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0553A -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0553A
KR20240140553A KR1020230035062A KR20230035062A KR20240140553A KR 20240140553 A KR20240140553 A KR 20240140553A KR 1020230035062 A KR1020230035062 A KR 1020230035062A KR 20230035062 A KR20230035062 A KR 20230035062A KR 20240140553 A KR20240140553 A KR 20240140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dical dressing
adhesive layer
adhesiv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23003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0553A/ko
Publication of KR2024014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055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4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kin contacting layer, e.g. 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46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255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with p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93Wound bandages anallergic or hypoallerg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6Co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배킹 필름(200);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중첩되는 접착 필름(320); 상기 접착 필름(320) 외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밀착하는 제1 접착층(330); 및 상기 제1 접착층(330)을 보호하기 위한 제3 이형필름(400);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 필름(320)과 제1 접착층(330)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통기공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Medical Dressing Pa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부와의 밀착력과 삼출물의 흡수가 동시에 용이하고, 피부의 자극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드레싱재는 경미한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즉, 의료용 드레싱재는 상처 표면으로부터의 열 증발과 수분 손실을 감소시켜서 더 이상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처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발육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의료용 드레싱 밴드로서 거즈 형태의 일회용 의료밴드를 사용해 왔는데, 상처와 접하는 거즈의 양측으로 밴드가 연장되어 피부에 접착되기 때문에 거즈는 상처에 접한 상태로 피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상처를 보호 및 치료할 수 있는 드레싱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 드레싱재는 상처에 직접 접촉하여 상처로부터의 삼출액을 흡수 및 보유하는 패드부, 패드부가 상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패드부 상부에 위치하여 환부에 부착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환부의 면적이 큰 경우 환부를 전부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넓은 면적을 갖는 패드부가 필요하고, 이는 환부와 패드부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초래하여 패드부가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762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패드부의 면적이 크더라도 환부와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부의 삼출물 흡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손상이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배킹 필름(200);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중첩되는 접착 필름(320); 상기 접착 필름(320) 외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밀착하는 제1 접착층(330); 및 상기 제1 접착층(330)을 보호하기 위한 제3 이형필름(400);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 필름(320)과 제1 접착층(330)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통기공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1 접착층(3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아크릴 소재의 제2 접착층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서, 상기 배킹 필름(200) 외면에는 메모란(2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서, 상기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된 접착 필름(320),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 필름(320)과 일면이 밀착된 제1 접착층(330), 다수개의 제3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착층(330)의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 및 제3 이형필름(4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상기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상기 접착 필름(320)을 중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접착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층(330)의 노출면에 상기 제3 이형필름(400)을 위치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된 접착 필름(320),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형성된 제1 접착층(330), 및 다수개의 제3 통기공이 형성된 제2 이형필름(340)은, 아래에서부터 제1 이형필름(310), 접착 필름(320), 제1 접착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 순으로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a 단계; 상기 제1 통기공(321) 내지 제3 통기공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커터(520)가 구비된 금형(500)으로 펀칭하여, 제1 통기공(321) 내지 제3 통기공에 해당되는 절개영역을 형성하는 제1b 단계; 및 상기 접착 필름(320)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하여 절개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제1 통기공(321) 내지 제3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제1c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접착 필름(320)은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이형필름(310) 및 제2 이형필름(3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절개선(110)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밀착하는 패드부(100) 일면에서 타면을 향해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배킹 필름(200)에는 메모란(210)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접하는 상기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아크릴 소재의 제2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배킹 필름(200)의 일정 영역에 메모란(210)을 형성시키는 제6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드부 일면에는 배킹 필름이 위치하는 한편 타면에는 접착 필름과 실리콘 재질의 접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패드부가 환부에 항상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드부 타면에 위치하는 접착 필름과 제1 접착층에는 패드부와 중첩되는 위치에만 통기공이 마련되어 있어 환부에서 생성된 삼출물이 패드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킹 필름 내면의 아크릴 소재의 제2 접착층은 피부와 접촉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드부에는 다수의 절개선이 마련되어 있어, 환부가 굴곡지더라도 밀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한층 활동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하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에 적층되어 있는 접착 필름에 제1 접착층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접착 필름과 제1 접착층에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하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에 적층되어 있는 접착 필름에 제1 접착층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접착 필름(320), 제1 접착층(330) 및 제3 이형필름(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패드부(100)는 환자의 환부를 커버하여 감염을 방지하거나 상처가 빨리 치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거즈, 솜, 부직포,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하이드로 겔(hydro gel),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팽창성 합성 중합체 등 공지의 흡수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배킹 필름(200)과 접하는 패드부(100) 일면에서부터 접착 필름(320)과 접하는 타면을 향해 절개선(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절개선(110)은 패드부(100)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절개선(110)이 패드부(100)에 구비될 시, 관절이나 굴곡진 환부에 부착되더라도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우수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어, 삼출물을 흡수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부의 움직임이 한층 자유롭다.
비록 도 3에서는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반타원형과 쐐기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절개선(1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배킹 필름(200)은 두께가 대략 0.015~0.090mm이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여 환부 접촉면의 반대측 면을 구성하며, 바이러스나 세균을 포함한 이물질로부터의 패드부(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킹 필름(200)은 방수/방습 기능이 있으면서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패드부(100)를 향하는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패드부(100) 및 접착 필름(32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접착층(미도시), 예를 들어 아크릴 소재의 제2 접착층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배킹 필름(200) 외부면에는 메모란(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란(210)에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부착시기를 기재해 둠으로써 교환시기를 알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상처의 크기, 드레싱재를 처음으로 부착한 시기 등 각종 정보를 기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접착 필름(320)은 배킹 필름(200) 내면, 즉 패드부(100) 타면에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은 배킹 필름(200)의 내면과 중첩된 상태이고, 따라서 패드부(100)는 배킹 필름(200)과 접착 필름(320)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접착 필름(320)은 두께가 대략 0.015~0.09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로 구성된다.
제1 접착층(330)은 접착 필름(320)의 외부 노출면, 다시 말해 패드부(100)와 밀착하지 않는 반대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제1 접착층(330)은 두께가 대략 0.04~0.12mm이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이는 환부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또 피부의 자극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접착 필름(320)과 제1 접착층(330)에는 환부로부터 배출되는 삼출물이 투과하여 패드부(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접착 필름(320)에는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 그리고 제1 접착층(330)에는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구비되며, 이들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31)은 서로 중첩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들 제1 통기공(321)과 제2 통기공(331)은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배킹 필름(200) 내면의 아크릴 소재 접착층이 피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자극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도 5에서는 제1 통기공(321)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얼마든지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고 또 개수나 내경도 조절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3 이형필름(400)은 제1 접착층(33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사용 전에는 제1 접착층(3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환부에 부착하기 전에 떼어 낸다(도 6 참조). 비록 도면에서는 제3 이형필름(400)이 1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가운데 부분 일부가 서로 중첩된 2장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제1 접착필름과 제2 접착필름에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들 도 7 및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된 접착 필름(320),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형성되며 접착 필름(320)과 일면이 밀착된 제1 접착층(330), 다수개의 제3 통기공이 형성되며 제1 접착층(330)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 및 제3 이형필름(4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 패드부(100) 타면과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접착 필름(320)을 중첩시키는 제3 단계;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하여 제1 접착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4 단계; 및 제1 접착층(330)의 노출면에 제3 이형필름(400)을 위치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패드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즈, 솜, 부직포,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하이드로 겔(hydro gel),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팽창성 합성 중합체 등 공지의 흡수성 재료로 구성되며, 일정 두께, 면적 및 형상이 되도록 준비한다. 물론 절개선을 형성시킬 시에는, 성형칼날(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절개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준비되는 배킹 필름(200)은 환부에 고정될 영역이 마련될 수 있도록 패드부(100) 보다 면적이 크다.
또 배킹 필름(200)의 내면 즉, 패드부(100)와 맞닿는 면에는 패드부(100) 및 접착 필름(320)과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아크릴계 소재의 점착층이 도포된 상태이다. 물론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제, 하이드로겔 점착제 등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점착제이어도 무방하다.
또 배킹 필름(200)의 외면, 즉 제2 접착층이 도포되지 않은 면의 소정 부위에는 메모란을 부착시킬 수 있다. 물론 제1 접착층(330)의 노출면에 제3 이형필름(400)을 위치시키는 제5 단계 이후에 메모란을 형성시키거나 배킹 필름(200) 원단에 메모란을 적층시킨 후, 배킹 필름 절단 시 메모란이 함께 절단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 메모란 내면에는 배킹 필름(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된 접착 필름(320),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형성되며 접착 필름(320) 일면에 구비된 제1 접착층(330), 및 다수개의 제3 통기공이 형성되며 제1 접착층(330)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은 원단 필름(300)을 펀칭함으로써 통기공이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에서부터 제1 이형필름(310), 접착 필름(320), 제1 접착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준비한다(제1a 단계).
여기서, 제1 이형필름(310)과 제2 이형필름(340)은 대략 0.05~0.1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 필름(320)은 두께가 대략 0.015~0.09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 제1 접착층(330)은 두께가 대략 0.04~0.12mm이며 실리콘 재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원단 필름(300)을 준비한 후 펀칭하여 통기공을 형성시킨다(제1b 단계). 즉, 아래에서 순차적으로 제1 이형필름(310), 접착 필름(320), 제1 접착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이 적층된 원단 필름(300) 상부로부터 지지부(510) 아래에 커터(520)가 구비된 금형(500)으로 펀칭한다.
이때 커터(520)의 날끝이 제1 이형필름(310)은 관통하지 않고 나머지 필름들인 제2 이형필름(340), 제1 접착층(330) 및 접착 필름(3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이동시킨다. 물론 커터(520) 날끝이 제1 이형필름(31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다면 일부가 절개되어도 무방하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형(5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510)에는 형성시킬 통기공들에 대응되는 모양과 개수의 커터가 마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접착 필름(320)에는 제1 통기공(321), 제1 접착층(330)에는 제2 통기공(331) 그리고 제2 이형필름(340)에는 제3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는 절개된 영역이 마련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공들은 패드부와 중첩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접착 필름(320)부터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하여 절개영역(A)을 제거한다(제1c 단계). 접착 필름(320)은 유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인 반면, 제1 이형필름(3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종이 재질이다. 따라서 접착 필름(320)부터 제1 이형필름(310)이 비교적 쉽게 떨어지고, 이때 절개된 영역들은 제1 이형필름(310)에 부착된 채 함께 분리된다.
계속해서, 제2 단계에서는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며, 제3 단계에서는 전술한 다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아래에서부터 접착 필름(320), 제1 접착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 순으로 적층된 필름층을 패드부(100) 타면과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중첩시킨다.
또 제4 단계에서는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시켜 환부와 밀착하는 제1 접착층(330)을 노출시키고, 마지막으로 제1 접착층(33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이형필름(400)을 제1 접착층(330)의 노출면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제3 이형필름(400)은 제2 이형필름(34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패드부
110: 절개선
200: 배킹 필름
210: 메모란
300: 원단 필름
310: 제1 이형필름
320: 접착 필름 321: 제1 통기공
330: 제1 접착층 331: 제2 통기공
340: 제2 이형필름
400: 제3 이형필름
500: 금형
510: 지지부 520: 커터
A: 절개영역

Claims (12)

  1.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배킹 필름(200);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면서 가장자리 일부 영역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중첩되는 접착 필름(320);
    상기 접착 필름(320) 외면에 위치하여 환부와 밀착하는 제1 접착층(330); 및
    상기 제1 접착층(330)을 보호하기 위한 제3 이형필름(400);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 필름(320)과 제1 접착층(330)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통기공은 상기 패드부(100)와 중첩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3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아크릴 소재의 제2 접착층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 필름(200) 외면에는 메모란(2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
  4. 제1항에 기재된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으로서,
    패드부(100), 배킹 필름(200),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된 접착 필름(320),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 필름(320)과 일면이 밀착된 제1 접착층(330), 다수개의 제3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착층(330)의 타면과 밀착된 제2 이형필름(340), 및 제3 이형필름(4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중첩되도록 배킹 필름(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패드부(100) 타면과 상기 배킹 필름(200)의 가장자리 일부 영역에 상기 접착 필름(320)을 중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2 이형필름(340)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접착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층(330)의 노출면에 상기 제3 이형필름(400)을 위치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다수개의 제1 통기공(321)이 형성된 접착 필름(320), 다수개의 제2 통기공(331)이 형성된 제1 접착층(330), 및 다수개의 제3 통기공이 형성된 제2 이형필름(340)은,
    아래에서부터 제1 이형필름(310), 접착 필름(320), 제1 접착층(330), 및 제2 이형필름(340) 순으로 적층된 원단 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a 단계;
    상기 제1 통기공(321) 내지 제3 통기공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커터(520)가 구비된 금형(500)으로 펀칭하여, 제1 통기공(321) 내지 제3 통기공에 해당되는 절개영역을 형성하는 제1b 단계; 및
    상기 접착 필름(320)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필름(310)을 분리하여 절개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제1 통기공(321) 내지 제3 통기공을 형성시키는 제1c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320)은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필름(310) 및 제2 이형필름(3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패드부(100)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선(110)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0)은 상기 배킹 필름(200)과 밀착하는 패드부(100) 일면에서 타면을 향해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배킹 필름(200)에는 메모란(210)이 형성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 일면과 접하는 상기 배킹 필름(200) 내면에는 아크릴 소재의 제2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 필름(200) 외면 일정 영역에 메모란(210)을 형성시키는 제6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20230035062A 2023-03-17 2023-03-17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Pending KR20240140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062A KR20240140553A (ko) 2023-03-17 2023-03-17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062A KR20240140553A (ko) 2023-03-17 2023-03-17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0553A true KR20240140553A (ko) 2024-09-24

Family

ID=929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062A Pending KR20240140553A (ko) 2023-03-17 2023-03-17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05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205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상처용 드레싱재의 지지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205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상처용 드레싱재의 지지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6348B1 (en) Wound dressing with advanced fluid handling
US5976117A (en) Wound dressing
EP0006714B1 (en) Balanced environment wound dressing
US20180125720A1 (en) Reinforced Adhesive Backing Sheet
EP2552371B1 (en) A wound care dressing, a method and a production line for manufacturing the wound care dressing
US20180064843A1 (en) Wound dressing
ES2236306T3 (es) Apositos adaptables.
JP2022500106A (ja) 適応可能接着性創傷被覆材
GB2526267A (en) Dressing for surgical drain
CA3002890C (en) Medical dressing
JP2004130079A (ja) 接着ガーゼ包帯
JP2004130079A5 (ko)
KR20240140553A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40642A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50012808A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TWI808139B (zh) 創傷被覆材料
EP0650713A2 (en) Wound packing and package therefor
KR20250012809A (ko) 의료용 드레싱재의 지지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6289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