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12808A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12808A KR20250012808A KR1020230092809A KR20230092809A KR20250012808A KR 20250012808 A KR20250012808 A KR 20250012808A KR 1020230092809 A KR1020230092809 A KR 1020230092809A KR 20230092809 A KR20230092809 A KR 20230092809A KR 20250012808 A KR20250012808 A KR 202500128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layer
- ventilation hole
- film
- medical dressing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416 exudates and transudat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16 hydrocoll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170 Skin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7 sensitive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4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kin contacting layer, e.g. air-vapor permeabil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배킹 필름; 상기 패드부 타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상기 배킹 필름과 중첩되는 제1 필름층; 및 상기 제1 필름층 외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밀착하는 제2 필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필름층에는 제1 통기공과 제2 통기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필름층에는 제3 통기공과 제4 통기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통기공과 제3 통기공은 상기 패드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공과 제4 통기공은 상기 패드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부와의 밀착력과 삼출물의 흡수가 동시에 용이하고, 피부의 자극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드레싱재는 경미한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즉, 의료용 드레싱재는 상처 표면으로부터의 열 증발과 수분 손실을 감소시켜서 더 이상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처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발육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의료용 드레싱재로서 거즈 형태의 일회용 의료밴드를 사용해 왔는데, 상처와 접하는 거즈 양측으로 밴드가 연장되어 피부에 접착되기 때문에 거즈는 상처에 접한 상태로 피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상처를 보호 및 치료할 수 있는 드레싱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 드레싱재는 상처에 직접 접촉하여 상처로부터의 삼출액을 흡수 및 보유하는 패드부, 패드부가 상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패드부 상부에 위치하여 환부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환부의 면적이 큰 경우 환부를 전부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넓은 면적을 갖는 패드부가 필요하고, 이는 환부와 패드부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초래하여 패드부가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패드부의 면적이 크더라도 환부와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부의 삼출물 흡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손상이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배킹 필름(200);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상기 배킹 필름(200)과 중첩되는 제1 필름층(320); 및 상기 제1 필름층(320) 외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밀착하는 제2 필름층(3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필름층(320)에는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필름층(330)에는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공(322)과 제4 통기공(332)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의 면적이 동일하고, 제2 통기공(322) 및 제4 통기공(332)의 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1 통기공(321)의 면적은 상기 제2 통기공(322)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2 필름층(3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아크릴 소재의 접착층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이 형성된 제1 필름층(320), 다수개의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층(320)과 일면이 밀착된 제2 필름층(330), 및 다수개의 제5 통기공(341)과 제6 통기공(3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층(330)의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상기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필름층(320)을 중첩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하여 상기 제2 필름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아래에서부터 제1 이형필름(310), 제1 필름층(320), 제2 필름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 순으로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a 단계; 상기 제1 통기공(321), 제3 통기공(331) 및 제5 통기공(341)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제1 커터(520)로 펀칭하여 제1 절개영역(A)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통기공(322), 제4 통기공(332) 및 제6 통기공(342)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제2 커터(530)로 펀칭하여 제2 절개영역(B)을 형성하는 제1b 단계; 및 상기 제1 필름층(320)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절개영역(A)과 제2 절개영역(B)을 제거함으로써, 제1 통기공(321) 내지 제6 통기공(342)을 형성시키는 제1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b 단계에서는, 제1 절개영역(A) 및 제2 절개영역(B) 중 어느 하나의 절개영역을 먼저 형성하거나,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필름층(320)은 폴리우레탄(PU) 재질이고, 상기 제2 필름층(3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커터(520)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커터(530)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공(322)과 제4 통기공(332)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절개선(110)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밀착하는 패드부(100) 일면에서 타면을 향해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배킹 필름(200) 외면 일정 영역에 메모란(210)을 형성시키는 제6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드부 일면에는 배킹 필름이 위치하는 한편 타면에는 제1 필름층과 실리콘 재질의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패드부가 환부에 항상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환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2 필름층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환부와의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자극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드부 타면에 위치하는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에는 다수개의 통기공들이 마련되어 있어 환부에서 생성된 삼출물이 패드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부에 장기간 부착되더라도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드부에는 다수의 절개선이 마련되어 있어, 환부가 굴곡지더라도 밀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한층 활동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에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에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제1 필름층(320), 제2 필름층(330) 및 제3 이형필름(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패드부(100)는 환자의 환부를 커버하여 감염을 방지하거나 상처가 빨리 치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거즈, 솜, 부직포,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하이드로 겔(hydro gel),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팽창성 합성 중합체 등 공지의 흡수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배킹 필름(200)과 접하는 패드부(100) 일면에서부터 제1 필름층(320)과 접하는 타면을 향해 절개선(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절개선(110)은 패드부(100)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절개선(110)이 패드부(100)에 구비될 시, 관절이나 굴곡진 환부에 부착되더라도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우수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 삼출물을 흡수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부의 움직임이 한층 자유롭다.
비록 도 3에서는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반타원형과 쐐기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절개선(1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배킹 필름(200)은 두께가 대략 0.015~0.090mm이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여 환부 접촉면의 반대측 면을 구성하며, 바이러스나 세균을 포함한 이물질로부터의 패드부(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킹 필름(200)은 방수/방습 기능이 있으면서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패드부(100)를 향하는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패드부(100) 및 제1 필름층(32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층(미도시), 예를 들어 아크릴 소재의 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배킹 필름(200) 외면에는 메모란(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란(210)에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부착시기를 기재해 둠으로써 교환시기를 알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상처의 크기, 드레싱재를 처음으로 부착한 시기 등 각종 정보를 기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제1 필름층(320)은 배킹 필름(200) 내면, 즉 패드부(100) 타면에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은 배킹 필름(200)의 내면과 중첩된 상태이고, 따라서 패드부(100)는 배킹 필름(200)과 제1 필름층(320)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제1 필름층(320)은 두께가 대략 0.01~0.09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로 구성된다.
제2 필름층(330)은 제1 필름층(320)의 외부 노출면, 다시 말해 패드부(100)와 밀착하지 않는 반대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제2 필름층(330)은 두께가 대략 0.04~0.12mm이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이는 환부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또 피부의 자극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1 필름층(320)과 제2 필름층(330)에는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삼출물이 투과하여 패드부(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필름층(320)의 중앙 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되는 한편, 제2 필름층(330)에는 다수개의 제3 통기공(331)이 구비되며, 이들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은 내경이 동일하면서 서로 연통된 상태이다.
또 제1 필름층(320)과 제2 필름층(330)의 가장 자리,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필름층(320)과 제2 필름층(330)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에는 내경이 동일하면서 서로 연통된 상태인 제2 통기공(322)과 제4 통기공(332)이 각각 구비된다. 이들 제2 통기공(322)과 제4 통기공(332)은 피부의 트러블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비록 피부 친환경적인 실리콘 재질의 제2 필름층(330)이 환부와 접촉하지만, 피부가 민감한 환자 등이 장시간 드레싱재를 사용할 시에는 피부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통기공(321) 내지 제4 통기공(332)이 원형일 경우, 침출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1 통기공(321)은 제2 통기공(32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일예로 제1 통기공(321)은 내경이 2~10mm이고, 제2 통기공(322)은 내경이 0.5~4mm이다.
비록 도면들에서는 통기공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얼마든지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제3 이형필름(400)은 제2 필름층(33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사용 전에는 제2 필름층(3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환부에 부착하기 전에 떼어 낸다(도 5 참조). 비록 도면에서는 제3 이형필름(400)이 1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가운데 부분 일부가 서로 중첩된 2장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그리고 도 8은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에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이 형성된 제1 필름층(320), 다수개의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이 형성되며 제1 필름층(320)과 일면이 밀착된 제2 필름층(330), 및 다수개의 제5 통기공(341)과 제6 통기공(342)이 형성되며 제2 필름층(330)의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 패드부(100) 타면과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제1 필름층(320)을 중첩시키는 제3 단계;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하여 제2 필름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4 단계; 및 제2 필름층(330)의 노출면에 제3 이형필름(400)을 위치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패드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즈, 솜, 부직포,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하이드로 겔(hydro gel),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팽창성 합성 중합체 등 공지의 흡수성 재료로 구성되며, 일정 두께, 면적 및 형상이 되도록 준비한다. 물론 절개선을 형성시킬 시에는, 성형칼날(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절개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준비되는 배킹 필름(200)은 환부에 고정될 영역이 마련될 수 있도록 패드부(100) 보다 면적이 크다.
또 배킹 필름(200)의 내면 즉, 패드부(100)와 맞닿는 면에는 패드부(100) 및 제1 필름층(320)과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아크릴계 소재의 점착층이 도포된 상태이다. 물론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 하이드로겔 점착제 등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점착제이어도 무방하다.
또 배킹 필름(200)의 외면, 즉 접착층이 도포되지 않은 면의 소정 부위에는 메모란을 부착시킬 수 있다. 물론 제2 필름층(330)의 노출면에 제3 이형필름(400)을 위치시키는 제5 단계 이후에 메모란을 형성시키거나 배킹 필름(200) 원단에 메모란을 적층시킨 후, 배킹 필름 절단 시 메모란이 함께 절단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 메모란 내면에는 배킹 필름(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이 형성된 제1 필름층(320), 다수개의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이 형성되며 제1 필름층(320) 일면에 구비된 제2 필름층(330), 및 다수개의 제5 통기공(341)과 제6 통기공(342)이 형성되며 제2 필름층(330)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은 원단 필름(300)을 펀칭함으로써 이들 통기공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에서부터 제1 이형필름(310), 제1 필름층(320), 제2 필름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준비한다(제1a 단계).
여기서, 제1 이형필름(310)과 제2 이형필름(340)은 대략 0.01~0.1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름층(320)은 두께가 대략 0.015~0.09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이고, 제2 필름층(330)은 두께가 대략 0.04~0.12mm이며 실리콘 재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원단 필름(300)을 준비한 후 펀칭하여 통기공을 형성시킨다(제1b 단계). 즉, 아래에서 순차적으로 제1 이형필름(310), 제1 필름층(320), 제2 필름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이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향해 상부에서 금형(500)으로 펀칭하는 것이다.
여기서, 금형(500)은 지지부(510) 저면에 제1 커터(520)와 제2 커터(5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커터(520)는 제1 통기공(321), 제3 통기공(331) 및 제5 통기공(34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들 통기공들과 동일한 모양이며, 또 제2 커터(530)는 제2 통기공(322), 제4 통기공(332) 및 제6 통기공(34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들 통기공들과 동일한 모양이다.
물론 제1 커터와 제2 커터가 각각 구비된 2종류의 금형을 사용하여 통기공들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 도 8에서는 한 개의 제1 커터(520)와 2개의 제2 커터(530)를 사용하여 펀칭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지지부(510) 저면 중앙에는 패드부(100)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제1 커터(520)들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커터(520) 외측으로는 다수개의 제2 커터(530)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금형(500)으로 펀칭할 시, 제1 커터(520)와 제2 커터(530)의 날끝이 제1 이형필름(310)은 관통하지 않고 나머지 필름들인 제2 이형필름(340), 제2 필름층(330) 및 제1 필름층(3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이동시킨다. 물론 제1 커터(520)와 제2 커터(530) 날끝이 제1 이형필름(31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다면 일부가 절개되어도 무방하다.
커터가 필름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펀칭하여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필름이 점착성을 갖는 재질일 시에는 절단된 조각들이 커터 내면에 달라붙기 때문에 절단된 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커터를 자주 교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할 시 절단된 조각들이 함께 분리되기 때문에 가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제1 필름층(320)에는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 제2 필름층(330)에는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 그리고 제2 이형필름(340)에는 제5 통기공(341)과 제6 통기공(342)이 형성될 수 있는 절개된 영역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제1 필름층(320)으로부터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하여 제1 절개영역(A)과 제2 절개영역(B)을 제거한다(제1c 단계). 제1 필름층(320)은 유연성과 조금의 점착력을 갖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인 반면, 제1 이형필름(3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종이 재질이다. 따라서 제1 필름층(320)으로부터 제1 이형필름(310)이 비교적 쉽게 떨어지고, 이때 절개된 영역들은 제1 이형필름(310)에 부착된 채 함께 분리되어, 제1 절개영역(A)은 제1 통기공(321), 제3 통기공(331) 및 제5 통기공(341)을 형성시키고, 제2 절개영역(B)은 제2 통기공(322), 제4 통기공(332) 및 제6 통기공(342)을 형성시킨다.
계속해서, 제2 단계에서는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며, 제3 단계에서는 전술한 다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아래에서부터 제1 필름층(320), 제2 필름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 순으로 적층된 필름층을 패드부(100) 타면과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중첩시킨다.
또 제4 단계에서는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시켜 환부와 밀착하는 제2 필름층(330)을 노출시키고, 마지막으로 제2 필름층(33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이형필름(400)을 제2 필름층(330)의 노출면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제3 이형필름(400)은 제2 이형필름(34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필름층(330)과의 접합면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불소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패드부
110: 절개선
200: 배킹 필름
210: 메모란
300: 원단 필름
310: 제1 이형필름
320: 제1 필름층
321: 제1 통기공 322: 제2 통기공
330: 제2 필름층
331: 제3 통기공 332: 제4 통기공
340: 제2 이형필름
341: 제5 통기공 342: 제6 통기공
400: 제3 이형필름
500: 금형
510: 지지부 520: 제1 커터
530: 제2 커터
A: 제1 절개영역
B: 제2 절개영역
110: 절개선
200: 배킹 필름
210: 메모란
300: 원단 필름
310: 제1 이형필름
320: 제1 필름층
321: 제1 통기공 322: 제2 통기공
330: 제2 필름층
331: 제3 통기공 332: 제4 통기공
340: 제2 이형필름
341: 제5 통기공 342: 제6 통기공
400: 제3 이형필름
500: 금형
510: 지지부 520: 제1 커터
530: 제2 커터
A: 제1 절개영역
B: 제2 절개영역
Claims (13)
-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배킹 필름(200);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상기 배킹 필름(200)과 중첩되는 제1 필름층(320); 및
상기 제1 필름층(320) 외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밀착하는 제2 필름층(3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필름층(320)에는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필름층(330)에는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공(322)과 제4 통기공(332)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의 면적이 동일하고, 제2 통기공(322) 및 제4 통기공(332)의 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공(321)의 면적은 상기 제2 통기공(322)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층(3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아크릴 소재의 접착층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으로서,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22)이 형성된 제1 필름층(320), 다수개의 제3 통기공(331)과 제4 통기공(3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층(320)과 일면이 밀착된 제2 필름층(330), 및 다수개의 제5 통기공(341)과 제6 통기공(3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필름층(330)의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상기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필름층(320)을 중첩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하여 상기 제2 필름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아래에서부터 제1 이형필름(310), 제1 필름층(320), 제2 필름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 순으로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a 단계;
상기 제1 통기공(321), 제3 통기공(331) 및 제5 통기공(341)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제1 커터(520)로 펀칭하여 제1 절개영역(A)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통기공(322), 제4 통기공(332) 및 제6 통기공(342)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제2 커터(530)로 펀칭하여 제2 절개영역(B)을 형성하는 제1b 단계; 및
상기 제1 필름층(320)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절개영역(A)과 제2 절개영역(B)을 제거함으로써, 제1 통기공(321) 내지 제6 통기공(342)을 형성시키는 제1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b 단계에서는, 제1 절개영역(A) 및 제2 절개영역(B) 중 어느 하나의 절개영역을 먼저 형성하거나,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320)은 폴리우레탄(PU) 재질이고, 상기 제2 필름층(3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터(520)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커터(530)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공(321)과 제3 통기공(331)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기공(322)과 제4 통기공(332)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0)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밀착하는 패드부(100) 일면에서 타면을 향해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 필름(200) 외면 일정 영역에 메모란(210)을 형성시키는 제6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2809A KR20250012808A (ko) | 2023-07-18 | 2023-07-18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2809A KR20250012808A (ko) | 2023-07-18 | 2023-07-18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12808A true KR20250012808A (ko) | 2025-01-31 |
Family
ID=9438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2809A Pending KR20250012808A (ko) | 2023-07-18 | 2023-07-18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12808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6205A (ko) | 2009-12-29 | 2011-07-06 | 주식회사 효성 | 상처용 드레싱재의 지지필름 |
-
2023
- 2023-07-18 KR KR1020230092809A patent/KR20250012808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6205A (ko) | 2009-12-29 | 2011-07-06 | 주식회사 효성 | 상처용 드레싱재의 지지필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36348B1 (en) | Wound dressing with advanced fluid handling | |
US5476443A (en) | Wound dressing product containing a porous layer | |
US9017302B2 (en) | Thin film wound dressing | |
US5447492A (en) | External fixation dressing for accommodating a retaining pin | |
EP0090564B1 (en) | Reservoir wound dressing | |
US825297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incisions | |
US5976117A (en) | Wound dressing | |
US20180064843A1 (en) | Wound dressing | |
EP2552371B1 (en) | A wound care dressing, a method and a production line for manufacturing the wound care dressing | |
ES2236306T3 (es) | Apositos adaptables. | |
GB2526267A (en) | Dressing for surgical drain | |
CA3002890C (en) | Medical dressing | |
JP2022500106A (ja) | 適応可能接着性創傷被覆材 | |
JP2004130079A (ja) | 接着ガーゼ包帯 | |
JP2004130079A5 (ko) | ||
US9468561B2 (en) | Medical dres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KR20250012808A (ko)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140553A (ko)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140642A (ko)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50012809A (ko) | 의료용 드레싱재의 지지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JPH07308339A (ja) | 無菌創傷用パッキング | |
TWI808139B (zh) | 創傷被覆材料 | |
KR200493354Y1 (ko) | 의료용 드레싱 밴드 | |
KR102622473B1 (ko) | 의료용 드레싱 밴드 제조방법 | |
KR20230146289A (ko) |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