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6539Y1 - 가 위 - Google Patents

가 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39Y1
KR890006539Y1 KR2019870011083U KR870011083U KR890006539Y1 KR 890006539 Y1 KR890006539 Y1 KR 890006539Y1 KR 2019870011083 U KR2019870011083 U KR 2019870011083U KR 870011083 U KR870011083 U KR 870011083U KR 890006539 Y1 KR890006539 Y1 KR 890006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air
edge
scissors
op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136U (ko
Inventor
히데후미 아마가야
Original Assignee
프라스 가부시기가이샤
이마이즈미 요시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280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36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699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626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86608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1268U/ja
Application filed by 프라스 가부시기가이샤, 이마이즈미 요시히사 filed Critical 프라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3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05Pocket or folding scis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 위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가위의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저면도.
제3도는 제2도 Ⅰ-Ⅰ'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 Ⅱ-Ⅱ'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 Ⅲ-Ⅲ'선 단면도.
제6도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7도는 사용상태시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조작자루 2 : 제2조작자루
3 : 지지축(支軸) 5 : 수납공간
5' : 구멍이 트인곳 6, 7 : 걸림가장자리
8 : 경사가장자리 11, 11' : 칼날체
14 : 주축(主軸) 15, 15' : 잘려진홈
16 : 스프링 17, 18 : 긴구멍
19 : 선단걸림 가장자리 20 : 잘려진부분
22 : 걸어맞춤 가장자리
본 고안은, 가위를 사용할시에는 가위의 칼날체(刀 體)를 조작자루(操作 柶)에서 인출하고,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조작자루안에 거두어들여 휴대하기 편리하게 만든 가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위는 조작자루의 선단이 칼날체를 일체로 하여 연달아 설치하므로 휴대시 칼날체에 의하여 손상을 받을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주머니 또는 상자등의 수용 용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며 취급도 편리한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써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가위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표시한 부호(1)은 제1조작자루, (2)는 제2조작자루이다.
제1, 제2의 각 조작자루(1)(2)는 제1조작자루(1)의 뒷부분에 설치한 지지축(3)에, 제2조작자루(2)를 관통시킨 나사(4)의 선단을 나사맞춤하여 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원추형으로 접합한 것이다.
제1조작자루(1)의 내면, 즉 제2조작자루(2)측의 한쪽면에 조작자루(1)(2)의 선단측을 구멍이 트인곳(5')에 수납공간(5)를 마련하여, 그 수납공간(5)을 구성하며, 서로 평행하는 한쌍의 걸림 가장자리(6)(7)의 한쪽(6)의 전기한 구멍이 트인곳(5') 가까이를 바깥쪽으로 넓게 펴지게하는 경사 가장자리부(8)로 하고 있다.
또, 다른쪽의 걸림가장자리(7)의 앞쪽 가까이와 뒷쪽 가까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투시구멍(9)(9')을 설치하고, 그 투시구멍(9)(9')에는 전기한 제1조작자루(1)에 멈춤된 스프링판(10)의 부편(10a)(10b)를 끼워 넣어 전기한 수납공간(5)에 돌출시키고 있다.
스프링부편(10a)(10b)는 한쪽의 칼날체의 옆가장자리(11a)에 설치한 오목한 가장자리(12)에 걸어맞추어서, 가위부재(13)의 수납시와 조작자루(1)(2)에 의해서 돌출시켜 사용할때의 각각 위치결정을 기능하는 것이다.
가위부재(13)은 후부에서 전기한 제1, 제2의 조작자루(1)(2) 사이에 걸쳐진 주축(14)에 의하여 선단측을 개폐가 자유로운 원추형 접합한 한쌍의 칼날체(11)(11')로 구성하고, 칼날체(11)(11')의 옆가장자리(11a)(11'a)에 형성한 잘려진홈(15)(15')에 스프링(16)의 끝부분을 걸고, 이 스프링(16)에 의하여 칼날체(11)(11')의 선단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고 있다.
가위부재(13)은 제1조작자루(1)에 설치한 전기한 수납공간(5)에 스프링(16)에 의한 더해지는 힘이 전기한 걸림가장자리(6)(7)에 의하여 규제되어 끼워지게 되며, 그 가위부재(13)의 너트부재(14a)와 나사부(14b)로 구성한 전기한 주축(14)를 제1, 제2의 각 조작자루(1), (2)에 설치한 긴구멍(17)(18)에 각각 걸어맞춤하고, 제1 조작자루(1)측에 노출시킨 주축너트부재(14a)의 머리부분(14a')를 조작부로서 긴구멍(17)(18)에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게하고, 전기한 가위부재(13)의 수납공간(5)로 수납 및 튀어나옴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한 (19)는, 한쪽의 칼날체(11')의 옆가장자리(11'a)에 걸림되는 선단걸림 가장자리로서, 선단걸림 가장자리(19)는 제1조작자루(1)에 설치한 전기한 수납공간의 구멍이 트인부분(5')의 경사가장자리부(8)측으로서, 제2조작자루(2)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한 (20)은, 그 선단걸림가장자리(19)의 근방으로 제2조작자루(2)에 설치한 잘려진 부분으로서, 잘려진부분(20)은 제2조작자루(2)의 지지축(3)을 지점으로 회전운동 방향에 따르도록 설치하고, 이 잘려진 부분(20)의 폭지름보다 큰지름인 머리부분(21')를 갖춘, 안내부재(21)를 잘려진부분(20)을 관통시키도록 하여 제1조작자루(1)에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부재 머리부분(21')는 나사로 구성되어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로 할 필요는 없고, 안내 부재(21) 전체를 나사부재로 구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도면에 표시한 (22)는, 선단걸림가장자리(19)와 반대측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하여, 제2조작자루(2)의 전기한 긴구멍(18)의 선단에 설치한 걸어맞춤 가장자리이다.
그렇게하여, 주축너트부재(14a)의 머리부분(14'a)를 조작하여 주축(14)를 긴구멍(17)(18)에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이게하면, 가위부재(13)은 수납공간(5)의 구멍이 트인부분(5')에 이동하여 수납공간(5)로부터 돌출하고 한쪽의 걸림가장자리(6)의 경사가장자리부(8)의 존재로 인하여 스프링(16)에 의하여 넓게 퍼지며, 걸아맞춤가장자리(22)에 주축(14)가 걸어맞춤되고, 오목한 가장자리(12)에는 수납공간(5)의 선단축에 스프링부편(10a)가 걸어맞춤하여 가위부재(13)의 수납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걸림가장자리(7)이 한쪽의 인체(11)에 걸림되며, 또 선단 걸림가장자리(19)가 다른쪽의 칼날체(11')에 걸림된 상태로 되고, 주축(14)를 지지점으로 하여 조작자루(1)(2)를 회전운동시키므로서, 절단조작이 행해진다.
또, 너트부재 머리부분(14'a)를 조작하여 원위치에 복귀시키면 스프링부편(10b)가 오목한 가장자리(12)에 걸어맞춤하여 가위부재(13)의 수납공간(5)로부터 돌출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된다.
더우기, 도면에 표시한 것은 조작자루(1)(2)안에 스테이플러(30), 칼(31), 림바(remove)(32) 혹은 도면에 표시하지 않고 있지만 펀치, 렌즈, 줄자, 접착테이프등을 수납이 자유롭게 넣은 다목적 사무구에 본 고안을 실시한 것이고, 도면에 표시(33)은 펀치의 천공간, (34)는 제2조작자루(2)측의 커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구성이므로, 필요에 따라 칼날체를 조작자루에서 돌출시켜 사용할수가 있고, 또 조작자루에 칼날체를 수납하여 휴대할수도 있다.

Claims (5)

  1. 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한 한쌍의 조작자루(1)(2)사이에, 그 조작자루의 선단에서 돌출시켰을때, 스프링(16)에 의하여 넓게 퍼지게 하고, 그리고 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한 한쌍의 칼날체(11)(11')를 미끄러져 끼워놓고, 각 조작자루(1)(2)에는 각각 조작자루에 대응하는 한쪽의 칼날체(11)(11')에 걸림하여 전기한 칼날체(11)을 압압하는 걸림 가장자리(6)(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조작자루(2)의 선단측에 조작자루 회전운동방향에 따라 잘려진부분(20)을 설치하고, 그 잘려진 부분(20)의 폭지름보다 큰지름 머리부분(21')를 갖춘 안내부재(21)를 이 잘려진부분(20)을 관통시키도록하여 다른 한편의 조작자루(1)에 튀어나오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칼날체(11)(11')의 옆가장자리(11a')에 잘려진홈(15)(15')를 설치하고, 그 잘려진홈(15)(15')에 칼날체(11)(11')를 넓게 퍼지게 하는 스프링(16)의 끝부분을 걸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제1항에 있어서, 조작자루(2)의 한쪽면에, 조작자루(1)(2) 선단측을 구멍이 트인곳(5')에 수납공간(5)을 설치하고, 그 수납공간(5)의 후부로부터 전기한 구멍이 트인곳(5')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는 한쌍의 걸림가장자리(6)(7) 사이에 한쌍의 칼날체(11)(11')를 미끄러져 끼움과 동시에, 전기한 걸림가장자리(6)(7)의 한쪽(6)의 전기한 구멍이 트인곳(5') 가까이를 바깥쪽으로 넓게 퍼지게하는 경사가장자리부(8)로 이루고, 이 경사가장자리부(8)측에 있어서 칼날체(11')의 옆가장자리(11'a)를 걸림하는 선단걸림가장자리(19)를 조작자루(2)의 선단에 설치하고, 더욱 칼날체(11)의 주축(14)를 각 조작자루(1)(2)에 각각 설치한 긴구멍(17)(18)에 걸어맞춤하고, 전기한 조작자루의 다른 한편에 설치한 긴구멍(18)의 선단측에 전기한 주축(14)가 걸어맞춤되고, 그리고 그 조작자루에 설치한 전기한 선단걸림가장자리(19)의 반대축에 오목하게 들어가는 걸어맞춤 가장자리(2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한쌍의 조작자루(1)(2)를 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하는 지지축(3)은 한쌍의 칼날체(11)(11')의 후방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2019870011083U 1986-07-09 1987-07-07 가 위 Expired KR8900065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28086U JPS6312369U (ko) 1986-07-09 1986-07-09
JP???61-105280 1986-07-09
JP17069986U JPS6376262U (ko) 1986-11-06 1986-11-06
JP???61-170699 1986-11-06
JP1986186608U JPS6391268U (ko) 1986-12-03 1986-12-03
JP???61-186608 1986-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136U KR880002136U (ko) 1988-04-07
KR890006539Y1 true KR890006539Y1 (ko) 1989-09-28

Family

ID=2731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083U Expired KR890006539Y1 (ko) 1986-07-09 1987-07-07 가 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5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136U (ko) 198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1725A (en) Sheathed scissors
US4703560A (en) Locking knife apparatus
CA2499895C (en) Disposable blade cartridge utility knife
US4744146A (en) Adjustable-blade safety knife with carton-cutting guide
US2730800A (en) Safety paper box cutter
US5195544A (en) Nail catcher case
US8099868B1 (en) Disposable blade cartridge utility knife
US2245096A (en) Cutting implement
US8950077B2 (en) Utility knife apparatus with blades having multiple cutting portions
KR890006539Y1 (ko) 가 위
US20060130338A1 (en) Disposable box cutter
US3581326A (en) Underwater utility tool
US20150328791A1 (en) Utility Knife
US4182033A (en) Scraper assembly
US2839827A (en) Nail clipper
GB2190321A (en) A folding knife
KR850000524B1 (ko) 수동식 개폐작업 용구
US11247359B2 (en) Safety knife
US3299449A (en) Carton opening tool with slidable cutting means
JPS6012068B2 (ja) 手持ち式の開閉作業用具
ATE150278T1 (de) Messergriff
US1001727A (en) Manicuring implement.
JPS581463Y2 (ja) 袋口結束用封かん紐カツタ−
JP3000703U (ja) 粘着テープホルダ
JP3079681U (ja) 安全装置付きカッターナイ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7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7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8101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022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8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2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2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90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