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892Y1 -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 Google Patents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92Y1
KR900003892Y1 KR2019860009127U KR860009127U KR900003892Y1 KR 900003892 Y1 KR900003892 Y1 KR 900003892Y1 KR 2019860009127 U KR2019860009127 U KR 2019860009127U KR 860009127 U KR860009127 U KR 860009127U KR 900003892 Y1 KR900003892 Y1 KR 900003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torque
magnetoresistance
armature
p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414U (ko
Inventor
마나부 시라기
오사미 미야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시코기겡, 시라기마나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시코기겡
Priority to KR2019860009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892Y1/ko
Publication of KR880001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92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제1도 및 제2도는 1상 통전되는 코어리스 타입의 브러시리스 모터에 있어서 종래의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시키는 방법의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경우의 정지위치 설명도.
제4도는 제2도의 경우의 사점부근의 자기저항토크의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의 토크 1회전각곡선.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한 실시예 1로서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팬)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팬 모터의 케이스 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팬이달린 캡체의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전기자의 하면도.
제10도는 4극의 계자 마그넷의 하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계자 마그넷과 제9도의 스테이터 전기자와의 전개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의 스테이터 전기자 평면도.
제13도는 6극의 계자 마그넷의 하면도.
제14도는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채판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의 스테이터 전기자와 제13도의 계자 마그넷과의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M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
11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용 각형 케이싱
13 : 자극 24-1,24-2,24'-1,24'-2 : 전기자코일
25 : 프린트 기판 26,26' : 스테이터 전기자
28 : 팬이달린 캡체 32,32' : 마그넷 회전자(계자마그넷)
33,33' :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
본 고안은 위치검지소자가 1개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치가 출현함에 따라 이에 적용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분할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는, 사무기기등에 사용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로서도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적용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극히 저렴가로 또 소형으로 경량으로, 또한 편평한 것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이 조건을 더욱 만족하는 것은 위치검지소자가 1개로 족한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또 이 모터를 전기자 코일의 수(예를들면 2개, 4개등)에 의하여 2상 모터라 칭하고 있으나 이것은 통전방법으로보면 1상 모터라 하는 것이 정확하다.
그러나 이러한 1상(단상)모터는, 통전절환점에 있어서 토크가 영이되는 소위 "사점"이 있다.
그러므로 모터기동시의 로터위치는 때때로 사점에 있게되면, 위치 검지소자가 마그넷 회전자의 N극과 S극과의 경계부, 즉 디드 포인트를 검출하고 있으면 자기동 하지못하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1상 모터에 있어서는 전기자 코일과 마그넷 회전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에 더하여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철편이 사용됨)에 의한 토크(자기저항 토크)를 부가함으로써 사점을 해소하여 자기동 할수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들면 코어리스 모터에 있어서 자기저항 토크를 붙히는 방법으로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것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로터요크, 2는 N,S의 자극이 교호로 된 6극의마그넷 회전자(계자 마그넷), 3은 공심형 전기자 코일, 4는 에어갭, 5는 스테이터 요크, 6은 철봉이다.
코어리스 모터에 있어서 자기저항을 붙히는 방법으로서, 제1도시와 같이 에어캡에 경사를 붙히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법은 에어갭이 커짐으로 효율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1상 모터에 있어서는 전기자 코일과 마그넷 회전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에 더하여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철편이 사용됨)에 의한 토크(자기저항 토크)를 부가함으로써 사점을 해소하여 자기동 할수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들면 코어리스 모터에 있어서 자기저항 토크를 붙히는 방법으로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것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로터요크, 2는 N,S의 자극이 교호로 된 6극의 마그넷 회전자(계자 마그넷), 3은 공심형 전기자 코일, 4는 에어갭, 5는 스테이터 요크, 6은 철봉이다.
코어리스 모터에 있어서 자기저항을 붙히는 방법으로서, 제1도시와 같이 에어갭에 경사를 붙히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법은 에어갭이 커짐으로 효율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또 제2도시와 같이 균일한 에어갭의 일부에 철봉(6)을 삽입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제3도시와 같이 이 자속(7)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그넷 회전자(이하, 계자 마그넷이라 한다)(2)의 N 또는 S극의 중심과 철봉(6)이 대응한 위치에서, 당해 계자 마그넷(2)이 정지하므로 이러한 정지위치에 있어서, 전기자 코일(3)이 회전토크를 발생할수 있는 위치에 배설하여 있으면 자기동 할 수 있는 코어리스 모터를 얻는다. 그러나, 제2도에 표시한 방법에서 자기저항 토크를 크게하기 위하여 철봉(6)의 굵기를 증가시키면, 사점 부근에서 제4도시와 같이 자속(7)이 작용함으로, 사점부근의 토크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에 의거 이루어진 것으로 자기저항 토크를 이용한 코어리스 타입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로,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의 폭(개각)을 계자 마그넷의 자극폭에 맞게 하므로써, 충분한 크기로 또 이상적인 로크 1회전각 곡선을 갖는 자기저항 토크를 얻을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또 이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을 사용함에 있어서도 극히 원활하게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하여 회전자가 원활하게 회전할수 있도록 하며 소음도 적은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스테이터 전기자의 하면을 일률적으로 스테이터 요크를 배설하지 않고도 되도록 하며, 스테이터 전기자의 전기자 코일 점유공간 이외에 프린트 기판에 통전제어 회로를 용이하게 배설하도록 한 것으로 통전제어 회로를 내장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렇게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는, 전기자 코일을 프린트 기판에 배설한 스테이터 전기자의 프린트 기판면에, 계자 마그넷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은 폭의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을 이 중심선이 전기자 코일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에서 상기 계자 마그넷의 자극폭의 약 4분의 3폭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설하고, 통전제어 회로용 전기부품을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과 대향하지 않는 프린트기판면에 배설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이 모터는 본건 출원일보다 약간 앞서 제출하고 있다)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과 전기자 코일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에서 회전자의 반회전 방향에 이름에 따라서 면적 또는/ 및 제적이 감소하도록 형성하므로써 달성된다.
이상적인 토크 1회전 각곡선을 얻기 위해서는, 제5도에 표시한 합성토크 곡선(8)을 얻을 필요가 있다.
9는 전기자 코일에 의한 전기자 코일 토크곡선으로, 10은 자기 저항 발생용 자성체에 의한 자기저항 토크 곡선이다.
전기자 코일 토크곡선(9), 자기저항 토크곡선(10)에서와 같이 자기저항 토크는 전기자 토크의 2분의 1크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하면, 회전각의 전역에 걸쳐, 대체로 일률적인 회전 토크로 된 전기자 코일 토크와 자기저항 토크등을 합성한 합성토크곡선(8)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상적인 합성 토크곡선(8)을 얻기위해서는, 자기저항 자성체의 크기 및 위치를 바르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이상적인 합성토크 곡선(8)이 얻어진다.
또 상기 자기저항 토크곡선(10)은 실질적으로 원활하게 입상되므로 당해 모터는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다.
먼저 제6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본 고안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적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1의 것은, 위치검지소자 1개, 2코일, 4극1상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이나, 1코일 이어도 같은 원리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부호 10은 모터케이싱 凹부 공간부로서, 이 공간부(10)를 이용하여 통전제어 회로용 전기부품을 조립하도록 하고, 양산 공정을 간단히하고, 저렴가로 성능이 우수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FM)을 얻을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축방향에 편평한, 예를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캡상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용 각형 케이스(11)(제7도 참조)는 중앙부에 캡형의 모터케이싱(12)을 가지며, 이 케이싱(12)의 저부에는 2개소에 상방향으로 연출한 지주(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주(13)의 정상부에는, 나사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케이싱(12)의 중심부에는, 축수하우징(15)의 상하양단 개구부에는, 베아링 축수(16,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수(16,17)에 의하여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FM)본체의 대체로 중심부에는 회전축(18)이 회동자재로 축지되어 있다.
회전축(18)의 하부에는 빠짐 방지용 E링(19)이 장착되어 있다. 부호 20은 케스(11)와 케이싱(12)사이의 凹부(제7조 참조), 21은 케이스(11)의 저부에 형성되는 에어통공, 22는 스테이, 23-1,23-2는 각각 플러스 전원 코오드, 마이너스 전원 코오드이다.
지주(13)의 정상부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2개의 전기자코일(24)을 프린트 기판(25)의 상면에 배설한 스테이터 전기자(26)를, 프린트 기판(25)에 형성한 무공을 통하여 비자성체로 된 나사(27)를 지주(13)의 정상부에 형성한 나사공(14)에 나착하여 고정 설치하였다.
프린트 기판(25)위에는 제9도에서와 같이 전기자코일(24-1,24-2)2개를 180도 대칭으로 배설했다. 이 2개의 전기자코일(24-1,24-2)과 프린트 기판(25)에 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2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터 전기자(26)의 상면부에는 제8도시와 같은 축방향에 편평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팬이달린 캡체(28)가 회동자재로 면대항하고 있다.
29는 팬이달린 캡체(28)의 외주부에 이 캡체(28)와 일체로 형성된 팬이다. 상기 캡체(28)의 내면 대체로 중심부에는 보스(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30)에 회전축(18)의 상단부가 고정설치 되어있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캡체(28)의 내면부에는 원환상의 로터요크(31)가 고정되고 이 로터요크(31)의 하면에는 제10도에서와 같이 N,S의 자극이 교호로 된 원환상의 4극 계자마그넷(32)을 고정 설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26)에 면대향 시키고 있다.
프린트 기판(25)의 계자 마그넷(32)과 대향한 면에, 제1도 및 제9도시에서와 같이,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와 도체부(24b)와의 개각은 계자 마그넷(32)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게 부채상으로 권회 형성된 전기자 코일(24-1,24-2)를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상기와 같이 180도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25)의 하면에는, 상기 계자 마그넷(32)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은 폭 즉, 계자 마그넷(32)은 4극으로 되어 있음으로, 90도의 개각폭의 평면 부채꼴의 철판등으로된 후술하는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을 이 중심이 되는 중심선(제9도 참조)이 전기자코일(24-2)(24-1)이어도 무방하다.
또(24-1,24-2 양쪽이어도 무방하다.)의 일방 발생토크에 기여함 도체부(24b)에서 계자 마그넷(32)의 4분의 3자극폭 즉 67.5도 정도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첩착등하여 고정설치한다.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에는, 상기 나사(27)를 삽입하기 위한 투공(34)을 형성하고 있다. 스테이터 전기자(26)의 프린트 기판(25)에는,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과 대향한 부분 및 전기자 코일(24-1,24-2)과 대향한 부분을 제외한 하면에는 제6도시와 같이 통전 제어회로용 전기부품 34(트랜지스터), 35(저항)등을 배설하고 있다.
또 상기 전기자 코일(24-1,24-2)의 둘레방향의 도체부(24c,24d)는 발생토크에 기여하지 않음으로, 이 도체부(24d)의 폭 만큼의 반경이 작은 계자마그넷(32)을 사용해도 좋다.
또 계자 마그넷(32)은 4극의 것을 사용하므로써, 전기자 코일(24-1,24-2)은 발생토크에 기어할 도체부(24a)와 도체부(24b)와의 개각을 90도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위치검지 소자로 사용한 홀소자나, 홀IC등의 위치검지소자(36)는 전기자 코일(24-1)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의 하면에 배설하고 있다.
이 제9도를 참조하여, 2개의 전기자 코일(24-1,24-2)을 상호 대칭으로 배설한 것은, 회전진동을 적게하기 위함이나 모두 1개이어도 좋다.
상기한 스테이터 전기자(26)의 프린트기판(25)위치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을 배설하는 것으로, 전기자 코일(24-1,24-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b)에 대향할 위치에서 회전방향(화살표A)에 대하여 계자 마그넷(32)의 대체로 4분의 1자극 폭(이 실시예에서는 4극의 계자 마그넷(32)을 사용하고 있음으로 22.5도)앞 위치에서 당해 계자 마그넷(32)은 항상 예를들면, 제9도에서와 같이, 정지시 혹은 기동시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조건으로 형성한 위치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을 형성하며, 이 자성체판(33)에 계자 마그넷(32)의 N극, S극이 흡인대향하도록 정지한다. 따라서 위치검지 소자(36)는 계자 마그넷(32)의 N극 또는 S극을 항상 검출하므로, 즉 디드 포인트(사점)를 검출하지 않음으로, 전기자코일(24-1) 또는 전기자코일(24-2)에 소정의 방향 전류를 통전하면, 계자 마그넷(32)을 갖는 회전자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킬수가 있다.
프린트 기판(25)에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을 형성하는 것은, 자기저항 발생의 원인이되나, 본 고안에서는 이 자성체판(33)에 의한 자기저항 토크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연속회전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검지소자는 1개로 충분하기 때문에, 저렴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또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를 얻게된다.
또 프린트 기판(25)에 형성된 자성체판(33)은, 회전자가 항상 자기동할수 있도록 된 것이나, 그 위치는 이 자성체판(33)이 계자 마그넷(32)의 N극과 S극의 면적비율비가 같도록 상기 자성체판(33)과 면대향하고 또 회전자는 자기동 할 수 있는 위치이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판(33)을 형성하여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하는 것으로, 자기동 할 수 있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또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얻게되나, 이 자성체판(33)은, 혹시 점선(46)으로 표시한 폭의 것을 사용하면 자기 저항 토크는 급격하게 입상하고 또 급하게 입하함으로 당해 모터는 그만큼 원활학 회전할 수가 없다.
그럼으로 본 고안에서는 실선(47)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 회전자의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을 향하여 더욱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전기자코일(24-1)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b)에 가까운 일방단부(33a)에서 타방단부(33b)까지의 체적 및 면적을 서서히 줄이도록 다시 도려내져 있다.
이와같이하여 자기저항 토크가 서서히 커지고, 그리고 최대기동 토크가 그후 얻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교하여 전체로 원활하게 당해 모터를 회전함으로 종래 자기저항 토크에 의한 큰 회전음의 발생이 없게된다.
제11도는 4극, 2, 코일, 1상 왕복 통전되는 브러시리스(팬)모터에 있어서 계자 마그넷(32)과 스테이터 전기자(26)와의 전개도이다.
전기자코일(24-1,2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24b)는 각각 전기각으로 180도(이 실시예에서는 기계각으로 90도로 되어있다)의 등간격 배치로 되어있다.
전기자 코일(24-1)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의 일방단자와 전기자 코일(2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의 타방단자는 공통접속되며, 전기자 코일(24-1)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b)의 타방의 단자는 통전제어회로내의 트랜지스터(37)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38)의 에미터와의 접속점(39)에 접속되고, 전기자코일(2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의 일방단자는 트랜지스터(40)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41)의 에미터와의 접속점(42)에 접속되어 있다.
통전제어회로는, 1상의 왕복통전 제어회로로 형성하고 있다.
트랜지스터(37,41)의 에미터는 각각 플라스 전원단자(43)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38,41)의 에미터는 각각 정지(44)에 접속되어 있다.
위치검지소자(36)의 출력단자(45-1,45-2)는 통전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검지소자(36)는 계자 마그넷(32)의 N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45-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37,41)를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24-1,24-2)에는 화살표 방향의 전류를 흘러서 화살표 A방향의 회전력을 얻을수가 있다.
위치검지소자(36)는 계자 마그넷(32)의 S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45-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8.41)가 도통하고, 전기자코일(24-1,24-2)에는 상기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흘러 화살표 A방향의 회전력을 얻을수가 있다.
또 제11도에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 실선으로 그려진 계자 마그넷(32)의 위치는 최대기동 토크가 발생할 위치를 표시하며, 점선으로 표시한 계자 마그넷(32)의 위치는 자기저항 토크가 발생할 위치를 표시한다. 이 제11도에서 확실한 바와같이 점선으로 표시한 계자 마그넷(32)의 위치에서 자기저항 토크가 발생하고 약간 있으면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계자 마그넷(32)이 위치하여 최대기동토크를 발생함으로, 기동시에 있어서 로스가 없고, 성능이 우수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또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FM)를 얻게된다.
제12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제12는 제13도의 6극 원환상의 계자마그넷(32')을 사용한 경우의 스테이터 전기자(26')의 평면도이다.
전기자코일(24'-1,24'-2)은 발생토크에 기여한 도체부(24'a)와 도체부(24'b)와의 개각이 60도로 형성된 부채꼴의 것으로 되어있다.
이 전기자 코일(24'-1,24'-2) 각각은 상호 180도 대칭으로 프린트 기판(25)위에 배설하고 있다.
60도의 개각폭의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은, 이 중심이 되는 중심선(50)이 전기자 코일(2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24'1b)에서 계자마그넷(32')의 4분의 3자극폭, 즉 45도 정도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제12도에서와 같이 프린트기판(25)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있다.
위치검지 소자(36)는 전기자 코일(24'-1)의 상기 도체부(24'b)와 전기자 코일(24'-2)의 도체부(24'a)와의 중간위치의 프린트기판(25)면상에 배설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체판(33')은,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와 같이 일방단부(33'a)에서 타방단부(33'b)까지의 면적 및 체적을 서서히 줄이는 것은 아니고, 도면 제14도에서와 같이 타방의 단부(33'b)에 테이퍼(48)를 형성하여 단부(33b')의 체적을 줄이고 자기저항 토크가 약간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위치검지소자(36)를 상기 프린트기판(25) 위치에a배설한 경우, 이 소자(36)와 대항한 프린트 기판(25)과 대향한 위치에는, 상기 자성체판(33)이 없으므로 소자(36)의 단자를 프린트 기판(25)과 대향한 위치에는, 상기 자성체판(33)이 없으므로 소자(36)의 단자를 프린트 기판(25)의 하면에 돌출시켜, 이 단자를 프린트 기판(25)의 하면에서 납땜 배설할수 있다.
제15도는, 계자 마그넷(32')과 스테이터 전기자(26')와의 전개도이다.
전기자 코일(24'-1)의 상기 도체부(24'a)와 대향한 위치와 대향한 부분, 예를들면 점선으로 둘러싼부(49)와 대향한 부분에 배치할 위치검지소자(36)를 동상위치가 되는 점선으로 둘러싼부(51)와 대향한 프린트 기판(25)위치에 배설하고 있다(제12도 참조)
또 상기예에 있어서는, 4극의 계자 마그넷(32) 또는 6극의 계자 마그넷(32')과 2개의 전기자 코일(24-1,24-2,24'-1,24'-2)을 사용한 예를 표시했으나, 전기자 코일이 1개의 경우 혹은 그 이상이어도 좋다.
또 6극의 계자 마그넷(32')을 사용한 경우에는 3개의 전기자 코일을 등간격으로 배설해도 무방하다.
또 8극의 계자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는 4개의 전기자코일을 등간격 배치해도 좋다. 또 계자 마그넷은, N극, S극의 자극이 교호로 형성되도록 일체화 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N극 또는 S극을 형성하는 자극을 분리한 계자 마그넷 세그먼트, 즉, 평면에 있어서 원판상의 자석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전기자 코일의 형상도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면 평면에서 링상등으로 형성한 공심형의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것은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에 대하여도 같다.
또 계자 마그넷, 전기자 코일 및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의 형상 및 위치는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적절히 설계할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위치검지소자가 1개로 1상 통전되는 것이므로 여러 가지를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를 얻을수 있다.
또 위치검지소자가 1개이어도 자기동 할 수 있고, 또 스테이터 전기자의 하면에 일률적으로 스테이터 요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 및 전기자 코일이 없는 프린트 기판 위치에 통전제어 회로를 용이하게 배설할수 있으므로, 저렴가, 소형화의 통전제어회로를 내장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또는 이것을 적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모터를 용이하게 양산할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자기저항 토크 발생용 자성체판이 원활하게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하도록 형성하고 있어서, 원활하게 회전하고, 팬 모터에 있어서 더욱 치명적인 큰 회전음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실용상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N극, S극의 자극을 교호로된 2P(P는 1이상의 정수)개 갖춘 마그넷 회전자(2)와, 이 마그넷 회전자에 면 대향하여 형성된 1개 이상의 공심형의 전기자 코일(3)로 되며 서로 타의 전기자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프린트 기판에 배설된 스테이터 전기자와, 1개의 위치검지 소자와, 상기 마그넷 회전자의 자극폭과 대체로 같은 폭의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등을 상기 프린트 기판에 배설하고, 상기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은 그 중심선이 상기 전기자 코일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에서 상기 마그넷 회전자의 자극의 약 4분의 3자극 폭 만큼 떨어진 위치에 고정 설치하고, 통전 제어 회로용 전기 부품을 상기 자성체판과 대향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면에 배설한 것에 있어서,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은 상기 전기자 코일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24a)에서 회전자의 반 회전 방향에 이름에 따라서 면적 또는/ 및 체적을 감소시킨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는, 회전자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더욱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전기자 코일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에 가까운 일방단부(33'a)에서 타방단부(33'b)까지의 이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의 체적 또는 / 및 면적을 감소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저항 발생용 자성체판(33')의 단부(33'b)에 테이퍼(4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KR2019860009127U 1986-06-27 1986-06-27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Expired KR900003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27U KR900003892Y1 (ko) 1986-06-27 1986-06-27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27U KR900003892Y1 (ko) 1986-06-27 1986-06-27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14U KR880001414U (ko) 1988-03-15
KR900003892Y1 true KR900003892Y1 (ko) 1990-05-03

Family

ID=1925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127U Expired KR900003892Y1 (ko) 1986-06-27 1986-06-27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8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14U (ko) 198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0185A (en) Composite magnet brushless DC motor
US4504751A (en) Fan with electronically commutated direct-current motor
US4728833A (en) 1-phase self-starting brushless motor
CA1294661C (en) Brushless dc motor
US4899075A (en) Two-phase DC brushless motor
US5089730A (en) Low noise DC electric motor
US5097170A (en) Brushless d.c. electric motor
US4733119A (en) 1-Phase self-starting disk-type brushless motor with cogging-producing element
EP0431006A1 (en) ELECTRIC MOTOR.
KR900003897Y1 (ko)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
US4104552A (en) Synchronous motor structure
US4724350A (en) 1-phase self starting disk-type brushless motor with cogging element
US4725752A (en) 1-phase self starting disk-type brushless motor with cogging element
KR900003892Y1 (ko)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
JPH02214455A (ja) 有鉄心型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
JP3635209B2 (ja) アクチュエータ
KR900003895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JPH0426342A (ja) 単相同期ファンモータ
EP0263890A1 (en) 1-Phase energized brushless motor
KR900007227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900007269Y1 (ko) 브러시리스 팬 모터
JPH01270760A (ja) ハイブリッドモータ
KR900005757B1 (ko) I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900003894Y1 (ko)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라시리스 모터
JPH03474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6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6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1226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4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0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0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3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