) * 1975-10-04 1977-04-14 Buettner Schilde Haas Ag Hochleistungstrockner und -fixieranlage
US4409453A (en) * 1976-05-19 1983-10-11 Smith Donald P Combined microwave and impingement heating apparatus
DE2705760A1 (de) * 1977-02-11 1978-08-17 Artos Meier Windhorst Kg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breitgefuehrten textilbahnen u.dgl.
FR2487450A1 (fr) * 1980-07-23 1982-01-29 Alsthom Atlantique Chambre de circulation d'un courant de fluide
AU8855482A (en) * 1981-10-02 1983-04-14 Gas & Fuel Corp. of Victoria Oven distributer unit
US4474498A (en) * 1982-01-22 1984-10-02 Smith Donald P Multiple-pass impingement heating and cooling device
US4425719A (en) * 1982-03-15 1984-01-17 W. R. Grace & Co. Compact air bar assembly for contactless web support
EP0089762B1 (en) * 1982-03-19 1986-06-18 Patentsmith II, Inc. Fan-plenum configuration
US4438572A (en) * 1982-06-09 1984-03-27 Lincoln Manufacturing Co., Inc. Heat duct support assembly for a food preparation oven and method
US4462383A (en) * 1982-06-09 1984-07-31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Impingement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4523391A (en) * 1982-09-27 1985-06-18 Donald P. Smith High efficiency impingement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IT8434004U1 (it) * 1984-01-20 1985-07-20 Zanussi Grandi Impianti Spa Forno a convenzione forzata
US4556043A (en) * 1984-09-17 1985-12-03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Air delivery system for an impingement food preparation oven including a conical air def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57800A (en) 1988-07-19
BR8800100A (pt) 1988-08-23
EP0274902A3 (en) 1989-09-06
KR880008751A (ko) 1988-09-13
JPS63192411A (ja) 1988-08-09
AU1023988A (en) 1988-07-21
EP0274902A2 (en) 198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850B1 (ko) 음식물 제조용 오븐
KR900007826B1 (ko) 음식물 제조용 오븐
US6880545B2 (en) Dual conveyor jet impingement oven
US6049066A (en) Concentric air delivery and return oven
US6320165B1 (en) Impingement oven airflow devices and methods
KR100479251B1 (ko) 컨베이어 오븐
JPH0524769B2 (ko)
KR101157926B1 (ko) 대류 오븐 및 관련 공기 흐름 시스템
US20110083657A1 (en) Oven air flow arrangement
JPH033126B2 (ko)
EP1487281B1 (en) Conveyorized oven with moisture laden air impingement and method
CN101589283A (zh) 具有高质量流孔口的冲击空气烤箱
CN101129249A (zh) 加热烹调装置
EP2433057A1 (en) Radial jet air impingement nozzle, oven and method
EP0089762B1 (en) Fan-plenum configuration
EP0664956A2 (en) Conveyo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WO2013008774A1 (ja) 加熱調理器
US8402962B2 (en) Apparatus for supply mixed gas for gas burners of radiant heating type
US2655143A (en) Fuel burning air heater with upright tubes
EP0143811B1 (en) Impingement thermal treatment apparatus with collector plate
CN215050568U (zh) 一种旋转加热系统
EP2126475B1 (en) A cooking appliance
CN114010069B (zh) 蒸汽加热装置
KR100628160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혼합가스 공급장치
CN213306033U (zh) 一种用于站房内的双面立式鼓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1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0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9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29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