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8753B1 -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 Google Patents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753B1
KR100758753B1 KR1020000056914A KR20000056914A KR100758753B1 KR 100758753 B1 KR100758753 B1 KR 100758753B1 KR 1020000056914 A KR1020000056914 A KR 1020000056914A KR 20000056914 A KR20000056914 A KR 20000056914A KR 100758753 B1 KR100758753 B1 KR 10075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trip
stem
clam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686A (ko
Inventor
클래맨트메이라트
로우랜트판태트
Original Assignee
더 스워치 그룹 매니지먼트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워치 그룹 매니지먼트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더 스워치 그룹 매니지먼트 서비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5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9/00Framewor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8Operation exclusively by axial movement of a push-button, e.g. for chronograph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1Electromechanical switches for setting or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접촉 클램프(20)는 누름 단추(10)의 일측면 상에 케이스의 뒷덮개에 고정된 베이스(21)와, 제 1의 초기응력을 가진 부분(23,24)이 열쇠와 회복 스프링을 구성하고, 보다 큰 유연성을 가진 제 2 부분(25,26,27)은 그 말단부(28)에서 누름 단추에 가해지는 힘보다 더 작은 힘을 받도록 접촉되는, 누름 단추를 넘어 확장된 탄성 스트립(2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MULTI-FUNCTION PUSH-BUTTON CONTACT CLAMP}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접촉 클램프와 누름 단추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제 2 도는 도 1에 따르는 투시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제 3 도는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본 누름 단추의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도 1의 선 IV-IV을 따라 본 접촉 스트립의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하나 이상의 누름 단추에 고정된 접촉 클램프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1... 케이스 2...중간부
3...뒷덮개 4...뒤덮개 중간부
5...판 6...표시모듈
7...인쇄 회로 8...러그
9...크리스탈 10...누름 단추
11...머리부 12...스템
13,14...스터드 15...금속 그리드
16...용접점 17...홈
18,19...구멍 20...클램프
21...베이스 22...스트립
본 발명은 머리부와 적어도 뒷 덮개에 의해 닫혀진 케이스의 중간부분을 관통하며 판과 금속 그리드(grid)를 포함하는 스템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누름 단추과 연계된 다기능 접촉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상기 클램프는 뒷 덮개와 거의 평행한 평면 금속 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베이스는 단일체를 케이스 내에 스템의 일측면이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에 수직인 탄성 스트립 상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누름 단추는 스템을 지나 중심부의 내부 둘레 부분까지 확장되고, 상기 스트립은 스템 반대편에, 열쇠 그리고 중립위치에서의 회복스프링을 형성하기 위한 스템의 말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홈과 협동작용하는 노치(notch)가 있는 제 1의 초기 응력을 수반한 부분과 제 1 부분보다 유연성이 큰 제 2부분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의 말단부는 누름 단추를 작동하는 데에 필요한 힘보다 작은 힘으로 인쇄 회로와 접촉한다.
케이스에 몇 개의 누름 단추가 구비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크로노그래프(chronograph) 시계의 경우에 이전 형태의 접촉 클램프는 각 누름 단추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접촉 클램프의 베이스는 다수의 구부릴 수 있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중심부 둘레를 따라 단일 베이스로 형성하기 위해 말단부와 말단부가 접촉하도록 놓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이점들은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보다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스트립에 의해 만들어진 접촉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단점을 극복하는 데에 있으며, 금속 스트립은 적어도 스프링, 열쇠 그리고 접촉 기능을 하도록 잘라지고 굽혀지며, 누름 단추 머리부에 가해지는 힘보다 작은 접촉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단순하고 경제적인 설계의 단일 부품으로 만들어진 다기능 접촉 클램프와 관계되며, 일단 누름 단추가 제자리에 세팅되고 난 후에 다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쇠와 같은 작용과 중립 위치에서 회복 스프링의 작용, 그리고 인쇄회로기판 패드 상의 접촉수단과 같은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 형태의 몇몇 클램프들이 끝과 끝을 맞대도록 위치하는 접촉 장치와 관련된다.
그러한 클램프나 혹은 접촉 장치는 매우 다양한 부문에의 응용례를 찾아볼 수 있으며, 좀더 특정하게는 시계부품과 같은 작은 치수를 가지는 전자장치에의 응용이 있다.
누름 단추장치에 있어서, 구부릴 수 있는 요소의 사용은 이미 확실한 열쇠/회복 스프링/접촉 장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알려져 있으며, 누름 단추의 머리부에 가해지는 힘보다 적은 접촉력이 유리하고, 특히 상기 접촉은 인쇄 회로기판 패드 상에 이루어진다.
스위스 특허 제 621,034호에 있어서, 시계운동 제어 메카니즘은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은 누름 단추 스템(stem)의 일측면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는 상기 스템의 오목부와 결합하여 열쇠와 회복 스프링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며, 접촉은 경사진 스트립 상의 누름 단추의 말단부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그러한 접촉이다.
미국 특허 제4,818,830호에서 누름 단추 메카니즘은 복잡하며, 거의 U 자 모양인 외곽을 따라 편평한 금속 스프링 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판에 부착되어있는 몇몇의 스터드(stud)에 의해 안내되거나 고정된다. 따라서, 브랜치(branch)는 누름 단추 스템의 말단부를 통하여 힘이 가해지면 접촉부에 근접하기 위한 충분한 유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메카니즘은 회복 스프링과 접촉장치 기능을 수행하지만 열쇠 기능은 없다.
영국 특허 제 2,040,517호에 제안된 메카니즘은 판에 평행인 평면 외부에 몇 개의 접은 부분을 포함하는 미리 잘라진 금속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된다. 스트립은 판 내에 고정된 굽은 부분과 스터드(stud)에 의해서 말단부 중의 한 곳이 고정된다. 누름 단추 스템과 스템의 말단부 근접위치에서, 스트립은 판의 일반평면 아래에 있는 평면을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오목부 내로 가져오게 하는 단(step)을 가진다. 반면에, 이 말단부는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의 한 모서리는 열쇠와 회복 스프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누름 단추 스템의 홈에 결합되고, 단단한 러그(lug)는 판의 외부 쪽으로 굽으며, 반대에 놓여진 탄성 스트립과 접촉하 기 위하여 누름 단추 스템의 축을 따라서 배치된다. 스템을 지나 확장되어 있는 단단한 팁(tip)은 누름 단추를 적절히 위치시키고 스프링을 형성하는 스트립을 감기 위하여 개구부의 한 모서리에 대하여 멈추개와 접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스프링/열쇠/접촉 기능들이 단일 스트립에 의하여 가능하게 하지만, 스트립의 형상설계가 필요하며, 판에 우묵한 변형이 제공되어야 하고, 누름 버튼 머리부에 가해진 힘은 단지 스트립 스프링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는 직접 접촉지역에 가해진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중간부(2)와 단일체로 된, 보통 뒷덮개 중간부(4)에 의해 지정되며 플라스틱 재료를 몰딩하여 얻어지는 뒷덮개(3)를 포함하는 디지털 표시장치가 있는 전자시계의 케이스가 예로 나타나있다. 뒷덮개(3)는 판(5)과 여러 가지 시계부품을 수반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형태를 가지는 금속그리드(15)를 포함하며, 금속그리드(15)는 LCD 표시 모듈(6)에 의해 도면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고, 그 아래에 접촉지역으로서 작용하는 표시 모듈(6)의 모서리로 굽은 러그(8)가 있는 유연성있는 인쇄 회로(7)가 배열되어 있다. 케이스는 크리스탈(9)에 의해 닫혀진다. 이 케이스(1)는 인쇄 회로(7)의 굽은 러그(8)의 접촉 패드 상에 세워진 접촉을 허용하는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 메카니즘은 단지 힘 F가 머리부(11)에 가해지고 도 3에 나타난 말단부에 홈(17)을 가지는 스템(12)에 의해 전달되며, 머리부(11) 상의 누름 단추(10)에 의해 작동되는 금속 다기능 접촉 클램프(20)로 이루어진다. 접촉 클램프(20)는 금속 박판을 특정한 외곽을 따라 자르거나 찍어내고, 동시에 열쇠, 누름 단추 회복 스프링 그리고 접촉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굽혀져 케이스 내에 세팅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접촉 클램프(20)는 본질적으로 케이스 평면에 평행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에 수직인 첫 번째 영역(23)이 접힌 부분(21a)에 의해 길이방향의 부분 상에 연결된 스트립(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첫 번째 영역(23)은 스템(12)을 지나 확장시키기 위한 두 번째 영역(24)에 의해 접힌 부분(23a)을 지나 확장된다. 24 부분은 중간 부분에 열쇠를 형성하기 위해 스템(12)의 홈(17)과 결합시키기 위한 노치(30)를 포함한다.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접힌 부분23a와 중간부(2)의 내부 표면에 대한 베이스(21)의 위치는 영향을 받으므로, 첫 번째 영역(23)의 자유단은 접힌 부분 21a와 두 번째 영역(24)을 넘어서 누름 단추(10)의 회복 스프링을 형성하기 위해서 중립 위치에서 초기 응력이 주어진다.
스트립(22)은 밴드(band)와 같은 부분에 의해 누름 단추를 넘어서 확장되며, 접힌 부분 24a에 의해 제 1부분(23,24)이 연결되고, 접힌 부분 25a,26a, 영역 27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세 개의 영역인 제 2부분(25,26,27)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힌 부분 25a, 26a와 영역 27은 그 말단부에 중간부(2)의 내벽 다음에 오는 다각형 라인을 따라 스트립을 굽히는 방향으로 만들어진 접힌 부분(23a,24a,25a,26a)으로 인한 변형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스트립을 변형하도록 만들어진 접힌 부분(27a)을 따라 굽혀진 작은 러그(28)를 가진다. 25 부분의 굽은 모양은 단지 다른 부품들 혹은 운동부의 지지체들과 연관된 구조적 스트레스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영역 26과 27로 구성된 밴드 부분은, 예를 들면 영역 26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대부분의 길이 를 차지한다는 것과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의 단면 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가진다는데에 그 특징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러한 보다 작은 단면은 스트립(22)의 떨어진 부분에 베이스와 연결된 부분보다 더 작은 폭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며, 도 3과 4의 단면도에 도시되어있다. 이러한 형상은 보다 큰 유연성을 가진 말단 근접 부분을 제공하여, 굽혀진 러그(28)는 누름 단추 상에 가해지는 힘 F보다 더 작은 힘으로 인쇄 회로(7)의 접촉 패드(8)위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유연성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다른 방법에 의해 동일하게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쪽 끝에서 다른 끝까지 동일한 폭의 스트립을 가지게 하고, 멀리 떨어진 부분에 윈도우를 잘라 형성함으로써 혹은 상기 부분을 보다 얇게 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부의 내부 윤곽선을 따라 완벽한 곡선을 이룰 때까지보다 많은 접힌 부분을 가지는 스트립을 형성할 수 있다.
접촉 클램프(20)의 베이스(21)는, 예를 들면 인쇄 회로(7)와 밧데리 커버의 양극을 그리드(15)를 통하여 접촉하기 위하여 케이스 평면 외부로 굽혀진 금속박(29)을 포함한다.
접촉 클램프(20)의 베이스(21)가 판(5)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21)는 두 개의 구멍(18,19)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판에 고정된 두 개의 스터드(13,14)와 결합되어 수평면 상에서 정확한 위치 설정을 하게 하여주며, 조립체는 금속 그리드(15) 상의 두 개의 용접점(16)에 의하여 축상으로 고정된다. 다른 동등수단들은 축상의 정렬을 위하여 스터드(13,14)의 머리부를 변형시키거나 혹 은 말단부에 와셔를 결합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보여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접촉 클램프는 단순하게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뒷덮개 내에 혹은 거기에 고정된 판에 장착되는 단지 두 개의 스터드만을 필요로 하고, 자동 조립라인에서 로봇에 의하여 축소된 작업 횟수로 인하여 쉽게 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다. 사실상,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누름 단추(10)를 위치에 세팅한 후에, 접촉 클램프는 단지 스템의 홈(17) 안의 노치(3)와 결합하기 위하여 약간 눌려지면 되고, 그런 다음 구멍들(18,19) 안으로 스터드(13,14)가 결합되고 두 개의 용접점(16)이 레이저등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도 5는 두 개의 스트립(22a,22b)과 연계된 두 개의 누름 단추(10a,10b)를 포함하는 경우의 다기능 접촉 클램프의 실시예를 도식화한 도면으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 클램프의 베이스들은 두 개의 구멍(18,19)이 관통하는 두 개의 방사상의 확장부(32,33)을 포함하는 링(31)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물론, 굽혀진 말단부(28a,28b)는 인쇄 회로(7)의 다른 접촉 영역 상에 놓인다.
물론, 두 개 이상의 누름 단추를 가지는 경우에나 혹은 원형의 케이스가 아닌 경우에도 동일한 배치가 가능하다.

Claims (7)

  1. 판(plate, 5)과 금속 그리드(grid, 15)를 포함하며, 머리부(head, 11)를 가지는 하나이상의 누름단추(push-button, 10)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뒷덮개(3)에 의해서 닫혀지는 케이스(case)의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스템(stem, 12)과 연결되는 다기능 접촉 클램프(contact clamp, 20)에 있어서,
    상기 접촉 클램프(20)는 뒷덮개(back cover, 3)에 평행한 평면 금속 베이스(21)를 포함하는 단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스템(12)의 일 측면 상에서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18,19)과 베이스(base, 21)에 수직하며 중간부(2)의 내부 둘레부분을 따라서 스템(stem, 12)을 지나 확장되는 하나이상의 탄성 스트립(strip, 22)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스트립(strip, 22)은 스템(12)의 반대편에, 중립위치에서 열쇠(key)와 회복 스프링(return spring)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템(12)의 말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홈(groove, 17)과 협동작용하는 노치(notch, 30)를 가지는 초기응력(prestressed)이 주어진 제 1 부분(23,24)과, 그리고 제 1 부분보다 더 큰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는 제 2 부분(26,27)을 포함하며, 제 2 부분의 말단부(28)는 누름버튼(10)을 작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더 작은 힘으로써 인쇄회로(7)의 접촉부(contact, 8)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립(strip, 22)의 제 2 부분(26,27)은 제 1 부분(23,24)의 단면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트립(strip)의 제 2 부분(26,27)은 제 1 부분(23,24)의 폭(width)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base)의 고정수단(immobilising means, 18,19)은 두개의 스터드(stud, 13,14)가 관통하는 두개의 원형 개구부(circular opening, 18,19)에 의해서 형성되어지며, 스터드의 일측 말단부는 뒷덮개(back cover, 3)에 고정되어지거나 또는 뒷덮개(3)에 평행한 판(plate, 5)에 그리드(grid, 15) 상의 두 용접점(weld point)에 의해서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21)는 인쇄회로(printed circuit, 27) 상에 접촉부(contact portion)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평면 외부로 굽혀진 패드(pad, 2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클램프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다기능 접촉 스트립(contact strip)을 포함하는 시계장치
KR1020000056914A 1999-09-29 2000-09-28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KR100758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781/99 1999-09-29
CH178199 1999-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86A KR20010050686A (ko) 2001-06-15
KR100758753B1 true KR100758753B1 (ko) 2007-09-14

Family

ID=421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914A KR100758753B1 (ko) 1999-09-29 2000-09-28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34706B1 (ko)
JP (1) JP4503805B2 (ko)
KR (1) KR100758753B1 (ko)
CN (1) CN1122892C (ko)
HK (1) HK1036331A1 (ko)
TW (1) TW455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5037B (en) * 2000-06-20 2003-06-01 Swatch Group Man Serv Ag Electric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at least three different contacts
US6846998B2 (en) * 2002-01-28 2005-01-25 Citizen Watch Co., Ltd. Switch connecting structure for timepiece
JP4688511B2 (ja) * 2005-02-04 2011-05-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リセット電流導通構造を備えたアナログ電子時計
CA113328S (fr) * 2005-07-01 2007-02-19 Swatch Ag Boîte de montre
CA113265S (fr) * 2005-07-01 2007-04-12 Swatch Ag Boîte de montre
EP3579060B1 (fr) * 2018-06-05 2023-10-1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thermoélectr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654A (ko) * 1991-11-04 1993-06-23 원본미기재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KR19990088020A (ko) * 1998-05-13 1999-12-27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시계,특히크로노그래프의누름단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7620C (de) 1919-09-23 1922-01-23 Edmund Magerle Druckknopfkontakt
JPS5623115B2 (ko) * 1974-06-14 1981-05-29
US4031341A (en) * 1976-01-14 1977-06-21 Timex Corporation Dual function pusher and rotate switch for solid state digital watches having detent spring
JPS54126070A (en) * 1978-03-23 1979-09-29 Citizen Watch Co Ltd Alarm device for electronic watch of analog display type
CH618829B (de) 1979-02-01 Bulova Watch Co Inc Manuelle kontaktbetaetigungsanordnung fuer elektronische uhr.
JPS5866396U (ja) * 1981-10-30 1983-05-06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電子時計のプツシユボタン保持構造
JPH0192024U (ko) * 1987-12-08 1989-06-16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654A (ko) * 1991-11-04 1993-06-23 원본미기재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KR19990088020A (ko) * 1998-05-13 1999-12-27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시계,특히크로노그래프의누름단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5749B (en) 2001-09-21
KR20010050686A (ko) 2001-06-15
JP2001135187A (ja) 2001-05-18
US6334706B1 (en) 2002-01-01
CN1122892C (zh) 2003-10-01
CN1289952A (zh) 2001-04-04
HK1036331A1 (en) 2001-12-28
JP4503805B2 (ja)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33459A (ja) 押し釦スイッチ装置
KR100758753B1 (ko) 다기능 누름 단추 접촉 클램프
US4056700A (en) Keyboard assembly momentary contact push button switch with tactile action
JP4351302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時計
US6890682B2 (en) Structure for holding battery of electronic timepiece
GB2178237A (en) Push button switch
US5430694A (en) Timepiece
JPH0136207B2 (ko)
US7352656B2 (en) Radio wave timepiece
JPS6139341Y2 (ko)
KR800000579Y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2878506B2 (ja) 押釦スイッチ
JPH0112222Y2 (ko)
JPH0417046Y2 (ko)
JPS5855604B2 (ja) デンシドケイニオケルスイツチソウチ
KR810001785B1 (ko) 시계구동부를 시계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케이싱링
JP4526077B2 (ja) 押しボタン式スイッチ
JPS645313Y2 (ko)
JPH0535356Y2 (ko)
JPS596471Y2 (ja) マルチプッシュボタン付腕時計
JPH035048Y2 (ko)
JPH0311782Y2 (ko)
JPH0350475Y2 (ko)
JPS6134637B2 (ko)
JPH02126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