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1081B1 -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081B1
KR830001081B1 KR1019800000920A KR800000920A KR830001081B1 KR 830001081 B1 KR830001081 B1 KR 830001081B1 KR 1019800000920 A KR1019800000920 A KR 1019800000920A KR 800000920 A KR800000920 A KR 800000920A KR 830001081 B1 KR830001081 B1 KR 83000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trichloride
aluminum
added
phosp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14A (ko
Inventor
헬무트 글레서 한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실비아고츠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실비아고츠토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01G23/07Producing by vapour phase processes, e.g. halide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사염화티타늄, 삼염화알루미늄, 삼염화인으로부터 산화에 의해서 산화티타늄을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삼염화알류미늄 존재하에 사염화티타늄을 산화시킨후 이 산화티타늄으로의 전환율이 적어도 80%이상되었을 때 여기에 삼염화인을 첨가하여 이산화티타늄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사염화티타늄이 삼염화알루미늄과 삼염화인의 존재하에 산화되었을때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이 된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다. 이때 필요량은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에 대한 무게비로 2-4%의 산화 알루미늄이 될 정도의 삼염화알루미늄이면 충분하며, 0.5-3%의 오산화인을 생성할 정도의 삼염화인이면 충분하다. 삼염화인으로 인하여 루틸화가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이것은 염화알루미늄의 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산화티타늄을 루틸형으로 제조하는 공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삼염화알류미늄량의 일정수준하에서, 반육중 동시에 삼염화인과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하는 공정에 비해서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을 더 높은 수율로 얻자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사염화티타늄을 삼염화알루미늄 존재하에서 적어도 80%이상의 사염화티타늄이 이산화티타늄으로 전환되었을 때 삼염화인에 의한 산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산화티타늄의 2-4%의 산화알루미늄이 될 정도의 삼염화알루미늄과 이산화티타늄의 0.5-3%의 오산화인이 될정도의 삼염화인이 함께 첨가된 반응실내에서, 사염화티타늄을 산소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와의 반응에 의해서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이산화티타늄의 0.1-1.5%의 산화알루미늄이 되기에 충분한 양의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사염화티타늄이 적어도 80%이상 이산화티타늄으로 전환될 때에 이산화티타늄의 0.1-0.5%정도의 오산화인이 될 정도로 충분한 삼염화인을 가하는 개량된 방법이 발견되었다. 산화는 산소나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존재하에 시행된다. 산소 또는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가스는 배관형 금속 반응조로 된 반응실에 도입되기 이전에 800-1600℃정도로 예열된 후에 도입된다. 반응조내에 결속된 산화가스와 사염화티타늄/삼염화알루미늄의 온도는 넓은 범위를 취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00-1500℃의 범위를 취한다. 삼염화알루미늄과 사염화티타늄이 반응조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서 예열된 산소와 더 효율적인 접촉이 일어날 수 있도록 삼염화알루미늄과 사염화티타늄을 첨가한다. 삼염화알루미늄과 사염화티타늄을 혼합하여 반응조내에 증기상으로 집중적으로 분사한다. 삼염화알루미늄과 사염화티타늄의 빠르고 효율적인 혼합방법은 공지된 바와같이 배출구가 있는 환형링과 측면티(tee) 혼합기를 이용하여 이룰 수 있다.
첨가되는 삼염화알루미늄의 량은 이산화티타늄의 0.1-1.5%에 해당하는 산화알루미늄이 생길 정도의 양이면 충분하다. 0.1%보다 적게 형성될 만큼의 삼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하면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광학치(potical value)는 염료의 효과가 거의 없을 만큼 떨어진다. 1.5%이상의 산화알루미늄을 생성할만한 량의 삼염화알루미늄의 사용은 별로 이점이 없다. 삼염화알루미늄의 량을 가능하면 적은 량을 사용하는 것이 금속반응조의 부식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형성시 삼염화알루미늄은 꼭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삼염화알루미늄, 삼염화인, 사염화티타늄존재하에 산화를 진행함으로서 야기되는 금속반응조의 부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삼염화인은, 반응조에 투입된 사염화티타늄이 적어도 80%이상, 바람직하게는 88-98%, 가장 적합하게는 90-94%가 이산화티타늄으로 되었을때, 반응조내에 첨가한다. 배관형 반응조 내에서 삼염화인을 첨가하는 때는 반응조의 크기와 원하는 전환율에 따라 달라진다. 내경 25.4cm의 관형반응조내에서 매시간당 7830kg의 산소와, 이산화티타늄의 1%정도의 산화알루미늄을 생성시킬만한 충분한 량의 산화알루미늄과 함께 980℃에서 반응을 진행시켰을 때 사염화티타늄의 투입구에서 1.5m되는 점에서 사염화티타늄의 92%가 이산화티타늄으로 전환되었다. 초기의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따라서 반응조내에서의 온도는 적어도 800℃는 되어야 하며 800-1500℃의 온도범위, 바람직하게는 1100-1500℃의 온도가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티타늄으로의 전환이 적어도 80%정도 일어난 후에 삼염화인 첨가시에는 일정 수준의 루틸화를 이루는데 삼염화알루미늄이 더 소량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루틸화를 조정하기가 더욱 쉽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티타늄중의 루틸화된 량은, 85-100%, 더 나은 경우에는 92-100%, 그리고 최상의 경우에는 98-100%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루틸화는 일정수준의 삼염화알루미늄과 삼염화인을 반응에서 동시에 투입하는 공정보다 더 많은 루틸화를 이룬다. 루틸화의 %는 본분야에서 잘 공지된 바와 같이 X-선 회절방법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루틸화를 더 좋게 조정할 수 있으며 삼염화알루미늄의 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금속반응조의 부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거의 완전한 루틸화를 이룰 수 있다. 거의 완전한 루틸화란 98-100%를 뜻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첨가되는 삼염화인의 량은 아산화티타늄의 0.1-0.5%의 오산화인,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의 0.1-0.3%의 오산화인을 생성하는 량이면 된다. 0.5%이상의 오산화인을 생성할만한 삼염화인의 량은 별다른 잇점을 주지 못한다. 삼염화인이 삼염화알루미늄, 사염화티타늄과 함께 첨가되면 무엇보다도 루틸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더 많은 량의 삼염화알루미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사염화티타늄 삼염화알루미늄이 첨가된 후, 사염화티타늄의 80%이상이 이산화티타늄으로 전환될 때에 삼염화인이 첨가되면, 삼염화인은 루틸화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며 따라서 일정수준의 루틸화를 이루는데 더 적은 양의 삼염화알루미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르면 생성물 이산화티타늄의 가공시 이산화티타늄 슬러리의 점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 산화반응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은 반완결 상태이다. 이산화티타늄을 제지나 판지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하기 실시예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로 제조되어야 한다. 페인트 및 플라스틱 공업에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때는 습윤 처리하여 세척, 분쇄공정을 거쳐 건조분말상으로 사용한다. 하기 실시예들의 %는 모두 중량%이다.
[실시예 1]
980℃로 예열된 산소를, 염소로 정화하고 1.76kg/cm2의 게이지 압력하에 작동되는 내경 25.4cm의 관형반응조의 한끝에서 매시간 당 7730kg정도 투입한다. 이산화티타늄의 1%정도의 산화알루미늄을 생성할만한 량의 삼염화알루미늄을 함유하고 있는 사염화티타늄류(流)를 480℃로 예열하여, 예열된 산소와 완전하고 균일한 혼합을 이루기 위하여 환형링과 티형 혼합기를 통하여 증기상으로 반응기내에 도입한다.
반응가스류(流)의 온도는 사염화티타늄과 삼염화알루미늄의 첨가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1300-1450℃가 된다. 이산화티타늄의 0.25%정도의 오산화인을 형성할만한 량을 유사한 환형링을 통하여 사염화티타늄의 92%가 이산화티타늄이 될 때에 삼염화인을 가한다. 삼염화인은 반응류를 냉각조로 이송하기 전에 고체를 제거하여 첨가한다. 고체덩어리를 제거한 반응류를 냉각한다.
이 반응은 안료크기(pigmentary size)가 100%인 루틸형 이산화티타늄을 생성하였다. 제거된 고체덩어리는 거친 20-40메쉬 크기의 이산화티타늄인데 태워서 반응조의 벽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비교예 A]
실시예 1의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와 동일조건에서 진행하되 이산화티타늄의 1%정도의 산화알루미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의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하고, 삼염화인은 첨가하지 않았다.
[비교예 B]
실시예 1의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와 동일조건에서 진행하되, 삼염화인, 사염화티타늄,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했는데 삼염화알루미늄과 삼염화인은 이산화티타늄의 1%정도의 산화알루미늄과 이산화티타늄의 0.2%정도의 오산화인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이었다.
[비교예 C]
실시예 1의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와 동일조건에서 진행하되, 1.5%의 산화알루미늄을 형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했고 0.25%의 오산화인을 형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삼염화인을 삼염화알루미늄과 함께 첨가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와 동일조건에서 진행하되, 1%정도의 산화알루미늄과 0.57%정도의 오산화인을 형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삼염화알루미늄과 삼염화인을 첨가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2, 비교예 A, B, C에서 얻은 이산화티타늄을 하기의 공정을 거쳐서 루틸형의 안료로 제조한 뒤 그 자료를 아래 표에 예시했다.
682kg의 물을 분쇄 탱크에 넣는다. 10.9kg의 분말상의 피로인산 사칼륨염을 가하고 16.4kg의 액상 AMP(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물에 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상기 공정으로 제조된 2730kg의 이산화티타늄을 슬러리를 형성하도록 20분 동안에 걸쳐 첨가한다. 이슬러리(80%가 고체)를 30분 동안 분쇄한다. 이 슬러리에 409kg의 물을 첨가하여 72%로 희석한다. 슬러리를 걸쳐서 덩어리를 제거한다. 아래 보기들은 전형적인 판지피막 형태의 광학치(녹색, 청색 조명도)로 측정하였다.
판지 피막 측정치
Figure kpo00001
[실시예 4]
(에나멜용 안료 내에서의 측정)
실시예 1에 기술된 공정을 이행하되 오산화인과 산화알루미늄이 아래에 표시된 바와 같은 %를 형성하도록, 삼염화인과 삼염화알루미늄을 충분량 첨가하였다. 이 공정에서는 4000gr의 이산화티타늄을 10ℓ의 물에 넣어 슬러리로 만든 후 60℃로 가열하였다.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pH가 9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320cc의 알루민산나트륨용액(375g의 산화알루미늄/ℓ)에 20%염산용액을 가하면서 pH를 9에 유지시켰다. pH를 20%염산용액으로 8.2로 조절하였다. 슬러리는 30분 동안 60℃에서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저항이 7000옴 될때까지 세조하여 140℃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분말상의 가루를 4등분하여 유체분쇄기에서 350g/분, 650g/분, 1100g/분, 2200g/분의 속도로 분쇄하였다. 안료 샘플들은 고광택 알키드 에나멜 내에서 측정하였다.
알키드 에나멜 측정치
Figure kpo00002
[실시예 5]
(플라스틱 내에서의 측정)
실시예 1의 공정을 이행하되 아래에 표시된 바와 같은 %의 오산확인과 산화알루미늄이 되도록 충분한 삼염화인과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하였다. 4000g이 산화티타늄을 2000ml의 물속에 분산시킨 후 물을 더 첨가하여 10ℓ로 희석시켰다.
이 용액을 교반한 후 60℃로 가열하였다. 38ml의 알루민산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였다(341g 산화알루미늄/ℓ). 염산으로 pH를 8되도록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60℃에서 30분 동안 경화시킨 후 여과하고 저항이 7000옴 될때까지 세조한 후 140℃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10메쉬 채로 걸러서 유체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샘플들은 50톤에 이르는 실제량을 실험실 공정에맞게 축소하여 제조하였다. 샘플들을 통상적 방법으로 폴리에틸렌내에 분산시켜 측정하였다.
폴리에틸렌 측정치
Figure kpo00003
[실시예 6]
(유화 광택 페인트 내에서의 측정)
실시예 1의 공정을 이행하되 아래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의 오산화인과 산화알루미늄이 되도록 충분한 삼염화인과 삼염화알루미늄을 첨가하였다. 3000g의 이산화티타늄을 10ℓ의 물속에 넣고 이슬러리를 70℃로 가염하여 여기에 30ml의 20%염산을 첨가한다. 20%염산으로 pH 7을 유지시키며 538ml의 규소한 나트륨용액을 (390g 산화규소/ℓ)첨가하였다. pH를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7.5-8.0으로 조절하였다. 이 슬러리를 70℃에서 30분동안 침지시켰다. 20%염산으로 pH를 7.5-8로 유지하며 500cc의 알루민산나트륨 용액을(360g 산화알루미늄/ℓ)첨가하였다. 이 슬러리를 70℃에서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여과하고 저항이 7000옴 될때까지 세조한 후 14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분말상의 가루를 유체분쇄기에서 분쇄하였다. 샘플들은 유화무광택 페인트 내에서 측정하였다.
측 정
Figure kpo00004
본 발명에 따르면, 삼염화인이 사염화티타늄, 삼염화알루미늄과 동시에 산화반응조내에서 투입되었을 때 보다 반응조의 부식도 적으며, 100%의 루틸형 이산화티타늄을 제조할 수 있다. 100%의 루틸형 이산화티타늄을 제지 및 관지에 사용시 탁월한 시각효과를 나타내며 낮은 슬러리 점도를 가진다. 산화로 얻는 100%의 루틸형 이산화티타늄은 습윤, 여과, 세조, 건조 및 유체분쇄공저을 거쳐 건조상으로 플라스틱공업 및 도료, 안료 공업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이산화티타늄중에 2-4%의 산화알루미늄이 생성될 정도의 삼염화 알루미늄과 이산화티타늄중에 0.5-3%의 오산화인이 생성될 정도의 삼염화인을 함께 가하여 삼염화알루미늄과 삼염화인이 존재하는 반응실내에서 사염화티타늄을 산소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와 반응시켜서 만들어지는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중에 0.1-1.5%정도의 산화알루미늄이 생성되기에 충분한 삼염화알루미늄이 존재하는 반응기에서 사염화티타늄이 적어도 80%이상 이산화티타늄으로 전환된 후에 이산화티타늄중에 0.1-0.5%정도의 오산화인이 생성되기에 충분한 삼염화인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KR1019800000920A 1979-03-05 1980-03-04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KR830001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17,342 US4214913A (en) 1979-03-05 1979-03-05 Process for producing rutile TiO2
US017342 1979-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14A KR830001814A (ko) 1983-05-19
KR830001081B1 true KR830001081B1 (ko) 1983-06-02

Family

ID=2178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920A KR830001081B1 (ko) 1979-03-05 1980-03-04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214913A (ko)
EP (1) EP0016583B1 (ko)
JP (1) JPS55121917A (ko)
KR (1) KR830001081B1 (ko)
BR (1) BR8001108A (ko)
CA (1) CA1119774A (ko)
DE (1) DE3065233D1 (ko)
FI (1) FI67359C (ko)
IN (1) IN150598B (ko)
MX (1) MX1533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197213A (en) * 1980-06-13 1983-09-30 Reed International Ltd Paint formulation water phase dispersed in an oil phase
ES2035498T3 (es) * 1989-11-13 1993-04-16 Kronos Titan-Gesellschaft Mbh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on de dioxido de titanio.
US5653793A (en) * 1995-08-01 1997-08-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iO2 slurry process
US5840112A (en) * 1996-07-25 1998-11-24 Kerr Mcgee Chemic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itanium dioxide
US5824145A (en) * 1997-05-14 1998-10-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making a photodurable aqueous titanium dioxide pigment slurry
US5824146A (en) * 1997-07-03 1998-10-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making a photodurable aqueous titanium dioxide pigment slurry using a high level of aluminum co-oxidant
US5922120A (en) * 1997-12-23 1999-07-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coated TiO2 pigment using cooxidation to provide hydrous oxide coatings
US6548039B1 (en) 1999-06-24 2003-04-15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ing aqueous titanium solutions to titanium dioxide pigment
DE60013134T2 (de) * 1999-06-24 2005-09-08 Altair Technologies Inc., Reno Herstellung von titandioxid pigmenten aus wässrigen, titanhaltigen lösungen
US6375923B1 (en) 1999-06-24 2002-04-23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ing titaniferous ore to titanium dioxide pigment
US6440383B1 (en) 1999-06-24 2002-08-27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ing aqueous titanium chloride solutions to ultrafine titanium dioxide
AU2001257372B2 (en) 2000-04-27 2005-09-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durable titanium dioxide pigment in the chloride process without wet treatment
US6569920B1 (en) 2000-08-16 2003-05-27 Millennium Inorganic Chemicals, Inc. Titanium dioxide slurries having improved stability
US6890510B2 (en) 2001-07-20 2005-05-10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 for making lithium titanate
EP1282180A1 (en) 2001-07-31 2003-02-05 Xoliox SA Process for producing Li4Ti5O12 and electrode materials
US20050239921A1 (en) * 2004-04-27 2005-10-27 Birmingham John N Preparation of organic additive-treated, pyrogenic silica-encapsulated titanium dioxide particles
US7556793B2 (en) * 2005-06-06 2009-07-07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Rutile titania catalyst carrier
US7854917B2 (en) * 2005-09-16 2010-12-21 Tronox Llc Methods of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titanium dioxide produced by the chloride process
US20070072783A1 (en) * 2005-09-26 2007-03-29 Tronox Llc Scour medium for titanium dioxide production
CN101785132B (zh) 2007-03-30 2013-09-04 爱尔达纳米公司 制备锂离子电池的方法
CN104128208B (zh) * 2014-07-24 2016-07-06 徐州工程学院 改性纳米二氧化钛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0938A (en) * 1951-09-04 1956-08-28 Nat Lead Co Preparation of vapor mixtures
US2791490A (en) * 1952-04-29 1957-05-07 Du Pont Method and means for commingling and reacting fluid substances
US2791430A (en) * 1954-12-20 1957-05-07 Thomas J King Game board apparatus
DE1211348B (de) * 1960-08-31 1966-02-24 Thann Fab Prod Che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tandioxydpigmenten in Rutilform
GB988878A (en) * 1962-01-30 1965-04-14 British Titan Products Fluidised b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itanium dioxide
US3642442A (en) * 1964-03-25 1972-02-15 Ppg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pigmentary metal oxide
US3443897A (en) * 1964-03-25 1969-05-13 Ppg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pigmentary metal oxide
GB1216471A (en) * 1967-01-26 1970-12-23 Laporte Titanium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itanium dioxide pigments
DE1667044C3 (de) * 1967-04-13 1981-01-29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feinteiliger Oxide aus Halogeniden
DE1592528C2 (de) * 1967-06-02 1982-07-01 Kronos Titan-Gesellschaft Mbh, 5090 Leverkusen Verwendung eines Rutil-Pigmentes mit hoher Vergrauungsresistenz in Schichtpreßmassen auf Melaminformaldehydbasis oder in Preßmassen auf Harnstoff- oder Melaminformaldehydbasis, welches durch Umsetzen von Titantetrachlorid mit Sauerstoff bzw. einem sauerstoffhaltigen Gas hergestellt wird
US3505091A (en) * 1968-07-29 1970-04-07 Du Pont Production of titanium dioxide pigments
GB1336292A (en) * 1970-01-15 1973-11-07 Laporte Industries Ltd Treatment of oxide pigments
US3756841A (en) * 1971-06-30 1973-09-04 Du Pont Chloride tio2 pigments suited for high solids low viscosity slurries
US3856929A (en) * 1972-08-25 1974-12-24 Du Pont PRODUCTION OF ANATASE TiO{11 {11 BY THE CHLORIDE PROCESS
DE2255826C3 (de) * 1972-11-15 1980-10-02 Bayer Ag, 5090 Leverkusen Herstellung von nicht nachcalcinierten Titandioxidpigmenten mit hoher Vergrauungsstabilität für Harzkompositionen
US4097301A (en) * 1977-03-30 1978-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le chloride process anatase slur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50598B (ko) 1982-11-13
MX153387A (es) 1986-10-07
BR8001108A (pt) 1980-10-29
FI800663A (fi) 1980-09-06
US4214913A (en) 1980-07-29
DE3065233D1 (en) 1983-11-17
JPS55121917A (en) 1980-09-19
CA1119774A (en) 1982-03-16
EP0016583A3 (en) 1980-10-15
EP0016583A2 (en) 1980-10-01
JPS649245B2 (ko) 1989-02-16
FI67359B (fi) 1984-11-30
EP0016583B1 (en) 1983-10-12
KR830001814A (ko) 1983-05-19
FI67359C (fi) 198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081B1 (ko) 루틸형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
AU2015314215B2 (en) Red iron-oxide pigments with improved colour values
CA1061989B (en) Production of ceria
US411514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igmentary bright primrose yellow bismuth vanadate
JP2014511429A (ja) 二酸化チタン顔料および製造方法
CN1234614C (zh) 粒状赤铁矿微粒的制造方法
GB2044238A (en) Fe2 o3 pigments
CA2588982C (en) Yellow iron oxide pigments
US4067747A (en) Production of improved chromium oxide green pigment
US2549261A (en) Calcium sulfate-extended titanium dioxide pigments
JP4182669B2 (ja) 粒状ヘマタイト粒子粉末の製造法
US3307906A (en) Silica pigments and preparation thereof
US2786777A (en) Silica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US3372046A (en) Silica pigm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4617061A (en) Mixed phases having the composition Bi2-x Crx O3
GB1585524A (en) Pigmentary bright primrose yellow monoclinic bismuth vanadate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350960A (en) Production and acid treatment of hydrous chromic oxide
JPH01229073A (ja) 新規な耐酸化性、耐熱性酸化鉄黒色顔料、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の使用
CN108779341A (zh) 红色氧化铁颜料在水性制剂中的用途
US3677783A (en) Calcined molybdated zinc oxide pigment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2209899A (en) Manufacture of pigments
SU81914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красок из вод-НыХ пигМЕНТНыХ СуСпЕНзий
US3433660A (en) Spray drying carbon black
Glaeser et al. Process for Producing Rutile TiO2
US2413799A (en) Production of calcium sulf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503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80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3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3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