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0524B1 -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 Google Patents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524B1
KR850000524B1 KR8205439A KR820005439A KR850000524B1 KR 850000524 B1 KR850000524 B1 KR 850000524B1 KR 8205439 A KR8205439 A KR 8205439A KR 820005439 A KR820005439 A KR 820005439A KR 850000524 B1 KR850000524 B1 KR 85000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ece
lev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820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683A (ko
Inventor
다까아끼 아오끼
Original Assignee
다까아끼 아오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72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70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아끼 아오끼 filed Critical 다까아끼 아오끼
Publication of KR84000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2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도면은 가위의 2종류에 적용한 본 발명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1도 내지 제9도는 그 가위의 기본예이고 제10도 내지 제15도는 가위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임.
제1도는 사용상태의 외관 측면도.
제2도는 동 덮개를 연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와 반대의 방향에서 본 덮개를 연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조작레버를 폐합(閉合)시킨 상태의 외관측면도.
제6도는 선단작용 피이스를 수납한 덮개를 연 상태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정면도.
제8도는 제6도의 8-8선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그 사용상태의 외관 측면도.
제11도는 동조작레버를 폐합시킨 상태의 외관 측면도.
제12도는 작용피이스를 수납한 상태의 외관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확대 정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14-14선 확대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15-15선 축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케이스 18,34,34A : 추축(樞軸 pivot)
22,22A : 슬라이드가이드장공 28,28A : 개폐조작레버
30 : 피이스수입장홈 32,32A : 선단작용피이스
본 발명은 예컨대 가위나 프라이어, 뺀찌, 스트리퍼 등등의 수동이기(利器)나 수동공구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절단이나 기타의 여러 작업을 하는 선단작용피이스가 추축(pivot)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개폐운동되는 형태의 수동식 개폐작업용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체적 구성으로서 슬라이드가이드 장공이개구된 손에 들수 있는 커버 케이스와 그 케이스에 회동자유로 또한 항상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열리는 방법에 대한 탄압부세 상태로서 회전 가능하게 간직된 개폐 조작 레버와 그 레버의 탄압력을 감당하도록 레버와 작용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케이스에 대한 짜붙일용 추축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레버에 의하여 개폐 작용되는 선단작용 피이스로 이루어지며 레버를 그 탄압력에 버티면서 케이스내에로의 몰입(沒入) 상태로 눕힘과 동시에 그 상태에 있어서 피이스의 추축을 케이스의 가이드장공에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므로써 그 피이스도 케이스내에 몰입상태로 수납하도록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추축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개폐 운동하는 선단작용 피이스에 의하여 어떤 물품을 절단한다던가 밀어 넓힌다든가 또는 줄이거나 하는 기구의 수동식 개폐작용구는 구체적으로 각종 가위로 대표되는 수동이기를 비롯하여 프라이어나 뺀찌, 스트리퍼 등의 수동 공구로서 실제상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같은 절단이나 기타의 여러 작업에 직접 작용하는 선단작용 피이스는 예리한 날체(刀體)나 끝이 날카로운 핀 등으로서 금속재로 가공되어 있는 것이 통례이며, 그 때문에 이에 손가락이 끼워져서 부상되는 위험이 항상 따르고 있다.
예컨데 이를 가위에 대하여 말하면 종래의 가위로는 그 선단작용 피이스로 되는 절단날체와 마찬가지로 기단 아암을 이루는 그 개폐 조작레버가 연속 일체로 강성화(剛性化)되어 있으며 그와 같은 형태의 한쌍이 중도부의 추축에 의해서 회동 자유로 찌붙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위의 불사용중 그 절단날체의 한쌍은 폐합상태로 유지되지만 이것이 노출의 방임상태에 있음에는 변함이 없고 따라서 여전히 위험과 동시에 이것을 그대로 의복의 포켓이나 백 등에 넣어서 가지고 다니기에도 부적당하다.
이점 만약 그 폐합상태가 고정록 되는 기구를 갖춘 가위라 하다라도 그 예리한 절단날체가 피포(被包)되어 있지 않는 한 역시 안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사용하지 않을 동안이나 휴대하고 다닐때는 가위 전체를 그 점포 판매상태와 같이 케이스 내에 완전하게 수납하던가 또는 그 절단날체만을 날집등에 의해서 싸는 것이 생각될 수 있으나 그러나 그 케이스나 날집동은 어디까지나 가위 자체와는 전혀 별개 물체이며 그 때문에 이들을 특별히 제작 준비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만약 이것들을 부속품으로서 마련하였다 하여도 이에 대한 가위의 출납 조작이 번거롭고 성가시어 흔히 분실되어 버리게 된다.
더우기 케이스나 날집에 수납하였다 하더라도 그 가위 전체의 크기는 조금도 소형 콤팩트화(化)되지 않고 오히여 반대로 부피가 커지게 됨과 동시에 그 케이스나 날집 동의 내부에 있어서 가위의 유동(游動)이 일어나 특히 휴대하는데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의 해결에 도움이 되는 수동식 개폐작업용구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가위로 대표되는 수동이기나 기타의 수동공구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절단이나 기타의 여러작업에 직접 작용하는 선단작용 피이스가 일정한 추축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 운동되는 형태의 수동식 개폐 작업용구를 그 발명의 대상 또는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1로 상기의 절단날체동으로서 구체화 되는 선단작용피이스를 그 개폐조작레버와 별개물체로서 만들고 그 피이스와 레버를 모두 손에 들수 있는 커버케이스내에 몰입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짜붙이므로써 별개로된 전용의 포장케이스나 날집동을 일체 필요로 하지 않고 극히 안전하게 또한 소형콤팩트한 이른바 절첩한 상태인채로 아주 편리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한점에 있다.
제2목적으로 하는바는 선단작용 피이스와 그 개폐조작레버를 커버케이스로부터 항상 돌출하여 열리는 방향에 대한 탄압부세 상태로 하여 작용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케이스에의 짜붙임용으로 되는 피이스의 추축을 케이스의 슬라이드가이드 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써 케이스를 쥐고 있는 조작손의 손 끝으로 그 피이스의 추축을 그저 단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케이스에 대한 피이스와 레버의 몰입상태와 그 돌출한 상태를 경쾌하게 정확히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또한 제3목적으로 하는 바는 피이스의 개폐조작레버를 커버케이스겸용의 한쌍으로 하여 그 눕혀진 상태로 폐합된 대향하는 상호간에 슬라이드가이드 장공을 구획 게구시켜 그 가이드 장공에 따라서 피이스의 추축을 슬라이드시키므로써 상기 목적의 달성상 별개의 커버케이스도 불필요하게 하고 그 양산효과를 최대한으로 기대할 수 잇도록 하는 점에 있다.
기타의 목적은 본발명의 구체적 구성과 함께 하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저절로 명백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 도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면 도면은 본 발명을 가위에 적용 구체화시키고 있으며 그 기본형태를 표시한 제1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10은 한손으로 쥘수 있을 정도의 그립기능을 겸한 커버 케이스이고 금속이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이것에는 착색이 가해지는 일도 있다. 이 케이스(10)는 제2분할체(分割體)로부터 실질상 합장(合掌)상태로서 짜붙여져 있으며 그 중공(中空) 내부에 후술하는 선단작용피이스와 그 개폐조작레버를 모두 몰입상태로 하여 받아들여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12는 그 2분할체의 한쪽을 이루는 케이스본체, 14는 마찬가지로 다른쪽을 이루는 덮개체이며 그 양자는 복수(도면에서는 합계 3개)의 같은 비스(16)에 의해서 붙이고 때기 자유로 짜붙여 일체화되어 있다.
그 비스(16)는 모두 케이스본체(12)와 덮개체(14)로부터 각각 내향수평으로 일체 돌설된 축통부에 나사식으로 넣어져 있으나 그 경우 케이스(10) 자체의 전부(前部)에 위치하는 상하 한쌍의 비스(16)를 받아들여야할 2개의 축통부가 후술하는 조작레버의 회동추축(18)으로서 겸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스(18)를 뽑아 제거하였다 해도 레버는 이 추축(18)으로부터 즉시 탈락되지 않고 따라서 조립, 분해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가 있다.
20은 케이스본체(12)의 측벽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가이드 요(凹)홈이며 케이스(10) 자체의 길이 중심선상에 있어서 가늘고 길게 뻗어 있다. 22는 덮개체(14)의 측벽에 관통개구된 슬라이드장공으로서 역시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가이드요홈(20)과 바르게 대향하여 서로 평행하고 있다. 이 가이드요홈(20)과 가이드장공(22)의 개구 길이는 모두 후술하는 작용피이스를 케이스(10)의 내부에 몰입(沒入)시키는데 족할 정도의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케이스본체(12)와 덮개체(14)와의 짜붙임에 의하여 형성된 케이스(10)의 상하 양벽에는 레버출몰(出沒)구(24)가 또 마찬가지로 전벽에는 피이스출몰구(26)가 각각 구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동분된 케이스본체(12)의 덮개체(14)에 의해서 케이스(10) 자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설명의 구별상, 한쪽을 케이스본체라고 칭하고 다른쪽을 덮개체로 이름붙이고 있으나 예컨데 그 한쪽을 말하자면 깊은 복스형태로 하고 다른쪽을 단순한 평판형태로 하여 같은 케이스로 만들어도 된다. 또 그 양쪽을 좌우 대칭한 똑같은 형태로 하고 상기 가이드요홈(20)을 가이드장공(22)과 완전히 똑같이 관통상태로 해서 개구시켜도 된다.
어떻든간에 후술하는 작용피이스와 그 조작레버는 케이스(10)의 짜붙임과 함께 짜붙여서 케이스본체(12)와 덮개체(14)에 의해서 말하자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여진 형태로 되어 탈락되는 일이 없다.
또 28은 역시 금속이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한쌍의 개폐조작레버로서 모두 그 전단부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상기추축(18)에 회동자유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케이스(10)의 축통부로 이루어진 추축(18)을 사용하지 않고 예컨데 레버(28)의 전단부를 원호면으로 형성하고 이를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전벽의 원호상내면에 상시 접촉시키므로써 레버(28)를 케이스(10)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간직시켜도 지장은 없다.
레버(28)의 한쌍은 동일한 단면 U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서로 상하의 반대방향상태로서 케이스(10)에 대향하도록 짜붙여져 있다. 따라서 그 단면 U자형의 개방부분이 한쪽의 레버(28)에서는 아래쪽을,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레버(28)에서는 위쪽을 각각 지향하고 있게 된다.
30은 마찬가지로 레버(28)의 단면 U자형을 이룬 한쪽면 측벽부에 관통 개구된 피이스 수입(受入) 장홈으로서 레버(28) 자체의 길이방향에 따라 뻗어있다. 이것에는 피이스의 후단부가 계탈(係脫) 자유로 또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32는 가위의 절단날체를 이룬 한쌍의 금속제 선단작용 피이스로서 그 전부에 가공된 날끝에 의해서 목적물을 절단한다. 34는 피이스(32)의 한쌍을 케이스(10)에 짜붙이기 위한 추축으로서 그 X자형으로 교차하는 중도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피이스(32)는 회동한다. 36은 피이스(32)의 후단부에 L자형으로서 연속적으로 굴곡된 결합아암이며, 레버(28)의 상기 수입장홈(30)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있다.
38은 양피이스(32)를 항상 확개(擴開)시키는 방향으로 탄압부세하는 헬리컬(Helical) 스프링이며, 피이스(32)의 추축(34)에 휘감겨져 있음과 동시에 그 분리된 양단부가 양 피이스(32)의 후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걸어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탄압력은 그대로 레버(28)에도 미치게 되어 한쌍의 레버(28)도 항상 케이스(10)로부터의 돌출되어 열리는 방향으로 탄압부세되어 있게 된다. 요컨데 피이스(32)와 그 개폐조작레버(28)는 애당초 별개후테임에도 불구하고 작용적으로 연동연결되어 있는 셈이다.
상기 피이스(32)의 회전축(34)은 각상두부(角狀頭部)가 붙은 보울트(40)와 이에 나사맞춤하는 캡너트(42)로 이루어진 나사체결체(締結體)로서 케이스(10)내를 횡단하고 있다. 그 경우 보울트(40)의 각상두부는 케이스본체(12)의 상기 가이드요홈(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또 캡너트(42)의 합성수지제 손잡이부분은 덮개체(14)의 가이드장공(22)으로부터 도출되므로써 외부에서 이를 손끝으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던가 또는 보울트(40)에 대하여 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추축(34)을 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22)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슬라이드 조작하므로써 피이스(32)가 케이스(10)에 대한 몰입상태와 돌출상태와의 상호 변환되도록 되어 있는 셈이다. 그 각상태에 있어서 보울트(40)에 대하여 캡너트(42)를 죄이므로써 그 손잡이부분을 케이스(10)의 측벽외면으로 압착시켜 상기 슬라이드 작용을 할 수 없게 고정토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거하여 그 가위의 개폐작용을 설명하면 그 사용상태에서는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피이스(32)와 그 개폐 조작레버(28)가 모두 헬리컬 스프링(38)의 탄압력을 받아서 케이스(10)로부터의 돌출되어 열리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케이스(10)를 쥔 손으로 그대로 레버(28)를 조작하고 이에 의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피이스(32)를 개폐시커서 목적물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그리고 휴대나 격납등을 함에 있어서는 제5도의 상태에서 제6도의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레버(28)를 꽉 쥔 손의 손끝으로 그대로 피이스(32)의 추축(34)을 케이스(10)의 가이드장공(22)에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그렇게하면 피이스(32)는 레버(28)의 피이스 수입장홈(30)과 결합되어 폐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케이스(10)내에 몰입상태로 슬라이드하여 이로서 케이스(10)내에 완전히 수납되게 된다. 이 경우 피이스(32)와 레버(28)는 전자의 결합아암(36)과 후자의 가이드장홈(30)을 통하여 항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01)에 대한 레버(28)의 몰입상태로 이 피이스(32)에 의해서 고정록 되게 된다. 따라서 그 가위자체가 말하자면 포장케이스를 미리 가지고 있는 것으로 되어 아주 안전한 상태로 격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대로 의복의 포켓이나 백등에 넣어서 위험없이 가지고 다닐 수가 있다.
반대로 제6도 내지 제9도의 불사용상태에서 제1도 내지 제5도의 사용상태로 변환함에 있어서는 상기 피이스(32)의 추축(34)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된다. 그렇게하면 레버(28)와 피이스(32)의 모두가 헬리컬 스프링(38)의 탄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동시에 케이스(10)로부터의 돌출되어 열리는 상태가 얻어진다. 어떻든간에 한손의 손끝에 의한 이른바 원터치의 경쾌한 조작으로 케이스(10)에 대한 피이스(32)와 레버(28)의 몰입상태와 그 돌출상태를 원활하게 정학하게 변환할 수가 있는 셈이다.
제10도 내지 제15도는 변형형태의 가위를 표시하고 있으며, 그 구성상 제1도 내지 제9도의 상기 기본형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첫째로 여기에서는 커버케이스(10)를 생략하고 그 케이스(10)의 기능을 레버(28A)에 겸비(兼備)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양 레버(28A)의 폐합상태에 있어서의 윤곽(輪郭) 형상을 상기 케이스(1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정하고 그 대향하는 상호간에 피이스(32A)의 추축(34A)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가이드장공(22A)을 관통개구 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본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케이스본체(12)의 슬라이드 가이드요홈(20)은 이 변형 형태에 있어서 관통개구 상태의 가이드장공(22A)으로서 치환되어 있는 것으로 되나 그러나 그 작동은 서로 동일하다.
두번째로 이에 따라서 피이스(32A)의 추축(34A)을 이루는 보울트(40A)는 외부에 대한 노출상태에 있으며 그 두부(頭部)가 캡너트(42A)의 손잡이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레버(28A)의 측벽 외면에 압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변형 형태의 추축(34A)도 나사체결체로 이루어짐에는 변함이 없고 역시 그 너트(42A)를 죄이므로써 피이스(32A)의 슬라이드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고정록 할 수가 있다.
셋째로 이 변형 형태에서는 케이스(10)를 겸한 레버(28A)의 한쌍이 그 전단부에 있어서 판스프링(38A)에 의하여 회전 지지 연결되어 있으며 더구나 이 스프링(38A)에 의해서 양 레버(28A)에 확개하는 방향으로의 탄압부 세력이 항상 부여되고 있다.
그 경우 레버(28A)와 피이스(32A)는 상기 기본형태와 같게, 역시 전자에 대한 후자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스프링(38A)의 부세력은 피이스(32A)에도 미치게 된다. 요컨데 레버(28A)와 피이스(32A)가 작용적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음에 변함은 없고 따라서 피이스(32A)의 추축(34A)을 슬라이드 조작하므로써 피이스(32A)와 레버(28A)를 한꺼번에 동시에 확개 또는 폐합작용시킬 수가 있어 그 상호 변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니 변형 형태에 있어서 기타의 구성과 작용은 제1도 내지 제9도의 기본형태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0도 내지 제15도에 제1도 내지 제9도와의 기능상 공통되는 부재 또는 부분에 유사부호(제1도 내지 제9도의 부호에 「A」의 첨자를 부기한 것)을 기입하는데 그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요컨데 본 발명에 의하면 양산할 수 있는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간소한 조립체하에서 상기한 여러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으며, 도면에 표시한 가위에만 한정되지 않고 프라이어나 뺀찌, 스트리퍼 등의 각종 작업용구에도 적용하기 쉽기 때문에 실제상 유용한 발명이라고 말할 수 있다.

Claims (4)

  1. 슬라이드 가이드 장공이 개구된 손에 들수 있는 커버케이스와, 그 케이스에 회동자유로 또한 항상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열리는 방향에 대한 탄압부세상태로서 회전지지 간직된 개폐조작레버와 그 탄압력을 받도록 레버와 작용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케이스에 대한 짜붙임용 추축(pivot)을 회동중심으로서 레버에 의하여 개폐작용되는 선단작용피이스로 이루어지며, 레버를 그 탄압수세력에 버티면서 케이스내로의 몰입상태로 눕힘과 동시에 그 상태인채로 피이스의 추축을 케이스의 가이드장공에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므로써 그 피이스도 케이스내로의 몰입상태로 눕혀서 수납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개폐작업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작용피이스의 개폐조작레버를 커버케이스 겸용의 한쌍으로 하여 그 눕혀진 상태로 폐합된 대향하는 상호간에 슬라이드가이드 장공을 구획 개구시켜 그 가이드 장공에 따라서 피이스의 추축을 슬라이드시키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개폐작업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선단작용 피이스를 그 개폐조작레버와 작용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레버에 피이스 수입장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장홈에 피이스의 후단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개폐작업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선단작용피이스의 추축을 나사체결체(締結體)로 하고 그 죄임조작에 의하여 피이스를 슬라이드 불능으로 고정록 할 수 있도록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개폐작업용구.
KR8205439A 1981-12-10 1982-12-04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Expired KR850000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99724 1981-12-10
JP19972581A JPS5919707B2 (ja) 1981-12-10 1981-12-10 携帯式の開閉作業用具
JP56-199724 1981-12-10
JP81-199725 1981-12-10
JP56199724A JPS6018428B2 (ja) 1981-12-10 1981-12-10 携帯式の開閉作業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683A KR840002683A (ko) 1984-07-16
KR850000524B1 true KR850000524B1 (ko) 1985-04-17

Family

ID=1641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439A Expired KR850000524B1 (ko) 1981-12-10 1982-12-04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8428B2 (ko)
KR (1) KR850000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274U (ja) * 1984-05-11 1985-11-28 住金物産株式会社
JPS6118766U (ja) * 1985-06-13 1986-02-03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収納ケ−ス付き握り鋏
JPS6391268U (ko) * 1986-12-03 1988-06-13
JPS6312369U (ko) * 1986-07-09 1988-01-27
JPS6376262U (ko) * 1986-11-06 1988-05-20
JPH0411014Y2 (ko) * 1986-07-15 1992-03-18
JP5512486B2 (ja) * 2010-10-12 2014-06-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ケース付き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99981A (ja) 1983-06-14
KR840002683A (ko) 1984-07-16
JPS6018428B2 (ja) 198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2220A (en) Hand-held type opening and closing action tool
US20100107421A1 (en) Convertible cutting instrument
BR8904487A (pt) Aparelho para barbear
KR850000524B1 (ko)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US4715121A (en) Grip scissors
DE3376057D1 (en) Combination tool
US20060130338A1 (en) Disposable box cutter
US3279055A (en) Barbering device comprising a comb pivotally connected and spring biased to a blade
US3581326A (en) Underwater utility tool
US5297340A (en) Parting tool
US2702940A (en) Hair clipper
US4135299A (en) Ring cutting tool
GB2190321A (en) A folding knife
JPS6012068B2 (ja) 手持ち式の開閉作業用具
US4813143A (en) Handle and knives comprising the same
US2591655A (en) Sheathed knife or like implement
US2528326A (en) Shears
US2645849A (en) Cutting instrument
US2127378A (en) Powder tool
GB606631A (en) Improvements in knives and like implements
GB105609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cket implements
US2837823A (en) Scissors with a compound blade movement
KR890006539Y1 (ko) 가 위
US2830365A (en) Hand operated dry shaver with shear plate moving means
JPS6012508Y2 (ja) 切断作業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04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041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