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7352A -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 Google Patents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7352A
KR20240147352A KR1020230043196A KR20230043196A KR20240147352A KR 20240147352 A KR20240147352 A KR 20240147352A KR 1020230043196 A KR1020230043196 A KR 1020230043196A KR 20230043196 A KR20230043196 A KR 20230043196A KR 20240147352 A KR20240147352 A KR 20240147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andal
fixed
convex portion
type sh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봉
Original Assignee
박만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봉 filed Critical 박만봉
Priority to KR102023004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7352A/ko
Publication of KR2024014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735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들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을 받치는 미드솔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관통홀 구조 또는 홈 구조의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행시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쏠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SANDAL-TYPE SHOE WITH CUSTOMIZED INSOLE}
본 발명은 샌들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발, 요족, O자형 다리, X자형 다리, 골반, 잘못된 보행, 발목 불안정성 등을 교정하거나, 무지외반증, 중증발 변형, 지간 신경증, 다리 절음, 아킬레스 건염, 골다공증, 척추전방전위증, 피로골절 등을 치료하거나, 발바닥, 골반, 무릎 통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착용자(환자)의 발 구조에 맞게 제작된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이유로 각종 발, 다리 질환 및 통증에 고통받고 있다. 선천적인 이유로는 가령 평발이나 요족 등과 같이 선천적으로 발의 변형을 갖고 태어난 경우일 수 있고, 후천적인 이유로는 가령 잘못된 보행이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하이힐 등)을 착용하는 등과 같은 잘못된 생활 습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천적이거나 또는 후천적인 이유로 인해 O자형 다리, X자형 다리, 골반, 중증발 등의 변형을 유발하거나, 무지외반증, 지간 신경증, 다리 절음, 아킬레스 건염, 골다공증, 척추전방전위증, 피로골절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는 일상 생활 중에 발바닥, 골반, 무릎 부위에서 통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빠른 산업화로 인해 근력을 사용하는 일보다 두뇌를 사용하는 IT 계열로 진화하면서 앉아서 일하는 일과 편해진 교통수단으로 인해 근육의 퇴화가 가속화되어 나이가 들수록 다리 근력이 약해지면서 발이나 다리, 관절 질환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현대인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의료기관의 메디컬 센터나, 재활(운동) 및 교정 치료센터에 방문하여 운동과 교정치료를 병행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방법은 환자에게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일상 생활 중에 착용만으로 자연스럽게 교정치료가 가능하도록 맞춤형 깔창이 사용된다.
KR 10-2354953 B1, 2022. 01. 19. KR 10-1557782 B1, 2015. 09. 30. KR 10-1655937 B1, 2016. 09. 02.
맞춤형 깔창은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깔창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에 장착되는 깔창들 중 착용자(환자)의 발바닥을 직접 받치는 인솔(insole, 안창)을 의미한다. 이러한 맞춤형 인솔은 착용자마다 각각 다른 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최적화된 교정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발의 구조에 맞게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령 석고나 폼 또는,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발 구조의 본을 뜨고, 다시 이를 기본으로 하는 석고 발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기본으로 폴리프로필렌 판 등을 이용하여 쉘(shell)을 제작한 다음 쉘을 적당한 형태로 자르고 다듬은 후 여러 가지 소재를 덧붙여 완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맞춤형 인솔은 신발의 아웃솔(outsole, 밑창)의 상부에 접착 고정되는 미드솔(midsole, 중창)의 상부에 부착된다. 미드솔은 보통 신발에 따라 신발 내부에 한 개 또는 두 개가 내장될 수 있다. 맞춤형 인솔은 신발 내부에서 미드솔의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분리되거나 틀어지는 경우 교정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맞춤형 인솔은 통상 강력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미드솔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
그러나, 맞춤형 인솔은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제작됨에 따라 균일하지 않고 부위별로 굴곡이 존재한다. 특히 종골(뒷꿈치) 부위를 받치는 부분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미드솔에 접착 고정하더라도 맞춤형 인솔에 가해지는 힘이 틀어지는 경우(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 볼록한 부위가 미드솔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틀어지고, 이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접착 고정된 부분이 미드솔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행시 맞춤형 인솔의 볼록한 돌출 부위가 미드솔의 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쏠리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발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필요가 있다. 보행시 발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기울어지는 경우), 맞춤형 인솔 또한 발이 쏠리는 방향으로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발이 쏠리는 방향으로 틀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맞춤형 인솔은 대부분 운동화나 구두 등과 같이 발의 측부를 감싸는 갑피(발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지지)로 이루어진 신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하여 왔다. 무더운 하절기(여름철)에 주로 착용하는 샌들형 신발의 경우에는 갑피 대신에 끈이나 밴드를 이용하여 발을 신발에 고정하기 때문에 갑피를 구비한 운동화나 구두에 비해 발의 측부를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한다. 이 때문에 맞춤형 인솔을 샌들형 신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인솔의 틀어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무더운 하절기에는 높은 기온으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접착 특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맞춤형 인솔의 쏠림과 분리되는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로서, 갑피를 구비하지 않고 끈이나 밴드 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발을 신발에 고정하는 샌들형 신발에 있어서, 맞춤형 인솔이 구조적인 특징(종골을 받치는 부위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으로 인해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쏠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맞춤형 인솔을 샌들형 신발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샌들형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서,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맞춤형 인솔이 지니고 있는 기능성 특징(교정치료)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샌들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과제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부착 고정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되고,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샌들형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볼록부가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내면은 상기 볼록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미드솔; 및 상기 하부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미드솔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 또는 상기 하부 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관통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한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 형성된 지지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하측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상측에서 하부로 삽입 결합되는 상기 볼록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환상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브러시 형태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들형 신발에 따르면,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을 받치는 미드솔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관통홀 또는 홈 구조의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쏠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들형 신발에 따르면, 맞춤형 인솔에 형성된 볼록부의 외면이 고정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지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인솔이 미드솔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충격 완화와 맞춤형 인솔이 지니고 있는 기능성 특징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효과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구성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나타낸 단면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도면에서 구성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고, '포함한다',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구성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샌들형 신발(10)은 아웃솔(11)과, 아웃솔(11)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미드솔(12) 및 인솔(13)과, 아웃솔(11)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발을 아웃솔(1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4)를 포함한다.
아웃솔(11)은 지면에 직접 닿는 깔창으로, '밑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샌들형 신발(10)의 최하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아웃솔(11)은 안정적인 접지와 인솔(14)과의 사이에 내장되는 미드솔(12)을 보호하여 미드솔(12)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바닥면(지면에 닿는 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요철부의 구조 및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을 두지 않는다.
미드솔(12)은 착용자의 보행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깔창으로서, '중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드솔(12)은 인솔(13)과 아웃솔(11) 사이에 내장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미드솔(12)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미드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부 미드솔(121)과, 하부 미드솔(122)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미드솔(121)과 하부 미드솔(122)은 충격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미드솔(121)과 하부 미드솔(122)은 동일 또는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미드솔(12)의 상부에는 맞춤형 인솔(13)이 설치된다.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이나 다리, 관절의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최적화되어 제작된 맞춤형 깔창으로서, '안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령 맞춤형 인솔(13)은 석고나 폼,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본을 뜨고, 이를 기본으로 하는 석고 발 모형을 제작한 후, 이를 기본으로 쉘(shell)을 제작한 다음 쉘을 적당한 형태로 자르고 다듬은 후 여러 가지 소재를 덧붙여 완성할 수 있다.
미드솔(12)이 접착 고정되는 아웃솔(11)의 상면은 평평하거나 미드솔(12)이 아웃솔(1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미드솔(12)이 내부에 수용되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고정홈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부(11a)에는 하부 미드솔(122)이 삽입 수용된 후 접착제 등을 통해 아웃솔(11)의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미드솔(122)의 상면에는 상부 미드솔(121)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미드솔(121)의 상면에는 교정치료를 위한 기능성이 부가된 맞춤형 인솔(13)이 설치된다.
고정부재(14)는 폭방향으로 양측부가 아웃솔(11)의 측부 및/또는 측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4)는 착용자의 발등 상부를 교차시켜 발을 고정하는 밴드 또는 끈(14a)이 설치된다. 밴드 또는 끈(14a)은 착용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나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밴드 또는 끈(14a)은 착용 후 강한 고정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기 위해 일단부가 찍찍이(벨크로)이나 똑딱이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1에서, 고정부재(14)의 구조 및 형상, 그리고 밴드 또는 끈(14a)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3은 아래에서 상부 미드솔과 맞춤형 인솔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 (a)는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의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을 투영시켜 제작함에 따라 착용자의 발의 종골에 대응되는 부위, 즉 종골을 받치는 부위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돌출된 부위(13a)(이하, '볼록부'라 함)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볼록 구조, 가령 반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미드솔(121)에는 볼록부(13a)에 대응하여 볼록부(13a)가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21a)가 형성된다. 고정부(121a)는 상부 미드솔(121)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또는 상부 미드솔(121)의 상부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로 이루어진다.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는 고정부(121a)와 상하로 정렬된다. 볼록부(13a)는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암수 결합된다.
도 4의 (b)는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의 (b)와 같이, 볼록부(13a)는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면, 볼록부(13a)를 제외한 맞춤형 인솔(13)의 다른 부위에서는 하부가 상부 미드솔(121)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측방향)으로 기울어져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21a)는 도 3과 같이, 상부 미드솔(121)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고정부(121a)에 볼록부(13a)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의 둥근 형상의 외면(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구조로 이루어짐)은 고정부(121a)의 내면에 접면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21a)의 내경은 볼록부(13a)의 외경 변화에 대응하여 내경이 하부(깊이방향)로 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미드솔(121)에서는 고정부(121a)의 형성으로 인해 고정부(121a)에서의 충격 흡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121a)에 결합되는 볼록부(13a)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의 내부에서 공중에 붕 떠있는 상태로 결합되지 않고 상부 미드솔(121)에 의해 감싸 지지되도록 고정부(121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서는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록부(13a)의 외면이 고정부(121a)로 삽입되는 방향(깊이방향)으로 고정부(121a)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지지되도록 한다. 이는 볼록부(13a)가 공간에 떠 있지 않고 고정부(121a)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볼록부(13a)의 외면이 고정부(121a)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볼록부(13a)의 외면이 고정부(121a)의 내면에 지지되는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상부 미드솔(121)이 볼록부(13a)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다.
볼록부(13a)의 외면은 볼록 형상과 같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볼록부(13a)의 볼록 형상의 외면에 대응하여 고정부(121a)의 내면은 오목 형상과 같은 반원 구조로 형성된다. 볼록부(13a)의 외면 경사도는 고정부(121a)의 내면 경사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볼록부(13a)의 외면 곡률은 고정부(121a)의 내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볼록부(13a)의 외면과 고정부(121a)의 내면은 단면 상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의 (b)와 같이, 볼록부(13a)가 고정부(121a)에 결합될 때, 볼록부(13a)의 외면은 고정부(121a)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면서 결합된다. 가령 볼록부(13a)의 외면은 고정부(121a)의 내면에 법면 구조로 서로 긴밀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볼록부(13a)로 인해 맞춤형 인솔(13)이 상부 미드솔(1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블록부(13a)는 고정부(121a)의 내부로 가능한 깊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의 (a)와 같이, 볼록부(13a)의 두께 't1'은 상부 미드솔(121)의 두께 't2'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미드솔(121)의 두께는 고정부(121a)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도 3에는 볼록부(13a)를 제외한 맞춤형 인솔(13)의 하부가 평평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맞춤형 인솔(13)은 착용자의 발의 구조를 그대로 투영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의 구조에 맞는 형상을 갖는다. 가령 주상골을 받치는 부위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투자골, 설상골 및/또는 척골을 받치는 부위는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골을 받치는 부위는 지골의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상승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샌들형 신발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솔과 고정부재는 생략하고 맞춤형 인솔과 미들솔만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실시 예1에서와 같이, 맞춤형 인솔(23)을 받치는 미드솔(22)을 포함한다. 미드솔(22)은 상부 미드솔(221)과 하부 미드솔(222)이 상하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맞춤형 인솔(23)에는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볼록부(23a)가 형성되고, 상부 미드솔(221)과 하부 미드솔(222)에는 볼록부(23a)가 결합되는 고정부(221a, 222a)가 형성된다. 상부 미드솔(221)에 형성된 고정부(221a)와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2a)는 상하로 정렬된다. 고정부(221a, 222a)는 각각 관통홀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부 미드솔(221)에 형성된 고정부(221a)는 관통홀 구조,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2a)는 소정 깊이를 갖는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맞춤형 인솔과 미드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맞춤형 인솔(23)에 형성된 볼록부(23a)가 상부 미드솔(221)과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1a, 222a)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기 위해서는 볼록부(23a)가 고정부(221a, 222a)에 깊게 결합되어야 한다. 상부 미드솔(221)의 두께 't21'와 하부 미드솔(222)의 두께 't22'를 합한 두께('t21+t22')는 볼록부(23a)의 두께 't11'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이때, 상부 미드솔(221)의 두께 't21'는 상부 미드솔(221)에 형성된 고정부(221a)의 깊이에 대응하고, 하부 미드솔(222)의 두께 't22'는 하부 미드솔(222)에 형성된 고정부(222a)의 깊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솔과 고정부재는 생략하였고 맞춤형 인솔과 미들솔만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실시 예1과 마찬가지로,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볼록부(33a)를 갖는 맞춤형 인솔(33)과, 맞춤형 인솔(33)의 볼록부(33a)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321a)가 형성된 상부 미드솔(321)을 포함한다. 상부 미드솔(321)은 하부 미드솔(322)의 상부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21a)의 내면에는 도 8의 (a) 및 (b)와 같이, 볼록부(33a)의 외면을 지지하거나, 또는 볼록부(33a)의 외면과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321b)이 형성된다. 걸림턱(321b)은 고정부(321a)의 내면을 따라 띠 형상, 즉 환상(환형) 구조로 고정부(321a)의 내면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a)와 같이, 걸림턱(321b)이 고정부(321a)의 내면을 따라 복수 개가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 고정부(321a)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턱(321b)의 높이(두께)는 동일하거나, 고정부(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부(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턱(321b)은 볼록부(33a)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맞춤형 인솔(33)의 볼록부(33a)가 상부 미드솔(321)의 고정부(321a)에 결합될 때 걸림턱(321b)을 지나 깊이방향으로 깊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미드솔(321)은 맞춤형 인솔(33)에 비해 부드러운 연질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321b)은 고정부(321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른 예로서, 걸림턱(321b) 대신에 고정부(321a)의 내면에 브러시 형태로 복수 개의 돌기가 촘촘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는 고정부(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솔과 고정부재는 생략하였고 맞춤형 인솔과 미들솔만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실시 예1과 같이, 맞춤형 인솔(43)과, 맞춤형 인솔(43)의 볼록부(43a)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421a)가 형성된 상부 미드솔(421)과, 상부 미드솔(421)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 미드솔(422)을 포함하고, 하부 미드솔(422)에는 고정부(421a)의 하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부(421a)의 상측에서 삽입 결합된 볼록부(43a)를 받치는 지지부(422a)가 형성된다.
상부 미드솔(421)이 하부 미드솔(4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부(422a)는 도 9의 (b)에서와 같이, 고정부(421a)의 하측에서 고정부(42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 미드솔(421)에 형성된 고정부(421a)의 상측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볼록부(43a)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볼록부(43a)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샌들형 신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a)는 분해 단면도이고, (b)는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부재는 생략하였고 맞춤형 인솔, 미들솔 및 아웃솔만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샌들형 신발은 맞춤형 인솔(53)과, 맞춤형 인솔(53)의 볼록부(53a)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521a)가 형성된 상부 미드솔(521)과, 상부 미드솔(521)의 하부를 받치고 상부 미드솔(521)에 형성된 고정부(521a)와 상하로 대응하는 부위(상하로 정렬되는 부위)에 상부 미드솔(521)의 고정부(521a)를 관통하는 볼록부(53a)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522a)가 형성된 하부 미드솔(522)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미드솔(522)의 하부에는 하부 미드솔(522)의 하부를 받치는 아웃솔(51)이 설치되고, 아웃솔(51)에는 고정부(521a, 522a)에 삽입 결합된 볼록부(53a)를 지지하는 지지부(51a)가 형성된다.
아웃솔(51)에 형성된 지지부(51a)은 아웃솔(51)의 다른 부위에 비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 미드솔(521)이 하부 미드솔(5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아웃솔(51)에 형성된 지지부(51a)는 도 10의 (b)에서와 같이, 고정부(521a, 522a)의 하측에서 고정부(521a, 522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 미드솔(521)에 형성된 고정부(521a)의 상측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볼록부(53a)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볼록부(53a)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1 내지 실시 예4에 따른 샌들형 신발에 적용된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내면은 맞춤형 인솔에 형성된 볼록부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령 기본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위별로 발 구조에 대응하여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는 상부 미드솔 대신에 하부 미드솔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맞춤형 인솔은 고정력을 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미드솔의 상부에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 샌들형 신발
11, 51 : 아웃솔
11a : 고정홈부
12, 22 : 미드솔
13, 23, 33, 43, 53 : 맞춤형 인솔
13a, 23a, 33a, 43a, 53a : 볼록부
14 : 고정부재
14a : 밴드 또는 끈
121, 221, 321, 421, 521 : 상부 미드솔
121a, 221a, 222a, 321a, 421a, 521a, 522a : 고정부
122, 222, 322, 422, 522 : 하부 미드솔
321b : 걸림턱
51a, 422a : 지지부

Claims (8)

  1.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부착 고정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되고, 교정치료를 위해 착용자의 발 구조에 맞게 맞춤 제작되고, 발의 종골을 받치는 부위에 하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맞춤형 인솔; 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샌들형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의 외면이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내면은 상기 볼록부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샌들형 신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미드솔; 및
    상기 하부 미드솔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미드솔;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 또는 상기 하부 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샌들형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관통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한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드솔에 형성된 지지부는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하측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미드솔에 형성된 고정부의 상측에서 하부로 삽입 결합되는 상기 볼록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샌들형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드솔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 구조로 이루어진 샌들형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샌들형 신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환상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샌들형 신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에는 브러시 형태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샌들형 신발.

KR1020230043196A 2023-03-31 2023-03-31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Pending KR20240147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96A KR20240147352A (ko) 2023-03-31 2023-03-31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96A KR20240147352A (ko) 2023-03-31 2023-03-31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7352A true KR20240147352A (ko) 2024-10-08

Family

ID=9311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196A Pending KR20240147352A (ko) 2023-03-31 2023-03-31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73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82B1 (ko) 2007-08-24 2015-10-19 오소솔 리미티드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54953B1 (ko) 2015-07-07 2022-01-24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82B1 (ko) 2007-08-24 2015-10-19 오소솔 리미티드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55937B1 (ko) 2007-08-24 2016-09-22 오소솔 리미티드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54953B1 (ko) 2015-07-07 2022-01-24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512B1 (en) Massage shoes with combination arch support
US10188172B1 (en) Massage insole with multiple support regions
CN101262791A (zh) 用于鞋类的三平面支承系统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US20100064550A1 (en) Universal adjustable insole with an arch support and method of using it
US20190116922A1 (en) Massage shoe with arch support nodules
JP2023505321A (ja) ダイナミックな足底アーチサポートを実現するソールを有する靴
KR101362512B1 (ko) 홈이 형성된 끈 부분을 갖는 신발 제품
US11452329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20240147352A (ko) 맞춤형 인솔을 구비한 샌들형 신발
US20230292880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CN217446856U (zh) 一种孩童用矫正鞋垫
US11793267B1 (en) Shoe and therapy system
US10349701B2 (en)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KR200495970Y1 (ko) 체형 교정용 슬리퍼
KR20180001749U (ko) 신발용 논-슬립 패치
JP2023023063A (ja) 雪駄型シューズ
KR101722180B1 (ko) 기능성 신발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US20080307672A1 (en) Toe-fortifiable footwear and toe-fortifiable insole member of footwear
KR102754934B1 (ko) 발의 아치부위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한 아치부위 어셈블리
JP7588869B2 (ja) スニ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