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42717A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42717A
KR20250042717A KR1020250032237A KR20250032237A KR20250042717A KR 20250042717 A KR20250042717 A KR 20250042717A KR 1020250032237 A KR1020250032237 A KR 1020250032237A KR 20250032237 A KR20250032237 A KR 20250032237A KR 20250042717 A KR20250042717 A KR 2025004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rylate
resin
polyester
polyester resin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5003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권형
장광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5003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42717A/ko
Publication of KR2025004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4271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 압출물을 마련하는 블렌딩 단계, 상기 압출물을 냉각하고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마련하는 시트 형성 단계; 및 상기 미연신 시트를 연신 및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5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투명성,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MANUFACTURING METHOD OF POLYESTER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OF POLYESTER RESIN AND POLYESTER FILM}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유연성 및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광학필름, 포장필름, 태양광 모듈 백시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 및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시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필름, 폴리락트산 필름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전자 기기들은 제품성능 및 기능의 지속적 발달과 더불어 전자 소자 및 그 부품들의 소형화, 고실장화로 인해 단위체적당 열에너지 밀도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비롯한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부품들에 더욱 높은 수준의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10-065144 호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2-0045148 호
구현예의 목적은 투명성 및 내열성이 동시에 개선되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마련하는 블렌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압출물을 냉각하고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마련하는 시트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연신 및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4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한다.
상기 혼합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15중량% 이상 5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렌딩 단계에서의 용융 압출 온도는 260℃내지 32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CIE Lab 색공간의 b 값이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시트 형성 단계에서의 냉각온도는 10℃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연신 단계에서의 열고정 온도는 220℃내지 25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상기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마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을 형성하는 블렌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4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한다.
상기 혼합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15중량% 이상 5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 값이 7% 이하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개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78℃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개의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결정화 온도가 135℃내지 17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방향 수축률 및 횡방향 수축률이 1%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헤이즈 값이 7% 이하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1개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78℃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1개의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상기 결정화 온도가 135℃내지 175℃일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은 투명성 및 내열성이 동시에 개선되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현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는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구현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지는 수지 그 자체 및 그 수지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도체(derivative)를 의미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고내열성을 갖는 수지를 단순 블렌딩한 수지로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필름이 뿌옇게 보이거나 황변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제조된 필름에서 광학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이 고온 환경에 노출될 경우, 상기 필름에서 상당한 수준의 수축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구현예의 발명자들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적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혼합하고, 상기 블렌드 내 수지별 함량을 제어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내열성 및 투명성이 동시에 개선되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구현예를 완성하였다.
이하, 구현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마련하는 블렌딩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의 준비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2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에서, 수지별 함량은 수지 사이의 혼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현예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 내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함량 등을 제어하여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간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와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을 혼련하여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마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4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5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6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6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8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7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0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5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0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45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30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35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수지별 분산성이 더욱 향상된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얻을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일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은 이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구현예는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을 압출 시 용융 압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와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혼련할 수 있고,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인해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을 압출 시 용융 압출 온도는 280℃내지 340℃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8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9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9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33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32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315℃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릴레이트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계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계 반복단위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디올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5-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1-디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에틸-3-메틸-1,5-헥산디올, 2-에틸-3-에틸-1,5-헥산디올, 1,7-헵탄디올, 2-에틸-3-메틸-1,5-헵탄디올, 2-에틸-3-에틸-1,6-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계 반복단위는 지환족 디올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환족 디올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아이소소바이드, 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계 반복단위는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는 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이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글루타릭산, 오르토르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식산, 데칸디카르복실산, 2,5-푸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 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비벤조산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일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는 디페놀 디올계 반복단위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페놀 디올계 반복단위는 비스페놀 A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일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45,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8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7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60,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7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18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18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250℃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헤이즈 값은 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은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은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은 0.01% 이상일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광투과율 값은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율 값은 8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율 값은 99%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아릴레이트 자체의 광학 특성으로 인해 전체 폴리에스테르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헤이즈 값은 헤이즈미터(haze meter)로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헤이즈 값은 Nihon Semitsu Kogaku 사의 SEP-H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블렌딩 단계에 적용되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우수한 광학 특성과 고내열성을 부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가공을 통해 칩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4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5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6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6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8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7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0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5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0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45중량부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30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 대비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35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가 적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필름의 투명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CIE Lab 색공간의 b 값이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 값이 1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 값이 16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 값이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 값이 1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 값이 1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융 압출에 따른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화가 억제된 블렌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CIE Lab 색공간의 b 값은 상기 색공간의 각 좌표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필름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대전방지제, 정전인가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블로킹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무기 활제, 내충격 보강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블렌딩 단계
블렌딩 단계에서,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적용된 수지 조성물의 경우, 용융 혼련 시 불투명한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수지 조성물에 적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함량이 높을수록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분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구현예는 블렌딩 단계에서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적용하여, 압출물 내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분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15중량% 이상 5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2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2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3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4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5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48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4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성이 개선되고 내열성이 강화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45중량% 이상 8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반결정성(semi-crystalline)을 갖도록 하고, 상기 필름의 치수 안정성 향상을 도울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필름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대전방지제, 정전인가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블로킹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무기 활제, 내충격 보강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일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이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구현예는 블렌딩 단계에서의 용융 압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혼합수지 조성물은 용융 압출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화가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구현예는 블렌딩 단계에서의 용융 압출 온도를 조절하여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충분히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용융 압출물에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블렌딩 단계에서의 용융 압출 온도는 260℃내지 320℃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6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7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7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31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30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 온도는 290℃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리적 분산 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고온으로 인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계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계 반복단위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디올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지방족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5-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1-디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에틸-3-메틸-1,5-헥산디올, 2-에틸-3-에틸-1,5-헥산디올, 1,7-헵탄디올, 2-에틸-3-메틸-1,5-헵탄디올, 2-에틸-3-에틸-1,6-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계 반복단위는 지환족 디올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환족 디올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아이소소바이드, 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계 반복단위는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일 수 있다.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는 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이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글루타릭산, 오르토르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식산, 데칸디카르복실산, 2,5-푸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 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비벤조산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일 수 있다.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일한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블렌딩 단계를 통해, 압출물을 마련할 수 있다. 압출물은 우수한 투명성 및 내열성을 나타낼 수 있고, 반결정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압출물의 반결정화 특성은 상기 압출물이 적용된 연신 필름에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압출물은 용융된 압출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5중량% 내지 3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7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2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32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3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압출물이 적용된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압출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5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3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8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압출물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출물이 적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고온에서도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압출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필름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대전방지제, 정전인가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블로킹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무기 활제, 내충격 보강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시트 형성 단계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은 압출물을 냉각하고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마련하는 시트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출물을 통상의 T-다이를 통해 용융 압출하고, 냉각롤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트를 마련할 수 있다.
시트 형성 단계에서의 냉각 온도는 10℃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온도는 12℃이상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온도는 15℃이상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온도는 27℃이하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온도는 25℃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미연신 시트 내 결정이 성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연신단계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은 미연신 시트를 연신 및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신단계에서 미연신 시트에 축차 연신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연신 시트에 종방향 연신을 실시한 후, 횡방향 연신을 실시할 수 있다.
종방향 연신 시 적용되는 연신비는 2 내지 4배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2.5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2.7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3.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3.0배 이하일 수 있다.
종방향 연신은 미연신 시트를 80℃내지 100℃로 예열한 후 80℃내지 120℃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횡방향 연신 시 적용되는 연신비는 2.5 내지 4.5배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3 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3.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는 4.2배 이하일 수 있다.
횡방향 연신은 종방향 연신된 미연신 시트를 90℃내지 130℃로 예열한 후, 120℃내지 150℃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배향성을 부여하여 상기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필름의 열수축률이 구현예에서 미리 설정한 범위 내로 조절되도록 도울 수 있다.
구현예는 열고정을 실시하여 연신된 필름 내 수지를 배향 결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온에서의 필름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열고정 단계에서, 열고정 온도는 200℃내지 250℃일 수 있다. 상기 열고정 온도는 21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고정 온도는 22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고정 온도는 245℃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고정 온도는 240℃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치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5중량% 내지 35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 값은 7% 이하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제조방법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을 형성하는 블렌딩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4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한다.
혼합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15중량% 이상 5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렌딩 단계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칩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압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필름 제조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압출 필름 제조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한다.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내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배향 결정성을 갖도록 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필름의 치수 및 형상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5중량% 내지 35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7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2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필름을 33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아릴레이트 필름을 32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0중량% 내지 90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5%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7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8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필름의 열수축률이 구현예에서 미리 설정한 범위 내로 제어되도록 도울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계 반복단위 및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올계 반복단위와 디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에 대한 설명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에 대한 설명은 앞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필름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대전방지제, 정전인가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블로킹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무기 활제, 내충격 보강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물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 값이 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이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이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이 0.1%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헤이즈 값은 헤이즈미터(haze meter)로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헤이즈 값은 Nihon Semitsu Kogaku 사의 SEP-H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개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78℃내지 100℃일 수 있다.
필름 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간 상용성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서 기인하는 유리전이온도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에서 기인하는 유리전이온도가 모두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정화 온도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1개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도록 하고, 상기 유리전이온도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을 개선하고, 필름 내 포함된 수지간 상용성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는 78℃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8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82℃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84℃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95℃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92℃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자 기기와 같이 더욱 높은 수준의 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배향 결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열에 의한 필름 내 분자 구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개의 결정화 온도를 갖도록 하고, 상기 온도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온도 상승에 따른 필름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개의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35℃내지 175℃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40℃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45℃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50℃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55℃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70℃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65℃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높은 수준의 치수안정성 및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융점은 22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3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3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4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8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7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60℃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 및 가공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및 융점은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시차주사열량계 내 시편을 배치한 후, 1차 스캔 승온 속도를 20℃/분으로 적용하여 시편의 온도를 40℃에서 350℃가 되도록 가열하고, 350℃에서 5분간 유지하는 1차 스캔을 실시한다. 상기 시편을 ??칭(quenching)한 후, 1차 스캔과 동일한 조건으로 2차 스캔을 실시하여 유리전이온도 등을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유리전이온도 등은 TA 社의 TA200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현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수축률을 제어하여 상기 필름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축률은 가로 20cm, 세로 1cm 길이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샘플을 150℃의 오븐에 30분동안 투입하여 아래 식 1에 따라 평가한 값이다.
[식 1]
수축률(%) = [(L0 - L)/L0] * 100
상기 식 1에서, L0는 열처리 전 길이(cm)이고, L은 열처리 후 길이(cm)이다.
수축률은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 각각에서 측정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종방향 수축률 및 횡방향 수축률이 1%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고온 환경에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8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40㎛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안정적인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1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2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2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필름을 33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아릴레이트 필름을 32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0중량% 내지 90중량%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5%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8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5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7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68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내열성이 개선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을 필름 제조에 적용할 경우, 제조된 필름에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에 대한 설명은 앞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헤이즈 값이 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이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이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 값이 0.1%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헤이즈 값은 헤이즈미터(haze meter)로 측정한다. 예시적으로, 헤이즈 값은 Nihon Semitsu Kogaku 사의 SEP-H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1개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78℃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8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82℃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84℃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95℃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92℃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지 혼합물에 포함된 수지들의 분산성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혼합물이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은 1개의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35℃내지 175℃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40℃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45℃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50℃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55℃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70℃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온도는 165℃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지 혼합물의 내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열처리를 통해 수지 혼합물에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융점은 22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3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35℃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4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8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7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260℃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내열성 및 가공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및 융점은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유리전이온도 등을 측정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로 Unitika 사의 U-100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고유점성도가 0.6dl/g인 SKC 사의 PET 수지를 준비하였다.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7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30중량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80℃내지 300℃에서 용융 압출하여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형성하였다.
이후,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 제조에 적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일한 수지 71중량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 29중량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90℃에서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형성하였다.
압출물을 20℃의 냉각 롤에 밀착시켜 냉각한 후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형성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80℃내지 100℃의 온도로 예열한 후 90℃에서 종방향으로 3.0배 연신하고, 다시 90℃내지 130℃의 온도로 예열한 후 130℃에서 횡방향으로 4.0배 연신하고, 230℃내지 240℃에서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압출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압출기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7중량부,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43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20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80중량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80℃내지 300℃에서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압출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냉각, 연신 및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30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70중량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80℃에서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압출물을 20℃의 냉각 롤로 냉각한 후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형성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80℃내지 100℃의 온도로 예열한 후 85℃에서 종방향으로 3.0배 연신하고, 다시 90℃내지 130℃의 온도로 예열한 후 120℃에서 횡방향으로 4.0배 연신하고, 230℃내지 240℃에서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별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조건에 대해서는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예: Tg, Tc 및 Tm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별 필름을 시차주사열량계인 TA 社의 TA200 모델에 배치하였다. 이후, 1차 스캔 승온 속도를 20℃/분으로 적용하여 시편의 온도를 40℃에서 350℃가 되도록 가열하고, 350℃에서 5분간 유지하는 1차 스캔을 실시하였다. 상기 시편을 ??칭(quenching)한 후, 1차 스캔과 동일한 조건으로 2차 스캔을 실시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별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및 융점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별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예: 헤이즈 평가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를 Nihon Semitsu Kogaku 社의 헤이즈미터(haze meter) SEP-H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헤이즈는 ASTM D1003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별 평가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예: 종/횡방향 수축률 평가
실시예 1 및 2의 필름을 가로 20cm, 세로 1c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시편을 150 ℃의 오븐에 30분동안 투입하고 오븐에서 꺼내어 시편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으로부터 아래 식 1에 따른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률 값을 산출하였다.
[식 1]
수축률(%) = [(L0 - L)/L0] * 100
상기 식 1에서, L0는 열처리 전 길이(cm)이고, L은 열처리 후 길이(cm)이다.
실시예별 산출한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률 값이 모두 1% 이하인 경우 O,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률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 초과인 경우 X로 평가하였다.
실시예별 평가 결과는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폴리아릴레이트
투입량(중량부)
70 70 - - -
폴리에스테르 투입량(중량부) 30 30 - - -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 투입량(중량부) 29 43 - - -
폴리에스테르 투입량(중량부) 71 57
필름 내 폴리아릴레이트 함량(중량%) 20.3 30.1 20 30 0
필름 내 폴리에스테르 함량(중량%) 79.7 69.9 80 70 100
유리전이온도(℃ 84 90 80 82 77
결정화온도(℃ 146 161 140 146 130
융점(℃ 243 240 250 250 250
필름 두께(㎛) 30 30 30 30 30
헤이즈(%) 2.5 2.7 9.3 15.6 -
수축률 평가 O O - - -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헤이즈 값이 3% 이하로 측정된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헤이즈 값이 9% 이상으로 측정되었다.유리전이온도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는 80℃이상으로 측정되어, PET 필름에 해당하는 비교예 3에 비해 높은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름 내 폴리아릴레이트 함량이 비슷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의 유리전이온도 값이 비교예 1보다 4℃높게 나타났다. 또한, 필름 내 폴리아릴레이트 함량이 비슷한 실시예 2과 비교예 2를 비교하면, 실시예 2의 유리전이온도 값이 비교예 2보다 8℃높게 나타났다.
결정화온도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는 140℃이상으로 측정되어, 비교예 3에 비해 높은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름 내 폴리아릴레이트 함량이 비슷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의 결정화온도 값이 비교예 1보다 6℃높게 나타났다. 또한, 필름 내 폴리아릴레이트 함량이 비슷한 실시예 2과 비교예 2를 비교하면, 실시예 2의 결정화온도 값이 비교예 2보다 15℃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구현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혼합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압출물을 마련하는 블렌딩 단계;
    상기 압출물을 냉각하고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마련하는 시트 형성 단계; 및
    상기 미연신 시트를 연신 및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50중량% 내지 85중량%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를 15중량% 이상 55중량% 이하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딩 단계에서의 용융 압출 온도는 260℃내지 32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CIE Lab 색공간의 b 값이 2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성 단계에서의 냉각온도는 10℃내지 3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단계에서의 열고정 온도는 200℃내지 250℃,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블렌드는 상기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 제조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마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50032237A 2022-03-22 2025-03-1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Pending KR20250042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32237A KR20250042717A (ko) 2022-03-22 2025-03-1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65A KR20230137587A (ko) 2022-03-22 2022-03-2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50032237A KR20250042717A (ko) 2022-03-22 2025-03-1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65A Division KR20230137587A (ko) 2022-03-22 2022-03-2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42717A true KR20250042717A (ko) 2025-03-27

Family

ID=882946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65A Ceased KR20230137587A (ko) 2022-03-22 2022-03-2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50032237A Pending KR20250042717A (ko) 2022-03-22 2025-03-1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65A Ceased KR20230137587A (ko) 2022-03-22 2022-03-2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3758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5144A (ja) 2008-09-11 2010-03-25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20045148A (ko)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친환경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5144A (ja) 2008-09-11 2010-03-25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20045148A (ko)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친환경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587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504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US8999499B2 (en) White porous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556441B (zh) 一种光学聚酯薄膜
US11745470B2 (en) 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0722859B (zh) 一种光学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WO2013111641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29371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50257B (zh) 用于高温透明导电膜应用的聚合物组合物和基板
CN114901735B (zh) 双轴拉伸薄膜
CN102030971B (zh) 白色膜和制备不透明白色膜的方法
CN111868147A (zh) 双轴拉伸薄膜
KR102514280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04042B (zh) 聚酯薄膜及其製造方法
JP2022124921A (ja) 二軸延伸フィルム
KR20250042717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30268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40132709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240132712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680741B1 (ko)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4285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397126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728001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531934B1 (ko) 필름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73485A (ko)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 필름
JP2006077148A (ja) 光学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3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03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03516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50312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