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2379Y1 -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79Y1
KR880002379Y1 KR2019860014028U KR860014028U KR880002379Y1 KR 880002379 Y1 KR880002379 Y1 KR 880002379Y1 KR 2019860014028 U KR2019860014028 U KR 2019860014028U KR 860014028 U KR860014028 U KR 860014028U KR 880002379 Y1 KR880002379 Y1 KR 880002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encil
slider
frictional resistanc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604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유끼마사 구와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riority to KR2019860014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379Y1/ko
Publication of KR870006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7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43K21/20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with writing-cores automatically replaced from magazin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제 1 도는 본 고안 필심송출 슬라이더를 갖춘 샤아프펜슬 제 1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더 부재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 5 도는 제3도의 측면도.
제 6 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선단캡
11 : 슬라이더부재 12 : 필심안내부
14 : 제 1 미끄럼이동편 17 : 제 2 미끄럼이동편
19 : 필심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크조작으로 필심을 송출시켜주도록 된 것이 아니라 필심을 필기 용지에 눌러주기만 하면 필심이 필심안내부로부터 송출되어지도록 된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샤아프펜슬로 필기를 할 경우 필심안내부 앞쪽끝에 돌출되어져 나오는 필심길이는 필심이 부러지기 쉽다는 점때문에 거의 일정한 길이가 되도록 한정되어져 있고, 만일 필기도중 닳아버리게 된다던지하여 필심 길이가 짧아졌을 때에는 필심파이프 후단에 설치된 녹크보턴등을 녹크조작해줌으로서 바라는 길이 만큼 송출시켜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심송출조작에서는 다시 샤아프펜슬을 고쳐잡아 필심 송출조작을 중단해야만 하기 때문에 필기 능률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점을 있었다.
한편, 이 문제에 대하여 닳아버린 경우 필심을 필기용지등에다 눌러줌으로서 소정량의 필심을 샤아프펜슬을 고쳐잡지 않고서도 송출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져 있는데, 그 예로서는 본 고안 출원인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6-7506호등에 개시해 놓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필기용지에 필심을 눌러주어 필심을 송출시켜 주기위해 필심이 자유로이 미끄럼왕복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필심안내부와, 이 필심안내부가 설치되어진 선단캡내를 미끄러져 왕복하는 원통체, 이 원통체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필심을 일정한 마찰력 저항으로 지지해줌과 더불어 선단캡 안쪽둘레면에 상기 마찰저항보다 큰 마찰저항으로 닿아 접해지는 고무같은 것으로 만들어진 마찰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송출구조의 부품수가 증가되어 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마찰부재가 쉬이 닳아버리게 된다는 실용상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위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심의 누름조작에 따른 필심송출기구가 일체로 된 합성수지성형품으로 만들어진 슬라이더부재를 사용하므로서 내구성과 윤활성 및 제조단가면에서 유리한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요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체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은 손으로 잡아주게 된 외통인데, 이 외통(1)에는 선단캡(2)이 일체로 설치되어져 있고, 또 그 내부에는 필심파이프(3)가 이와 축선을 같이하여 삽입되어져 있는데, 이 필심파이프(3) 앞쪽끝에는 리이드척(4)이 이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필심 파이프(3)의 뒷쪽 끝에는 지우개고무(6)가 넣어지게 되는 지우개받침(5)이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리이드척(4)의 선단부는 척링(7)의 중심을 관통하게 되고, 이 척링(7)의 후반부에는 외통(1)내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쿠션슬리이브(8)의 앞부분인 플랜지부(8a)와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쿠션슬리이브(8)는 변형될 수 있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그 전체가 원통형상이 되도록 형성시키고, 그 후단부에는 그 몸통부(8b) 외경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스톱퍼(8c)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이 스톱퍼(8c)가 몸통부(8b)에 대해 적당히 유연한 탄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몸통부(8b)에는 절결부(8e)를, 후단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긴 절결부(8e)를 각각 형성시켜 놓고 있다. 한편, 이 스톱퍼(8c)의 형상을 쿠션슬리이브(8)를 필심송출기구와 함께 외통(1)에다 조립해 넣을때 원타치식 밀어넣음 조작을 해줌으로서 외통(1)에 뚫어놓은 걸림구멍(1a)에 확실하고 원활하게 걸려 흔들리지 않아 걸림상태가 빠져 벗겨지지 않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8b)는 걸림구멍(1a)에 지지되어진 스톱퍼(8c)에 대하여 상기 절결부(8d)의 축방향 간격(G)한도로 탄발변형되어 평상시에는 몸통부(8b)가 앞쪽방향으로 밀어부쳐져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필심 파이프(3)의 앞쪽끝과 쿠션슬리이브(8)의 플랜지부(8) 사이에는 필심파이프(3)를 뒷방향으로 밀어 부쳐주는 척제결용스프링(9)이 끼워넣어져 있다. 선단캡(2)은 그 선단부가 원추상으로 가늘게 되어있고, 그 선단부 안쪽 내부에는 그 내경을 달리하면서 좁혀지는 경사모양의 계단부로 된 걸림면(10)이 형성되어 있고, 또 그 선단부 안쪽둘레에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으로의 이동은 하게되나 걸림면(10)에 의해 앞쪽방향의 변위가 규제되는 스톱퍼면(11a)을 갖는 슬라이더부재(11)가 끼워져 있다.
이 슬라이더부재(11)는 ABS수지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것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전체가 통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 슬라이더부재(11)는 제 3 도, 제 4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가 직경을 달리하는 2가지의 원통체를 한 몸체에 갖도록 이루어져 있는 바, 즉 도면부호 11b는 소경부이고, 도면부호 11c는 대경부로서, 이 소경부(11b)의 중심구멍내에는 뒤에 설명되는 필심을 통과 시켜주기 위한 필심안내부(12)가 억지끼워맞춤으로 단단히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필심안내부(12)와 슬라이더부재(11)를 일체로 성형시켜 주어도 무방하다.
또 소경부(11b)와 대경부(11c)가 연결되는 중앙부 부근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 내부에는 필심을 통과시켜주게 되는 관통구멍(11d)이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대경부(11c)는 2중통과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바깥쪽 원통부에는 같은 간격으로 절결부(13)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4개의 탄발력을 갖는 제 1 미끄럼이동편(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제 1미끄럼이동편(14)의 절결부(13) 부근에는 각 1개씩의 돌기(1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져 있고, 또 이들 각 제 1 미끄럼이동편(14)에는 상기 돌기(15)가 형성되는 쪽 부근이 얇은 두께부(14a)로 형성되어져 있어서, 상기 제 1 미끄럼이동편(14)에 보다 효과적인 탄발력을 부여해 주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쪽 내측의 원통부에는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에따라 1쌍의 약한 탄발력을 갖는 제 2 미끄럼이동편(17)이 형성되게 되고, 이 제 2 미끄럼이동편(17)의 안쪽에 필심이 가볍게 잡혀져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미끄럼이동편(17)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뒷쪽끝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그 직경이 작아지거나 또는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굵기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 때문에 ABCD가 성립되어 압출성형으로 성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9는 필심인데, 상기 제 2 미끄럼이동편(17)에 의한 이 필심(19)이 탄성접촉은 일정한 마찰력(P1)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한편 상기 돌기(15)는 선단캡(2)의 안쪽둘레벽에 일정한 마찰력(P2)으로 탄성접촉 되어지되, 그 마찰력(P2)은 상기 마찰력(P1)보다 충분히 크게 되도록 설정해 놓는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필심파이프(3)의 뒷부분에 앞쪽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쿠션슬리이브(8)가 그 이동가능 범위의 앞쪽끝에 지지되어 있게 되고, 한편 후퇴방향으로 밀어붙어져 있는 리이드척(4)는 척링(7)에 대해서 후퇴하기 때문에, 상기 리이드척(4)의 선단부는 필심(19)을 물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제 1 도 상태에서 지우개고무(6)쪽에서 필심파이프(3)를 녹크해 주게 되면 리이드척(4)도 마찬가지로 척링(7)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여 척링(7)이 선단캡(2)의 계단부(2a)와 걸어 맞추어지게 되면, 이 척링(7)을 남기고 리이드척(4)만이 앞으로 나아가 필심(19)의 물림을 풀어주게 된다. 또 상기 녹크조작을 해제하면 필심파이프(3)는 리이드척(4)과 함께 뒤로 물러나 척링(7)이 쿠션슬리이브(8)의 앞쪽 가장자리에 맞닿게 되고, 이 위치에서 리이드척(4)의 선단을 조여 필심(19)을 끼워잡고서 필심파이프(3)의 후퇴동작이 멎게 된다. 이러한 조작을 되풀이함에 따라 필심(19)이 순차적으로 송출되게 되는데 이때 1번의 필심송출조작으로 송출되어지는 필심(19)의 길이는 척링(7)의 앞쪽끝에서부터 계단부(2a)까지의 거리와 같게 된다.
이와같은 필심송출조작으로 필심(19)을 전진시켜주는 과정에서는 필심(19)과 제 2 미끄럼이동편(17)의 마찰저항이 돌기(15)와 선단캡(2) 안쪽 둘레면과의 마찰저항보다도 적기 때문에 필심(19)은 필심안내부(12)에서 앞으로 나아가 통상의 리이드척(4)과 마찬가지로 필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필기도중 필심(19)의 앞쪽끝이 닳아버리거나 부러져 버리게 되는 경우에는 외통(1)을 쥐고 있는 상태로 남아있는 필심(19)을 필기용지등에다 눌러주게 되면, 필심(19)을 물어잡고 있던 리이드척(4) 및 필심파이프(3)에는 후퇴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이 힘에 의해 이들 부재가 척링(7) 및 쿠션슬리이브(8)와 함께 상기 스톱퍼(8c)가 굽혀짐에 따른 탄발력을 이기고 후퇴하게 된다. 이 후퇴방향으로서의 이동범위는 예로서 0.5-1㎜정도 설정시켜 놓고 있다. 그런데 상기 스톱퍼(8c)는 외통(1)의 걸림구멍(1a)에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부재의 후퇴 범위 영역은 그 최대칫수가 G로 된다.
또 필심(19)의 후퇴과정에서 상기 필심(19)의 앞쪽끝이 필심안내부(12)의 선단위치까지 후퇴한뒤 필심안내부(12)에도 필기용지로 부터 눌려지는 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필심안내부(12)도 슬라이더 부재(11)와 함께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필심(19)이 이동범위의 뒷쪽끝에까지 이동하게된 단계에서는 필심(19)과 필심안내부(12)의 위치가 일치하게 된다.
이어 외통(1)을 필기용지를 향해 눌러주는 것을 풀어주면 스톱퍼(8c)가 복원되는 반발력에 의해 쿠션슬리이브(8)의 몸통부(8b)가 이동가능 범위의 앞쪽끝까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척링(7)이 리이드척(4) 및 이 리이드척(4)에 물려 있는 필심(19)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필심안내부(12)는 돌기(15)와 선단캡(2)의 안쪽둘레벽의 큰 마찰저항때문에 전진하지 않게 되므로 필심(19)의 앞쪽끝은 필심안내부(12)의 상기 후퇴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필심안내부(12)의 앞쪽끝으로부터 돌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필심안내부(12)가 그 이동범위의 뒷쪽끝에 이를때까지 되풀이 해줄 수가 있다. 그리고 필심안내부(12)가 그 이동범위의 뒷쪽끝까지 도달한 다음 다시 더 필심(19)을 돌출시켜줄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필심파이프(3)를 녹크조작해서 통상의 필심송출조작을 해주면 된다.
이러한 필심송출조작에 따라 리이드척(4)는 필심(19)을 물어잡고 있는 상태를 풀어 다시 전진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부재(11)의 뒷쪽끝에 접촉해서 이 슬라이더부재(11)를 이동범위의 앞쪽끝까지 전진시켜주게 된다. 이때 필심(19)도 슬라이더부재(11)와 함께 같은 이동거리만큼 앞으로 나아가게 됨에 따라 필심(19)은 그 앞쪽끝이 필심안내부(12)의 앞쪽끝과 일치하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녹크조작을 풀어 주게 되면 리이드척(4)이 필심(19) 및 필심안내부(12)를 그 위치에 남겨두고 뒤로 물러나 척링(7)에 걸려지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녹크조작을 하게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필심(19)을 일정길이씩 전진시켜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샤아프펜슬은 필심안내부(12)가 후퇴되어져 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녹크조작에 의하지 않고 단지 필심(19)의 앞쪽끝을 필기용지등에 다 눌러주는 것만으로 필심(19)을 소정길이만큼 돌출시켜줄 수가 있게 되고, 이러한 동작을 종래와 같이 원통체와 고무등과 같은 마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합성수지성형품을 가지고 만든 슬라이더부재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그 구성을 간단히 하고 조립작업도 간단해지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슬라이더부재(11)는 대량생산으로 값싸게 제조할 수가 있게됨과 더불어, 그 크기를 짧게 할 수가 있게 되므로, 샤아프 펜슬의 전체길이를 단축 시켜주는데도 기여하게 된다. 그 결과 필심안내부(12)의 이동가능 간격만큼 필심(19)이 소모되는 동안은 녹크조작에 의한 필심송출이 필요없게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샤아프펜슬의 외통을 고쳐잡을 필요가 없이 계속 필기를 할 수가 있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필기도중 과도한 압력이 필심(19)에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톱퍼(8c)의 탄발작용으로 필심(19)이 탄성적으로 후퇴하기때문에 필심(19)이 부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해 주게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외통(1)의 선단캡(2)내에 끼워져서 소정의 범위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된 필심안내부(12)와, 이 필심안내부(12)의 뒷쪽끝에 고정되고 그 안쪽둘레면부에서는 필심(19)을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받쳐줌과 더불어 그 바깥둘레면부에서는 선단캡(2)의 안쪽둘레면에 대해 상기 마찰저항보다도 큰 마찰저항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접해지는 슬라이더부재(11)를 갖춘 샤아프 펜슬의 필심송출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재(11)는 필심안내부(12)내를 미끄럼 왕복 이동하는 필심(19)을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지지하는 제 2 미끄럼 이동편(17)과, 이 제 2 미끄럼이동편(17)의 바깥지름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마찰저항보다도 큰 마찰저항으로 상기 선단캡(2)의 안쪽 둘레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접해지는 제 1 미끄럼이동편(14)을 합성수지재를 가지고 일체가 되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슬라이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재(11)는 필심안내부(1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심송출슬라이더.
KR2019860014028U 1985-09-10 1986-09-10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Expired KR880002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028U KR880002379Y1 (ko) 1985-09-10 1986-09-10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50013234 1985-09-10
KR2019860014028U KR880002379Y1 (ko) 1985-09-10 1986-09-10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234U Division KR880003396Y1 (ko) 1985-10-11 1985-10-11 샤아프 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604U KR870006604U (ko) 1987-05-08
KR880002379Y1 true KR880002379Y1 (ko) 1988-07-02

Family

ID=7048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028U Expired KR880002379Y1 (ko) 1985-09-10 1986-09-10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3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604U (ko) 198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920B2 (en) Writing instrument or applicator having resin molded parts
US4171170A (en) Automatic pencil
US4386865A (en) Automatic sharp pencil
KR880002379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US4275971A (en) Mechanical pencil
US5733057A (en) Slider for mechanical pencil
US7588383B2 (en) Mechanical pencil
CN114714794A (zh) 自动铅笔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US5882132A (en) Side knock-type mechanical pencil
JPH0347907Y2 (ko)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940007205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JP256081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JPH1044685A (ja) 多芯筆記具
KR100708341B1 (ko)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3503270B2 (ja) 多芯筆記具
JPH0245031Y2 (ko)
JPH0872474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9183297A (ja) 多芯筆記具
JP4574972B2 (ja) 出没式筆記具
KR880000427B1 (ko) 샤아프 펜슬
JPH0344549Y2 (ko)
KR880001939B1 (ko) 샤아프 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0910

Patent event code: UA01011R06D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9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6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12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123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1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