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0030B1 -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 Google Patents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30B1
KR880000030B1 KR1019830006303A KR830006303A KR880000030B1 KR 880000030 B1 KR880000030 B1 KR 880000030B1 KR 1019830006303 A KR1019830006303 A KR 1019830006303A KR 830006303 A KR830006303 A KR 830006303A KR 880000030 B1 KR880000030 B1 KR 88000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oading
guide post
tension
po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678A (ko
Inventor
안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3000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030B1/ko
Publication of KR85000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3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의 테이프 언로오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의 테이프 로오딩 상태를 나타난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의 테이프 로오딩 완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의 테이프 FF/REW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5 도는 테이프가 언로오딩된 상태에서 로딩패스에 설치된 이송레버와 로딩링의 연결구조를 보인 본 발명의 부분 단면도.
제 6 도는 이송레버와 로딩링의 연결구조를 보인 본 발명의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세트 5 : 개구부
6, 6' : 아크가이드 8 : 회전헤드드럼
9 : 베이스 플레이트 10, 11 : 좌·우측 로딩패스
10', 11' : 안내공 12,13 : 상·하부 로딩링
14 : 로딩모터 15 : 로딩기어
16 : 기어 17, 19 : 중간기어
18 : 회전축 20 : 이송레버
21, 22, 23, 28, 29 : 가동 가이드 포스트
24, 25 : 회동레버 30 : 핀치로울러
31 : 핀치 로울러암 33 : 턴션 포스트
34 : 턴션암 35, 36 : 경사 가이드 포스트
37 : 소거헤드 38 : 음성-콘트롤 헤드
39 : 캡스턴 축 40, 41 : 고정 가이드 포스트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브이 티 알이라 기재함)의 테이프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8미리 브이 티 알과 같은 소형구조에 적합하고 테이프를 안정하게 로딩시킬 수 있는 테이프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브이 티 알에는 VHS 방식과 베타 포오매트(β-max)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들 방식은 헤드드럼 어셈블리나, 카세트 자체의 규격이 크기 때문에 8미리 브이 티 알과 같은 소형구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뿐 아니라, 정밀하고 호환성을 지닌 메카니즘을 구성을 위하여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브이 티 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비디오 카세트의 개구부(일명 : month)를 크게 형성하려 테이프 주행시를 가이드하는 각 가이드 포스트 중에서 고정위치에 있는 포스트를 제외한 각 가동 가이드 포스트와 핀치로울러 및 텐션포스트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이하, 카세트라 기재함)의 개구부에 전부 들어갈 수 있게하여 상기한 각종 기능부품들이 보다 적은 면적에 배열설치되는 소형화된 테이프 로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각 가이드 포스트중 회전헤드드럼의 주위에 설치한 2개의 가이드 포스트만 경사지게 세워서 고정하고 나머지는 수직을 이루도록 하며 또한 소거헤드, 음성-콘트롤 헤드 등의 헤드와, 캡스턴 축, 핀치로울러, 텐션암들도 모두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테이프가 회전헤드드럼에 최대한 안정된 상태로 주행하게 하고 테이프가 회전헤드드럼에서 나와 카세트에 회수되는 동안에도 안정하게 주행되는 테이프 로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목적은 로딩베이스 플레이트에 천공되어 헤드드럼 주위의 양측에 배열되는 좌·우로딩패스를 타고 이송되는 좌·우측 가동 가이드 포스트가 카세트의 공급릴에서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의 테이프 입구측, 즉 테이프가 들어가는 부위까지는 상·하 경사를 이루게하고 회전헤드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는 때에는 입·출구측에 경사지게 설치한 고정 가이드 포스트에 의하여 안정하게 접촉주행하게 하며 회전헤드 드럼에서 나온 테이프는 카세트에 들어가는 부위까지 항상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수직이 되도록 하여 안정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는 테이프 로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목적은 화상을 확인하지 않으면서 테이프를 급속히 감는 FF/REW 모드시에 카세트의 개구부 양측에 설치한 회동레버를 최종위치까지 회전시켜서 공급릴에서 인출된 테이프가 카세트 내부의 아크가이드와 떨어진 상태로 급속히 감기에 되어 테이프에 무리없이 FF/REW 모드가 행하여지는 테이프 로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 제 1 도 내지 제 6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제 2 도내지 제 4 도는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로서, 도면중 1은 카세트이고, 2는 공급릴, 3은 권취릴을 보인 것이며, 4는 테이프이다. 테이프(4)는 로딩할 때를 제외하고는 카세트(1)의 개구부(5) 양측에 형성된 아크가이드(6)(6')에 걸쳐 있게된다. 8은 베이스플레이트(9)의 후방부 증간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헤드드럼을 보인 것으로, 이 회전헤드드럼(8)의 주위에는 원호상 좌·우측 로딩패스(10)(11)가 설치된다.
이들 좌·우측 로딩패스(10)(11)는 중간부에 일정폭의 안내공(10')(1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상면판(10'')(11'')을 갖으며 상면판(10'')(11'')의 양측단부에는 지지판(10''')(11''')이 각각 하향으로 절곡되어 각 지지판(10''')(11''')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9)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 로딩패스(10)의 상면판(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감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9)에 대한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좌측 로딩패스(11)의 상면판(11''')은 우측 로딩패스(1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헤드드럼(8)의 하측부 주위에는 회전헤드드럼(8)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중공부를 가지는 상·하부 로딩링(12)(1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하부 로딩링(12)(13)의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14는 회전헤드드럼(8)의 일측 후방부에 설치된 로딩모터로서 이 로딩모터(14)의 회전축 상단부에는 로딩기어(15)가 고정되고, 그 로딩기어(15)의 하측부에는 기어(16)가 치합됨과 아울러 상측부에는 중간기어(17)가 치합되고 있으며 그 중간기어(17)의 회전축(18) 하단부에는 또 하나의 중간기어(19)가 축착되어 기어(16)에 치합되어 있고 그 상·하로 설치된 중간기어(17)(19)는 상기한 상·하 로딩링(12)(13)에 각각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4)의 구동에 의하여 로딩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 중간기어(1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딩기어(15)의 회전력을 기어(16)를 통하여 전달받은 하 중간기어(1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 중간기어(17)(19)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따라 상부 로딩링(12)은 시계방향으로 하부 로딩링(13)은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동되는 이중 로딩링(12)(13)이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수단은 이중 로딩링(12)(13)의 내주연에 적은 직경을 가지는 수개의 가이드 로울러를 접동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외 다른 구성의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도면중 20은 가동가이트 포스트(21)(22)가 양측단부에 입설(세워 설치함)되어 있는 이송레버이다. 이 이송레버(20)는 상부 로딩링(12)에 연결되어 상부 로딩링(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에 의하여 좌측 로딩패스(10)의 안내공(10')을 타고 카세트(1)의 개구부(5)에서 회전헤드드럼(8)의 테이프 입구측까지 이송된다.
상부 로딩링(12)의 회전 궤적과 좌측 로딩패스(10)의 안내공(10') 궤적은 상이하나 상부로딩링(12)과 이송레버(20)를 통상의 구관절 볼 죠인트(ball and socket joint)를 사용함으로서 이송레버(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 로딩링(12)의 하면에 연결축핀을 돌출 형성하여 연결레버의 일측단부의 안내장공을 헐겁게 끼워 연결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조 대신에 제 5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판상 연결레버(42)의 양단부에 안내장공(43)(44)을 형성하고 상부로딩링(12)의 상면에 연결축핀(45)을 일정길이로 각각 돌출 형성하여 연결레버(42)의 양측 안내장공(43)(44)에 상부 로딩링(12)의 연결축핀(45)과 이송레버(20)의 가이드 포스트(21)를 끼워 연결하는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이송레버(20)가 원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상부 로딩링(12)의 회전력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진 좌측 로딩패스(10)의 안내공(10')을 타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는 연결구조이면 그외 다른 연결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우측 로딩패스(11)의 안내공(11')에는 가동 가이드 포스트(23)가 삽입 설치되어 하부 로딩링(13)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헤드 드럼(8)의 테이프 출구측까지 이송된다. 이러한 가이드 포스트(23)와 하부 로딩링(13)의 연결구조도 상기한 이송레버(20)의 가동 가이드 포스트(21)와 상부 로딩링(12)의 연결구조와 같은 구조로 이용된다.
한편, 카세트(1)의 개구부(5) 양측에는 회동레버(24)(25)의 일측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9)에 축핀(26)(27)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각 회동레버(24)(25)의 타측단부에는 가동 가이드 포스트(28)(29)가 입설되어 개구부(5)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측 회전레버(25)의 내측에는 핀치로울러(30)가 일단부에 축착된 핀치로울러암(31)이 축핀(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고 좌측 회동레버(24)의 축핀(26) 하단부에는 텐션 포스트(33)가 일측단부에 입설된 텐션암(34)의 타측단부가 축착되어 그 텐션 포스트(33)고 개구부(5)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회동레버(24)(25)와 핀치로울러암(31) 및 텐션암(34)은 각각 적절한 동력전달 수단에 의하여 테이프(4)로딩시에 제 3 도에 도시한 상태로 각각 회동하게 되고, FF/REW 모드시에는 회동레버(24)(25)만 제 4 도에 도시한 상태로 회동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회동레버(24)(25), 핀치로울러암(31)및 텐션암(34)을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수단은 로딩모터(14)의 구동력을 이용하거나 그외 다른 구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회동레버(24)(25)의 동력전달 수단은 회동레버(24)의 선단부를 도시한 상태보다 길게 연장하여 그 연장된 선단부에 U자형홈을 형성하고 그 U 자형홈에 상부로딩링(12)의 상면에 돌설한 돌출핀이 삽입되게 하여 상부 로딩링(12)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레버(24)가 회동하게 하고, 동작을 돕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텐션암(34)은 그 선단부가 이송레버(20)의 가동 가이드 포스트(21)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그 텐션함(34)을 반시계방향으로 탄지하는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회동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35, 36은 회전 헤드 드럼(8)의 좌측중간부와 입구측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로서 이 경사 가이드 포스트(35)(36)은 회전헤드드럼(8)에 안내되는 테이프(4)가 감기는 각도 및 주행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37는 소거헤드, 38은 음성-콘트롤 헤드, 39은 캡스턴 축이고, 캡스턴(39) 전·후방에는 고정 가이드 포스트(40)(41)가 입설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테이프가 언로오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 에는 가이드 포스트(21)(22)(23)(28)(29) 텐션포스트(33) 및 핀치로울러(30)가 개구부(5)내에 모여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테이프 로오딩이 시작되면, 로오딩 모우터(14)가 구동하여 이와 연동된 로오딩기어(15)(16)가 회전을 하면서 이중 중간기어(17)(19)를 통하여 상부 로딩링(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하부로딩링(1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카세트(1)의 개구부(5) 좌·우측에 축착되어 이중 로딩링(12)(13)에 연동된 회동레버(24)(25)가 미리 회전하여 각 회동레버(24)(25)에 고정된 가동 가이드 포스트(28)(29)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최종위치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부 로딩링(12)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레버(20)가 좌측 로딩패스(10)의 안내공(10')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이송레버(20)에 입설된 가동 가이드 포스트 (21)(22)가 회전헤드드럼(8)의 테이프 입구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하부 로딩링(13)에 연동되는 가동 가이드 포스트(23)는 우측 로딩패스(11)의 안내공(11')을 타고 회전헤드드럼(8)의 테이프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과정중에서 텐션포스트(33)는 텐션암(34)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회동함에 의하여 가동가이드 포스트(21)의 뒤쪽에 붙어서 이동하게 되며 가동 가이드 포스트(21)가 계속 진행하면 그 가동 가이드 포스트(21)에서 이탈되어 회동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므로 텐션위치까지 이동하여 테이프(4)를 소거헤드(37)에 적절하게 밀착시키게 되고 핀치로울러(30)도 회동하여 캡스턴축(39)에 압착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가동가이드 포스트(21)(22)(23)(28)(29)의 이송에 의하여 테이프(4)가 인출되어 회전헤드드럼(8)의 외주면에 장가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로오딩 완료위치에 도달한다.
이러한 로딩작용은 중간기어(17)(19) 및 로오딩링(12)(13)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서 각각 정·역회전하면서 테이프 가이드 포스트(21)(22)와 (23)을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다시 로오딩 모우터(14)의 회전력이 나머지 부위의 회전에는 내장된 동력전달 메카니즘에 의해 감속되어 작용함에따라 테이프 인출 가이드 포스트(28)(29), 텐션포스트(33), 핀치로울러(30)들이 각각 그들의 레버(24)(25)(34)(31)에 의하여 로오딩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테이프의 주행경로를 보면, 공급리일(2)을 빠져나온 테이프(4)는 수평 및 수직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출 가이드 포스트(28)을 거쳐 소거헤드(37)에 일정한 각도로 감기고, 다시 텐션포스트(33)를 지나 경사 가이드 포스트(35)에 진입하면서 일정한 경사로 뉘어져 테이프 가이드 포스트(22)까지 그 중심높이를 상승하면서 보내지고, 다시 테이프 가이드 포스트(21)까지 상승한다. 인출 가이드 포스트(21)(22)는 제 1 도에서 수직으로 개구부(5) 내부에 들어 있었으나, 최종위치에서는 좌로오딩패스(10)가 테이프(4)의 회전헤드드럼(8) 진입에 알맞은 각도로써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이드 포스트(21)(22)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지니게 된다. 테이프 가이드 포스트(22)를 지난 테이프(4)는 다시 그 높이를 하강하면서 회전헤드 드럼(8)의 테이프 입구측에 진입한 후 고정 경사 가이드 포스트(36)를 감으면서 회전헤드 드럼(8)에 감긴다. 다시 회전헤드 드럼(8)을 빠져 나온 테이프(4)는 회전헤드 드럼(8)을 빠져 나온 상태 그대로 출구측 가이드 포스트(46)로 감겨지면서 회전헤드 드럼(8)상에서 안정된 녹화 및 재생을 시켜준다. 그후 드럼(8)의 테이프 출구위치부터는 다시 테이프(4)가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면서 고정 가이드 포스트(46), 음향콘트롤헤드(38), 가이드 포스트(23)(40), 캡스턴축(39), 가이드 포스트(41) 및 가동 가이드 포스트(29)를 지나면서 평행상태 그대로 권취리일(3)로 감겨진다.
이어서, 테이프 언로오딩이 되면 로오딩시의 모든 동작과 반대동작을 하게되어 가동 가이드 포스트(21)(22)(23)(28)(29), 텐션 포스트(33), 핀치로울러(30)가 복동되어 모두 제 1 도에 도시한 상태로 개구부(5)내부로 복귀한다.
스톱모드시에 FF/REW 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딩모터(14)를 회전시켜 개구부(5)의 좌·우측에 위치한 테이프 인출 가이드 포스트(28)(29)만 최종위치까지 구동시키며 이때 기타 각 가이드 포스트 및 메카니즘들은 조금의 로오딩이 걸려 이동이 되더라도 테이프(4)까지는 닿지 않은 위치에 머물려 있으므로 공급리일(2)에서 빠져 나온 테이프(4)는 단순히 회전헤드드럼(8)과 테이프 카세트(1) 내부에 있는 아크가이드(6)(6')와도 떨어져 좌·우측 테이프 인출 가이드 포스트(28)(29)에만 감겨서 권취리일(3)로 들어가기 때문에 테이프에 무리없이 고속으로 FF기능을 실행하며, 또한 그 역회전의 감는 기능도 가능하므로 스톱모드에서 FF/REW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각종 가동부품을 카세트의 개구부내에 설치한 구조와, 회전헤드드럼의 테이프입구측 및 좌측 로딩 가이드판 중간부에 2개의 고정가이드 포스트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외에 각종기능 부품을 수직으로 입설한 구조 및 카세트 개구부의 양측에 가동 가이드 포스트를 갖는 회동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FF/REW의 모드를 행하게 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러한 유기적인 기술적 구성에 의하여 브이 티 알의 소형화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낸용에 상·하부 로딩링과 이송레버의 연결 수단과, 회동레버와 텐션암 및 핀치로울러 암의 회전을 위한 동력전달 수단 등의 부분적 구조는 통상의 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며, 여러가지의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의 개구부를 통상의 것보다 크게 하기 위한 기술사항은 상기 내용에서 생략되어 있으나, 각종 브이 티 알의 기종과 호환성을 갖으면서 설계되어 제작 되어진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요약하면 본 발명은 테이프의 주행상태를 각 기능부품의 조건에 적합하게 만들어주었기 때문에 테이프의 안정주행면에서 커다란 장점을 가지며, 화상을 통해서 관찰되는 모든 기능은 로오딩 상태에서 이루어 지게 되나, 단순히 고속 감기를 요구할때는 테이프가 어던 부위도 접촉을 일으키지 않도록 스톱모드까지 언로오딩시켜 주어서 고속감기가 원활하게 행하여지며, 또한 테이프의 상태가 테이프 입·출구 위치와 같이 평행하고 수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테이프의 안정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기능상의 이점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종 가동부품을 카세트의 개구부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 기기의 평면적을 소형화할 수 있고, 회전헤드 드럼의 주위에 2개의 가이드 포스트만을 경사지게 구성한 외에는 모든 가이드 포스트와 헤드 및 샤프트를 수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며 고정도(高精度)의 실현이 용이하며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등이 있다.

Claims (2)

  1. 회전헤드드럼(8) 주위의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로오딩 패스(10)(11)가 형성되고 로오딩 패스(10)(11)의 하부에는 로오딩 모우터(14)에 의해 구동되는 이중 로오딩링(12)(13)이 설치되며, 테이프(4)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포스트(21)(22)(23)(35)(36)(46)(40)(41) 및 텐션 포스트(33)가 드럼(8)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로오딩 패스(10)(11)의 전방단부 상측에는 가동 가이드 포스트(21)(22)(23)를 수직 입설하고 드럼(8)의 좌측 중간부에 경사 가이드 포스트(35)를 고정하며 드럼(8)의 테이프 입·출구측에는 경사 가이드 포스트(36)와 수직 가이드 포스트(46)를 각각 입설하는 동시에 공지 캡스턴축(39) 및 그 전·후의 가이드 포스트(40)(41)를 수직 입설하여, 플레이 모드시에 테이프(4)가 공급릴(2)에서 경사 가이드 포스트(35)까지 수직으로 주행하고 경사 가이드 포스트(35)에서 입구측 경사 가이드 포스트(36)에 경사지게 안내되어 드럼(8)의 외주면에 감기고 가이드 포스트(42)에서 권취릴(3)까지는 수직으로 주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1)가 안착되는 데크의 베이스 플레이트상 양측부에 고정한 힌지(26)(27)에 레버(24)(25)의 일측단부를 축착하여 각 레버(24)(25)의 타단부가 스톱모드시에는 테이프 카세트(1)의 개구부(5)내에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각 레버(24)(25)의 타단부에는 테이프(4)를 인출하는 가동 가이드 포스트(28)(29)를 각각 수직 입설하여 FF/REW 모드시에 레버(24), (25)를 회전시켜 가동 가이드 포스트(28)(29)로 테이프(4)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모드를 행할 수 있게하는 한편, 상기 레버(24)의 하부에 동일 힌지(26)로 일정길이를 갖는 텐션암(34)의 일단부를 축착하고 그 타단부에는 테이프(4)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공지 텐션포스트(33)를 수직 입설하여 그 텐션포스트(33)가 플레이 모드시에 테이프(4)를 소거헤드(37)에 밀착시킬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장치.
KR1019830006303A 1983-12-30 1983-12-30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Expired KR88000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6303A KR880000030B1 (ko) 1983-12-30 1983-12-30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6303A KR880000030B1 (ko) 1983-12-30 1983-12-30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78A KR850005678A (ko) 1985-08-28
KR880000030B1 true KR880000030B1 (ko) 1988-02-15

Family

ID=1923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303A Expired KR880000030B1 (ko) 1983-12-30 1983-12-30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0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78A (ko) 198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4487B1 (en) Tape loading device for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69920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eck mechanism with component operating slide member between main deck and sub-deck
JPH06158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80000030B1 (ko)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KR860000856B1 (ko) 테이프 로우딩장치
KR920000217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JPS5868265A (ja) カセツト装填装置
US5196971A (en) Tape loading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ape control features for preventing damage to tape
JPH0438058B2 (ko)
US5315459A (en) Video cassette recorder device
JPH08339595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記録又は再生装置
JPS5935889Y2 (ja) 可動テ−プガイド装置
JP256915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案内機構
KR860001126Y1 (ko) Vtr의 프리 로오딩장치
JP251256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プロ―ディング装置
JPS6053381B2 (ja) 可動テ−プガイド装置
KR900005641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JPS611372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装架装置
JPH0239027B2 (ko)
JP258541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900005640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00009032Y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H0229555Y2 (ko)
JPH042438Y2 (ko)
JP256711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02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02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