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1462B1 - 맨 컨베이어의 난간 - Google Patents

맨 컨베이어의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62B1
KR870001462B1 KR828203603A KR820003603A KR870001462B1 KR 870001462 B1 KR870001462 B1 KR 870001462B1 KR 828203603 A KR828203603 A KR 828203603A KR 820003603 A KR820003603 A KR 820003603A KR 870001462 B1 KR870001462 B1 KR 87000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guide frame
guide
transparent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82820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103A (ko
Inventor
마사 미쓰 하나노
쥬우이찌 사이또오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4000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6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25Lighting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맨 컨베이어의 난간
제1도는 종래의 맨 컨베이어의 상부층 바닥 부근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II-II선에 의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III-III선에 의한 단면도.
제4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맨 컨베이어의 난간을 나타낸 제3도 상당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난간 상변재의 상세한 설명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개량을 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본원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전동도로 등의 맨컨베이어의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맨 컨베이어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단(無端)형상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스텝(1) 및 핸드레일(2)로 이루어진 회전체와, 난간(3) 및 본체 프레임부(4) 등의 정지체로 이루어지며, 이들 모든 부품이 건물바닥(F)에 지지되는 것이다.
난간(3)의 구성은 크게 나누어서 유리패널(5)과 난간 하변재와 난간 상변재로 이루어지며, 상세한 것은 제1도 이하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고, 본체 프레임부(4)에 지지된 유리패널(5)의 상기 지지부를 덮는 안쪽 데크(6) 및 바깥 데크(7)와 이 안쪽 데크(6)와 연결되는 스커트 가드(8) 등으로 상기 난간 하변재는 구성되며, 또한 유리패널(5)의 상단부에는 핸드레일(2)을 안내하는 가이드(9)와, 이 가이드(9)를 지지하는 핸드레일 프레임(10)과, 이 핸드레일 프레임(10)에 아래방향으로 지지되는 조면기구(11) 등으로 상기난간 상변재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레일 프레임(일반적으로는 스테인레스강제)(10)의 안쪽에는 유리패널(5)의 상부를 보호하는 패킹(12)과, 이 패킹(12)을 통하여 상기 유리패널(5)의 상단부를 파지하고, 또한 조명기구(11)를 구성하는 램프(13)와 커버(14)를 지지하는 지지체(15)와, 또한 이 지지체(15)에 볼트(16)로 조여져서 최종적으로 상기 유리패널(5)을 파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압판(17)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난간 상변재의 치수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의 가이드(9)는 화장(化粧)고무부(2a)와 면캔버스부(2b)로 이루어지는 핸드레일(2)의 단면 C자형의 내주에 맞춘 치수이며,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서 핸드레일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해드레일 프레임(10)은 핸드레일(2)의 높이(ha)에 대해서 2 내지 3배의 치수인 높이(h)를 가지며, 또한 가로방향은 핸드레일(2) 옆끝에서 바깥쪽으로(la), 안쪽으로(lb)(일반적으로(la),(lb)는 모두 10내지 50mm) 돌출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la)측은 조명기구(11)의 수납에, 또 (lb)측은 유리패널(5) 파지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난간구성에 있어서, 최근에는 조명기구(11)를 제외한 경쾌한 의장이며, 또한 에너지 절약지향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3도에 나타낸 조면기구(11)를 제외할 경우에는 가상선(Z)로 나타낸 위치에 막는 판을 설치하여 핸드레일 프레임(10)의 내부를 덮고, 난간 본체의 부재(핸드레일 프레임(10) 등)를 다시 변형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11)를 사용하지 않는 맨 컨베이어에서는 천정조명(X) 및 (Y)의 조도(照度)를 올려서 승객에 대한 서비스(특히 발 주위는 충분히 밝게 하여 안전하게 이용하게 한다)를 하게 되지만, 종래의 핸드레일 프레임(10)의 치수 구성에서는 채광상 매우 불합리하다.
즉, 제2도와 같이 천정조명(X)의 밝기를 화살표(M)과 같이 유리페널(5)을 통해서 스텝(1)측에 유도할 경우, 핸드레일 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의 돌출치수(la) 및 높이(h)가 광선의 입사각(θ1)을 규제하여 충분한 밝기를 얻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채광상의 문제는 맨 컨베이어의 주위가 건물벽이나 패널중의 스크린(S) 등으로 덮였을 경우에 특히 심각하며, 때로는 승객의 한전한 이용에 불가결한 조도를 확보할 수 없는 사태도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맨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안전 및 의장성의 면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도 있다.
안전면에서는 어린 아이가 핸드레일(2)을 확실하게 잡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난간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1)으로부터의 높이(H)가 승객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650 내지 750mm로 설정하며, 취학아동 이상의 승객에 대해서 매우 적절한 높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높이(H)의 문제 이외에 제3도와 같이 손(Q)의 일부가 안쪽으로(lb) 돌출된 핸드레일 프레임(10)의 모서리에 접촉(점 P)하여 핸드레일(2)을 잡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무리한 상태에서 핸드레일(2)을 잡으려고 할 경우에는 발 주위가 스커트가드(8)에 접근해서이 스커트가드(8)와 스텝(1)과의 사이에 신발 등이 끌려 들어가는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또한, 의장면에서는 핸드레일(2)의 마모분(R)이 핸드레일 프레임(10)의 윗면에 퇴적되는 문제가 있다. 이마모분(R)은 핸드레일(2)의 구동계에 사용되는 철재나 고무재, 그리고 면 캔버스부(2b)의 혼합분이며, 공공시설로서 이 마모분(R)이 초래하는 불결감과 승객의 의복을 더럽히는 결점은 무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안전성 및 의장면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핸드레일 프레임(10)의 내외측으로의 돌출(la), (lb)을 없애고, 핸드레일(10)의 바로 밑에 투명난간패널(5)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핸드레일(2)과 투면난간패널(5)과의 사이에 종전과 다름없이 불투명한 해드레일 프레임(10)이 존재하기 때문에 채광면에서의 해결을 도모할 수 없다.
또한 핸드레일(2)과 투명난간패널(5)간의 불투명한 핸드레일 프레임(10)의 존재는 경쾌감을 해쳐서 의장면에서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채광성, 의장성의 모든 것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맨 컨베이어의 난간을 얻는 것이다.
상기 본원 발명의 모적은 난간 상변재를 핸드레일의 회전을 안내하고 투명난간패널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홈을 가지는 가이드프레임과, 이 가이드프레임의 홈부분에 있어서 이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투명난간패널과를 동시에 조이는 체결체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홈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체의 조이는 힘을 제한하는 제한자(制限子)와,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핸드레일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 핸드레일의 단면 C자형의 내주와 슬라이드하는 가이드로 구성되며, 이 난간상변재를 상기 핸드레일의 단면 C자형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제4도 및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회전하는 스텝(1) 등의 구동메카니즘이나 본체부(4)의 구성, 그리고 안쪽 데크(6), 바깥 데크(7) 및 스커트가드(8) 등의 난간 하변재는 종래와 마찬가지이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유리패널(18)(종래의 유리패널(5)에 상당)의 상단부를 끼워넣는 홈(19a)을 갖는 가이드프레임(19)과, 볼트(22) 등의 조임부품과, 그리고 이 가이드프레임(19)의 외주를 덮는 가이드(20) 등으로 난간의 상단부를 구성하고, 종래 문제로 된 핸드레일 프레임을 제거한 경우에 있어서의 채광성, 안전성, 의장성을 높인 것에 특징이있다.
여기서 난간 상변부의 구성을 상술하면, 가이드프레임(19)은 난간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면 T자형을 이루며, T자형의 수직부에 유리패널(18)과 그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패킹(21)의 두께를 가한 폭(W)이 삽입되는 홈(19a)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유리패널(18)의 상단부에는 맨 컨베이어의 전체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절삭(18a)이 형성되어 있고, 다시 이 절삭(18a) 부분에서는 패킹(21)에도 절삭(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19)의 T자형의 수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9b) 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부품이 장착된다. 먼저 홈(19a)내에는 관통구멍(19b)과 통하는 구멍(23a)을 갖는 제한자(23)가 삽입된다. 다음에 볼트(22)가 좌판(坐板)(22a), 관통구멍(19a) 및 제한자(23)를 통해서 다른 쪽의 좌판(22b)의 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제한자(23) 부분이 상기 절삭(18a)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한자(23)의 폭(Wa)은 유리패널(18)과 패킹(21)의 두께를 가한 폭(W)보다는 약간 작게(Wa<W)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22)를 조였을 경우에는 홈(19a)의 폭이 제한자(23)(폭 Wa)에 접촉할 때까지 변형되며, 이 변형량, 즉 폭(W)과 폭(Wa)의 차이가 상기 유리패널(18) 및 패킹(21)에 대한 조이는 양으로 되어, 화살표 A 및 B와 같이 조이는 것이다. 그리고 제한자(23)는 실질적으로 유리패널(18)에 과대한 조이는 힘을 작용시키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가이드프레임(19)의 과대한 변형 및 유리패널(18)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좌판(22a) 및 (22b)는 볼트(22)의 조이는 힘이 유리패널(18)의 일부에 집중되지 않고 널리 분산하도록 형성한 것이며, 일반적인 볼트의 두부 또는 너트보다도 넓은 조임면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19)의 T자형의 수평부의 중간에는 두개의 걸어맞춤홈(19c)가 형성되며, 또한 T자형 수직부에 형성한 홈(19a)의 개구끝부에 각각 걸어맞춤홈(19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홈(19), (19d)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9)을 좌우 양쪽에서 덮는 가이드(20)의 상변부의 돌기(20a)와 하변부의 돌기(20b)가 걸어 맞추어지고 그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20)는 상기 상변부가 상기 핸드레일(2)의 단면 C자형의 내주에서 슬라이드하여 이것을 안내하고, 하변부에서는 상기 핸드레일(2)의 개구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19)의 하단과의 간극을 막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20)는 마찰계수가 낮으며, 핸드레일(2)의 주행에 적합한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재가 사용되고, 맨 컨베이어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상의 난간 상변부의 부재는 폭, 높이가 모두 핸드레일(2)의 단면 C자형의 내주스페이스에 효율적으로 수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드레일(2)의 단면 C자형의 내주의 범위내에 가이드프레임(19), 가이드(20) 등의 난간 상변재를 배치하고, 또한 같은 범위내에서 유리패널(18)의 상단부와 가이드프레임(19)과의 접합을 하도록 했으므로 종래 염려되었던 가이드프레임의 핸드레일(2)의 아래쪽 바깥방향으로의 뻗어나옴과 좌우(la 및 lb)쪽으로 돌출은 완전히 소멸된다.
이 때문에 제2도에서 설명한 입사각이 확대(본원 발명에 의하면 θ2로 되어 θ21)하며, 에너지절약 지향의 난간(조명기구(11)가 없음)이라도 효율적으로 채광할 수 있어서 승객에 대한 쾌적한 사용환경을 서비스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안전면과 의장면에서 문제로 되어 있었던 가이드프레임(19)의 해드레일(2) 밖으로의 돌출이 없으므로, 가이드프레임이 유리패널의 투명면적이 좁아지는 일은 없으며, 또한 핸드레일 근처에서의 마모분의 퇴적도 없고, 그것에 의해 의장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어린아이가 핸드레일을 잡는 경우에도 그 주변에 장해가 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므로 안전성도 향상되는 것은 명백하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우리패널(18)의 상단부를 가이드프레임(19)의 홈(19a)내에 끼워넣는 상태에서 볼트(22)로 조이는 것이지만 볼트(22)의 조이는 힘을 상당히 크게 하지 않으면 가이드프레임(19)의홈(19a)부에 패킹(21)을 압축하여 유리패널(18)을 사이에 파지하는 힘을 부여할 수가 없으며, 유리패널(18)과 가이드프레임(19)과의 연결이 불안정하게 될 염려가 있다. 제6도, 제7도의 구성은 상기 조이는 힘을 유리패널의 파지력에 유효하게 작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 T자형을 이루는 가이드르레임(19)의 수평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폭(δ), 길이(N)의 긴구멍(19e)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긴구멍(19e)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가이드프레임(19)의 수직부에 형성한 관통구멍(19b)(제5도)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그 외에 조임용의비스(30), 너트(31), 제한자(23) 및 제한자(23)와 상기 홈(19a)의 폭(W1),(W2)의 관계등은 제4도, 제5도와 같다. 상기 긴구멍(19e)을 형성한 가이드프레임(19)은 비스(30)와 너트(31)의 조임과 함께 가상선과 같이 변형하고, 이 변형한만큼 유리패널(18)과 패킹(21)을 조이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프레임(19)의 수평부는 긴구멍(19e) 때문에 변형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비스(30)의 조이는 힘의 낭비를 방지하여 조이는 힘을 유효하게 유리패널(18)의 파지력으로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밝고 경쾌하며, 또한 의장 성과 안정성이 높은 맨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무단(無湍)형상으로 배열되어서 회전하는 복수의 스텝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단면 C자형의 핸드레일과, 이 핸드레일의 회전을 안내하는 난간 상변재와, 이 난간 상변재를 상단부에 지지한 투명체로 형성된 투명 난간패널과, 이 투명난간패널의 하부를 덮는 안쪽 데크 및 바깥 데크로 이루어지는 난간 하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맨 컨베이어의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 상변재를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을 안내하고 상기 투명난간패널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홈을 가지는 가이드프레임과, 이 가이드프레임의 홈부분에 있어서 이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투명난간패널과를 동시에 조이는 체결체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홈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체의 조이는 힘을 제한하는 제한자와,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헨드레일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 핸드레일의 단면 C자형의 내주와 슬라이드하는 가이드로 구성되며, 이 난간 상변재를 상기 핸드레일 의 단면 C자형의 내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컨베이어의 난간.
KR828203603A 1981-08-28 1982-08-11 맨 컨베이어의 난간 Expired KR870001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34179 1981-08-28
JP56134179A JPS5836875A (ja) 1981-08-28 1981-08-28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134179 1981-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03A KR840001103A (ko) 1984-03-28
KR870001462B1 true KR870001462B1 (ko) 1987-08-12

Family

ID=151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3603A Expired KR870001462B1 (ko) 1981-08-28 1982-08-11 맨 컨베이어의 난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98811A (ko)
JP (1) JPS5836875A (ko)
KR (1) KR870001462B1 (ko)
CA (1) CA1184869A (ko)
GB (1) GB21044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875A (ja) * 1981-08-28 1983-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S59167477A (ja) * 1983-03-10 1984-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ンコンベアの欄干
USRE32839E (en) * 1984-11-21 1989-01-24 Hitachi, Ltd. Balustrade of passenger conveyor
JPH0631151B2 (ja) * 1984-11-21 1994-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GB2180516B (en) * 1985-09-20 1988-11-30 Hitachi Ltd A balustrade for a passenger conveyor
US4658946A (en) * 1985-12-06 1987-04-2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balustrade decking profile
DE3602945A1 (de) * 1986-01-31 1987-08-13 Thyssen Man Aufzuege Glasbalustrade fuer fahrtreppen und fahrsteige
JPH0822717B2 (ja) * 1987-06-03 1996-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欄干
US4836353A (en) * 1987-09-18 1989-06-06 Otis Elevator Company Guide for moving handrail
US4762217A (en) * 1987-12-07 1988-08-09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handrail guide
DE8802483U1 (de) * 1988-02-25 1988-04-07 Thyssen-M.A.N. Aufzüge GmbH, 2000 Hamburg Fahrtreppe oder Fahrsteig
US5160009A (en) * 1989-05-08 1992-11-03 Hitachi, Ltd. Passenger conveyor and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4946020A (en) * 1989-07-28 1990-08-07 Otis Elevator Company Low friction escalator handrail guide
US4932512A (en) * 1989-10-12 1990-06-12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handrail guide rail mounting assembly
US5131520A (en) * 1991-11-12 1992-07-2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handrail guide
US5511647A (en) * 1994-04-08 1996-04-30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information display for a passenger conveying device
US20040086333A1 (en) * 2002-11-06 2004-05-06 Craig Swartz Illuminated snowboard railway track
WO2006062516A1 (en) * 2004-12-07 2006-06-15 Otis Elevator Company Handrail guidance for a passenger conveyor
JP5083316B2 (ja) * 2007-06-28 2012-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1059A (en) * 1965-09-10 1967-05-23 Otis Elevator Co Passenger conveyor balustrade
FR1512084A (fr) * 1967-02-21 1968-02-02 Otis Elevator Co Balustrade transparente pour appareil de transport de personnes
US3989133A (en) * 1975-02-20 1976-1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Transportation apparatus
US3991877A (en) * 1975-02-20 1976-1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Transportation apparatus
JPS51109681U (ko) * 1975-02-28 1976-09-03
JPS551224A (en) * 1978-06-19 1980-01-08 Jeco Co Ltd Wiper controller
JPS55987A (en) * 1979-03-28 1980-01-07 Hitachi Ltd Process circuit of program controller
JPS5943346Y2 (ja) * 1979-04-16 1984-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の欄干装置
JPS5836875A (ja) * 1981-08-28 1983-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S622232U (ko) * 1985-06-20 1987-01-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04471B (en) 1984-12-19
GB2104471A (en) 1983-03-09
CA1184869A (en) 1985-04-02
KR840001103A (ko) 1984-03-28
JPH0126992B2 (ko) 1989-05-26
JPS5836875A (ja) 1983-03-03
US4598811A (en) 198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462B1 (ko) 맨 컨베이어의 난간
US4646907A (en) Cover arrangement for covering the balustrade sill of a transportation apparatus, such as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JPH0631151B2 (ja) 乗客コンベア
US4953686A (en) Balustrade for a transportation apparatus especially an escalator or a passenger walkway
KR920006040B1 (ko) 맨 컨베이어의 난간
JPS6020317B2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JPH0321476B2 (ko)
JPS6134390Y2 (ko)
JPH09323882A (ja) 乗客コンベヤの照明装置
JPS5817087A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JPS6116717B2 (ko)
JP2549151B2 (ja) マンコンベヤ
JPS622232Y2 (ko)
JPS5878986A (ja) マイコンベアの欄干
JPS5817019Y2 (ja) ランカンパネルホジソウチ
JPH04235886A (ja) エレベータかご
US20190263632A1 (en) Passenger transferring device
JPS58207275A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JPS60122680A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JPS597686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S58125587A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JPS636474B2 (ko)
JPH0585473B2 (ko)
JPS58119579A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
JPH03184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08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4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2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7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70711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10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7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