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941B1 -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41B1
KR900003941B1 KR1019860700754A KR860700754A KR900003941B1 KR 900003941 B1 KR900003941 B1 KR 900003941B1 KR 1019860700754 A KR1019860700754 A KR 1019860700754A KR 860700754 A KR860700754 A KR 860700754A KR 900003941 B1 KR900003941 B1 KR 90000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articles
compressed air
temperature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401A (ko
Inventor
요시노리 마스다
마사하루 모또이
Original Assignee
프로인드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후세지마 야스또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인드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후세지마 야스또요 filed Critical 프로인드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70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4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6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suspending the powder material in a gas, e.g. in fluidised beds or as a falling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03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followed by coating of the granu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종래 유동 조립-코팅 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동 조립-코팅 2 : 절두원추형 부분
3, 12 : 여과기 4 : 분무 노즐
5 : 공기 공급관 6 : 배출관
8 : 조립-코팅실 9, 16 : 도관
13 : 가열기 15 : 압축 공기 노즐
17 : 공기 습도 제어기 18 : 가열기(냉각기)
19, 20 : 온도 측정 기소 21 : 압축 공기 가열기(냉각기)
22 : 탈습기(냉각기) 23 : 압축기
24, 25 : 신호 발생기 26 : 온도 감지 제어기
27 : 조립-코팅 제어기 28 : 도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범위]
본 발명은 피막된 과립을 만드는 유동 조립(造粒)-코팅 장치와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그러한 과립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품질 및 동질성이 뛰어난 피막된 과립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립 특히, 구형 과립의 코팅율을 탁월하게 개량시키고 당의(糖衣), 착색, 장용성 제피, 신속 용해성 코팅, 완효성 코팅 및 지속성 코팅과 같은 여러가지 형식의 코팅으로 과립을 생산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에 적용시킬 수 있다.
[배경기술]
약제 함유 입자 또는 식량 원료로써의 입자들은 예를들어 유동 조립방법에 의하여 과립으로 된다. 상기 과립들은 당의, 착색등과 같이 필요한 성질의 코팅을 가지기 위하여 유동 상태에서 처리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산된 피막 과립들은 약제 또는 식량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약용항력 설계는 수수설탕, 유당, 옥수수 녹말등과 같은 활성 과립의 입자와 같은 코아들이 완효성 항력 또는 지속성 항력에 대한 현재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특별한 약용 혼합물을 가지는 코팅 혼합물로 도포된다는 점에서 주의를 끌고 있다. 그러한 기술은 예를들어 일본국 특허공보 제 33677/1970 호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에는 여러가지 유동 조립-코팅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의 전형적인 실예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체-기체 유동화층을 합체하고 있다. 또한 조립 및 코팅뿐만 아니라 혼합 및 건조를 수행하는 연속 처리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특히, 제 7 도에 도시한 장치는 아래로 수렵하는 절두원추형 부분(30a), 포대거르개(35) 및 분무 노즐 또는 분무기(37)를 구비하는 처리용기(30)를 가진다. 공기공급관(31)이 처리용기(10)의 바닥에 연결되고, 반면에 공기 배출관(32)이 처리용기(30)의 상부측에 연결된다. 기류 안정화 평판(33)이 처리용기(30)와 공기공급관(31) 사이에 삽입되어서 처리용기(30)내에서 공기공급관(31)과 조립-코팅실(34)을 분리시킨다. 처리용기(30)의 상부에 제공된 포대거르개(35)는 조립-코팅실(34)과, 공기배출관(32)이 연결된 챔버(36)를 분리한다. 조립-코팅실내에 배치된 분무 노즐(37)은 실제로 처리용기(30)의 중앙에서 포대거르개(35)의 높이 아래에 위치하여 아래로 향한다. 분무 노즐(37)은 조립-코팅실(34)로 결합제 또는 코팅액을 분무한다. 다른 한편으로, 공기가 일점쇄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흐르기 때문에 재료입자는 실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코팅 실(34)내에서 날려서 유동화 하게 된다. 결합제 같은 용액이 분무 노즐(37)로부터 분무될때 입자들은 함께 결합되어서 과립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품으로서의 과립이 형성되는 소정시간 동안 계속된다. 다음에, 용기 배출측에 있는 댐퍼(38)가 폐쇄되므로 과립이 기류 안정화 평판(33)으로 낙하하여 상기 평판에 퇴적된다. 제 7 도에는 가열기(39) 및 여과기(40)가 제각기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코팅 장치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코팅 혼합물이 비교적 신속하게 증발하는 솔벤트에 용해되어서 조립-코팅실(34)로 분무되는 용액을 형성하게 되어 과립 또는 입자를 도포시켜서 조립-코팅실(34)내에서 유동층을 형성한다.
종래 장치에서, 분무 노즐(37)은 처리용기내에 배치되어서 용액을 아래로 분무시키는 방향을 취하게 된다. 즉, 분무 노즐(37)은 결합제 또는 코팅액을 아래로 분무시키기 위하여 조립-코팅실(34)내에서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어떤 경우에, 상기 장치는 수직 아래로 분무방향을 취하는 중앙의 분무 노즐 이외에, 아래로 경사지게 분무방향을 취하기 위하여 처리용기를 한정하는 벽의 상부에 고정되는 분무 노즐을 이용한다.
분무 방향을 위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처리용기의 바닥이나 공기 공급관의 공급구 아래에 분무 노즐이 설치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장치는 "케미칼 팩토리즈"(1980) 제24호, 제 5 번, 51면에 기술된 명칭이 "유동층 조립-코팅장치"인 논문과, 심사되지 않은 일본국 특허공개 제 73042/1984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일본국 특허공보 제 44268/1979호는 다공판에 의해 구성된 바닥판과 원추형 측벽을 가지는 역전된 원추형 본체 부분으로 구성된 깔대기형 구조와 가스 분사 파이프를 구성하는 다리 부분을 가지는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피막제를 유동층에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분사 파이프의 출구부근의 영역까지 상향으로 돌출하는 피막제 공급 파이프를 가진다.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 14914/1976호에 공지된 기술과 연관되어 있는 분무 장치는 수평축에 관하여 0도내지 60도의 각도(θ1)로 요동할 수 있고 수직축에 관하여 0도 내지 150도의 각도(θ2)로 요동할 수 있도록 용기벽에서 피버트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분무 장치는 용액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분무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것이다.
[기술적 과제]
용기의 상부 중간부분 또는 용기를 한정하는 벽의 상부에 부착된 노즐(들)로부터 용액이 수직 하향으로 또는 경사 하향으로 분무되는 장치에서 마주치는 문제점은 분무 노즐에서 유동 입자 또는 분무 용액이 침전되기 때문에 분무형태가 반드시 변하게 되는데 있다. 또한, 분무용액의 방울이 유동 공기로 인하여 건조하게 되고, 입자에 부착됨으로써 과립을 효율적으로 도포하기 전에 분산되는데 있다. 덧붙여, 분무 용액의 방울과 입자간의 접촉 가능성이 대단히 작기 때문에 다량의 분무용액이 사용되지 못하고 분산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아래로 향하는 분무 노즐이 입자의 유동층에 잠길때는 피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문제점들은 과립을 코팅하는 경우 특히, 도포해야할 과립이 구형인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그러한 경우에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구형 과립은 입자의 경우와는 달리 처리용기내에서 충분히 유동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과립은 용기내의 중간 높이 아래의 영역에서 주로 집속되고, 그러한 과립 집속은 아래로 수렴한 절두원추형 몸체의 주위부분에서 특히 증가한다. 유동층은 유동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상승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분산되어야할 코팅용액의 분무 형태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코팅이 불안정하게 만들어진다. 처리용기내에서 높은 위치에 배치된 분무 노즐을 가지는 종래 장치에서 마주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은 노즐과 구형 과립간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분무액이 과립의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건조해져서 분말로 됨으로써 코팅에 기여하지 않고 분산된다는데 있다. 각각의 구형 과립은 미세한 분말에 비하여 대단히 큰 표면적을 가진다. 그러므로 과립이 충분히 유동하지 않으며, 과립들은 단지 일부만 도포되거나 코팅작업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처리용기의 바닥이나 공기 공급구 아래에 설치된 상향 분무 노즐을 가지는 장치와, 일본국 특허공보 제 44268/1979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피막제 공급 파이프가 피막제를 분무하기 위해 유동층 부근의 영역까지 돌출하는 장치에서 마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장치들에서, 유동 공기의 온도는 코팅의 필요성 때문에 대단히 높으며, 따라서 피막제의 건조 및 분산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분무 용액의 건조 및 분산은 분무 공기를 송풍시킴으로써 촉진된다. 이러한 일은 분무 공기의 유량이 제어되는 범위를 바람직하지 않게 제한하며, 입자의 집합 또는 집단화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처리용기의 바닥에 설치된 분무 노즐은 바닥에 입자를 퇴적시키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분무 형태를 변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코팅 작업을 수행 할 수 없게 된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제 14914/1976호에 기재된 장치는 분무각을 주어진 범위내에서 조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된 용기의 원통형벽의 수직부분에 고정된 분무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아래로 경사지게 분무 방향을 취하는 분무 노즐을 합체한 장치에서 마주치게 되는 문제점을 겪게 된다. 덧붙여, 상기 장치는 아래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입자의 균일성이 낮은 유동층이 형성되고 그 결과 불안정한 코팅이 만들어지고 집합 및 집단화의 경향이 더 커지게 된다.
일본 특허공개 제 73041/1984호에 도시된 기술은 일본 특허공보 제 44268/1979호와 동일한 문제점을 경험하는데, 왜냐하면 유동층에 분무 용액을 직접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기술은 일본국 특허공보 제 44268/1979 호와 관련하여 설명한 문제점과 마주치게 되는데 즉, 분무 용액의 건조 및 분산, 분무공기로 인한 날림 및 집합 또는 집단화를 겪는다.
상술한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듯이, 공지된 기술은 유동 공기로 인한 분무 결합제 또는 코팅 용액의 분산에 관련된 문제점을 경험하고, 코팅 작업의 안정성이 결핍되어 있다. 특히, 과립이 구형일때 품질 및 동질성이 뛰어난 피막과립을 생산할 수 없지만, 코팅 시간은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공지된 몇가지 기술은 입자의 집합 때문에 생산량이 낮으며, 품질이 저하되어서 경제적인 면에서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공지 기술로서는 높은 품질과 동일성을 엄격하게 요구하는 원효성 또는 지속성 코팅으로 약제를 생산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원심성 유동조립-코팅 장치로써 공지된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통풍 회전판이 처리용기내에 배치된다. 상기 장치는 아래로 수렴하는 절두 원추형 부분과 용액이 공급되는 원통형 수직부분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회전판의 작동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장치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 14914/1976호에 공지된 장치에서 마주치는 것과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는데, 왜냐하면 입자가 균일하게 유동하지 않는 수직부분에 분무 노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유동 공기가 슬릿을 통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분무 용액의 건조, 코팅율의 감소와 같이 입자의 집합과 같은 문제점이 반드시 일어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은 일본 특허공개 제 171429/1982 호에 공지된 기술과, 약학공업 41(10), 973-976(1976)에 기재된 기술에서도 마주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상기 문제점들은 입자의 유동화 상태, 코팅용액 또는 결합제의 성질 및 코팅 용액 또는 결합제의 공급 상태와 같은 여러가지 요소의 합성 효과에 원인이 있으며, 특히 구형과립의 코팅에서 심각하다. 불행하게도 상기 문제점들은 상기 요소들을 단순히 개량하거나 제거함으로써 극복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설명]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 과립일지라도 코팅작업의 안정성을 크게 보장함으로써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게 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특히, 제 1 도에 관하여 언급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유동 과립 특히, 구형 과립의 접촉영역의 높이 아래에서 용기의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2)내에 설치되는 분무 노즐(4)을 이용한다.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이란 말은 제 1 도에서 부호 A 로 도시된 영역을 가리키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반드시 분무 노즐이 절두원추형 부분의 벽에 설치되어야 한다. 즉, 분무 방향이 과립 또는 입자가 크게 집중되어서 균일하게 유동하는 영역으로 향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15)은 특히 유동 구형 과립의 접촉 영역 아래에서 절두원추형 부분(영역 A)에 배치되고, 덧붙여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유동 과립의 접촉 영역 아래에 있는 처리용기의 절두원추형 부분(2)에 분무 노즐(4)이 배치된다.
제 3 도 및 4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로서, 분무 노즐(4)은 제 1 도에 도시한 구조와 같이 특히 유동 구형 과립의 접촉 영역 아래에서 절두원추형 부분(2)에 배치되고, 압축 공기용 노즐(15)은 제 2 도에 도시한 구조와 같이 특히 유동 구형 과립의 접촉영역 아래에서 절두원추형 부분(2)에 배치된다. 더구나, 온도 측정 기소가, (1) 유동 조립-코팅 장치와 상류측에서 분무 노즐(4)에 연결된 압축공기도관과, (2) 과립의 유동층과, (3) 유동 조립-코팅 장치의 상류측에 압축공기 노즐에 연결된 도관내에 배치된다.
[작동]
종래 유동 조립-코팅 장치는 과립 집중이 비교적 낮은 유동층 부분에 코팅 용액 또는 결합제가 직접 분무되는 통상적인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통상적인 형태는 종래 유동 조립-코팅 장치에서 특히 구형 과립의 저코팅 효율에 관한 주요한 원인중의 하나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술한 종류의 유동 조립-코팅 장치에서, 이들 장치의 유동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입자 또는 과립의 집중의 기류속도가 특히 높은 유동 공기의 출구 부근의 영역과, 유동 입자 또는 과립의 접촉 영역 부근의 영역에서 비교적 낮다. 대조적으로, 입자 또는 과립의 고밀도 유동층은 유동 공기의 속도가 낮아서 입자 또는 과립을 낙하시키게 되는 영역에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진 원통형 처리용기를 구비한 유동 조립-코팅 장치에서, 과립 또는 입자의 균일한 흐름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두원추형 부분의 주위벽 부근의 영역에서 얻어진다. 이 영역에서 유동 공기의 속도는 비교적 낮고, 입자 집합체는 비교적 높은 밀도로 모인다.
통상적인 이해 방식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유동 입자의 밀도가 최대로 되는 영역으로 코팅용액 또는 결합제를 직접 분무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한 구조에서는 입자 특히, 구형 입자의 코팅 효율이 크게 개량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여, 코팅액 또는 결합제는 과립 특히, 구형 과립이 고밀도의 동질성으로서 유동화되는 영역으로 직접 분사되고, 따라서 분무 용액의 방울과 입자 또는 과립간의 접촉 가능성이 크게 증가되고, 또한 유동 공기로 인한 분무 용액의 건조 및 분산을 억누르고, 이에 따라 어떠한 불균일한 코팅을 겪지 않고 다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입상 또는 코팅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분무 노즐이 처리용기의 절두원추형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분무 용기는 처리용기를 통하여 재순환되는 입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세척되어서 분무 형태의 어떠한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조립-코팅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하게 된다. 분무 노즐이 처리용기의 바닥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분무 노즐의 오염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공기 압력, 공기 유량 및 온도와 같은 성분들의 영향은 종래 장치에 비해 억제되고, 따라서 상기 성분들은 넓은 범위에 걸쳐 제어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제어 작동이 용이하게 된다. 덧붙여, 공기 압력 및 공기유량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입자의 불량한 집합 또는 집단화가 크게 억제된다. 분무 노즐을 통하여 공급된 분무 공기는 입자의 집합체가 작은 치수로 적절하게 파쇄되므로 입자의 치수를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낸다. 이러한 효과는 치수에 따라 입자를 분류시키지 않고 입상직후에 코팅을 수행하면 가능하다. 게다가, 압축 공기 노즐에서부터 분무 공기의 유량 및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입자의 집합 및 집단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구성부품과 다른 부재 및 이의 배치 구조는 단지 실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아래 설명은 특히 구형 과립을 도포하는 코팅방법을 언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조립방법에도 적용시킬 수 있음에 주목하기 바란다.
제 1 도에 대해 언급하면, 처리용기(1)에는 절두 원추형 부분(2), 여과기(3) 및 분무 노즐(4)이 제공된다. 공기 공급관(5)은 처리용기(1)의 바닥에 연결되고, 반면에 배출관(6)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연결된다. 다공판으로 구성된 기류 안정화 평판(7)은 처리용기(1)와 공기 공급관(5) 사이에 배치된다. 기류 안정화 평판(7)은 공기 공급관(5)과 조립-코팅실(8)을 서로 분리시킨다. 여과기(3)는 공기 배출관(6)이 연결되어 있는 챔버(10)로부터 조립-코팅실(8)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처리용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분무 노즐(4)은 조립-코팅실(8)에서 유동 구형 과립의 접촉영역의 높이 아래에 배치된다. 특히, 분무 노즐(4)은 절두 원추형 부분(2)의 영역내에 배치된다. 분무 공기 및 용액 즉, 코팅용액은 도관(9)의 영역내에 배치된다. 분무 공기 및 용액 즉, 코팅용액은 도관(9)과 일정유량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분무 노즐(4)로 공급되어서 조립-코팅실(8)내로 분무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분무 노즐(4)은 상향으로 즉, 수평면위로 향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무 노즐(4)의 방향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하향 방향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분무 노즐(4)을 수직 및 수평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분무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배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조립-코팅 장치의 코팅 작동에서, 구형 과립과 같은 원료는 충전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처리용기(1)내에 충전된 다음에 충전구는 폐쇄된다.
피막 과립이 완효성 또는 지속성 형식의 코아를 가지고자 할때는, 구형이거나 또는 불규칙한 형상에 관계없이 과립은 당의, 유당, 옥수수 녹말 및 결정성 셀룰로즈와 같은 활성 매개체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서 20 내지 100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가진다. 상기 매개체와 혼합될 수 있는 성분을 카아복실 셀룰로즈 칼슘, 카아복실 셀룰로즈 소듐, 디-마니톨(D-mannitol) 및 다른 녹말과 같이, 매개체의 부패속도 또는 용해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다.
다음에 공기를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흐르게 하기 위해 통풍팬(도시되지 않음)을 시동시키고, 이에 의해 조립-코팅실(8)내에서 구형 과립이 날려서 유동하게 된다. 과립이 유동하는 동안에 코팅 용액은 분무 노즐(4)에서 분무된다. 코팅 용액은 비교적 신속하게 증발하는 솔벤트에 용해된 코팅 혼합물로 구성된다. 코팅 용액은 구형 과립이 고밀도로서 균일하게 유동하는 영역으로 향한다.
생산해야 할 피막 과립이 완효성 또는 지속성 형식에 속하면, 코팅 용액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로리돈(PVP), 폴리비닐 알코올(PVA),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HPC),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즈(HPMC), 메틸 셀룰로즈(MC), 에틸 셀룰로즈(HC), 카아복실 셀룰로즈(CMEC),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알파전분, 텍스트린, 폴리소베이트 30, 소비탄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당의 지방산 에스테르, 스티아르산 폴리옥실 40등과 같은 성분과 함께 솔벤트에 완효성 또는 지속성을 필요로 하는 약물 즉, 심장혈관계 또는 항생물질을 위한 디피리다몰과 같은 약물을 용해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솔벤트로써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 솔벤트, 물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구형 과립이 도포되도록 소정시간동안 계속된다. 다음에, 배출 댐퍼(1l)가 닫혀서 피막 구형 과립이 기류 안정화 평판(7)에 낙하하여 퇴적된다.
배출구(도시되지 않음)는 조립-코팅실(8)을 규정하는 측벽의 하부에 제공된다. 상기 배출구는 정지 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보통 폐쇄되어 있다.
조립-코팅실(8)에 멀리 떨어진 공기 공급관(5)의 단부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고, 공기 세척용 여과기(12)와 공기 가열용 가열기가 공기 공급관(5)내에 배치된다. 조립-코팅실(8)에서 멀리 떨어진 배출관(6)의 단부는 통풍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상술한 배출 댐퍼(11)는 배출관(6)과 챔퍼(10) 사이에 배치된다. 통풍팬의 출구는 집진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개의 분무 노즐이 처리용기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의 소정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분무 노즐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2 내지 3개의 분무 노즐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분무 노즐을 사용하면 분무 형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장치의 작동중에 소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는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지는 원통형 처리용기(1)내로 공기공급관(5)을 통하여 공급되고, 반면에 여과기(3)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관(6)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처리용기(1)내의 입자 또는 과립이 유동화 하게 된다. 그동안에,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이 처리용기(1)의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제 1 도의 A 영역)내의 소정영역에 공급되고, 상기 원추형 부분에서 균일한 유동 입자 또는 과립이 고밀도로 존재하며, 이에 의해 입자가 과립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과립이 도포된다.
전체 장치를 계통적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 시스템이 유동 공기의 유량 및 온도와 유동 시간과 같은 유동 상태,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의 공급율 및 압력과 공급시간 길이와 같은 조립-코팅 상태와, 혼합 및 건조상태와 같은 여러가지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 2 도에 단면도로 도시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도면에서 동일한 참고부호는 제 1 도에서 사용한 바와같이 동일한 부품 또는 부재를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그러한 부품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 2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는 유동과립 또는 입자의 접촉영역 아래 즉, 절두원추형 부분(2)(제 1 도에 도시한 영역 A)의 영역내의 소정부분에 배치되는 분무 노즐(4)이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분무 노즐이 수평면 위로 향하여 있지만, 그러한 분무 노즐의 방향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압축공기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유동 입자 또는 과립의 접촉영역의 높이 아래에 위치한 처리용기(1)의 벽 부분에 압축 공기 노즐(15)이 설치되도록 배치할 수 있고, 또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압축 공기 노즐(15)이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압축 공기 노즐(15)의 갯수는 1 내지 8개의 범위에 있는 것이 양호하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압축 공기 노즐(15)의 갯수는 분무 노즐(4)의 갯수와 일치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처리용기에서 압축 공기의 방향은 단일 방향으로 할 수 있지만, 압축 공기는 여러 위치에서 절두원추형 부분(2)의 중앙을 향하여 송풍되는 것이 양호한데, 왜냐하면 상기 배치는 입자 또는 과립의 높은 유동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압축공기의 속도는 입자 또는 과립의 집합이 발생함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범위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대체로 압축공기의 속도는 50과 1000m/sec 사이의 범위에 있고, 100과 600m/sec 사이의 범위가 양호하다.
압축 공기의 유속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입자의 과도한 분쇄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입자의 집합을 회피하게 되고, 이에 의해 코팅 작동의 고효율이 보장된다. 덧붙여, 압축 공기로 인하여 생겨난 분쇄 효과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립의 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입상화 후에 즉시 코팅 작동을 수행하게 하고, 치수에 따른 어떠한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압축 공기 노즐은 도관(16)을 통하여 가열기, 압축공기 발생기 및 제어기(이들은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압축공기의 유속,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상태와 압축공기의 공급시간은 컴퓨터와 같은 제어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 실시예의 작동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소정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공기 공급관(5)을 통하여 절두원추형 부분(2)을 가지는 원통형 처리용기(1)내로 공급되고, 그리고 공기는 여과기(3)를 통해 흡입되어서 배출관(6)을 통해 배출되고, 이에 의해 처리용기(1)의 입자 또는 과립이 유동하게 된다. 그 동안에 압축공기는 절두원추형 부분(2)의 영역내에 있는 소정 부분으로 공급된다. 동시에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은균일한 유동 입자 또는 과립이 고밀도로 존재하는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제 1 도의 영역 A)의 영역으로 분무되고, 따라서 입자가 과립으로 형성되거나 과립이 코팅 혼합물로 도포된다. 압축공기의 유속과 같은 상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지만, 댐퍼와 같은 이동성 부품들은 장치의 전체 부품을 계통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전기 모터나 공기 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참고 부호들은 동일한 부품 또는 부재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그러한 부품이나 부재들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유동입자 또는 과립의 접촉영역의 높이 아래에 배치된 분무 노즐(4)을 이용한다. 특히, 분무 노즐(4)은 절두 원추형 부분의 영역내에 배치된다. 분무 노즐(4)에는 도관(9)을 경유하여 정유량 점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이 공급된다. 분무노즐(4)에 연결된 다른 도관(28)은 압축공기가 열기(또는 냉각기)(21), 압축 공기 탈습기(또는 냉각기)(22)및 압축기(23)에 연결된다. 공기 압축기(23)에 의해 압축된 공기내에 함유된 어떠한 수분은 공기가 탈습기를 통해 흐를때 제거되는데, 탈습기에서 압축공기는 -10℃의 온도까지 냉각되어 탈습될 것이다. 그후에 탈습된 공기는 가열기(또는 냉각기)(21)에 의해 가열(또는 냉각)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형식에 속할 수 있는 온도 감지 기소(19)는 처리용기(1)의 상류측에 있는 도관(28)의 부분에 배치되거나 또는 처리용기(1)에 근접하나 처리용기(1)의 열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동시에, 전기 형식에 속하는 온도감지 기소(20)는 조립-코팅실(8) 내부에 있는 입자의 유동층에 배치되고, 양호하게는 유동 입자가 고밀도로 존재하는 유동층 부분에 배치된다.
온도 감지 기소(19)는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만드는 신호 발생기(24)에 연결된다. 신호 발생기(24)로 인하여 발생된 신호는 감지 제어기(26)에 의해 판독되고, 감지 제어기는 전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동 조립-코팅 제어기(27)에 신호를 송신한다. 감지 제어기(27)의 신호에 반응하여 유동 조립-코팅 제어기(27)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소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공기용 가열기(또는 냉각기)를 제어한다. 다른 온도 감지 기소(26)는 다른 신호 발생기(25)에 연결되고 이 신호 발생기의 출력신호는 상술한 감지 제어기(26)에 의해 판독된다. 감지 제어기(26)에서의 출력신호는 유동조립-코팅 제어기(27)로 송신된다. 2개의 온도 감지 기소(19,20)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지만, 하나의 온도 감지 기소로서도 인지 가능한 온도 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도관(28)에 배치된 온도 감지 기소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압축공기 가열기(21)와 유동 공기를 위한 가열기(18)를 제어 하는데 사용되어서 각각의 공기 온도를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기(18)는 밸브 수단으로써 가열기(18)로 공급되는 증기 공급율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된다. 그러나, 이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전기 가열기와 같은 다른 형식의 열원으로부터 가열기(18)에 사용된 열을 끌어낼 수 있다.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은 압축공기의 보조를 받아 분무 노즐(4)로부터 최적 상태하에서 분무된다. 동시에 유동 공기는 적절하게 제어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유동 공기 및 압축 공기는 가열기(18,21)에 의해 가열된다. 그러나, 더운 하절기에 작동시키는 경우나 사용해야 할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의 성질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공기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가열기(18,21)는 냉각기로써 작동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지만, 가열기와 분리시켜 냉각기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 제어 가능한 범위는 과립원료의 성질과 코팅용액 또는 결합제의 성질에 의존하지만 0과 100℃사이에서 양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제 4 도는 제 3 도와 관련시켜 설명한 온도 제어 시스템이 제 2 도의 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개량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온도 감지 기소의 설치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온도 제어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압축공기 노즐에 연결된 도관(16) 내에 온도 감지 기소(19)가 배치 된다.
본 발명의 개량된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분무 노즐은 처리용기내의 공간에서 상부 중앙부분이나 또는 종래 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벽의 상부에 설치 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처리용기의 바닥부분이나 기류 안정화 평판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요약하면, 이러한 유동 조립-코팅장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관 및 배출관과,아래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지는 원통형 처리용기를 가지는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분무 공기 노즐이 유동입자의 접촉 영역 아래에서 절두 원추형 부분에 배치되도록 개량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특히 제 5 도 및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동일한 참고부호는 제 2 도, 4 도 및 7 도에 도시한 동일한 부품 및 부재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압축 공기 노즐(15)은 유동 입자 또는 구형 과립의 접촉 영역 아래에 절두원추형 부분(영역A)의 영역에 배치된다. 절대적인 것은 아니나, 압축 공기 노즐은 이 실시예에서 수평면위의 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을 취한다. 예를들면, 압축 공기 노즐(15)은 유동 입자 또는 과립의 접촉 영역 아래에 있는 처리용기(1)의 벽부분에 고정된다.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압축공기 노즐의 갯수는 1개와 8개사이에 있다. 일정하고 균일한 입자 또는 구형 과립의 유동층은 다수의 압축공기 노즐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압축 공기 노즐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을지라도 공기의 압력 및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 하면 균일한 유동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가 공기를 단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단일의 압축 공기 노즐(15)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입자 또는 구형 과립을 충분히 유동화시키기 위하여 처리용기(1)의 절두원추형 부분(2)의 중심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여러지점에서 송풍시키도록 다수의 압축 공기 노즐(15)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공기의 유속은 구형 과립의 집합하지 않게 하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의 속도는 50과 1000m/sec 사이의 범위에 있음이 양호하다. 압축 공기의 유속 제어는 과립의 집합을 회피하고 이에 따라 높은 조립-코팅 효율을 보장하면서 과립의 과다한 분쇄를 억제하기 위해 계속된다.
상기 장치의 조립 작동중에 압축 공기의 유속은 압축공기의 분쇄 효과를 제어하기 위하여 변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과립의 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치수에 따른 과립의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입상화 직후에 코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공기 노즐(15)은 도관(16)을 통하여 가열기(또는 냉각기)(21), 압축공기원(22), 및 제어기(27)에 연결된다. 압축 공기의 유속, 온도 및 습도는 전체 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제어된다.
상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압축 공기 노즐로부터 공기의 유량 및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분무 노즐의 위치에 관계없이 입자 또는 과립의 집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상술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1) 분무된 코팅용액의 건조 및 분산이 크게 억제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고효율로 코팅을 완료할 수 있다.
(2) 특히 구형 과립에서 고코팅 효율이 얻어지고, 품질 및 동질성이 뛰어난 피막 구형 과립이 대량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활성 코아에 완효성 또는 지속성 형식의 약용 코팅층으로 코팅하는데 특히 유익하다.
(3) 조립 및 코팅 작동중에 집합이 억제된다.
(4) 분무 노즐에 미세한 물질이 침전되는 일이 완전히 제거된다.
(5) 조립 작동중에, 작동이 실제로 과립 치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과립 치수를 요구대로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치수에 따른 과립 분류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고코팅효율과 집합 방지의 높은 효과는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고, 이 실험을 아래에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예 1]
32메쉬와 42메쉬(495와 350㎛) 사이의 치수 범위에 이르는 구형 과립 8000g을 제 4 도에 도시한 장치에 충전시켰다. 과립은 50℃의 온도에서 100 내지 200g/분의 비율로 공급된 유동 공기에 의해 유동하게 되었다. 3 내지 4.5kg/㎠의 압력과 250 내지 300ℓ/분의 유량으로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공급된 분무 공기의 도움을 받아서 코팅용액 35000g이 100 내지 200g/분의 비율로 유동층에 분무되어서 유동 구형 과립을 코팅하였다. 코팅용액은 메탄올 메틸렌 콜로라이드 혼합물로 구성되는 용액 80과, 활성 물질 9와 메타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성 중합체 9와, 폴리소베이트 80을 2의 비율로 하여 용해함으로써 만들어졌다. 작동중에 압축 공기는 150m/sec의 속도로 공급되었다.
구형 과립에 관한 코팅혼합물의 침전율 즉, 코팅율은 97% 정도로 높았고, 코팅의 높은 균일도가 확인되었다. 집합체의 발생율은 24메쉬체에 남은 과립 비율에 대하여 2%정도로 작았다. 집합체의 발생율은 압축공기 노즐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지 않았을때는 5%로 증가하였다.
동일한 구형 과립을 사용하여 제 7 도에 도시한 종래 장치의 실험으로 코팅 작용을 수행하여 비교해 보았다. 과립은 동일한 유동상태에서 유동화되었다. 그 동안에 250 내지 300ℓ/분의 비율로 공급된 3 내지 4.5kg/㎠ 압력의 분무 공기의 도움을 받아서 상술한 바와같은 코팅용액 35000g을 100 내지 200g/분의 비율로 공급하였다. 이 경우에 높은 코팅 효과를 얻기 위하여 구형 과립의 유동층에 분무 노즐을 잠수시켰다. 그 결과 코팅효율은 85%였고, 집합체의 발생율은 11%였다.
[실시예 2]
32메쉬와 42메쉬(495와 350㎛) 사이의 치수 범위에 속하는 구형 과립 8000g을 제 4 도에 도시한 장치에 충전시켰다. 과립은 40℃의 온도에서 6 내지 9㎥/분의 비율로 공급된 유동 공기에 의해 유동하였다.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3 내지 4.5kg/㎠의 압력과 250 내지 300ℓ/분의 유량으로 공급된 분무 공기의 도움을 받아서 코팅용액 50000g이 100 내지 350g/분의 비율로 유동층내에 분무되었고, 이에 의해 유동 구형 과립을 코팅하였다. 메탄올-메틸렌 클로라이드 혼합물로 구성되는 용액 85와, 활성물질 6과 하이드록시-플로필메틸셀룰로즈 8과, 마크로골(macrogal) 400 및 600을 1의 비율로 용해함으로써 코팅용액을 만들었다. 작동중에 압축 공기는 150m/sec의 속도로 공급되었다.
구형 과립에 관한 코팅 혼합물의 침전율 즉, 코팅율은 99%정도로 높았고, 코팅의 높은 균일도가 확인되었다. 집합체의 발생율은 압축 공기 노즐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었을때 4%까지 증가하였다.
동일한 구형 과립을 사용하여 제 7 도에 도시한 종래 장치로 실험상의 코팅작업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과립은 동일한 유동 상태하에서 유동하였다. 그동안에, 250 내지 300ℓ/분의 비율로 공급된 3 내지 4.5kg/㎠ 압력의 분무 공기의 도움을 받아서 상술한 바와같은 코팅용액 50000g을 100 내지 350g/분의 비율로 공급하였다. 이 경우에 분무 노즐은 높은 코팅효과를 얻기 위하여 구형 과립의 유동층에 잠수되었다. 그 결과 코팅효율이 80%였고, 집합체의 발생율이 9%였다.
[실시예 3]
24메쉬와 42메쉬(700과 350㎛) 사이의 치수 범위에 속하는 구형 과립 15000g을 제 4 도에 도시한 장치에 충전시켰다. 과립은 온도 30℃에서 6 내지 9㎥/분의 비율로 공급된 유동 공기에 의해 유동화되었다. 압력3kg/㎠, 유량 250ℓ/분 및 온도 5℃에서 공급된 분무 용기의 도움을 받아서 코팅용액 50000g이 100g/분의 비율로 유동층에 분무되었고, 이에 의해 유동 구형 과립을 코팅하였다. 메탄올-메틸렌 클로라이드 혼합물로 구성되는 용액 90과,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클로라이드의 중합체 9와 마크로골 400을 1의 비율로 하여 용해함으로써 코팅용액을 만들었다. 작동중에 압축 공기는 150m/sec의 속도로 공급되었다.
구형 과립에 관한 코팅 혼합물의 침전율 즉, 코팅율은 96% 정도로 높았고, 코팅의 높은 균일도가 확인되었다. 20메쉬체에 과립 비율에 관하여서는 집합체의 발생율이 1% 정도로 낮았다. 코팅층은 균일하였고 코팅층의 표면은 매끄러웠다. 집합체의 발생율은 압축 공기 노즐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었을때 3%까지 증가하였다.
동일한 구형 과립을 사용하여 제 7 도에 도시한 종래 장치로 실험상의 코팅 작동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과립은 동일한 유동 상태하에서 유동화되었다. 그 동안에 250ℓ/분의 비율로 공급된 압력 3kg/㎠ 분무공기의 도움을 받아서 상술한 바와같은 코팅용액 50000g을 100g/분의 비율로 공급하였다. 이 경우에 분무 노즐은 높은 코팅효과를 얻기 위하여 구형 과립의 유동층에 잠수되었다. 그 결과, 코팅 효율은 75%, 집합체의 발생율은 6%였다. 피막 과립의 표면은 조금 거칠었고, 코팅층은 균일하지 않았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과 적어도 하나의 공기공급관 및 배출관과,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이 설치된 원통형 처리용기를 가지는 유동 조립-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에서 유동 입자의 접촉 영역 아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구형 과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 및/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또는 유동 입자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코팅은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코팅 혼합물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5.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과,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관 및 배출관과,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부분이 설치된 원통형 처리용기를 가지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에서 유동 입자의 접촉 영역 아래 위치에 배치되고, 압축 공기 노즐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내에서 유동입자의 접촉 영역의 높이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구형 과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조립-코팅 장치.
  7.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 및/ 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 또는 유동 입자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코팅은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코팅 혼합물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9.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과,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관 및 배출관과, 하향으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이 설치된 원통형 처리 용기를 가지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에 있어서, 압축 공기 노즐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에서 유동 입자의 접촉 영역 높이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와 압축 공기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 및/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 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또는 유동 입자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11. 제 9 항 또는 10 항에 있어서, 코팅은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코팅 혼합물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장치.
  12. 유동 조립-코팅 방법에 있어서, 아래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지는 원통형 처리용기에 원료입자를 충전하고, 상기 입자를 유동화하기 위하여 배출관을 통해 처리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서 공기공급관을 통해 처리용기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유동 입자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에서 유동 입자의 접촉영역의 높이 아래에서 고밀도로 존재하는 절두원추형의 벽 부근 영역으로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을 분무함으로써 입자로부터 과립을 형성하며 또한 과립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입자는 구형 과립이고, 코팅용액은 상기 구형 과립을 도포하기 위하여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4. 제 12 항 또는 13 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 및/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 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또는 유동 입자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용액은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6. 유동 조립-코팅 방법에 있어서, 아래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지는 원통형 처리용기에 원료입자를 충전하고 상기 입자를 유동화하기 위하여 배출관을 통해 처리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서 공기 공급관을 통해 처리용기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유동 입자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에서 유동 입자의 접촉 영역의 높이 아래에서 고밀도로 존재하는 절두원추형의 벽 부근 영역과는 관계없이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과 압축 공기를 분무함으로써 입자로부터 과립을 형성하며 또한 과립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입자는 구형 과립이고, 코팅용액은 상기 구형 과립을 도포하기 위하여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8. 제 16 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와 압축 공기 노즐에 공급된 압축공기의 온도 및/ 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 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 또는 유동 입자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코팅용액은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20. 유동 조립-코팅 방법에 있어서, 아래로 수렴하는 절두원추형 부분을 가지는 원통형 처리용기에 원료, 입자를 충전하고, 상기 입자를 유동화하기 위하여 배출관을 통해 처리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서 공기공급관을 통해 처리용기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을 분무하고, 유동 입자가 절두원추형 부분의 영역에서 유동 입자의 접촉 영역의 높이 아래에서 고밀도로 존재하는 절두원추형의 벽 부근 영역으로 결합제 또는 코팅용액과는 관계없이 압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입자로부터 과립을 형성하며 또한 과립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분무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와 압축 공기 노즐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온도 및/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 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또는 유동 공기의 온도는 압축 공기 공급관에서 공기의 온도 감지 결과 및/또는 유동 입자의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 방법.
  22. 제 20 항에 또는 21 항에 있어서, 코팅용액은 약용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조립-코팅방법.
KR1019860700754A 1985-03-01 1986-02-28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 Expired KR900003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59785 1985-03-01
JP60-41597 1985-03-01
PCT/JP1986/000104 WO1986005124A1 (en) 1985-03-01 1986-02-28 Apparatus for and method of granulating fluidized pulverized material and coating granulated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401A KR870700401A (ko) 1987-12-29
KR900003941B1 true KR900003941B1 (ko) 1990-06-05

Family

ID=1261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754A Expired KR900003941B1 (ko) 1985-03-01 1986-02-28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48673A (ko)
JP (1) JPH0613092B1 (ko)
KR (1) KR900003941B1 (ko)
CH (1) CH664297A5 (ko)
DE (2) DE3690101T1 (ko)
WO (1) WO19860051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18B1 (ko) * 2016-01-15 2016-12-08 (주)옥천당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923B2 (ja) * 1989-07-07 2000-04-10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造粒コーティング方法
DE4201660C2 (de) * 1992-01-22 1996-11-21 Polychrome Gmbh Granulate für den Offsetdruck
JP3347366B2 (ja) * 1992-06-23 2002-11-20 塩野義製薬株式会社 転動造粒装置及び方法
CA2175832A1 (en) * 1993-11-12 1995-05-18 Shinzo Nakazawa High speed agitated granulation method and high speed agitated granulating machine
US5485066A (en) * 1994-04-15 1996-01-16 Savannah Foods And Industries Variable speed centrifugal drive control for sugar refining machines and the like
US5722602A (en) * 1995-12-15 1998-03-03 Caterpillar Inc. Process for making flowable powders for coating applications
JPH10192670A (ja) * 1996-12-27 1998-07-28 Inoue Seisakusho:Kk 超臨界状態を用いた分散方法及び分散装置
US6984404B1 (en) 1998-11-18 2006-01-1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for preparing coated drug particles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thereof
WO2000054876A1 (fr) * 1999-03-18 2000-09-21 Hosokawa Micron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production de granules
US6368658B1 (en) * 1999-04-19 2002-04-09 Scimed Life Systems, Inc. Coating medical devices using air suspension
US6730349B2 (en) * 1999-04-19 2004-05-04 Scimed Life Systems, Inc. Mechanical and acoustical suspension coating of medical implants
US6607598B2 (en) 1999-04-19 2003-08-19 Scimed Life Systems, Inc. Device for protecting medical devices during a coating process
US6406745B1 (en) * 1999-06-07 2002-06-18 Nanosphere, Inc. Methods for coating particles and particles produced thereby
US6398139B1 (en) * 1999-08-23 2002-06-04 Roland Nied Process for fluidized-bed jet mill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and unit with such a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US7059550B2 (en) 2001-02-26 2006-06-13 Power Technologies Invest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extracting moisture
US7429008B2 (en) * 2001-02-26 2008-09-30 Power Technologies Invest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extracting moisture
CN1268218C (zh) * 2001-06-19 2006-08-09 纳幕尔杜邦公司 干涂食品颗粒或包封冷冻液体颗粒的方法
US20040131730A1 (en) * 2002-06-19 2004-07-08 Dalziel Sean M. Process for dry coating a food particle or encapsulating a frozen liquid particle
US20060068019A1 (en) * 2002-08-14 2006-03-30 Dalziel Sean M Coated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particles and coated liquid pharmaceutical-containing particles
US7163549B2 (en) * 2003-02-11 2007-01-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ilter membrane manufacturing method
ATE426398T1 (de) * 2003-02-20 2009-04-15 Constant Res & Dev Ltd Prozess zur herstellung einer dexamethason enthaltenden formulierung zur oralen anwendung
JP4489019B2 (ja) * 2003-04-09 2010-06-23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粉体塗料の製造方法
DE10322062A1 (de) * 2003-05-15 2004-12-02 Glatt Ingenieur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Flüssigkeiten in eine Feststoffströmung eines Strahlschichtapparates
US8057739B2 (en) * 2003-11-12 2011-11-15 Pulverdryer Usa, Inc. Liquid purification system
US20070014684A1 (en) * 2003-11-12 2007-01-18 Case Wayne A Air purification system
DE202005003791U1 (de) * 2005-02-28 2006-07-06 Hüttlin, Herbert, Dr. h.c. Apparatur zur Behandlung von partikelförmigem Gut
KR100866744B1 (ko) * 2007-03-28 2008-11-03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유동화 코팅 공정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분리판 원재료 분말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분리판 원재료 분말제조 방법
DE102008014237A1 (de) * 2008-03-14 2009-09-17 J. Rettenmaier & Söhne Gmbh + Co. Kg Direktverpressbares Tablettierhilfsmittel
PL221419B1 (pl) 2010-05-10 2016-04-29 Pulverdryer Usa Proces oddzielania skorup jaja od przyczepionej błony
US8657483B2 (en) 2010-09-03 2014-02-25 Cabot Norit Americas, Inc. Apparatuses for dilute phase impregnation of a milled sorbent with a chemical compound in an aqueous solution
AU2011323059B2 (en) 2011-02-18 2013-02-21 Biolingus Ip Llc Process for preparing products comprising stabilised activ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JP2015525122A (ja) 2012-05-31 2015-09-03 レゾダイン・コーポレイション 材料を流動化し、混合し、塗布し、乾燥し、結合し、化学反応し、分離する機械的システム
US9808778B2 (en) 2012-05-31 2017-11-07 Resodyn Corporation Mechanical system that continuously processes a combination of materials
US10967355B2 (en) 2012-05-31 2021-04-06 Resodyn Corporation Continuous acoustic chemical microreactor
EP3006077B1 (en) * 2013-05-29 2020-05-2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System for manufacturing microneedle preparation, and air-conditioning method
US10376961B2 (en) 2013-08-12 2019-08-1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owder spheroidizing via fluidized bed
CN105377476B (zh) 2013-08-12 2018-05-15 联合工艺公司 用于粉末处理的高温流化床
US10835880B2 (en) 2017-09-05 2020-11-17 Resodyn Corporation Continuous acoustic mixer
CN107649302A (zh) * 2017-10-18 2018-02-02 上海合全医药有限公司 一种流化床喷雾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014659A (zh) * 2019-12-31 2020-04-17 江苏变色龙微粉技术有限公司 金属粉末涂料包覆绑定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9299B1 (ko) * 1968-09-09 1974-12-26
JPS557431B2 (ko) * 1972-04-18 1980-02-25
JPS4949299A (ko) * 1972-09-14 1974-05-13
DE2418552A1 (de) * 1973-04-19 1974-11-14 Ciba Geig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ranulats in einem wirbelbett
JPS5689B2 (ko) * 1974-12-27 1981-01-06
CH641375A5 (de) * 1979-05-21 1984-02-29 Glatt Maschinen & Apparatebau Einrichtung fuer die bildung von granulaten oder agglomeraten.
CH645035A5 (de) * 1981-02-10 1984-09-14 Aeromatic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diskontinuierlichen granulation von festkoerpern bzw. festkoerpergemischen nach dem wirbelschichtprinzip.
JPS57171429A (en) * 1981-04-13 1982-10-22 Glatt Gmbh Rotary disk type granulator
JPS5949839A (ja) * 1982-09-10 1984-03-22 Okawara Mfg Co Ltd 流動造粒装置
JPS6025182B2 (ja) * 1982-09-16 1985-06-17 不二パウダル株式会社 造粒方法とその装置
US4532155A (en) * 1983-08-08 1985-07-30 G. D. Searle & Co.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granulating and/or drying part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18B1 (ko) * 2016-01-15 2016-12-08 (주)옥천당 유동층 과립기의 가동방법 및 유동층 과립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48673A (en) 1989-07-18
WO1986005124A1 (en) 1986-09-12
KR870700401A (ko) 1987-12-29
DE3690101T1 (ko) 1987-04-23
JPH0613092B1 (ko) 1994-02-23
DE3690101C2 (de) 1995-06-08
CH664297A5 (fr) 198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941B1 (ko) 유동 조립-코팅 장치 및 방법
US4532155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granulating and/or drying particles
JP3320720B2 (ja) スプレーノズル用シールディングを有する流動床
US4740390A (en) Granule producing and/o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3621902A (en) Apparatus for spray drying milk or the like
US6270801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particulate materials
JPS61213201A (ja) 微結晶セルロ−ス球形顆粒及びその製造法
CN213965191U (zh) 一种喷雾干燥装置
US4967688A (en) Powder processing apparatus
JP2002534249A (ja) タブレットを被覆する装置及び方法
AU681651B2 (en) Spray drying device
JPH07507230A (ja) 粉末材料からのグラニ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6312521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particles
US2001005564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ating particles
EP1295633B1 (en) Process for coating particles
JPS63190629A (ja) 噴霧乾燥流動造粒装置
CN206897343U (zh) 一种低塔喷雾冷却造粒装置
JP2619876B2 (ja) 噴霧乾燥撹拌造粒装置
JPH0411252B2 (ko)
JP2637434B2 (ja) 噴霧乾燥噴流層造粒装置
IE59411B1 (en) Fluidized granulating an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110338B2 (ja) 粉体の連続顆粒化方法
Jones Coating processes and equipment
JPH0464732B2 (ko)
CN104248936A (zh) 一种喷雾造粒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06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06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