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4051Y1 - 보일라용 점화 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라용 점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051Y1
KR900004051Y1 KR2019870014664U KR870014664U KR900004051Y1 KR 900004051 Y1 KR900004051 Y1 KR 900004051Y1 KR 2019870014664 U KR2019870014664 U KR 2019870014664U KR 870014664 U KR870014664 U KR 870014664U KR 900004051 Y1 KR900004051 Y1 KR 900004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
capacitor
ignition device
boiler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173U (ko
Inventor
이명준
Original Assignee
이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준 filed Critical 이명준
Priority to KR2019870014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051Y1/ko
Publication of KR890005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5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4Using semiconduct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라용 점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 점화 장치의 회로도.
본 고안은 벙커 C유 등을 사용하는 보일라용 점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 발생 트랜스의 코어를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하여 전력 손실을 극소화 할 수 있는 보일라용 점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점화 장치의 회로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용전원(AC)을 저항(R11-R13), 콘덴서(C11-C12), 트리거 다이오드(31) 및 트라이악(32)으로 구성된 발진 회로에 고압 트랜스(33)의 일차측 권선을 통하여 공급하고 콘덴서(C11-C12)의 충, 방전으로 트리거 다이오드(31)에서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켜 트라이악(32)의 게이트축에 인가시키므로서 고압 트랜스(33)의 2차축 권선 양단부(34)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하였으나 고압 트랜스(33)를 형성하는 코어를 EI형(규소 강판)을 이용하였으므로 그 체적이 커지고 전력소비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을뿐 아니라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또한 불꽃 방전을 고압 트랜스(33)의 권선비에만 의존 하였으므로 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되어 벙커 C유 등을 사용하는 보일라의 점화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특히 벙커 C유 등을 최초에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분무상태의 낮은 온도의 벙커 C유는 점화가 어려워 고압트랜스(33)의 2차측 권선 양단부(34)에 연결되는 불꽃 방진부에 높은 전력이 필요하게 되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의 점화 장치로서는 대체적으로 l0mA이하의 출력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점화 장치의 가동 시간을 길게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해 전력 소비가 가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EI형 철심을 사용하는 고압트랜스(33)의 효율이 낮은 점임을 감안하여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하는 고압 트랜스로 대체하고 페라이트 코어 고압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30KHZ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간단한 회로 구성에 의하여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며 동시에 그 체적을 작게하고 출력 전류를 30mA이상으로 하여 충분한 출력 전류에 의한 강력한 불꽃을 방전시키도록 할 수가 있고, 또한 점화 구동시간을 짧게하여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는 보일라용 점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AC)양단에 브릿지 정류기(2)를 연결하고, 브릿지 정류기(2)의 정(+)의 출력단을 실리콘 정류소자(이하 SCR이라 약칭함)(3)의 애노우드에 동조코일(L1,L2) 및 동조 콘덴서(C3)를 통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에 저항(R1)을 통하여 연결하되 트리거 다이오드(5)를 통하여는 SCR(3)의 게이트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 및 SCR(3)의 케소우드를 페라이트 코어 고압 트랜스(4)의 1차측 권선(4a)의 중간 탭(CT)에 공접하고, 1차측 권선(4a)의 일단은 저항(R3), 제너다이오드(ZD1)와 콘덴서(C1)를 통하여 SCR(3)의 게이트에 연결함과 동시에 1차측 권선(4a)의 타단은 상기 브릿지 정류기(2)의 부(-)의 출력단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에는 직렬 접속된 콘덴서(C2)와 저항(R5)을 연결하여된 구성으로서,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Q1,Q2: 역류 저지용 다이오드, R1,R2: 저항, R4,R6: 분할 저항, T1T2: 방전전극이다.
이러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우선 상용 교류 전원(AC)은 브릿지 정류기(2)를 통해 정류되어 맥류로서 SCR(3)의 애노우드측에 가해짐과 동시에 브릿지 정류기(2)의 출력(+)에서의 맥류는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에 가해지며, 또한 콘덴서(C2)에도 인가된다.
따라서 맥류의 정점부(Peak)로 파형이 올라갈때에 콘덴서(C2)에는 충전이 게시된다.
한편, 맥류 파형은 트리거 다이오드(5)를 통하여 트리거 펄스로서 SCR(3)의 게이트에도 인가되어 SCR(3)이 도통되어 페라이트 코어 고압 트랜스(4)의 1차측 권선(4a)의 중간 탭(CT)을 통하여 브릿지 정류기(2)의 부(-)의 출력단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1차측 권선(4a)의 상측부(4a1)에도 전압이 유기되어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이 분할 저항(R4-R6)를 통하여 인가된다.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가 도통됨과 동시에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방전하게 된다.
또한, 최초의 상태에서 트리거 다이오드(5)의 트리거 펄스는 콘덴서(C1)를 충전하였는데 1차측 권선(4a)의 상측부(4a1)에서 유기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D1)의 제너 설정 전압보다 매우 크므로 콘덴서(C1)의 충전 전류가 반대로 흐르게 되어 결국 SCR(3)의 게이트에 역(-)극성 전압을 인가하므로 SCR(3)은 오프된다.
다시 SCR(3)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맥류 정(+)극성 전압이 콘덴서(C2)를 충전함과 동시에 트리거 다이오드(5)에서는 트리거 펄스가 다시 발생되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작동이 연속되므로 페라이트 코어 고압트랜스(4)의 2차측 권선(4b)에는 고압이 유기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콘덴서(C1,C2)의 용량값은 매우 작은 것이고, 또한 제너 다이노드(ZD1,ZD2)의 제너 설정 전압을 대략 교류 입력의 1/20정도가 되도록 하면 이러한 SCR(3)의 스위칭 주파수가 대략 30KHZ이상이 된다.
여기에서 코일(L1,L2) 및 콘덴서(C3)의 용량값은 SCR(3)의 스위칭 주파수에 동조되는 것으로 하여 SCR의 스위칭 효율을 높힌다.
그러므로 고압 트랜스(4)의 2차측 권선(4b)의 전류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주파수가 높아져서 페라이트 코어로서 손실 전력을 극소화하여 2차측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을 고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전압의 전력을 높힐수 있음과 동시에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여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변압기의 효율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출력전류에 의한 강력한 불꽃을 방전시킬 수가 있어 점화 구동시간을 짧게 하여 전력 소비를 낮출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용 교류 전원(AC)양단에 브릿지 정류기(2)를 연결한 보일라용 점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정류기(2)의 정(+)의 출력단을 SCR(3)의 애노우드에 직렬 접속의 동조 코일(L1,L2) 및 동조 코일(L1,L2)접속점에 연결된 동조 콘덴서(C3)를 통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 및 트리거 다이오드(5)의 일단에 연결하되 트리거 다이오드(5)를 통하여는 SCR(3)의 게이트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 및 SCR(3)의 캐소우드를 페라이트 코어 고압 트랜스(4)의 1차측 1권선(4a)의 중간탭(CT)에 연결하고, 1차측 권선(4a)의 일단은 저항(R3), 제너 다이오드(ZD1)와 콘덴서(C1)를 통하여 SCR(3)의 게이트에 연결함과 동시에 1차측 권선(4a)의 타단은 상기 브릿지 정류기(2)의 부(-)의 출력단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에는 직렬 접속된 콘덴서(C2)와 저항(R5)을 연결하여된 보일라용 점화 장치.
KR2019870014664U 1987-08-31 1987-08-31 보일라용 점화 장치 Expired KR900004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664U KR900004051Y1 (ko) 1987-08-31 1987-08-31 보일라용 점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664U KR900004051Y1 (ko) 1987-08-31 1987-08-31 보일라용 점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73U KR890005173U (ko) 1989-04-18
KR900004051Y1 true KR900004051Y1 (ko) 1990-05-08

Family

ID=1926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664U Expired KR900004051Y1 (ko) 1987-08-31 1987-08-31 보일라용 점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0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73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0009A (en) Electronic ballast
JPS61198595A (ja) ガス放電管内ア−ク放電防止装置
US4709189A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for fluorescent lamp
US4183080A (en) DC to DC converter
US4257088A (en) High-efficiency single-ended inverter circuit
US4429359A (en) Inverter circuit with symmetry control
US4247880A (en) Ignition device for oil burners
US4358813A (en) Ignition apparatus for a burner
KR900004051Y1 (ko) 보일라용 점화 장치
US4258296A (en) Inductive-capacitive charge-discharge ignition system
US4961029A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4016475A (en) DC to DC converter
JPS6021659Y2 (ja) 複数火花点火装置
US5084800A (en) Ignition transformer secondary winding by-pass apparatus
US3961617A (en) Igni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058035A1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JPS6139860A (ja) 1石式インバ−タ
JPS593246Y2 (ja) 重ね放電式高エネルギ点火装置
JPS623559B2 (ko)
JPS6033753Y2 (ja) コンデンサ放電式イグニッション装置
SU8518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гани газо-РАзР дНыХ лАМп
JPS60197166A (ja)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JPH045894Y2 (ko)
KR900002174Y1 (ko) 소형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회로
JPS6021658Y2 (ja) 複数火花点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8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8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112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4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4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42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0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