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152A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2152A KR860002152A KR1019850005597A KR850005597A KR860002152A KR 860002152 A KR860002152 A KR 860002152A KR 1019850005597 A KR1019850005597 A KR 1019850005597A KR 850005597 A KR850005597 A KR 850005597A KR 860002152 A KR860002152 A KR 8600021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level
- semiconductor integrated
- back bias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2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1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5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5513 bias potential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빽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기체 게이트를 가진 절연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그 동작이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1회로와,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와, 상기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는 그 동작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에 의해서 그 전압 출력 능력이 상기 제1회로의 동작상태에 동기해서 변화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는 , 캐파시터와 다수개의 정류소자로 구성되여, 주기적인 펄스신호를 받는 제1정류회로와, 캐파시터와 다수개의 정류소자로 구성된 제2정류회로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정류회로로 공급되는 펄스신호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정류회로로 공급되는 펄스신호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제1회로를 비동작상태로 하는 레벨로 되어 있을때, 상기 제2정류회로의 상기 캐파시터를 푸리 챠아지 상태로 시키는 레벨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2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는, 사이 제1정류회로에 공급되여야할 펄스신호를 발생하느 제1발진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그 동작이 제어되고, 동작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정류회로에 공급되어야 할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2발진회로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4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발진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그에 있어서의 귀환 루우프(feed-back loop)가 형성되는 링 발진회로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 또,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회로로 되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회로가 동작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 및 상기 검출신호가 출력되여 있는 기간의 사이에, 상기 제2발진회로를 동작상태로 하기 위한 상기 동작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회로는,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을 받는 것에 의해서,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에 대해 레벨 쉬프트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레벨 쉬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쉬프트 회로의 출력을 받는 레벨 판정회로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쉬프트 회로는, 가각 다이오드 접속된 절연 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되고, 서로가 직열 접속된 레벨쉬프트 소자와 상기 레벨 쉬프트 소자에 바이어스 전류를 부여하는 바이어스 소자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정회로는, 히스테리지이스(hysteresis)회로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상기 제2발진회로의 그것보다도 낮게 되어있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는, 그 동작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메모리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1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다이나믹 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 되고, 상기 제어신호는, 적어도 칩 선택신호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버위 제12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상기 칩 선택 신호에 의해서, 결정되는 칩 선택시오 재새 제어신호에 의해서 결정되는 재생동작시에 동작 상태로 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칩 선택신호와 상기 재생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다이나믹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동작사애로 되면, 동기해서 상기 제2발진회로를 동작상태로 하기 위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또,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 회로로 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칩 선택신호와, 상기 재새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다이나믹 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동작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 및 상기 레벨 검출회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여 있는 기간의 사이에, 상기 제2발진 회로를 동작상태로 하기 위한 상기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는, 상기 제1, 제2정류회로, 상기 제어회로 및 상기 제1 및 제2정류회로로 공급되어야 할 펄스신호를 형성하는 공통의 발진회로로 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제1회로가 비동작 상태로 되여 있을 때에 상기 제2정류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게이트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5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회로는, 상기 발진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정류회로의 입력단자와의 사이에 마련되여 있고, 그 동작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5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는 또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회로로 되고, 상기 게이트 회로는, 상기 제1회로가 비동작 상태로 되어 있을때, 상기 레벨 검출회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제2정류회로의 동작을 금지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7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회로는,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을 받음으로서, 성기 빽 바이어스 전압에 대해 레벨 쉬프트 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레벨 쉬프트 회로와 상기 레벨 쉬프트 회로의 출력을 받는 레벨 판정회로으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8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벨쉬프트 회로는, 각각 다이오드 접속된 절연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되고, 또한 서로가 직열 접속된 레벨 쉬프트 소자와 상기 레벨 쉬프트 소자에 바이어스 전류를 부여하는 소자으로 된다.
-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는, 주기적인 펄스신호의 제1레벨에 응답해서 푸리챠아지되고, 또한 상기 펄스신호의 제2레벨에 응답해서 상기 기체 게이트로 공급하여야 할 바이어스 전위를 제1노오드에 부여하는 제1캐파시터, 상기 제1노오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1캐파시터에 대한 푸리 챠아지 펄스를 형성하는 제1스위치 회로, 상기 제1노오드와, 상기 기체 게이트와의 사이에 마련되여, 상기 제1스위치 회로에 대해 실질적인 상보적으로 스위치 동작되는 제2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되여 상기 제1회로가 동작 상태로 되였을때에, 상기 제1캐파시터의 푸리 챠아지 레벨을 증대시키는 제2캐파시터로 된다.
- 다음 사항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빽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는 기체 게이트를 가진 절연게이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회로와, 펄스 신호를 받음으로서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와, 레벨 판정회로, 상기 레벨 판정회로의 입력단자와 상기 기체게이트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빽 바이어스 전압에 대해서 소정의 레벨만큼 레벨 쉬프트된 전압을 상기 레벨 판정회로의 입력에 공급하는 레벨쉬프트 회로 및 상기 레벨 쉬프트 회로를 위한 바이어스 전류를 형성하는 바이어스 소자로 되는 레벨 검출회로, 그리고 상기 레벨 판정회로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빽 바이어스 발생회로에 공급되여야 할 상기 펄스 신호를 제어하는 게이트 회로으로 된다.※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9-180534 | 1984-08-31 | ||
JP59180534A JPS6159688A (ja) | 1984-08-31 | 1984-08-31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3475A Division KR940001640B1 (ko) | 1984-08-31 | 1992-12-07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KR1019920023476A Division KR940001641B1 (ko) | 1984-08-31 | 1992-12-07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KR1019920023478A Division KR940001643B1 (ko) | 1984-08-31 | 1992-12-07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KR1019920023477A Division KR940001642B1 (ko) | 1984-08-31 | 1992-12-07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2152A true KR860002152A (ko) | 1986-03-26 |
Family
ID=1608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5597A KR860002152A (ko) | 1984-08-31 | 1985-08-03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860002152A (ko) |
DE (1) | DE3586791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33111B1 (en) | 1999-10-15 | 2003-10-14 | Lg Electronics Inc. | Electrodeless lamp using SnI2 |
-
1985
- 1985-08-03 KR KR1019850005597A patent/KR860002152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5-08-30 DE DE8585110960T patent/DE3586791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33111B1 (en) | 1999-10-15 | 2003-10-14 | Lg Electronics Inc. | Electrodeless lamp using SnI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3586791T2 (de) | 1993-04-22 |
DE3586791D1 (de) | 1992-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35634A (ko) | 셀프 리프레쉬 주기 조절장치 | |
KR970024134A (ko) | 두 차동 클록신호에 의해서 구동된 전압 발생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voltage generation circuit drove by two different clock signals) | |
KR960002354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센싱회로 및 그 방법 | |
KR880003330A (ko) | 내부회로의 동작모드를 스위치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반도체집적회로 | |
KR920017125A (ko) | 기판 전위 조정 장치 | |
KR0165988B1 (ko) | 안정된 부성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발생기 회로 | |
US4479097A (en) | Low voltage, low power RC oscillator circuit | |
KR970076846A (ko) | 지연 회로 | |
US6667662B2 (en) | Oscillator circuit of internal power generator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900002304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IE50902B1 (en) | Circuit for maintaining the potential of a node of an mos dynamic circuit | |
US6882215B1 (en) | Substrate bias generator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930020443A (ko) | 데이타 리텐션(dr)모드 컨트롤 회로 | |
KR840005888A (ko) | 반도체 기억장치(半導體記憶置裝) | |
KR19990029191A (ko) | 저전압 동작 특성이 개선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
KR860002152A (ko) |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 |
KR970063246A (ko) | 기판 전압의 크기를 모드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 장치 | |
KR100440262B1 (ko) | 온도 감지 회로 | |
US6265932B1 (en) | Substrate control voltage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 |
KR960025707A (ko) | 반도체메모리소자의 활성싸이클에서 사용되는 승압회로 | |
KR960032904A (ko) | 감지된 레벨에 따라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전압발생회로 | |
KR100228284B1 (ko) | 타이밍 시퀀스를 이용한 방전회로 | |
KR100762842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초기화 시스템 | |
KR100548569B1 (ko) | 고전압 발생기 | |
JP3425876B2 (ja) | パルス発生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8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204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7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2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1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