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10001785B1 -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 Google Patents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85B1
KR810001785B1 KR7700231A KR770000231A KR810001785B1 KR 810001785 B1 KR810001785 B1 KR 810001785B1 KR 7700231 A KR7700231 A KR 7700231A KR 770000231 A KR770000231 A KR 770000231A KR 810001785 B1 KR810001785 B1 KR 81000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ring
case
casing ring
c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70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커 에리히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파우허
불로바 워치 컴페니 인코포레이티드, 뉴욕, 필리알레 비일
페터 쉬르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파우허, 불로바 워치 컴페니 인코포레이티드, 뉴욕, 필리알레 비일, 페터 쉬르히 filed Critical 에리히 파우허
Priority to KR770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8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4Mounting the clockwork in the case; Shock absorbing moun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링과 시계구동부가 설치된 열려진 손목시계케이스의 부분절단된 배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에 의한 평면에서 취한 횡단면도.
제3도는 케이싱링의 제1의 실시예의 전방 입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링의 제2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5도는 케이싱링의 제2의 실시예의 전방입면도.
본 발명은 시계용 케이싱링에 관한 것이며, 특히 케이스속에 고정되는 시계구동부를 둘러싸며 구동부의 크기를 케이스의 크기에 맞추는 케이싱링에 관한 것이다.
시계를 대량 생산하는데 있어서, 직경이 꼭 맞는 구동부와 케이스를 제공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보다 큰 직경을 지니는 케이스속에 시계구동부를 고정시키도록 주어진 외경을 가진 시계구동부를 제공한다. 또는, 이러한 시계구동부가 그 외경보다 큰 여러 가지 크기의 내경을 지니는 케이스속에 고정된다. 다른 경우에는, 같은 내경을 지니는 케이스속에 여러 가지 크기의 외경의 시계구동부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시계구동부의 외경과 이것이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경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시계구동부를 둘러싸는 케이싱링을 제공하고 관계되는 케이스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시계구동부에 부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싱 링은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시계구동부와 시계케이스를 일치시키는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하다. 또한, 이러한 케이싱링의 구성은 많은 경우에 시계구동부와 시계케이스가 타원형이거나 다른 형태이기 때문에 이들이 반드시 원형이 아니라는 것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공지의 형태의 케이싱링에서 발생하는 단점은 많은 시계케이스가 시계구동부의 기계적인 정지장치, 전기스위치 또는 다른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작동부재로서 작동하는 푸시버튼과 다른 형태의 구동 또는 조절 장치와 결합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푸시버튼을 지니는 시계케이스에서, 작동부재의 운동을 시계속의 작동 요소부에 전달하게 푸시버튼 또는 작동부재와 시계속의 작동요소부를 작동하게 연결시키도록, 공지의 형태의 케이싱링은 케이싱링을 통과하고 작동요소부와 연결하기에 충분한 적당한 길이의 푸시핀을 지니는 버튼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사항은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할 뿐 아니라 특수한 방법에 의해서 케이스속에 고정되는 돌출 다이얼을 지니는 시계구동 구조물에서는 매우 불편하다.
또한, 공지의 형태의 케이싱링은 푸시핀에 고정되지 않는 보조슬라이딩핀에 의해 케이스속에 설치된 작동부재 또는 푸시버튼의 운동을 시계구동부의 관계되는 작동요소부에 전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다른 기술적인 문제를 야기시키며 다른 길이의 보조슬라이드핀의 부품을 제공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은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공지의 형태의 링의 결점을 제거하고 보조핀 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시계케이스속에 설치된 푸시버튼 또는 작동부재를 케이스속에 고정된 시계 구동부의 작동요소부와 작동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케이싱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와 시계구동부의 크기를 일치시키고 시계구동부의 작동요소부와 케이스속에 설치된 작동부재 사이의 중간작동 연결부로서 작동하는 시계구동부를 위한 케이싱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목적들은 시계구동부가 고정되는 케이스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지니는 시계구동부를 둘러싸며 케이스의 내경과 일치되게 시계구동부의 외경을 효과적으로 확정시키는 케이싱링에서 얻어진다.
케이스에는 조절 또는 다른 작동기능을 수행하는 시계구동부의 작동요소부와 연결되는 작동부재가 설치된다. 케이스속의 작동부재와 시계구동부의 작동요소부 사이에 삽입되는 링의 일부분이 링의 주 평면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작동부재의 운동을 작동요소부에 전달하도록 그 사이의 중간연결부로서 작동한다.
제1도, 2 및 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링이 도번 1로서 도시된다.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링 1이 전자시계구동부 10을 둘러싸며 이러한 구동부의 외경을 확정시키어 구동부가 삽입되는 시계케이스의 내경과 일치하게 한다. 전자시계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기계적인 시계의 구동부에도 사용가능하다.
제1도 및 2도로부터 명백하듯이, 구동부 10이 시계케이스 5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지니며 케이싱링 1이 케이스속의 구동부의 위치를 안정시키도록 그 사이에 삽입된다. 구동부의 전방표면이 유리판 7로서 덮혀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덮개 6이 시계를 고정시키는 작용등 몇가지 기능을 갖는다.
시계구동부는 전자회로를 폐쇄시키는 작동요소부를 지니며 이러한 요소부는 절연판 12에 고정되어 연장하는 평판금속스프링 13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스프링 13의 자유단은 그 내측면에 접점 14를 지니며 이것은 스프링 13이 안으로 굽혀지면 스위치 작용을 야기시키도록 금속기저판 11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 13의 고정단은 절연판 12 위의 도전성 인쇄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접점 14의 반대편의 외측면 위의 스프링 13의 자유단은 절연재료로 제작된 푸시부품 15를 지닌다.
케이스 5 속에 드릴가공된 구멍속에 누름버튼 9를 지니는 원통형 슬리이브 8이 삽입된다. 버튼 9가 평소에 제1도에 도시한 비작동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버튼 9를 스프링 바이어스시키는 장치가 설치된다(도시 안됨) 누름버튼 9가 볼펜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해서 눌러지면, 버튼의 헤드가 스프링 13을 굽히게 작동하여서 접점 14를 이후에 설명되듯이, 조절 또는 몇 가지 다른 기능을 이행하도록 금속기저판 11과 결합시킨다. 따라서, 스위치작용은 초침의 작은 편차를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계케이스 5의 내부벽 근처에 놓이는 누름버튼 9의 헤드로부터의 운동을 가요성 스프링 13의 푸시부품 15에 전달하도록, 누름버튼 9와 푸시부품 15 사이에 삽입된 케이싱링 1의 부분은 가요성 설부(舌部) 2를 지닌다. 이러한 설부는 링 1의 주평면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설부 2는 케이싱 링 1의 몸체의 L형 절단부에 의해서 제공되고 절단부는 설부 2 아래에 작은 높이의 링 브리지 4를 만든다. 제1도에서 가장 잘 도시되듯이, 설부 2는 푸시패드 3을 형성하는 설부의 비교적 두꺼운 자유단을 제외하고는 그 가요성을 향상시키게 케이싱 링 1의 몸체보다 얇게 이루어진다.
푸시패드 3은 스프링 13 위의 푸시부품 15와 누름버튼 9의 헤드 사이에 놓이고 그 사이의 중간연결부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누름버튼 9가 내부로 눌러지면, 이러한 운동이 푸시패드 3에 의해서 푸시부품 15에 전달되어 스프링 13이 굽혀지고 요구되는 스위치 폐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싱 링 1이 시계구동부와 이것이 설치되는 케이스의 다른 크기의 직경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구동부의 작동요소부와 케이스 속에 설치된 작동부재 사이의 중간연결부로서 작동하여서 조립작업을 복잡하게 하는 보조핀 또는 다른 특수한 연결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4도와 5도에서 도시된 케이싱 20링에서는, 화살표 A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으로의 누름버튼 또는 다른 작동부재의 운동을 링에 의해서 감싸인 시계구동부의 작동요소부에 전달하는 이러한 링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중간연결부가 얇은 두께의 한 쌍의 긴 연장아암 21과 22를 만드는 링의 상부 및 하부절단에 의해서 제공되고 이러한 아암의 단부는 비교적 두꺼운 푸시패드 23에 의해서 연결된다.
아암 21과 22가 링의 몸체보다 두껍기 때문에, 이러한 아암은 가요성이며 푸시패드 23을 A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방향은 링의 주 평면의 방향이다. 이러한 푸시패드는 제1의 실시예의 푸시패드 3과 같은 중간연결부 기능을 이룬다. 아암 21과 22 및 패드 23은 저렴한 가격의 단일링을 제공하도록 몸체링 1과 일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계용 케이싱 링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많은 변경과 수정이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케이싱링의 외부직경과 일치하는 내부직경을 갖는 시계케이스 속에 시계구동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시계 구동부를 둘러싸고 그 직경을 확장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링이 합성플라스틱재료로서 제조되고 링의 주평면에 평행하게 굽혀지고 링의 몸체와 일체인 회전가능한 연결부를 지니며 상기 연결부는 시계케이스의 작동부재로부터의 운동을 시계구동부의 작동요소부로 전달하는 푸시패드를 구성하는 두꺼운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얇은 두께의 가요성 부분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링.
KR7700231A 1977-02-05 1977-02-05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Expired KR81000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231A KR810001785B1 (ko) 1977-02-05 1977-02-05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231A KR810001785B1 (ko) 1977-02-05 1977-02-05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85B1 true KR810001785B1 (ko) 1981-11-13

Family

ID=1920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231A Expired KR810001785B1 (ko) 1977-02-05 1977-02-05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7347A (en) Simplified actuating switch for electronic timepieces
CA1073684A (en) Dual function pusher and rotate switch for solid state digital watches
JP4351302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時計
US3911666A (en) Actuating mechanisms for wrist instruments
KR810001785B1 (ko)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US4117662A (en) Watches
JPH0636039B2 (ja) 時計の制御装置
US4367383A (en) Push button mechanism with locking device for two stable positions
US2428172A (en) Mechanism for precision switches
GB648682A (en) Electric snap switch
KR100758753B1 (ko)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GB1560225A (en) Watch movement casing ring
DE59606479D1 (de) Elektrisches Schaltgerät
US4157646A (en) Alarm switch and alarm set device
US4400095A (en) Push button assembly for a watch
JPS5848758Y2 (ja) 小型電子機器におけるタッチスイッチ装置
FR2448215A1 (fr) Dispositif d'ensemble d'actionnement manuel de contacts pour une montre electronique
GB1392709A (en) Electrical switches
US1929793A (en) Switch
KR910002724Y1 (ko) 누름버턴 스위치
JPS6028018Y2 (ja) 腕時計用スイッチ構造
JPS5855604B2 (ja) デンシドケイニオケルスイツチソウチ
KR800001363Y1 (ko) 램프가 부설된 버튼 스위치
KR910005408Y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S6453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70205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11013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