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7647Y1 -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 Google Patents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647Y1
KR890007647Y1 KR2019840010448U KR840010448U KR890007647Y1 KR 890007647 Y1 KR890007647 Y1 KR 890007647Y1 KR 2019840010448 U KR2019840010448 U KR 2019840010448U KR 840010448 U KR840010448 U KR 840010448U KR 890007647 Y1 KR890007647 Y1 KR 890007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lick
socket
axial direction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722U (ko
Inventor
타다요시 에즈레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9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722U/ko
Priority to KR201989001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9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64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누름판(21)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에 있어서의 소켓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 결합시킬 경우 및 그 결합을 해제할 경우 록크용 스프링편(17), 클릭(18), 누름판(21), 감합오목홈(35), 결합오목부(38)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플러그의 다른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소켓의 다른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플러그본체 12 : 삽입부
13 : 플러그 콘택트 14 : 코오드
15 : 캡 17 : 록크용 스프링편
18 : 클릭 21 : 누름판
22 : 코일스프링 23 : 결합용통체
34 : 소켓본체 35 : 감합오목홈
36 : 소켓콘택트 38 : 결합오목부
본 고안은, 소위 둥그런 형상의 코넥터로서, 플러그를 소켓에 결합함으로써 플러그의 콘택트와 소켓의 콘택트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코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와 소켓을 삽입 결합하면, 그 결합상태가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코넥터는, 예를들면 일본실개소 53-110489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하면 록크기구가 자동적으로 작용해서, 결합상태가 록크된다. 이때문에 그 코넥터에 접속된 코오드가 예를들면 손이나 발에 걸려도 플러그와 소켓과의 결합이 빠질 염려는 없다. 이 결합상태를 해제할려면, 플러그의 외주에 착설된 결합용통체를 그 편의력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당겨서 록크를 풀어서 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 종류의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에 있어서는 그 결합에 있어서 플러그의 결합용 통체부분을 잡고 결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결합용 통체는 플러그의 외주에서 비교적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코넥터를 사용하는 사람은 결합용통체 이외의, 예를들면 캡부분으로 결합할 필요가 있어, 그 결합조작시에 그런것을 의식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할때에 플러그의 어느 부분을 잡고서도 행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록키기구부착 코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록크용 스프링편과 누름편을 겹쳐서 착설하고, 그 누름판은 CNR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전방으로 편의된다.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할때에, 누름판이 소켓의 앞면에 걸려서 록크용 스프링편이, 소켓본체의 앞면에 형성된 오목홈내로 먼저 삽입되고, 록크용 스프링편의 단부의 클릭이 소켓의 오목홈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에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이 감합오목홈내에 삽입되어서 상기 클릭과 결합 DHAHR부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록크상태가 된다. 결합용통체를 그 편의력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오목홈내로부터 누름판을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코넥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플러그의 예를 도시하고, 특히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본체(11)는 절연재의 원주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플러그본체(11)의 앞면에 동축심적으로 연장해서 통형상의 삽입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2)의 내측에서 플러그본체(11)의 앞면에 복수의 콘택트(13)가 부착되어 있다. 플러그 콘택트(13)는 이 예에서는 핀콘택트인 경우로써, 플러그 콘택트(13)는 플러그본체(11)를 전후로 삽통해서 부착되어 있으며, 그 후방단부에는 코오드(14)의 리이드선이 접속되어 있다. 캡(15)의 일단부내에 플러그 본체(11)가 감합 고정된다. 캡(15)내부로부터 코오드(14)가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삽입부(12)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해서 제2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용 돌조(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플러그본체(11)에 축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된 록크용 스프링편(17)이 착설되고, 록크용 스프링편(17)의 유단부에 클릭(18)이 형성되어 있어, 그 클릭(18)의 돌출방향으로 록크용 스프링편(17)이 변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2)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U자 형상의 절결홈(19)을 형성하고, 절결홈(19)의 내측에 록크용 스프링편(17)이 착설된다.
그 록크용 스프링편(17)의 유단부의 외면에 클릭(18)이 일체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 록크용 스프링편(17)은 플러그본체(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이 록크용 스프링편(17)을 축심에 대해서 각도 180도의 간격을 두고 한쌍 착설한 경우이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과 반대쪽에 이것과 당접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판(21)이 착설된다. 이 누름판(21)은 코일 스프링(22)에 의해서 전방으로 편의된다.
또, 누름판(21)은 코일스프링(22)의 편의력에 대향해서 결합용 통체(23)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되어 있다. 즉 결합용통체(23)는 플러그본체(11)및 캡(15)의 외주에서 동축심적으로 축방향에 이동자제케 착설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누름판(21)은 그 후방단부가 링형상의 연결부(2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부(2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한쌍의 결합편(25)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편(25)과 대응해서 캡(15)의 앞면으로부터 결합편 이동용 홈(26)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편 이동용 홈(26)내에 결합편(25)이 이것에 안내되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그 결합편 이동용홈(26)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의 위치에서 플러그본체(11)의 배면에 축방향으로 연장해서 삽통구멍(27)이 각각 형성되고, 삽통구멍(27)은 삽입부(12)내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이 삽통구멍(27)내에 누름판(21)이 삽통된다.
한편 결합편(25)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용통체(23)의 내주면에 링형상의 오목부(28)가 형성한다.
이 결합용몸체(23)의 후방단부 내주면에 턱(29)이 돌출해서 형성되고, 이 턱(29)과 링형상의 오목부(28)사이에서 캡(15)의 외주면에 링형상의 스토퍼(3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의 오목부(28)의 후방에서 결합용통체(23)의 내주면의 직경이 더욱 커져서, 스토퍼(31)에 대하여 턱(29)이 접촉된 상태로 스토퍼(31)의 전방부에서 결합용통체(23) 내주면과 캡(1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결합용통체(23)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형상의 간극(32)이 형성되어 있다.
캡(15)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단부와 결합편(25)과의 사이에서 캡(15)과 동축심인 코일 스프링(22)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22)에 의해서 누름판(21)이 전방으로 편의됨과 동시에, 결합편(25)이 링형상의 오목부(28)의 전방단부와 결합해서 결합용 통체(23)를 전방으로 편의시켜 턱(29)이 스토퍼(31)와 결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 예에 있어서는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은 결합용 통체(23)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클릭(18)은 삽입부(12)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돌출하고, 결합편 이동용 홈(26)의 존재에 의해,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쪽의 부분을 바깥쪽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은 누름판(21)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소켓은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재로된 원주형상의 소켓본체(34)에 대해서, 그 앞면에 링형상의 감합 오목홈(35)이 형성되고, 감합오목홈(35)의 내측에서 소켓본체에(34)에 콘택트(36)가 부착되어 있다. 소켓콘택트(36)는 플러그 콘택트(13)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 경우 지지콘택트가 되어 핀형상의 플러그 콘택트(13)를 삽입할 수가 있다.
플러그의 위치 결정용 돌조(16)와 삽입 감합되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37)가 감합오목부(35)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된다.
이 감합오목홈(35)의 주위면에 플러그의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오목부(38)가 형성된다. 제3도에서 클립(18)이 돌출된 방향의 두께와 누름판(21)의 두께와의 합(d1)은 감합오목홈(35)의 홈폭(d2)보다 크게되어 있으며, 클릭(18)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록크용 스프링편(17)의 두께 및 누름판(21)의 두께의 합(d1)보다도 감합오목홉(35)의 홈폭(d2)이 크게 되어 있다. 또,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에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누름판(21)은 감합오목홈(35)에 대해 출입할 수 있다. 즉,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의 오목부(28)및 결합용통체이동용 링형상의 간극(32)의 각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하려면, 플러그의 삽입부(12)를 소켓의 감합오목홈(35)내에 삽입하면 된다.
이 경우, 삽입부(12)를 감합오목홈(35)내에 삽입할때,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의 단부가 제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오목홈(35)내로 삽입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릭(18)과 누름판(21)과의 두께, 홈폭(d2)이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21)은 소켓본체(34)의 앞면에 걸려서 누름판(21)은 코일스프링(22)의 편의력에 대항해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은 내측에 탄성적으로 만곡되면서 클릭(18)및 삽입부(12)가 감합오목홈(35)내로 들어가서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내에 대향하면,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탄성력에 의해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내로 들어가서 이것과 축방향에서 결합한다. 록크용 스프링편(17)이 탄성적으로 만곡 되었을 때에 누름판(21)도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만곡되나, 클릭(18)이 결합오목부(38)내로 들어가면 누름판(21)의 탄성 변형도 복원되어, 코일스프링(22)의 작용에 의해 누름판(21)이 감합오목홈(35)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개시가 용이하도록 누름판(21)선단부의 각을 따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단순하게 잡아당겨도, 록크용 스프링편(17), 누름판(21)의 두께, 홈폭(d2)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클릭(18)은 결합오목부(38)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정도로 변위할 수 없으므로, 록크 상태가 되어서 플러그는 소켓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록크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뺄려면 결합용통체(23)를 코일스프링(22)의 편의력에 대항해서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이와같이하면 결합력(25)을 개재해서 누름판(21)이 후방으로 당겨져서 제7(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오목홈(35)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록크용 스프링편(17)의 단부가 클릭(18)의 돌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되어 축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클릭(18)은 결합오목부(38)로부터 벗겨져서, 즉 록크가 해제되어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빼낼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코넥터에 있어서는, 결합용통체(23)혹은 캡(15)의 어느 부분을 잡고도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 결합할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그 플러그는 플러그본체(11)에 콘택트(13)를 부착하고, 그것에 그 배후로부터 누름판(21)을 삽통구멍(27)을 통해서 부착하고, 또한 콘택트(13)에 코오드(14)를 접속하여, 그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2)을 수용한 캡(15)을 플러그본체(11)에 감합해서 부착하고, 그 후 전방부로부터 플러그본체(11)및 캡(15)에 대해서 결합용통체(23)를 장착하면 되어, 비교적 간단한 부품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록크용 스프링편(17)을 내측에 배설하고, 누름판(21)을 외측에 배설해도 된다.
그 경우는 클릭(18)은 내측이 되며, 감합오목홈(35)의 내주벽에 결합오목부(38)를 형성한다. 또 제8도,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본체(11)의 플러그 콘택트(13)로서 지지콘택트를 사용하고, 소켓본체(34)의 소켓콘택트(36)로써 핀 콘택트를 사용해도 된다. 록크용 스프링편(17)및 누름판(21)의 결합은 1개나, 3개 이상이어도 된다.

Claims (1)

  1. 절연재의 플러그 본체에 플러그 콘택트가 부착되고 그 플러그 본체의 배면부에 캡이 고정된 플러그와, 절연재의 소켓본체에 소켓 콘택트가 부착된 소켓을 결합시켜서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소켓콘택트를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시킬 수 있는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캡(15)및 플러그 본체(11)의 외측에 동축심적으로 착설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감착된 결합용통체(23)와, 상기 플러그본체(11)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돌출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단부에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한 클릭(18)을 가지며 또한 그 클릭(18)의 돌출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록크용 스프링편(17)과, 그 클릭(18)과 반대쪽에서 록크용 스프링편(17)에 당접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배설된 누름판(21)과 그 누름판(21)의 후방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용통체(23)와 축방향에서 결합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결합편(25)과, 그 결합편(25)및 결합용통체(23)를 전방으로 편의시킴과 동시에 그 결합편을 개재해서 상기 결합용 통체를 전방으로 편의시키는 코일스프링(22)과, 상기 소켓본체(34)의 앞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및 소켓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록크용 스프링편(17)및 누름판(21)이 위치하는 오목홈(35)과, 그 오목홈(35)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이 삽입되어서 축방향에서 결합하는 결합오목부(38)를 가지며 그 결합오목부(38)에 상기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21)이 상기 오목홈(3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정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록크용 스프링편(17)의 클릭(18)의 그 돌출방향의 두께와 상기 누름판(21)의 그 방향의 두께의 합이 상기오목홈(35)의 홈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KR2019840010448U 1983-10-24 1984-10-23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Expired KR890007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669U KR890009126Y1 (ko) 1983-10-24 1989-08-30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64196 1983-10-24
JP1983164196U JPS6071084U (ja) 1983-10-24 1983-10-24 ロツク機構付コネ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669U Division KR890009126Y1 (ko) 1983-10-24 1989-08-30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722U KR850009722U (ko) 1985-12-05
KR890007647Y1 true KR890007647Y1 (ko) 1989-10-31

Family

ID=1578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448U Expired KR890007647Y1 (ko) 1983-10-24 1984-10-23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48455A (ko)
JP (1) JPS6071084U (ko)
KR (1) KR8900076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8630A1 (de) * 1985-10-30 1987-05-07 Siemens Ag Fangeinrichtung
US4684192A (en) * 1986-09-18 1987-08-04 Amp Incorporated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US4711511A (en) * 1987-01-23 1987-12-08 Thomas & Betts Corporation Latc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4929189A (en) * 1988-04-13 1990-05-29 Hosiden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US4842554A (en) * 1988-06-03 1989-06-27 Amp Incorporated One-piece shield for a circular din
US4842555A (en) * 1988-06-03 1989-06-27 Amp Incorporated Circular DIN receptacle cover for latching plug
JPH0773068B2 (ja) * 1988-08-05 1995-08-02 英朗 茂治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ー
JPH0244270U (ko) * 1988-09-21 1990-03-27
JPH0244271U (ko) * 1988-09-21 1990-03-27
US5096436A (en) * 1989-12-20 1992-03-17 Burndy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connector assembly
US5021002A (en) * 1989-12-20 1991-06-04 Burndy Corporation Snap-lock electrical connector with quick release
US5254013A (en) * 1990-04-25 1993-10-19 Hirose Electric Co., Ltd. Push-pull lock connector
US5082455A (en) * 1991-01-18 1992-01-21 Wei Mu Kang Lock assembly of a din type connector
US5288248A (en) * 1991-10-28 1994-02-22 Foxconn International Totally shielded DIN connector
JPH089913Y2 (ja) * 1992-02-03 1996-03-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4214315A1 (de) * 1992-05-04 1993-11-18 Feder Emil Einsteckhilfe und Verriegelung für Steckverbinder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n Strömen, vorzugsweise bei Kraftfahrzeugen
US5480313A (en) * 1992-09-02 1996-01-02 Staar S.A. Automatic disconnect mechanism for electrical terminal fittings
US5265182A (en) * 1992-10-13 1993-11-23 Hughes Aircraft Company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 for fiber optic alignment sleeve retainer
JPH06208866A (ja) * 1992-12-07 1994-07-26 Fujitsu Ltd コネクタ
US5286213A (en) * 1993-01-27 1994-02-15 Raymond Altergott Locking receptacle
US5383794A (en) * 1993-07-16 1995-01-24 The Whitaker Corporation Latch actuator for a connector
US5411402A (en) * 1993-12-17 1995-05-02 Itt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IC card
GB9423346D0 (en) * 1994-11-18 1995-01-11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having retention and shorting features
US5562475A (en) * 1995-02-02 1996-10-08 Aines Manufacturing Corp. Modular telephone plug
DE69627923T2 (de) * 1995-03-20 2004-03-1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sicherter Endposition
US5580268A (en) * 1995-03-31 1996-12-03 Molex Incorporated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DE19513358C1 (de) * 1995-04-08 1996-08-08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9521754B4 (de) * 1995-06-14 2005-07-07 Odu-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Steckverbinder nach dem Push-Pull-System
USD373568S (en) 1995-09-28 1996-09-10 Lowrance Electronics, Inc. Two-piece interlocking connector
JP3036419B2 (ja) * 1995-11-17 2000-04-24 住友電装株式会社 半嵌合検知コネクタ
JP3180016B2 (ja) * 1996-02-08 2001-06-25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1069944A (ja) * 1996-08-28 1998-03-10 Smk Corp カーバッテリープラグ
US5669776A (en) * 1996-09-11 1997-09-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able connector assembly
JP3065558B2 (ja) * 1997-04-10 2000-07-17 三菱商事株式会社 カーバッテリープラグ
JP3468451B2 (ja) * 1997-09-09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DE19818677C2 (de) * 1998-04-27 2000-07-06 Amphenol Tuchel Elect Zweiteilig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3755716B2 (ja) * 1999-02-26 200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5993237A (en) * 1999-04-12 1999-11-30 Aines Manufacturing Corp. Modular telephone plug
ES2247775T3 (es) * 1999-12-22 2006-03-01 Interlemo Holding S.A. Enchufe de conexion.
DE10021377C2 (de) * 2000-05-02 2002-03-07 Franz Binder Gmbh & Co Elek Sc Rundsteckverbinder
US20020001989A1 (en) * 2000-06-30 2002-01-03 Silicon Graphics, Inc. Backshell assembly
US6454576B1 (en) 2000-08-22 2002-09-24 Bicc General Cable Industries, Inc.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0379193B1 (ko) * 2000-11-02 2003-04-11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동축케이블 접속장치
NL1017001C2 (nl) * 2000-12-28 2002-07-01 Fci S Hertogenbosch B V Connector en kabel die deze omvat.
DE10108127C1 (de) * 2001-02-21 2002-08-22 Neutrik Ag Schaan Chassissteckverbinder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USD464318S1 (en) 2001-03-02 2002-10-15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USD456356S1 (en) 2001-03-02 2002-04-30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USD456355S1 (en) 2001-03-02 2002-04-30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US6592390B1 (en) 2002-04-30 2003-07-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MZD cable connector latch assembly
US7485003B2 (en) * 2002-09-05 2009-02-03 Silicon Graphics,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able backshell assembly for high-density interconnect
KR100574193B1 (ko) * 2004-04-26 2006-04-27 주식회사 케이제이컴텍 3선 전원용 커넥터장치
CN2847596Y (zh) * 2005-11-04 2006-12-13 西安科耐特科技有限责任公司 快插自锁射频同轴连接器
TWM294761U (en) * 2006-01-18 2006-07-21 Gem Terminal Ind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composite female socket inner rack
US7637767B2 (en) * 2008-01-04 2009-12-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US7892004B2 (en) * 2008-04-17 2011-02-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US7806714B2 (en) * 2008-11-12 2010-10-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ush-pull connector
KR101117968B1 (ko) * 2009-11-05 2012-02-16 주식회사 경신 로킹장치
JP5358606B2 (ja) * 2011-03-28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2014085444A (ja) * 2012-10-22 2014-05-12 Sei Optifrontier Co Ltd コネクタ及び操作部材、並びに当該コネクタの挿抜方法
DE102012223739B4 (de) * 2012-12-19 2016-09-29 Tyco Elek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CN203326271U (zh) * 2013-06-20 2013-12-04 宁波卓新通讯接插件有限公司 一种易拉网络连接器
US9048580B2 (en) * 2013-09-17 2015-06-02 Ningbo Excellence Communicated Connector Co., Ltd. Easy-pull male network connector and tool combination
USD730841S1 (en) 2014-02-06 2015-06-02 Multiway Industries (Hk) Ltd.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US9861846B2 (en) * 2015-01-22 2018-01-09 Kidde Technologies, Inc. Spring-collet mechanism for activating a fire extinguisher
TWM520748U (zh) * 2015-10-16 2016-04-21 T Conn Prec Corp 圓形快速接頭
US9692174B1 (en) * 2015-12-17 2017-06-27 T-Conn Precision Corporation Circular rapid joint connector
JP6783077B2 (ja) * 2016-06-15 2020-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604671B (zh) * 2016-07-14 2017-11-01 安費諾亮泰企業股份有限公司 推鎖式電連接器對接結構
US10050367B1 (en) * 2017-06-06 2018-08-14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11876324B2 (en) * 2021-07-29 2024-01-16 Aptiv Technologies AG Self-ejecting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20230378689A1 (en) * 2022-05-19 2023-11-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118539239B (zh) * 2024-05-20 2024-12-03 广东中连科技有限公司 连接器及锂电驱动产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48230A (en) * 1964-07-09 1966-11-16 Thorn Electrical In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ors
FR1455850A (fr) * 1965-04-02 1966-05-20 Moulages Ind Plasto Raccord automatique pour canalisations souples
SE342495B (ko) * 1969-12-23 1972-02-07 Larsson Brdr Ind Ab
US4026581A (en) * 1975-11-13 1977-05-31 Lacrex Brevetti S.A. Releasable coupling
JPS52149257A (en) * 1976-06-07 1977-12-12 Yasuzou Kodama Liquiddpressure forming device for installing single acting press
CS190125B1 (en) * 1977-04-05 1979-05-31 Jindrich Spacek Hydraulic press periphery for hydromechanic drawing
FR2447105A2 (fr) * 1979-01-18 1980-08-14 Souriau & Cie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connexion
JPS5933180Y2 (ja) * 1981-03-07 1984-09-17 昭和無線工業株式会社 ロツク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7995Y2 (ko) 1987-05-08
KR850009722U (ko) 1985-12-05
US4548455A (en) 1985-10-22
JPS6071084U (ja) 198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7647Y1 (ko) 록크기구 부착 코넥터
JP3231542B2 (ja) プラグ誤脱防止機構
US4954097A (en) Connector plug with locking mechanism
JP3144464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
KR100607341B1 (ko)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및 그 조합체
US5230641A (en) Electrical receptacle
KR950702038A (ko) 광 파이버 컨넥터 랫칭기구
CA2416484A1 (en)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USRE32864E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JP2001244025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1141961A (ja) 光コネクタ組立体
US4907981A (en) Quick-release electrical connector coupling device
JPH08321350A (ja) 電気自動車用コネクタ
EP0507928A1 (en) A device for connecting a plug to a socket in coaxial connectors
JP2000338370A (ja) 光コネクタ
TWI237929B (en) Connector
EP0187887B1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JP3296794B2 (ja) 電気コネクタ
KR890009126Y1 (ko) 록크기구 부착 플러그
JPS60205512A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H0346465Y2 (ko)
JPH0569405B2 (ko)
JP3319829B2 (ja) ガス管接続具
JP2550161Y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414589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10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10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06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2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2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